KR101096997B1 - 구조체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구조체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6997B1 KR101096997B1 KR1020090003199A KR20090003199A KR101096997B1 KR 101096997 B1 KR101096997 B1 KR 101096997B1 KR 1020090003199 A KR1020090003199 A KR 1020090003199A KR 20090003199 A KR20090003199 A KR 20090003199A KR 101096997 B1 KR101096997 B1 KR 1010969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plate
- plate
- support
- coupling groove
- colum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구조물의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에 기둥 철근과 기본판재를 포함하는 구조체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의 바닥면과 수직으로 상기 기둥 철근이 배치되는 기둥 철근 배치단계; 및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기 기본판재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열로 배치되는 기본판재 배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 철근의 배치위치 사이 사이에 상기 기본판재가 상기 기둥철근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기둥 철근이 수직으로 촘촘하게 배치된 콘크리트층에 기본판재를 배치할 때, 기본판재의 지지부가 다수의 기둥 철근과 중첩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조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빌딩, 아파트와 같은 건물이나 철골 구조물, 타워크레인 하부, 교량과 같이 큰 하중을 갖는 물체를 지층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지지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교량, 타워크레인 등의 자중에 의해 지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 시공시 건물의 하부에는 건물 하중이 지반에 골고루 전달되며 지지될 수 있도록 기초 구조가 시공되는데, 종래의 기초 구조는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주로 사용하였다. 건물이 점점 높아지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단위면적당 기초 구조에 인가되는 하중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되고 있는 기초 구조의 경우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된 기초 구조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내력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기초 구조의 크기나 두께가 커짐에 따라 기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굴토 깊이, 즉 터파기의 깊이가 깊어지게 된다. 이는 기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지반의 터파기 작업과 기초 구조 설치 공정이 복잡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증대되는 문제와 터파기를 위한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를 유발하였다. 특히 건물 하부에 암반형 지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터파기를 깊게 하는데 더욱 더 긴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소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파기를 깊게 하는 경우 굴토된 지하층 벽면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굴토하여야 하므로, 인접 건물에 피해를 주게 되거나 밀집장소에서의 공사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굴토하게 되면 그만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야 할 공간이 커지게 되므로 콘크리트를 낭비하게 된다는 단점도 있다.
삭제
삭제
도 1은 일반적인 기초 바닥의 단면에 집중되는 전단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직의 기둥(I)과 수평의 기초 바닥(J) 사이에는 45° 정도의 비스듬한 방향(K)으로 전단력이 형성되어 가해진다. 만일, 기초 바닥(J) 내에 이러한 전단력을 지지할만한 구성이 없는 경우에는, 전단력에 의해 건축 구조물의 변형 내지는 파손을 가져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초 바닥 내에 다중의 철근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철근 방식은 여러 층 복잡하게 구비하여야 함은 물론, 설치 자체의 공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기초 바닥의 두께도 두꺼워져야 해서 콘크리트의 소모량이 상당히 늘어나고 시공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철근의 선 방식으로 전단력을 해결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하중 지지력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닥콘크리트층 하측으로 터파기 깊이를 줄이거나, 터파기 과정 없이, 바닥콘크리층 내부에 비교적 단순한 판 형태의 판형 구조체가 제시된 바 있다.
도 2는 상기 판형 구조체가 전단 하중을 담당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단력이 미치는 부분에 수직으로 판형 강재(100)가 사방으로 구비된다. 이 경우 강재(100)는 판 형태이므로, 전단력에 대해 선 형태의 철근들보다 강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수직 하중이 집중되는 L부분에는 강 재(100)를 배치시키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듬성듬성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단력이 미치는 부분을 수직으로 세워진 판형 강재(100)가 지지하게 됨에 따라, 전단력을 선이 아닌 면으로 흡수하여 지지하므로, 콘크리트의 두께가 많이 줄어들게 된다.
그런데 상기 기본 판재(100)의 상하측 단부에 기본판재(100)의 강도를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지지부(110: 도 3의 (b)에 도시)가 절곡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처럼 상기 지지부가 기본판재(100)에 형성되게 되면, 콘크리트층의 두께는 보다 더 얇아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층 내에 상기 지지부를 갖는 기본 판재(100)를 설치하는 것이 콘크리트 또는 철근의 소비를 줄이는데 더욱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층 내에는 다수의 수직 방향의 기둥 철근(미도시)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와 상기 기둥 철근의 위치가 중첩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파기를 깊고 크게 하지 않아도,전단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도록 건물 내부에 매입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기둥 철근이 수직으로 촘촘하게 배치된 콘크리트층에 기본판재를 배치할 때, 기본판재의 지지부가 다수의 기둥 철근과 중첩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물의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에 기둥 철근과 기본판재를 포함하는 구조체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의 바닥면과 수직으로 상기 기둥 철근이 배치되는 기둥 철근 배치단계; 및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기 기본판재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열로 배치되는 기본판재 배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 철근의 배치위치 사이 사이에 상기 기본판재가 상기 기둥철근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본판재 배치단계에서, 상기 기본판재의 상기 지지부의 배치위치가 상기 기둥 철근의 설치위치와 중첩될 때, 상기 기본판재를 180°회전시켜서 배치시키는 회전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본판재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지지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본판재의 상측 또는 하측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기본판재의 상측 또는 하측에 용접으로 결합시키거나,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기본판재의 상측 또는 하측에 결합구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본판재 배치단계에서, 상기 기본판재의 상기 지지부의 배치위치가 상기 기둥 철근의 설치위치와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본판재에서 상기 개방부가 형성된 위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가 상기 기본판재의 상측 또는 하측의 양 단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개방부가 상기 지지부의 중앙에서 그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본판재 배치단계 이후, 상기 기본판재의 상기 결합홈에 종횡으로 교차되도록 끼움판재가 삽입되는 끼움판재 삽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끼움판재 삽입단계에서, 상기 끼움판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상기 끼움판재의 상기 결합홈에는 수직으로 교차되는 상기 기본판재의 상기 결합홈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상기 기본 판재의 수직 부분 전체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상기 끼움 판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기둥 철근이 수직으로 촘촘하게 배치된 콘크리트층에 기본판재를 배치할 때, 기본판재의 지지부가 다수의 기둥 철근과 중첩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결합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기본판재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는 구조물의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 즉, 전단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수직으로 판형의 기본판재(100) 가 사방으로 구비된다. 이 경우 기본판재(100)는 판 형태이므로, 전단력에 대해 선 형태의 철근들보다 강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전단력이 미치는 부분을 수직으로 세워진 기본판재(100)가 지지하게 됨에 따라, 전단력을 선이 아닌 면으로 흡수하여 지지하므로, 콘크리트의 두께가 많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기본판재(100)는 (b)와 같이, 상단부 및 하단부 또는 상, 하단부 중 어느 일측에 수평한 지지부(110)를 구비하여, 상측 하중과 전단력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함은 물론, 시공시에 배치가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부(110)는 기본판재(100)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절곡하거나, 각 단부에 용접 또는 결합시켜 형성하는데 제조상 절곡을 하는 것이 가장 용이하다.
그리고 지지부(110)는 경우에 따라 (c)와 같이, 별도의 접합구(111)를 통해 기본판재(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는 지지구조에 따른 필요 콘크리트층 두께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는 종래 기술로서, 콘크리트층에는 다수의 철근(G)이 촘촘히 박혀 있고, 콘크리트층의 두께 h도 상대적으로 두껍다.
이러한 콘크리트층 내에 (b)와 같이, 판형으로 형성되는 기본 판재(100)를 수직 배치하면, 철근(G)의 수도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두께 h도 상대적으로 얇아지게 된다.
그리고 (c)와 같이, 지지부(110)가 절곡 형성된 기본 판재(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층의 두께 h는 보다 더 얇아질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층 내에는 지지부(110)를 갖는 기본 판재(100)를 설치하는 것이 콘크리트나 철근의 소비를 줄이는데 가장 바람직하다.
문제는 기둥 부분에는 다수의 수직 방향 기둥 철근(A: 도 5 도시)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지부(110)와 상기 기둥 철근의 위치가 중첩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는 도 5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와 도 6은 지지부를 갖는 기본 판재가 기둥 철근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바라보는 도면으로서, A는 기둥 부분에 설치되는 기둥 철근이다. 도 6은 측방에서 바라보는 도면으로서, 도 5와 대응되며, B는 상부 철근, C는 하부 철근이다.
먼저, 콘크리트층에는 도 5의 (a)와 같이, 다수의 기둥 철근(A)이 수직으로 촘촘하게 배치되고, 이어서, 도 5의 (b)와 같이, 기둥 철근(A) 사이사이에 지지부(110)를 갖는 기본판재(10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열로 배치된다. 여기서 기본 판재(100)의 수직 부분은 점선으로 표시된다.
한편, 하중 계산상 기본판재(100)의 수직 부분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야 하는데, 가장 좌측의 기본 판재(100)는 지지부(110)가 우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그 우측의 기본 판재(100) 역시 설치되어야 하는 위치에서 지지부(110)를 D와 같이 우측을 향하도록 하려다 보니, 수직 철근들과 위치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부(110)의 해당 위치에 매번 구멍을 뚫기에는 공정이 어렵고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게 된다.
따라서 도 5의 (c) 및 도 6과 같이, 지지부(110)가 반대방향을 향하면서도 기본 판재(100)의 설치 위치에는 변함이 없도록 기본 판재(100)를 그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180° 회전시켜서, 지지부(110)가 E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이로써 기본 판재(100)는 지지부(110)에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계산된 원래의 설치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도 5 및 도 6에서는 다수의 기둥 철근(A)이 수직으로 촘촘하게 배치된 후, 기둥 철근(A) 사이사이에 기본판재(100)가 배치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설계상 기둥 철근(A)이 배치될 예상 배치 위치 사이사이에 기본판재(100)가 먼저 배치된 후, 이어서 기둥 철근(A)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시공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기본판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기본판재(100)에는 지지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110)의 중간 중간이 일정 간격으로 개방되어 개방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부(112)에는 기본판재(100)의 중앙 방향으로 결합홈(120)이 형성된다.
개방부(112)는 지지부(110)를 일부 개방시킨 형태이며, 이처럼 개방부(112)가 존재함에 따라, 상기 도 5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은 기본 판재(100)의 회전 과 정은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즉, 수직형 기둥 철근(A)이 위치되는 간격에 맞게 개방부(112)를 사전에 형성하면, 기둥 철근(A)이 개방부(112)에 위치하면서, 지지부(110)의 사이사이에 위치되므로, 지지부(110)와 기둥 철근(A)의 위치가 중첩되거나 경로를 막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110)가 기둥 철근(A)을 피해 회전되거나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b)는 상기 기본 판재(100)의 결합홈(120)에 삽입되는 끼움판재(130)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끼움판재(130)는 지지부(110) 및 결합홈(120)을 구비하는 기본판재(100)와 동일하게 형성되나, 끼움판재(130)에 형성되는 결합홈(150)은 기본판재(100)의 결합홈(120)과 반대방향으로 위치되어, 기본판재(100)의 결합홈(120)이 그 상측에 위치될 때, 끼움판재(130)의 결합홈(150)은 그 하측에 위치되게 된다. 이러한 기본판재(100)와 끼움판재(130)는 결합홈(120, 150)을 통하여 종횡으로 반복 설치되게 되며, 이는 하기 도 7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설치 방법은 먼저,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층에 (a)와 같이, 다수의 기둥 철근(A)이 수직으로 촘촘하게 배치되고, 이어서, (b)와 같이, 기둥 철근(A) 사이사이에 지지부(110)와 결합홈(120)을 갖는 기본판재(100)가 배치된다. 이때, 기본판재(100)의 지지부(110)에는 수직형 기둥 철근(A)이 위치되는 간격에 맞게 개방 부(112)가 구비되어, 지지부(110)와 기둥 철근(A)의 위치가 중첩되거나 경로를 막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 후, (c)와 같이, 기본판재(100)의 결합홈(120)에 끼움판재(130)의 결합홈(150)이 삽입되면서, 기본판재(100)와 끼움판재(130)가 상호 종횡으로 교차 위치된다. 이때, 기본판재(100)와 끼움판재(130)가 상호 만나는 부분에 개방부(112, 142)가 위치되어, 각 지지부(110, 140)가 겹쳐지거나 중첩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기본판재(100)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기본판재(100)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110)와 결합홈(120)이 구비되되, 개방부(114)가 상기 제 2 실시예의 개방부(112)보다 크게 형성되어, 양단의 지지부(110)만 남겨놓고, 하나의 큰 개방부(143) 안에 다수의 결합홈(120)이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b)는 상기 기본 판재(100)의 결합홈(120)에 삽입되는 끼움판재(130)를 도시한 것으로서, 끼움판재(130)는 지지부(110), 개방부(114) 및 결합홈(120)을 구비하는 상기 기본판재(100)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지지부(140), 개방부(144) 및 결합홈(150)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홈(150)의 위치가 기본판재(100)의 결합홈(120)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다수 개의 끼움판재(130)는 다수 개의 기본판재(100)에 종횡으로 반복 설치된다. 이는 하기 도 10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설치 방법은 먼저, 상기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층에 다수의 기둥 철근(A)이 수직으로 촘촘하게 배치되고, 이어서, 기둥 철근(A) 사이사이에 지지부(110)와 개방부(114)와 결합홈(120)을 갖는 기본판재(100)가 배치된다. 그 후, 상기 기본판재(100)의 결합홈(120)에 끼움판재(130)의 결합홈(150)이 삽입되면서, 기본판재(100)와 끼움판재(130)가 상호 종횡으로 교차 위치된다. 이때, 기본판재(100) 및 끼움판재(130)에는 양단의 지지부(110, 140)만 남겨두고 하나의 큰 개방부(114, 144) 안에 다수의 결합홈(120, 150)이 위치됨으로써, 설치가 보다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초 바닥의 단면에 집중되는 전단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판형 구조체가 전단 하중을 담당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기본판재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지지구조에 따른 필요 콘크리트층 두께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 도면이다.
도 5는 지지부를 갖는 기본 판재가 기둥 철근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을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지지부를 갖는 기본 판재가 기둥 철근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본판재 110: 지지부
112, 114: 개방부 120: 결합홈
130: 끼움판재 140: 지지부
142, 144: 개방부 150: 결합홈
Claims (11)
- 구조물의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에 기둥 철근과 기본판재를 포함하는 구조체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상기 구조물의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의 바닥면과 수직으로 상기 기둥 철근이 배치되는 기둥 철근 배치단계; 및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기 기본판재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열로 배치되는 기본판재 배치단계를 포함하며,상기 기둥 철근의 배치위치 사이 사이에 상기 기본판재가 상기 기둥철근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고,상기 기본판재 배치단계에서,상기 기본판재의 상기 지지부의 배치위치가 상기 기둥 철근의 설치위치와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며,상기 기본판재에서 상기 개방부가 형성된 위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기본판재 배치단계에서,상기 기본판재의 상기 지지부의 배치위치가 상기 기둥 철근의 설치위치와 중첩될 때, 상기 기본판재를 180°회전시켜서 배치시키는 회전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기본판재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지지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본판재의 상측 또는 하측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는: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기본판재의 상측 또는 하측에 용접으로 결합시키거나,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기본판재의 상측 또는 하측에 결합구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가 상기 기본판재의 상측 또는 하측의 양 단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개방부가 상기 지지부의 중앙에서 그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기본판재 배치단계 이후,상기 기본판재의 상기 결합홈에 종횡으로 교차되도록 끼움판재가 삽입되는 끼움판재 삽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끼움판재 삽입단계에서,상기 끼움판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상기 끼움판재의 상기 결합홈에는 수직으로 교차되는 상기 기본판재의 상기 결합홈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결합홈은 상기 기본 판재의 수직 부분 전체 높이에 형성되고,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상기 끼움 판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의 설치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3199A KR101096997B1 (ko) | 2009-01-15 | 2009-01-15 | 구조체의 설치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3199A KR101096997B1 (ko) | 2009-01-15 | 2009-01-15 | 구조체의 설치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3889A KR20100083889A (ko) | 2010-07-23 |
KR101096997B1 true KR101096997B1 (ko) | 2011-12-20 |
Family
ID=4264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3199A KR101096997B1 (ko) | 2009-01-15 | 2009-01-15 | 구조체의 설치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699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76622A (ja) * | 2001-12-12 | 2003-06-27 | Dow Kakoh Kk | 乾式床組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
KR100585855B1 (ko) * | 2002-11-16 | 2006-06-0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철근콘크리트 기둥 및 철골 보의 접합부 |
KR200438488Y1 (ko) * | 2007-02-23 | 2008-02-20 | (주)건양구조 | 무량판 슬래브의 이방향 전단 보강 구조물 |
-
2009
- 2009-01-15 KR KR1020090003199A patent/KR10109699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76622A (ja) * | 2001-12-12 | 2003-06-27 | Dow Kakoh Kk | 乾式床組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
KR100585855B1 (ko) * | 2002-11-16 | 2006-06-0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철근콘크리트 기둥 및 철골 보의 접합부 |
KR200438488Y1 (ko) * | 2007-02-23 | 2008-02-20 | (주)건양구조 | 무량판 슬래브의 이방향 전단 보강 구조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3889A (ko) | 2010-07-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0919B1 (ko) | 돌출된 연결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와 그 제조방법 | |
JP2009516109A (ja) | 仮設土留め装置 | |
CN107642179B (zh) | 装配式框剪结构钢板键槽连接结构及拼装方法 | |
KR101140378B1 (ko) |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 |
CN110939212A (zh) | 装配式剪力墙结构的连接构造及施工方法 | |
KR20200112052A (ko) | 타설압 저항성이 강화된 프리캐스트 벽체 | |
JP4914062B2 (ja) | 二段山留め壁とその構築方法 | |
CN114319977A (zh) | 一种钢管混凝土排柱式连接预制剪力墙结构及施工方法 | |
KR101487814B1 (ko) |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 |
KR100802166B1 (ko) | 강널말뚝 벽체 | |
KR20110029454A (ko) |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기둥 하부 기초의 보강 구조 | |
KR101096997B1 (ko) | 구조체의 설치 방법 | |
KR20090102599A (ko) | 전단 강도 보강용 판형 구조체 | |
CN109577520B (zh) | 钢管混凝土键连接剪力墙柱结构及装配方法 | |
JP6232190B2 (ja) | 目地構成部材、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 | |
CN107542185B (zh) | 装配框剪结构弯剪型组合键槽连接结构及装配方法 | |
JP5024696B2 (ja) | 既存建造物の耐震補強構造 | |
KR102719681B1 (ko) | 프리캐스트 이중벽체 pc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중벽체 pc구조물의 시공방법 | |
CN219568938U (zh) | 一种坑中坑变截面筏板斜面钢筋定位结构 | |
KR101389123B1 (ko) | 파일형 방벽 | |
JP2012136932A (ja) | 既存建造物の耐震補強構造 | |
CN221000667U (zh) | 顶进框架桥涵装置 | |
KR101161993B1 (ko) |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JP3176376U (ja) | 梁無し耐震壁の構造 | |
KR20090098126A (ko) |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