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727B1 -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727B1
KR101096727B1 KR1020080107997A KR20080107997A KR101096727B1 KR 101096727 B1 KR101096727 B1 KR 101096727B1 KR 1020080107997 A KR1020080107997 A KR 1020080107997A KR 20080107997 A KR20080107997 A KR 20080107997A KR 101096727 B1 KR101096727 B1 KR 101096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nvironment
playback
playback environment
prefer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715A (ko
Inventor
지홍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7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7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재생 환경을 감시하는 재생 환경 감시부, 단말 주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정보 수집부, 상기 재생 환경 감시부에서 감시된 컨텐츠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재생 환경 또는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주위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종류에 따른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선호 재생 환경 설정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특정 컨텐츠 재생이 요청된 경우 그 컨텐츠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컨텐츠 종류에 따른 선호 재생 환경을 상기 선호 재생 환경 설정부에서 확인하여 그 선호 재생 환경으로 상기 컨텐츠의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부, 및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로 구성되어, 컨텐츠 종류 또는 주위 환경 정보에 따라 컨텐츠 재생 환경이 자동으로 설정되므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재생환경에서 컨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컨텐츠, 단말, 선호환경, 재생환경

Description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Terminal for playing contents and Method for playing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 종류에 따른 컨텐츠 재생 환경을 감시하고, 단말의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컨텐츠 종류에 따른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한 후, 특정 컨텐츠 재생이 요청된 경우 그 컨텐츠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컨텐츠 종류에 따른 선호 재생 환경을 확인하여 그 선호 재생 환경으로 상기 컨텐츠의 재생 환경을 설정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황인지 기반의 이동 서비스(Context Awareness based Mobile Service)에 대한 요구와,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빠른 속도로 개발되고 있다.
상황인지 기반 서비스란 사용자의 위치, 그 위치에서의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환경 요건들과 사용자 개인의 선호도 등을 입수된 센서 정보에 대한 해석과 사용자 자신이 제시한 정보를 토대로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환경과 의 도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자동으로 선별하고 제공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를 위해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 휴대폰, 노트북 등의 이동 기기들은 위치인식을 포함하는 상황인지를 위한 센서들을 장착하고 실제 상황인지를 담당하는 상황인지 엔진을 자체기기 혹은 원격 서버에 두어 필요한 상황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추출된 상황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서비스는 필요한 경우 개인화, 혹은 적응화 과정을 거쳐 실제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상황인지 이동 서비스 시나리오들 중 대표적으로 실제 생활에 도입되고 있는 서비스들은 예를 들어 자동차에 부착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을 토대로 파악된 위치에 기반으로 운행에 필요한 실시간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전시물 자체, 혹은 인접한 영역에 설치된 패시브 형식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PDA와 같은 이동 단말에 부착된 리더기로 인식하여 고유한 태그의 아이디를 기반으로 대상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음성 혹은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이동 전시안내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주거 내에서 PDA나 휴대폰을 이용하여 위치를 포함한 여러 가지 다양한 상황에서 조명등, TV, 에어컨, 히터, 냉장고 등 각종 기기나 기구들을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서비스들도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상황인지 기반의 서비스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단말의 상태를 바꾸는 즉, 컨텐츠 종류에 따라 컨텐츠 재생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서비 스는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단말이 컨텐츠 종류에 따라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의 상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 사용자가 임의의 컨텐츠를 재생할 때, 컨텐츠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재생 환경으로 해당 컨텐츠를 자동으로 재생시키는 단말 장치 및 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츠 종류 또는 주위 환경 정보에 따라 단말의 상태나 분위기에 관한 재생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게 하는 단말 장치 및 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종류에 따른 재생 환경을 감시하는 재생 환경 감시부, 단말 주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정보 수집부, 상기 재생 환경 감시부에서 감시된 컨텐츠 종류에 따른 재생 환경 또는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주위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선호 재생 환경 설정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특정 컨텐츠 재생이 요청된 경우 그 컨텐츠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컨텐츠 종류에 따른 선호 재생 환경을 상기 선호 재생 환경 설정부에서 확인하여 그 선호 재생 환경으로 상기 컨텐츠의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부,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재생 환경 감시부에서 감시하는 재생 환경은 단말의 밝기 설정이나 볼륨 크기 설정을 포함한다.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되는 주위 환경 정보는 소음 정도, 온도, 밝기, 밤과 낮의 구분을 포함한다.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는 소음 측정 센서, 온도 측정 센서, 밝기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부는 특정 컨텐츠 재생이 요청된 경우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하며,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선호 재생 환경을 상기 선호 재생 환경 설정부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선호 재생 환경과 상기 수집한 주위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환경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컨텐츠 종류에 따른 단말의 재생 환경을 감시하여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b)사용자에 의해 특정 컨텐츠 재생이 요청된 경우, 재생 요청된 컨텐츠 종류를 확인하여 선호 재생 환경을 판단하는 단계, (c)상기 (b)단계에서 판단된 선호 재생 환경을 근거로 단말의 재생 환경을 설정하여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 법이 제공된다.
상기 (a)단계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단말의 밝기, 볼륨,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시하여 컨텐츠 종류에 따른 밝기, 볼륨,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컨텐츠 종류에 따른 재생 환경을 감시하고,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컨텐츠 종류별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b)사용자에 의해 특정 컨텐츠 재생이 요청된 경우,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상기 수집한 주위 환경 정보와 재생 요청된 컨텐츠 종류를 이용하여 선호 재생 환경을 확인하는 단계, (d)상기 확인된 선호 재생 환경으로 컨텐츠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e)상기 설정한 컨텐츠 재생 환경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a)단계는, 컨텐츠 종류에 따른 재생 환경을 감시하고,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종류에 따른 주위 환경별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단계는, 해당 컨텐츠 종류에서 상기 수집한 주위 환경 정보와 매핑된 선호 재생 환경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선호 재생 환경으로 컨텐츠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컨텐츠 종류에 따른 재생 환경을 감시하여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특정 컨텐츠 재생이 요청되는 경우,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재생 요청된 컨텐츠 종류에 따른 선호 재 생 환경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한 선호 재생 환경에 주위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컨텐츠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재생 환경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 종류 또는 주위 환경 정보에 따라 컨텐츠 재생 환경이 자동으로 설정되므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재생환경에서 컨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이 컨텐츠 종류 또는 주위 환경 정보에 따라 단말의 상태나 분위기에 관한 재생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므로, 사용자가 컨텐츠 재생에 따른 환경을 일일이 설정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2), 컨텐츠가 저장된 컨텐츠 저장부(104), 재생 환경 감시부(106), 환경 정보 수집부(108), 선호 재생 환경 설정부(110), 컨텐츠 재생 제어부(112), 컨텐츠 재생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재생 환경 감시부(106)는 컨텐츠 종류에 따른 재생 환경을 감시한다. 여기서, 상기 재생 환경은 단말의 밝기, 볼륨 크기, 온도 등을 의미한다.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108)는 컨텐츠 재생 시 단말의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주위 환경 정보는 소음 정도, 온도, 밝기, 밤과 낮의 구분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주위 소음 정도를 측정하는 소음 측정 센서, 내부 타이머를 이용한 시간 측정 센서(밤과 낮 등의 구분),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주위 밝기를 측정하는 밝기 측정 센서 등을 말할 수 있다.
선호 재생 환경 설정부(110)는 재생 환경 감시부(106)에서 감시된 컨텐츠 종류에 따른 재생환경을 이용하여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화 재생시마다 단말의 밝기를 밝게 하고 볼륨을 크게 한 경우, 선호 재생 환경 설정부(110)는 '영화'의 경우 단말의 밝기를 밝게 설정, 볼륨을 크게 설정으로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한다.
또한, 선호 재생 환경 설정부(110)는 재생 환경 감시부(106)에서 감시된 컨텐츠 종류에 따른 재생 환경과 환경 정보 수집부(108)에서 수집된 주위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소음이 적절한 경우 영화에 대한 재생 환경 감시부(106)에 의한 재생 환경이 단말의 밝기를 밝게, 볼륨을 '1'로 설정인데, 환경 정보 수집부(108)에서 수집된 주위 환경이 '소음이 많다'인 경우 상기 선호 재생 환경 설정부(110)는 단말의 밝기를 밝게 하고 상기 설정된 볼륨(예를들면, 1)보다 더욱 높게 볼륨 (예를 들면, 볼륨을 '3')을 높이도록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선호 재생 환경 설정부(110)에는 영화, 노래, 뮤직 비디오 등 컨텐츠 종류에 따라 선호 재생 환경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부(112)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2)를 통해 특정 컨텐츠 재생이 요청된 경우 그 컨텐츠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컨텐츠 종류에 따른 선호 재생 환경을 상기 선호 재생 환경 설정부(110)에서 확인하여 그 선호 재생 환경으로 상기 컨텐츠의 재생 환경을 설정한다.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부(112)는 컨텐츠의 확장자명 등을 이용하여 그 컨텐츠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의 선호 재생 환경이 밝기 '4', 볼륨 '6'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영화의 재생이 요청되면,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부(112)는 단말의 밝기를 '4', 볼륨을 '6'으로 자동으로 설정하여 해당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부(112)는 특정 컨텐츠 재생이 요청된 경우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하며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선호 재생 환경을 상기 선호 재생 환경 설정부(110)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선호 재생 환경과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108)에서 수집된 주위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환경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영화에 대한 선호 재생 환경이 소음이 '7'일 경우 밝기 '4', 볼륨 '6'으로 설정, 소음이 '9'일 경우 밝기 '4', 볼륨 '8'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영화의 재생이 요청되고, 주위 환경에 따른 소음이 '9'인 경 우,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부(112)는 단말의 밝기를 '4', 볼륨을 '8'로 자동으로 설정하여 해당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설정한다.
상기 컨텐츠 재생부(114)는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를 재생한다.
상기와 같은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컨텐츠 재생 환경을 학습하고, 이후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의 재생을 지시할 때는 그 컨텐츠의 종류를 확인하여 학습된 재생환경 결과에 따라 밝기나 볼륨 등을 조정하고 컨텐츠를 재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가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는 컨텐츠 종류에 따른 사용자의 재생 환경을 감시하여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한다(S200). 즉, 상기 단말 장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단말의 밝기, 볼륨,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시하여 컨텐츠 종류에 따른 밝기, 볼륨,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노래'를 재생시킬 때마다(또는 일정 횟수 이상) 볼륨을 '크게(8 레벨)'한 경우, 단말 장치는 '노래'의 경우 볼륨을 '크게(8레벨)'로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한다.
상기 S200과 같이 선호 재생 환경이 설정된 후, 사용자에 의해 특정 컨텐츠 재생이 요청되면(S202), 상기 단말 장치는 재생 요청된 컨텐츠 종류를 확인하여 선호 재생 환경을 판단한다(S204). 즉, 단말 장치에는 컨텐츠 종류별 선호 재생 환경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재생 요청된 컨텐츠가 확인되면 그 컨텐츠에 대한 선호 재 생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204가 수행되면, 단말 장치는 상기 판단된 선호 재생 환경에 따라 단말의 재생 환경을 설정하여 해당 컨텐츠를 재생한다(S206).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가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는 컨텐츠 종류에 따른 재생 환경을 감시하고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컨텐츠별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한다(S300).
즉, 상기 단말 장치는 컨텐츠 종류에 따른 재생 환경을 감시하고,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한 후, 컨텐츠 종류에 따른 주위 환경별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낮에 영화를 재생하는 경우 밝기 '4', 볼륨 '6'으로 설정, 밤에 영화를 재생하는 경우 밝기 '3', 볼륨 '4'로 설정한 경우, 단말장치는 영화에 대하여 '낮'에는 밝기 '4', 볼륨 '6', '밤'에는 밝기 '3', 볼륨 '4'로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밤에는 주위가 어두우므로 밝게 하지 않아도 되고, 소음이 낮보다 적으므로 밤과 낮의 주위 환경에 따라 선호 재생 환경이 다를 수 있다.
상기 S300과 같이 선호 재생 환경이 설정된 후, 사용자에 의해 특정 컨텐츠 재생이 요청되면(S302), 상기 단말 장치는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S304), 상기 수집한 주위 환경 정보와 재생 요청된 컨텐츠 종류를 이용하여 선호 재생 환경을 확인한다(S306). 즉, 상기 단말 장치는 해당 컨텐츠 종류에서 상기 수집된 주위 환경 정보와 매핑된 선호 재생 환경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재생 요청된 컨텐츠가 '영화'이고, 주위 환경이 '밤'인 경우, 상 기 단말 장치는 '영화'에 대해 '밤'에 설정된 선호 재생 환경을 확인한다.
그런 다음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확인된 선호 재생 환경으로 컨텐츠 재생 환경을 설정하고(S308), 해당 컨텐츠를 재생한다(S310).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가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는 컨텐츠 종류에 따른 사용자의 재생 환경을 감시하여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한다(S400). 즉, 상기 단말 장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단말의 밝기, 볼륨,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시하여 컨텐츠 종류에 따른 밝기, 볼륨,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한다.
상기 400과 같이 선호 재생 환경이 설정된 후, 사용자에 의해 특정 컨텐츠 재생이 요청되면(S402), 상기 단말 장치는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S404), 상기 재생 요청된 컨텐츠 종류에 따른 선호 재생 환경을 확인한다(S406).
그런 다음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확인한 선호 재생 환경에 주위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컨텐츠 재생 환경을 설정한다(S408).
예를들어, 영화에 대한 선호 재생 환경이 밝기 '4', 볼륨 '6'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밤에 영화 재생을 원하면, 밤은 낮보다 어둡고, 소음이 적으므로 밝기를 더 낮게(예를들면, 2), 볼륨을 더 작게(예를 들면, 4) 재생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408의 수행 후,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설정한 재생 환경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재생한다(S410).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은 컨텐츠 종류 또는 주위 환경 정보에 따라 단말의 상태나 분위기에 관한 재생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기술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가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말 장치 102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04 : 컨텐츠 저장부 106 : 재생 환경 감시부
108 : 환경 정보 수집부 110 : 선호 재생 환경 설정부
112 : 컨텐츠 재생 제어부 114 : 컨텐츠 재생부

Claims (11)

  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재생 환경을 감시하는 재생 환경 감시부;
    단말 주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정보 수집부;
    상기 재생 환경 감시부에서 감시된 컨텐츠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재생 환경 또는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주위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종류에 따른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선호 재생 환경 설정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특정 컨텐츠 재생이 요청된 경우 그 컨텐츠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컨텐츠 종류에 따른 선호 재생 환경을 상기 선호 재생 환경 설정부에서 확인하여 그 선호 재생 환경으로 상기 컨텐츠의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부;및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환경 감시부에서 감시하는 재생 환경은 단말의 밝기 설정이나 볼륨 크기 설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되는 주위 환경 정보는 소음 정도, 온도, 밝기, 밤과 낮의 구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는 소음 측정 센서, 온도 측정 센서, 밝기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부는 특정 컨텐츠 재생이 요청된 경우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하며,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선호 재생 환경을 상기 선호 재생 환경 설정부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선호 재생 환경과 상기 수집한 주위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
  6. (a)컨텐츠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단말의 재생 환경을 감시하여 컨텐츠 종류에 따른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b)사용자에 의해 특정 컨텐츠 재생이 요청된 경우, 재생 요청된 컨텐츠 종류를 확인하여 선호 재생 환경을 판단하는 단계;및
    (c)상기 (b)단계에서 판단된 선호 재생 환경을 근거로 단말의 재생 환경을 설정하여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단말의 밝기, 볼륨,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시하여 컨텐츠 종류에 따른 밝기, 볼륨,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
  8. (a)컨텐츠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재생 환경을 감시하고,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컨텐츠 종류별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b)사용자에 의해 특정 컨텐츠 재생이 요청된 경우,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상기 수집한 주위 환경 정보와 재생 요청된 컨텐츠 종류를 이용하여 선호 재생 환경을 확인하는 단계;
    (d)상기 확인된 선호 재생 환경으로 컨텐츠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및
    (e)상기 설정한 컨텐츠 재생 환경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컨텐츠 종류에 따른 재생 환경을 감시하고,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및
    상기 컨텐츠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해당 컨텐츠 종류에서 상기 수집한 주위 환경 정보와 매핑된 선호 재생 환경을 선택하는 단계;및
    상기 선택한 선호 재생 환경으로 컨텐츠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
  11. 컨텐츠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재생 환경을 감시하여 컨텐츠 종류에 따른 선호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특정 컨텐츠 재생이 요청되는 경우,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재생 요청된 컨텐츠 종류에 따른 선호 재생 환경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한 선호 재생 환경에 주위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컨텐츠 재생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및
    상기 설정된 재생 환경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
KR1020080107997A 2008-10-31 2008-10-31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 KR101096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997A KR101096727B1 (ko) 2008-10-31 2008-10-31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997A KR101096727B1 (ko) 2008-10-31 2008-10-31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715A KR20100048715A (ko) 2010-05-11
KR101096727B1 true KR101096727B1 (ko) 2011-12-22

Family

ID=4227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997A KR101096727B1 (ko) 2008-10-31 2008-10-31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7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1182A (zh) * 2018-07-30 2019-01-04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智能手机的环境音远程采集系统及方法
WO2023128201A1 (ko) * 2021-12-31 2023-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서비스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156B1 (ko) * 2013-01-16 2019-12-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549216B1 (ko) * 2015-11-02 2023-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5439A (ja) 2004-04-05 2005-10-20 Funai Electric Co Ltd テレビ受像機および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5439A (ja) 2004-04-05 2005-10-20 Funai Electric Co Ltd テレビ受像機および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1182A (zh) * 2018-07-30 2019-01-04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智能手机的环境音远程采集系统及方法
WO2023128201A1 (ko) * 2021-12-31 2023-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서비스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715A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881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recommending application or content
CN110034986B (zh) 在家庭网络系统中用于内容备份的装置和方法
US89137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olume in an electronic machine
US97862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keyword model to voice operated function
KR101096727B1 (ko) 컨텐츠 재생을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방법
WO2012033312A1 (en) Method of operating mobile device by recognizing user&#39;s gesture and mobile device using the method
KR20070056673A (ko) 상황인지 기반의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및 그방법과, 그 단말 장치와 협력하여 옥내 이동 서비스를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CN104012126A (zh) 处理通信系统中的受损无线连接
US10063608B2 (en) Vehicle detection for media content player connected to vehicle media content player
US8959557B2 (en)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U2013313760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apparatus connected with device
CN103921727A (zh) 信息处理装置及其语音操作方法、语音操作系统
US201402877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ext-aware information using local service information
CN102636941A (zh) 投影仪以及认证方法
KR20140066269A (ko) 차량에서의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070224B1 (ko) 푸시 메시지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설정 변경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4844355B2 (ja) ポータブルコンテンツ再生装置、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
CN1964535B (zh) 终端代理登场决定方法及装置
JP5681466B2 (ja) コンテンツ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KR101304460B1 (ko)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CN108471553B (zh) 显示终端录画方法、装置、显示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00489456C (zh) 整合定位和指向机制的多功能电子装置与相关方法
KR20150071544A (ko) 잠금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0050907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63299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