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465B1 -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465B1
KR101096465B1 KR1020050001925A KR20050001925A KR101096465B1 KR 101096465 B1 KR101096465 B1 KR 101096465B1 KR 1020050001925 A KR1020050001925 A KR 1020050001925A KR 20050001925 A KR20050001925 A KR 20050001925A KR 101096465 B1 KR101096465 B1 KR 101096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tank
heat exchanger
brazing
head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1282A (ko
Inventor
이덕호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1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465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헤더와 탱크의 내주면 결합부위를 밀폐시켜 브레이징시에 리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헤더탱크의 내부에 브레이징 보강수단을 설치함으로서, 내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열교환기의 헤더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길이방향으로 튜브가 삽입 고정되도록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헤더와, 양측면이 평판 형태로 구비되고, 양단부가 상기 헤더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탱크와, 상기 헤더와 탱크의 결합부 내주면을 밀폐시켜 브레이징시에 리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브레이징 보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수단과 헤더 사이에는 열교환매체가 흐르도록 유동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헤더, 탱크, 브레이징 보강수단, 튜브

Description

열교환기의 헤더탱크{Header tank for heat exchanger}
도 1은 일반적인 이산화탄소의 냉동사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에 따라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제3실시예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제4실시예에서 나타낸 사시 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헤더 11: 슬롯
12: 결합홈 20: 탱크
30: 브레이징 보강수단 31: 평판부재
31a: 돌기 32: 절곡부
32a: 걸림홈 40: 튜브
A: 돌출부 C: 유동공간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더와 탱크의 내주면 결합부위를 밀폐시켜 브레이징시에 리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헤더탱크의 내부에 브레이징 보강수단을 설치함으로서, 내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열교환기의 헤더탱크를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냉방시스템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어 온 냉매로는 프레온(freon) 등이 있다.
상기 프레온은 일반적으로 무색무취의 기체이며, 그 종류로는 프레온-12(디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CCl2F2), 프레온-22(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CHClF2) 등이 있다.
프레온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폭발성이 없으며 불연성, 무독성의 냉매이므로, 냉장고 및 냉동기, 가정용 또는 차량용 에어콘 등의 냉매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프레온은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므로 사용 후 대기로 방출되면 파괴되지 아니하고 성층권까지 도달하고, 성층권에서는 태양의 자외선에 의해 프레온의 염소원자가 분해되며, 이 염소원자는 지구로 입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오존층 파괴의 주요 원인이 된다.
따라서 1987년에는 프레온의 생산 및 소비량을 규제하고 점차 다른 냉매로 대체할 것을 합의하는 몬트리올 의정서가 채택되기에 이르렀다.
이산화탄소는 상기 프레온을 대체하여 사용되는 냉매로서, 이산화탄소는 그 유해성이 프레온에 비하여 적고, 압축효율이 높으며, 외부 유체(공기)에 대한 열전달특성이 우수하고, 체적냉방능력(증발잠열 x 기체밀도)이 우수하여 압축기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등의 점에서 대체냉매로서 환영받고 있다.
이산화탄소의 압력-엔탈피 선도인 도 1 을 참조하여 이산화탄소의 냉동사이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b 과정은 기상의 이산화탄소가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는 압축과정이고, b-c 과정은 상기 고온고압의 이산화탄소가 가스쿨러(종래의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에 있어서의 응축기에 해당하는 구성요소)에서 냉각되는 냉각과정이며, c- d 과정은 상기 냉각된 이산화탄소가 교축밸브 등에 의해서 저온저압으로 교축되는 교축과정이고, d-a 과정은 상기 교축된 이산화탄소가 증발기에 의해서 증발되는 증발과정이다. 이 증발과정에서 상기 이산화탄소가 증발잠열을 공기 등의 외부 유체로부터 빼앗아 외부유체를 냉각시킨다.
상기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사용하는 냉방시스템은, 그 작동원리 및 구성이 종래의 냉방시스템과 전반적으로 유사하나, 냉방사이클에 있어서의 압축과정 후에 고온의 냉매로부터 외부공기로 열을 방출하는 과정에서 냉매가 상변화 없이 고압의 기상의 상태로 있다는 점이 상이하다.
이는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의 임계점에서의 온도가 약 31℃로서, 프레온 등과 같은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에 사용되는 냉매의 임계점 온도보다 낮은 데에 기인한 것이다.
냉방장치의 통상적 조건을 상정하여 이산화탄소의 냉동사이클을 설정해보면, 가스쿨러로부터 냉매의 열을 충분히 방출하기 위하여는 상기 가스쿨러의 냉매유출구의 온도가 외부유체의 온도보다 높아야 하므로, 도 1 에 있어서의 c점의 온도는 40℃ 정도는 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스쿨러의 온도를 40℃ 정도로 높게 하면 가스쿨러의 유입구 부근의 온도가 100℃를 초과하는 매우 높은 온도를 가지게 되고, 따라서 도 1 의 a-b-c-d-a를 따라서 형성될 수도 있는 냉동사이클은 e-f-g-h-e를 따라서 형성된다.
결국 이산화탄소는 매우 높은 압력하에서 작동하게 되므로 냉방장치, 특히 가스쿨러는 매우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도 2는 종래에 따라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산화탄소용 열교환기의 헤더탱크는 헤더(1)와 탱크(2)의 내주면에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압출재의 보강부재(3)를 결합하고, 상기 헤더(1) 및 보강부재(3)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튜브(미도시)가 삽입되는 슬롯(1a)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압출재의 보강부재(3)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공(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산화탄소용 열교환기의 헤더탱크는 헤더(1)와 탱크(2)의 내부에 압출재의 보강부재(3)를 결합함으로 고압에 견딜수 있고, 브레이징 시에 브레이징 면적을 넓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헤더탱크는 보강부재(3)가 압출재로 이루어져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고, 상기 보강부재(3)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3a)을 형성하기 위해 가공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헤더탱크의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헤더탱크의 내부에 결합되어진 보강부재(3)와의 결합공차가 정밀하여야 하고, 상기 결합공차가 정밀하게 가공되지 않으며, 브레이징 과정에서 버블리크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참고로, 버블리크는 부재가 겹치는 부위에서 브레이징이 않되는 부위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리크로 표현한다.)
즉, 보강부재(3)는 압출재로 구성되고, 헤더(1)가 클래드재로 구성되어 상기 헤더(1)의 클래드재가 압출재의 보강부재(3)와 탱크(2)를 브레이징시 결합시키게 되는데 정밀하게 가공되지 않으며 리크가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헤더탱크의 내부에 일체형의 보강부재(3)를 결합시켜 헤더탱크의 무게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헤더와 탱크의 내주면 결합부위를 밀폐시켜 브레이징시에 리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헤더탱크의 내부에 브레이징 보강수단을 설치함으로서, 내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열교환기의 헤더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튜브가 삽입 고정되도록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헤더와, 양측면이 평판 형태로 구비되고, 양단부가 상기 헤더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탱크와, 상기 헤더와 탱크의 결합부 내주면을 밀폐시켜 브레이징시에 리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브레이징 보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수단과 헤더 사이에는 열교환매체가 흐르도록 유동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브레이징 보강수단은 상기 탱크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평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상기 헤더와 탱크의 결합부위에 접면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평판부재의 양단부에 절곡부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튜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평판부재의 양단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상기 헤더의 단부에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평판부재의 내측면을 원호 형태로 형성하여 내압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평판부재와 탱크의 일측에는 열교환매체의 유동공간을 확장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튜브(40)가 삽입 고정되도록 복수의 슬롯(11)이 형성된 헤더(10)와, 양측면이 평판 형태로 구비되고, 양단부가 상기 헤더(10)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탱크(20)와, 상기 헤더(10)와 탱크(20)의 결합부 내주면을 밀폐시켜 브레이징시에 리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브레이징 보강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수단(30)과 헤더(10) 사이에는 열교환매체가 흐르도록 유동공간(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징 보강수단(30)은 상기 탱크(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평판부재(31)로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상기 헤더(10)와 탱크(20)의 결합부위에 접면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평판부재(31)의 양단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돌기(31a)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돌기(31a)에 대응되는 결합홈(12)을 상기 헤더(10)의 단부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평판부재(31)를 압출재로 구성할 수도 있고, 양면 또는 단면 클래드재로 프레스 성형도 가능하나, 이 실시예에서는 양면 클래드재를 프레스 성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열교환기 헤더탱크는 상기 헤더(10)와 탱크(20)를 클래드재로 형성하고, 상기 평판부재(31)도 클래드재로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클래드재의 유입이 취약한 헤더(10)의 양단부를 브레이징이 용이하도록 하여 내압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탱크는 길이방향으로 튜브(40)가 삽입 고정되도록 복수의 슬롯(11)이 형성된 헤더(10)와, 양측면이 평판 형태로 구비되고, 양단부가 상기 헤더(10)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탱크(20)와, 상기 헤더(10)와 탱크(20)의 결합부 내주면을 밀폐시켜 브레이징시에 리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브레이징 보강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수단(30)과 헤더(10) 사이에는 열교환매체가 흐르도록 유동공간(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징 보강수단(30)은 상기 탱크(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평판부재 (31)의 양단부에 절곡부(32)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브레이징 보강수단(30)은 압출재로 구성할 수도 있고, 양면 또는 단면 클래드재로 프레스 성형도 가능하나, 이 실시예에서는 압출재로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가공성이 좋다.
또한, 상기 헤더(10)와 탱크(20)는 양면 클래드를 프레스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평판부재(31)에 절곡부(32)가 형성된 브레이징 보강수단(30)으로 헤더탱크의 결합부를 밀폐시킴으로서, 브레이징시 리크가 발생될 수 있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보강할 수 있으며, 헤더탱크의 내부 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내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그 구조가 동일하며,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면, 평판부재(31)의 내측면을 원호 형태로 형성하여 내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였고, 상기 평판부재의 절곡부(32) 상에는 튜브(40)의 단부가 삽입되는 걸림홈(32a)을 형성시킨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헤더탱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그 구조가 동일하며,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면, 평판부재(31)와 탱크(20)의 일측에는 열교환매체의 유동공간(C)을 확장하도록 돌출부(A)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A)에 의해 열교환매체의 유동공간(C)이 확장됨으로서, 열교환매체의 압력손실을 감소시켜 열교환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한편, 이 실시예서도 제2, 제3실시예와 같이 상기 평판부재의 양단부에 절곡부를 형성할수도 있고, 상기 평판부재의 내측면을 원호 형태로 형성하여 내압성을 향상시킬수도 있고, 상기 절곡부 상에 튜브가 삽입되는 걸림홈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의 헤더탱크는 내압성이 요구되는 이산화탄소 열교환기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헤더(10)와 탱크(20)의 내주면 결합부위에 브레이징 보강수단(30)을 결합하여 리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브레이징 보강수단(30)은 평판부재(31)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평판부재(31)의 양단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돌기(31a)를 형성시키며, 상기 돌기(31a)에 대응되는 결합홈(12)이 상기 헤더(10)의 단부에 형성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평판부재(31)의 양단부에 절곡부(32)를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절곡부(32)에는 튜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걸림홈(32a)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판부재(31)의 내측면을 원호 형태로 형성하여 내압성을 한 층 더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상기 평판부재(31)와 탱크(20)의 일측에는 열교환매체의 유동공간(C)을 확장하도록 돌출부(A)를 형성하여 압력손실을 감소시켜 열교환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헤더탱크의 내부 리크가 발생될 수 있는 결합부위에 본 발명의 브레이징 보강수단(30)을 결합하여 브레이징 부위를 집중적으로 보강하는 효과가 있으며, 헤더탱크의 내부 체적을 최소화하여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내압성이 향상되는 본 발명의 헤더탱크는 길이방향 최외측에 엔드캡과 내부의 유로에 복수의 배플을 설치하여 다양한 유로를 형성하여 열교환기로 활용하도록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헤더탱크는 헤더와 탱크의 내주면 결합부위를 밀폐시켜 브레이징시에 리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헤더탱크의 내부에 브레이징 보강수단을 설치함으로서,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길이방향으로 튜브(40)가 삽입 고정되도록 복수의 슬롯(11)이 형성된 헤더(10)와,
    양측면이 평판 형태로 구비되고, 양단부가 상기 헤더(10)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탱크(20)와,
    상기 헤더(10)와 탱크(20)의 결합부 내주면을 밀폐시켜 브레이징시에 리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브레이징 보강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징 보강수단(30)과 헤더(10) 사이에는 열교환매체가 흐르도록 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징 보강수단(30)은 상기 탱크(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평판부재(31)로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상기 헤더(10)와 탱크(20)의 결합부위에 접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재(31)의 양단부에 절곡부(32)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32)에는 상기 튜브(40)의 단부가 삽입되는 걸림홈(3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재(31)의 양단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돌기(31a)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31a)에 대응되는 결합홈(12)이 상기 헤더(10)의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재(31)의 내측면을 원호 형태로 형성하여 내압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재(31)와 탱크(20)의 일측에는 열교환매체의 유동공간을 확장하도록 돌출부(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KR1020050001925A 2005-01-08 2005-01-08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KR101096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925A KR101096465B1 (ko) 2005-01-08 2005-01-08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925A KR101096465B1 (ko) 2005-01-08 2005-01-08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282A KR20060081282A (ko) 2006-07-12
KR101096465B1 true KR101096465B1 (ko) 2011-12-20

Family

ID=3717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925A KR101096465B1 (ko) 2005-01-08 2005-01-08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4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282A (ko)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806B1 (ko) 이중관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KR101249721B1 (ko) 열교환용 이중관
KR20170109462A (ko) 대체냉매적용 공조시스템의 내부 열교환기 이중관 구조
JP2004286438A (ja) 熱交換器
JP2005049049A (ja) 熱交換器
KR101220975B1 (ko) 고압용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EP2193323A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ame
KR101096465B1 (ko)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KR101104273B1 (ko) 고압용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KR20060082557A (ko) 고압용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KR101088304B1 (ko) 고압용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KR100737164B1 (ko) 고압 열교환기의 헤더
KR20060076843A (ko) 고압용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KR101461077B1 (ko) 열교환기
KR101067674B1 (ko) 고압용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KR101088305B1 (ko)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KR101195750B1 (ko) 고압용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구조
KR101075167B1 (ko)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KR100812497B1 (ko) 고압 열교환기의 헤더
KR101195840B1 (ko) 열교환기
KR100858696B1 (ko) 열교환기
KR100948140B1 (ko) 멀티슬랩 열교환기
KR20060098910A (ko) 공기 조화기의 열교환기
JP2003279194A (ja) 熱交換器
KR20070097609A (ko) 이산화탄소용 내부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