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905B1 - 건조 김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건조 김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905B1
KR101095905B1 KR1020100081134A KR20100081134A KR101095905B1 KR 101095905 B1 KR101095905 B1 KR 101095905B1 KR 1020100081134 A KR1020100081134 A KR 1020100081134A KR 20100081134 A KR20100081134 A KR 20100081134A KR 101095905 B1 KR101095905 B1 KR 101095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dry
laver
drying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익호
민경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펙
Priority to KR102010008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3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by treatment with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장치는, 원초를 발장 위에 펼쳐 놓는 성형수단; 상기 성형수단을 경유한 발장 위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수단; 상기 탈수수단을 경유한 발장 위의 원초가 건조 김 상태로 건조되도록 하기 위한 건조수단; 상기 건조수단을 경유하여 생산된 발장 위의 건조 김이 발장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건조김분리수단; 건조 김이 분리된 상태의 발장을 세척하여 발장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수단; 상기 건조김분리수단에서 건조 김을 발장으로부터 분리할 때 건조 김이 발장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발장을 코팅하기 위한 발장코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장치를 사용하면 건조 김의 생산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건조 김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APPARATUS AND MMETHOD FOR PRODUCING DRY LAVER}
본 발명은 바다에서 수확된 김(해태)의 원초를 김밥 등의 재료로 사용되는 건조 김(건조상태의 김)으로 생산하기 위한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태라고도 불리는 김은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섭취되어온 식품인데 이러한 김에 각종 영양성분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김은 주로 사각의 형태로 성형되고 건조되어 유통되며, 건조 김이 구이김(기름을 바르고 소금을 뿌린 후 열을 가해 구은 김)으로 가공되거나 건조 김 상태 그대로 김밥의 재료 등으로 사용되어져 일반소비자들이 섭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건조 김의 일반적 생산방법은 성형단계와 건조단계 및 김분리단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성형단계는 바다에서 채취된 원초를 소정의 크기로 세절하여 물에 혼합한 후 소정의 형태(사각 형태 등)로 발장에 얇게 펼쳐놓는 단계이다.
건조단계는 성형단계를 통해 발장에 펼쳐진 김을 건조하는 단계이다.
김분리단계는 건조단계를 통해 발장 위에서 건조된 김을 발장에서 분리하는 단계이다.
건조 김의 생산에 사용되는 상기 발장은 여러 개의 얇은 막대(주로 합성수지 재질이며, 목재로 구현되는 경우도 있다.)를 발의 형태로 엮은 것인데 전체적으로는 사각의 형태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재래식 건조 김 생산방법은 생산비용이 높고 대량 생산에 어려움이 있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7920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5361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5590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292229호 등과 같이 건조 김의 대량생산을 위한 장치가 안출되었으며, 그 중 일부는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조 김의 대량 생산을 위한 종래의 건조 김 생산장치는, 무한궤도 형태를 갖는 체인에 발장설치몸체(1)가 안치되어 설정된 경로를 따라 발장설치몸체(1) 및 발장설치몸체(1)에 설치된 발장이 이동되도록 하는 발장이동수단을 갖는다.
또, 세척공정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되고 작은 크기로 세절된 후 물에 혼합된 원초를 전술한 발장(2) 위에 펼쳐 놓는 성형수단을 갖는다.
또, 성형공정을 거쳐 발장 위에 펼쳐 놓여진 원초를 스펀지 등으로 가압해서 발장 위에 위치된 다량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수단을 갖는다.
또, 성형되고 탈수된 발장 위의 원초가 발장과 함께 이동되는 과정에서 열풍에 의해 건조되도록 하는 건조수단을 갖는다.
전술한 발장이동수단은 원초성형단계와 탈수수단을 경유할 때까지는 발장이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건조수단을 경유할 때는 세워진 상태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건조수단을 경유할 때 앞쪽에 위치된 발장설치몸체(1)에 고정된 발장과 뒤쪽에 위치된 발장설치몸체(1)에 고정된 발장이 근접되어(통상 1cm 정도의 간격을 유지함) 이동함으로써 열풍에 오래도록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탈수수단을 경유한 원초가 1c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세워진 상태로 이동하고, 송풍되는 열풍이 원초와 원초 사이로 이동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인데 이러한 열풍을 통해 충분한 건조(건조 김 상태의 건조)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원초가 열풍에 오래도록 노출되도록 할 필요성이 있으며, 건조수단의 크기를 축소할 필요성도 있기 때문에 원초가 세워진 상태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원초와 원초가 1c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세워진 상태로 이동되면서 서서히 건조수단을 경유하고, 그 과정에서 건조가 되도록 하기 위해 한 개의 건조 김 생산장치에는 수천 개 ∼ 만개 정도의 발장이 설치되어(건조 김 생산장치의 구성요소인 발장설치몸체(1)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형태를 갖는다.
건조 김의 원활한 생산을 위해서는 성형수단 - 탈수수단 - 건조수단을 경유하는 건조 김 생산 절차를 수회 이상 반복한 발장을 교체해주어야 한다.
이것은 건조된 김이 발장으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발장에 코팅 등이 되어 있는데 이 코팅은 건조 김을 수회 생산하는 과정에서 모두 제거되며, 이러한 코팅이 제거되면 건조된 김이 발장에서 원활하게 분리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발장의 교체에는 상당한 비용이 요구되어 건조 김 생산원가를 크게 상상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되어 오고 있다.
한편, 건조 김의 생산 환경이 비위생적이라는 것은 오래전부터 지적되어 오고 있었는데 소비자들이 식품에 대한 안전성과 생산환경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건조 김의 비위생적인 생산환경은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오고 있었다.
건조 김의 생산환경이 비위생적인 이유로 건조 김 생산업체가 영세하다는 것을 주요 요인으로 지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조 김의 생산환경이 비위생적인 이유는 종래의 건조 김 생산장치 자체가 비위생적인 환경을 만들어내기 때문이기도 하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종래의 건조 김 생산장치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발장에는 상당량의 세균이 번식한다.
이것은 발장을 설치 후 수명이 다할 때까지 발장에 대한 별도의 살균공정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원초가 건조되어 발장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발장 특히, 발장의 구성요소인 플라스틱 막대와 플라스틱 막대의 사이에는 원초의 찌꺼기가 남아있게 되고 이는 세균번식을 왕성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종래의 건조 김 생산장치가 비위생적인 또 다른 이유로서 발장이 설치되는 발장설치몸체(1)의 부식과 발장설치몸체(1) 자체에 다량의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장설치몸체(1)가 내부식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부식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 금속은 없는 실정이고, 가격 문제로 인해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아연을 포함하는 금속을 주로 사용하고 있고, 건조 김 생산을 위한 원초가 염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1년 이상 사용된 발장설치몸체(1)는 부식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 부식의 진행여부와 관계없이 발장설치몸체(1)에 대한 살균공정 등을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발장설치몸체(1)에서는 세균번식이 왕성하게 진행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 김의 생산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위생적인 건조 김을 생산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건조 김이 발장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발장을 코팅하기 위한 발장코팅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발장의 교체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용을 절감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이 되도록 한다.
또, 원초가 건조 김 상태로 건조된 후 발장에서 분리되었을 때 발장에 잔존하는 원초의 찌꺼기가 제거되고 발장이 세척되도록 함으로써 세균번식이 억제되고 이물질이 제거되어 종래기술보다 위생적인 건조 김 생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장치는, 원초를 발장 위에 펼쳐 놓는 성형수단을 갖는다.
또, 성형수단을 경유한 발장 위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수단을 갖는다.
또, 탈수수단을 경유한 발장 위의 원초가 건조 김 상태로 건조되도록 하기 위한 건조수단을 갖는다.
또, 건조수단을 경유하여 생산된 발장 위의 건조 김이 발장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건조김분리수단을 갖는다.
또, 건조김분리수단에서 건조 김을 발장으로부터 분리할 때 건조 김이 발장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발장을 코팅하기 위한 발장코팅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장치는, 성형수단, 탈수수단, 건조수단, 건조김분리수단을 가지며, 건조 김이 발장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발장을 코팅하기 위한 발장코팅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발장의 교체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건조 김의 생산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초가 건조 김 상태로 건조된 후 발장에서 분리되었을 때 발장에 잔존하는 원초의 찌꺼기를 제거되고 발장이 세척되도록 된 경우 세균번식이 억제되고 이물질이 제거되어 종래기술보다 위생적인 건조 김 생산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위생적인 건조 김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건조 김 생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세척수단과 발장코팅수단을 갖는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장치에 사용되는 발장설치몸체와 발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스팀 사용 발장살균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초음파 사용 원초살균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제2물분사수단을 갖는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그러나 첨부의 도면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하나의 예시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며, 특히 특허청구범위를 기재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의 형태로 한정하여 기재한 것이 아님을 밝힌다.
본 발명은 건조 김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며, 종래와 같이 성형수단(10), 탈수수단(20), 건조수단(30), 건조김분리수단(40), 발장이동수단(50)을 갖는다.
즉, 물에 혼합된 원초를 발장(2) 위에 펼쳐 놓는 성형수단(10)을 갖는 것이다.
또, 성형수단(10)을 경유한 발장(2)을 가압하는 등의 방법으로 발장(2) 위에 위치된 다량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수단(20)을 갖는 것이다.
또, 탈수수단(20)을 경유한 발장(2) 위의 원초에 열을 가하여 원초가 건조 김 상태로 건조되도록 하기 위한 건조수단(30)을 갖는 것이다.
또, 건조수단(30)을 경유하여 생산된 발장(2) 위의 건조 김이 발장(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건조김분리수단(40)을 갖는 것이다.
또, 발장(2)이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발장이동수단(50)을 갖는데 종래의 발장이동수단(50)은 발장(2)이 탈수수단(20), 건조수단(30), 건조김분리수단(40)을 경유하면서 순환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성형수단(10), 탈수수단(20), 건조수단(30), 건조김분리수단(40), 발장이동수단(50)은 이미 널리 공지된 것이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한 것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건조 김의 생산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건조김분리수단(40)에서 건조 김을 발장(2)으로부터 분리할 때 건조 김이 발장(2)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건조 김의 분리를 원활하게 하는 물질이 발장(2)에 코팅되도록 하는 발장코팅수단(90)을 갖는 구조를 안출하였다.
종래의 발장(2)은 코팅이 되어 있어 건조 김이 발장(2)으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코팅은 건조 김을 수회 반복 생산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제거된다.
따라서 발장코팅수단(90)을 구비하여 발장(2)을 건조 김 생산장치에서 분리할 필요없이 발장(2)에 대한 코팅을 실시하여 건조 김의 생산이 지속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발장(2)의 코팅에 사용되는 물질로서, 종래기술에서 발장(2)의 코팅에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식용 가능한 기름일 수도 있는데 이러한 기름은 액체상태인 것보다는 고체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상태인 경우 성형수단(10) 및 탈수수단(20)을 경유하면서 발장의 표면에 위치된 기름성분이 상당량 소실되어 그 효과가 매우 낮지만, 고체상태의 기름은 소실이 미미하기 때문에 그 효과가 높은 것이다.
고체상태의 기름을 발장(2)에 코팅하는 방법은 고체상태의 기름을 발장에 문지르는 방법이 있다.(이러한 경우 발장코팅수단(90)은 고체상태의 기름을 잡고 있는 기름고정부와 고정된 기름이 발장에 문질러지도록 기름고정부를 움직여주는 구동부를 갖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 도시하지 않음)
발장(2)의 코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에는 건조 김의 생산을 일정 시간동안 중단한 후 발장(2)을 코팅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발장코팅수단(90)을 건조김분리수단(40)과 성형수단(10)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한정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신속한 코팅이 가능하여 건조 김의 생산을 중단할 필요가 없는 경우(전술한 기름사용 방법 등)에는 건조김분리수단(40)과 성형수단(10) 사이를 경유하는 발장(2)에 대해 코팅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하여 건조 김의 생산을 중지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장코팅수단(90)을 건조김분리수단(40)과 성형수단(10)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위생적인 건조 김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종래의 건조 김 생산장치가 비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가장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가 발장(2)의 오염이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발장(2)이 깨끗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종래보다 위생적인 건조 김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안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장치는 발장(2)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단(60)을 갖는다.
또, 상기 세척수단(60)은 다수 개의 모(毛, 61a))를 가지며 건조김분리수단(40)을 경유한 발장(2)과 상기 다수 개의 모(61a)가 접촉되도록 설치된 브러쉬(61) 및 상기 브러쉬(61)를 움직여 브러쉬(61)에 형성된 다수 개의 모에 의해 발장에 부착된 이물질이 발장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브러쉬구동기(62)를 갖는다.
또, 발장이동수단(50)은 설치된 발장(2)이 탈수수단(20) 건조수단(30), 건조김분리수단(40), 세척수단(6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순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건조김분리수단(40)을 경유한 발장에 존재하는 원초의 찌꺼기 및 기타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될 뿐만 아니라 세균번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기 때문에 종래보다 위생적인 건조 김을 생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발장에 원초의 찌꺼기나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장이 성형수단(10), 탈수수단(20), 건조수단(30)을 다시 경유한 후 건조김분리수단(40)에서 건조 김을 분리 할 때 건조 김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발장(2) 위의 건조 김이 발장(2)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발장(2)의 교체 주기가 종래보다 길어지며, 이는 곧 생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상기와 같은 브러쉬(6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형태(다수 개의 모(61a)가 방사형으로 위치되어 방사형으로 뻗어있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고, 빗자루와 같이 어느 한 방향에만 다수 개의 모(61a)가 위치되어 한 방향으로만 뻗어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브러쉬(61)일 경우 브러쉬구동기(62)는 모터(62a) 등을 통해 브러쉬(61)를 회전시켜 주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브러쉬(61)의 회전과 동시에 브러쉬(61)가 발장(2)을 따라 이동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수 개의 모(61a)가 한 방향으로만 뻗어있는 경우 브러쉬구동기(62)는 브러쉬(61)가 발장(2)을 따라 이동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고려할 때 브러쉬(61)는 도면에서와 같이 발장의 구성요소인 막대와 막대 사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되고, 브러쉬구동기(62)는 브러쉬(61)를 회전시키되 브러쉬(61)에 구비된 다수 개의 모(61a)가 발장(2)의 구성요소인 막대와 막대 사이로 들어가고 이탈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회전시키는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때의 브러쉬(61)는 다수 개의 모(61a)가 방사형으로 뻗어있는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김 생산을 위한 발장(2)이 발장설치몸체(1)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발장설치몸체(1)도 오염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발장설치몸체(1)의 세척도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브러쉬(61)에 형성된 다수 개의 모(61a) 중 일부가 발장설치몸체(1)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어 본 발명의 세척수단(60)은 발장설치몸체(1)의 세척도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물론, 발장설치몸체(1)와 발장(2)의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별도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세척수단(60)은 브러쉬(61)를 통한 세척이 이루어지는 곳에 물을 분사하는 제1물분사수단(63)를 갖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발장(2)이 물속에 위치된 상태에서 브러쉬(61)의 모(61a)와 발장(2)이 접촉되어 세척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이나 제1물분사수단(63)를 갖는 구성에 의하면 원초의 찌거기나 기타 이물질이 발장(2)으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제거되는 등 세척효과가 더욱 우수하다.
또, 상기 제1물분사수단(63)를 통해 분사되는 물이나 발장(2)이 담가지는 물이 소독약품이 희석된 물이어서 소독력을 갖는 것일 경우 소독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제1물분사수단(63)은 브러쉬(61)의 중심부로 공급되어 브러쉬(61)의 모(毛, 61a)와 모(毛, 61a) 사이에 형성된 물분사구(63a)를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세척력을 높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척수단(60)은 브러쉬(61)에 의한 1차 세척이 완료된 후 제2물분사수단(64) 등을 통해 발장(2)에 물을 분사하여 발장(2)의 이물질을 씻어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세척수단(60)을 경유한 발장(2)이 더욱 깨끗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브러쉬(61)를 통한 세척이 이루어지는 곳에 물을 분사하는 제1물분사수단(63)를 갖는 형태나 발장(2)이 물속에 위치된 상태에서 브러쉬(61)의 모(61a)와 발장(2)이 접촉되어 세척되도록 구현된 조건에서도 이를 적용할 수 있다.
즉, 물과 브러쉬(61)를 통한 1차 세척이 완료된 후에 다시 물에 의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1물분사수단(63)를 통해서는 소독약품이 희석된 물이 분사되고 브러쉬(61)를 통한 1차 세척이 완료된 후 발장(2)에 분사되는 물은 소독약품을 포함하지 않는 물이도록 함으로써 발장(2)을 소독처리 하면서도 소독약품 성분은 발장에 남아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브러쉬(61)의 모(毛, 61a)는 발장(2)을 이루는 막대(2a)가 합성수지, 금속, 목재로 이루어진 것일 때 막대(2a)의 표면에 반복적으로 접촉되어 막대(2a)의 표면이 매끄러워지도록 할 수 있는 부드러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발장(2)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액이 제거되는 속도를 늦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팅액이 제거되더라도 발장의 표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어 건조 김이 발장에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곧 발장(2)의 수명을 연장하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건조 김의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브러쉬(61)의 모(毛, 61a))가 발장(2)의 구성요소인 막대(2a)에 반복적으로 접촉되어 발장(2)을 이루는 막대(2a)의 표면이 매끄러워지도록 하는 것은 목재나 금속 및 플라스틱의 표면을 매끄러운 섬유나 고운 사포지 등으로 문질러서 표면이 매끄러워지도록 하는 원리와 같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모(61a)의 부드러운 정도는 발장(2)의 구성요소인 막대(2a)의 재질 및 단단한 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설명에서 브러쉬(61)의 모(6a)가 발장설치몸체(1)에 접촉되도록 하여 발장설치몸체(1)의 세척도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설명한바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발장(2)은 플라스틱이나 목재 등과 같이 비교적 무른 재질로 구현되고, 발장설치몸체(1)는 단단한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발장설치몸체(1)가 세척되도록 함에 있어 표면에서 발생되는 부식으로 인한 이물질 등을 깨끗이 제거하기 위해서는 발장(2)을 세척하기 위한 모(毛)보다 단단한 모(毛)를 가지는 브러쉬(61)를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 브러쉬(61)는 교체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발장(2)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브러쉬(61)가 가지는 모(毛)보다 단단한 모(毛)를 가지는 브러쉬(61)를 교체하여 설치하되 모(毛)가 발장설치몸체(1)에 접촉되도록 설치한 후 설치된 브러쉬(61)를 회전시켜 발장설치몸체(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발장설치몸체(1)의 표면에 발생되는 부식으로 인한 이물질을 정기적으로 제거하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장(2)이 성형수단(10)에 이르기 전에 발장(2)을 살균처리하는 발장살균수단(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발장살균수단(70)은 살균력을 갖는 빛(자외선 등)을 발산하는 빛발산체(73)을 갖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세척수단(60)을 경유한 발장(2)이 성형수단(10)에 이르기 전에 발장(2)을 향해 살균력을 갖는 빛(자외선 등)을 발산시켜 발장(2)이 살균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발장(2) 위에 원초가 놓이기 전에 발장(2)이 살균처리됨으로써 더욱 위생적인 건조 김의 생산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살균력을 갖는 빛을 발산시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은 이미 널리 공지되어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발장살균수단(70)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발장설치몸체(1)에도 조사됨으로써 발장설치몸체(1)의 살균도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별도의 살균수단(발장의 살균처리에 사용되는 방식 등의 수단)을 통해 발장설치몸체(1)가 살균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발장살균수단(70)의 또 다른 형태로서 고온의 스팀을 발장(2)을 향해 분사하는 방식이 있다.
스팀을 사용한 발장살균수단(70)은 매우 우수한 살균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스팀이 발장설치몸체(1)에도 접촉되어 발장설치몸체(1)의 살균도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스팀을 사용하는 발장살균수단(70)의 경우 스팀분사기(72)로부터 방출된 스팀이 발장(2) 등에 접촉된 후 설정된 경로를 따라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스팀을 흡입하는 분사스팀흡입기(71)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팀으로 인해 건조 김 생산장치가 설치된 공간이 세균번식에 원활한 환경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고온 다습한 환경은 세균번식을 원활하게 하므로 이를 방지하는 것임)
스팀을 사용하는 발장살균수단(70)의 경우 세척수단(60) 전에 설치하여 발장이 살균처리되는 것은 물론 발장(2)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분리가 원활하지 않은 이물질도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방출되는 스팀이 설정된 영역(발장(2) 및 발장설치몸체(1)가 위치된 영역)의 외측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팀확산방지판(72a)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장치에 있어서, 물에 혼합된 원초가 발장(2) 위에 놓이기 전에 살균처리되도록 할 수 있는 원초살균수단(8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원초가 살균처리 되도록 함에 있어 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물에 혼합된 원초가 발장 위에 펼쳐 놓이기 전에 원초와 물의 혼합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원초와 물의 혼합물에 캐비테이션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원초살균수단(80)을 안출하였다.
초음파를 용액에 가할 경우 마이크로 미터(㎛) 크기인 진공상태의 기포가 발생되는데 이것을 캐비티라고 한다.
캐비티는 수 마이크로 초 단위로 발생과 소멸을 반복하게 되는데 소멸방식은 기포가 터지는 방식이다.
캐비티의 내부 온도는 5,000℃ 정도로서 매우 높은 고온이며, 1,000기압 정도의 상태이기 때문에 캐비티가 터질 때 강한 충격파와 열이 발산되고 이러한 충격파와 열에 의해서 균이 죽는다.
상기와 같은 캐비티가 용액 속에 발생되는 현상을 캐비테이션 현상이라고 한다.
상기와 같은 캐비테이션 현상은 원초에 부착된 균을 제거하는 효과(살균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원초에 부착된 미세한 이물질도 분리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원초를 더욱 더 청결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원초살균수단(80)으로서 초음파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원초살균수단(80)은 원초와 물의 혼합물에 초음파를 가하기 위한 초음파출력몸체(81a) 및 전원공급기(81b)를 포함하여 구성된 초음파발생기(81)를 구비한 형태로 구현된다.
초음파출력몸체(81a)는 일반적으로 초음파진동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초음파출력몸체(81a)를 갖는 초음파발생기(81)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초음파발생기(81)의 일반적인 구조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물에 혼합된 원초는 배관(82)을 통해 성형수단(10)으로 공급되고, 상기 원초살균수단(80) 중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출력몸체(81a)는 상기 배관(82)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살균효과 및 이물질의 분리효과를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또, 초음파출력몸체(81a)가 배관(82)의 단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복수 개 부착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배관(82)의 내부에서 캐비티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캐비티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야 살균력 및 이물질 분리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장(2)이 발장설치몸체(1)에 고정되는 구조라면 상기 발장설치몸체(1)를 향해 부식방지용 액체(방청액)를 분사할 수 있는 부식방지액분사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러한 부식방지액분사기는 액체를 분사할 수 있는 분무기를 가지는 형태 등 액체를 분사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식방지액분사기를 구비하면 건조 김을 생산하지 않는 계절에 발장설치몸체(1)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건조 김의 생산은 겨울에 이루어지고 늦은 봄부터 가을까지는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건조 김 생산장치는 오랫동안 방치되는 것이 현실이며, 이로 인해 발장설치몸체(1) 등의 부식이 상당히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부식방지액분사기를 구비하여 사용하지 않는 계절에 발장설치몸체(1)에 부식방지용 액체를 분사해 놓으면 발장설치몸체(1)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건조 김 생산장치를 다시 사용하려 할때 깨끗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부식방지액분사기를 구비해 놓는 구성이라면 분사된 부식방지용 용액을 제거할 있는 수단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부식방지액분사기를 갖는 구조라면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세척수단(60)의 브러쉬(61)에 형성된 모(61a)가 발장설치몸체(1)에 접촉되면서 부식방지용 용액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발장설치몸체(1)의 부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발장설치몸체(1)는 골격을 형성하는 금속재질의 베이스몸체(1a)에 합성수지(1b)가 씌워져 있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발장설치몸체(1)는 모두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발장설치몸체(1)를 모두 합성수지가 씌워진 것으로 대체하려면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장치를 사용한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방법은, 물에 혼합된 원초를 발장(2) 위에 펼쳐 놓는 성형단계를 갖는다.
또, 성형단계를 경유한 발장(2) 위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를 갖는다.
또, 탈수단계를 경유한 원초에 열을 가하여 원초를 건조 김 상태로 만드는 건조단계를 갖는다.
또, 건조단계를 경유한 발장(2) 위의 건조 김을 발장(2)에서 분리하는 건조김분리단계를 갖는다.
또, 상기 건조김분리단계를 경유한 발장(2)을 세척하여 발장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발장세척단계를 갖는다.
또, 상기 건조김분리단계에서 건조 김을 발장으로부터 분리할 때 건조 김이 발장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물질을 발장에 코팅하는 발장코팅단계를 갖는다.
발장(2)이 상기 성형단계, 탈수단계, 건조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경유하도록 하여 건조 김을 반복 생산하는 것이다.
상기 발장세척단계는, 건조김분리단계를 경유한 발장(2)이 다수 개의 모(毛)를 가지며 회전되는 브러쉬(61)와 접촉되면서 발장(2)에 부착된 이물질이 발장(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성형단계, 탈수단계, 건조단계, 건조김분리단계, 발장세척단계, 발장코팅단계는 한 장의 건조 김 생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성형단계, 탈수단계, 건조단계, 건조김분리단계는 한 장의 건조 김 생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실시되도록 하고, 발장세척단계와 발장코팅단계는 한 장의 건조 김 생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실시되거나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실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건조 김 생산방법은, 세척수단(60)을 경유한 발장(2)이 성형수단(10)에 이르기 전에 발장(2)을 향해 살균력을 갖는 빛을 발산시켜 발장이 살균되도록 하는 발장살균단계를 더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물에 혼합된 원초가 발장(2) 위에 펼쳐 놓이기 전에 원초와 물의 혼합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원초와 물의 혼합물에 캐비테이션 현상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원초를 살균하는 원초살균단계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미설명 부호 63b는 물공급용 호스이다.
1. 발장설치몸체 1a. 베이스몸체
1b. 합성수지 2. 발장
2a. 막대 10. 성형수단
20. 탈수수단 30. 건조수단
40. 건조김분리수단 50. 발장이동수단
60. 세척수단 61. 브러쉬
61a. 모 62. 브러쉬구동기
62a. 모터 63. 제1물분사수단
63a. 물분사구 63b. 물공급용 호스
64. 제2물분사수단 70. 발장살균수단
71. 분사스팀흡입기 72. 스팀분사기
72a. 스팀확산방지판 73. 빛발산체
80. 원초살균수단 81. 초음파발생기
81a. 초음파출력몸체 81b. 전원공급기
82. 배관 90. 발장코팅수단

Claims (10)

  1. 건조 김 생산장치에 있어서,
    원초가 발장(2) 위에 펼쳐 놓이기 전에 원초와 물의 혼합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원초와 물의 혼합물에 캐비테이션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초음파발생기(81)를 가지는 원초살균수단(80);
    원초를 발장(2) 위에 펼쳐 놓는 성형수단(10);
    상기 성형수단(10)을 경유한 발장(2) 위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수단(20);
    상기 탈수수단(20)을 경유한 발장(2) 위의 원초가 건조 김 상태로 건조되도록 하기 위한 건조수단(30);
    상기 건조수단(30)을 경유하여 생산된 발장(2) 위의 건조 김이 발장(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건조김분리수단(40);
    상기 발장이 탈수수단(20), 건조수단(30), 건조김분리수단(4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순환되도록 하는 발장이동수단(50);
    상기 건조김분리수단(40)에서 건조 김을 발장(2)으로부터 분리할 때 건조 김이 발장(2)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발장(2)을 코팅하기 위한 발장코팅수단(9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물에 혼합된 원초는 배관(82)을 통해 성형수단(10)으로 공급되고, 상기 원초살균수단(80) 중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발생기(81)의 초음파출력몸체(81a)는 상기 배관(82)의 외측에 복수 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김분리수단을 경유하면서 건조 김이 분리된 상태의 발장(2)을 세척하여 발장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수단(60)이 더 구비되어 있되 상기 세척수단(60)은 건조김분리수단(40)을 경유한 발장(2)과 접촉되는 다수 개의 모(毛, 61a)를 가지고 있는 브러쉬(61) 및 상기 브러쉬(61)를 움직여 상기 다수 개의 모(61a)에 의해 발장(2)에 부착된 이물질이 발장(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브러쉬구동기(62)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61)의 모(毛, 61a))는 발장(2)을 이루는 막대(2a)가 합성수지, 금속, 목재로 이루어진 것일 때 막대(2a)의 표면에 반복적으로 접촉되어 막대(2a)의 표면이 매끄러워지도록 하는 부드러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장(2)은 발장설치몸체(1)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브러쉬(61)에 형성된 다수 개의 모(61a) 중 일부가 발장설치몸체(1)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세척수단(60)은 발장설치몸체(1)의 세척도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장(2)은 발장설치몸체(1)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발장설치몸체(1)를 향해 부식방지용 액체를 분사할 수 있는 부식방지액분사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9. 삭제
  10. 건조 김 생산방법에 있어서,
    원초가 발장(2) 위에 펼쳐 놓이기 전에 원초와 물의 혼합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원초와 물의 혼합물에 캐비테이션 현상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원초를 살균하는 원초살균단계;
    원초살균단계를 경유한 원초를 발장(2) 위에 펼쳐 놓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단계를 경유한 발장(2) 위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
    상기 탈수단계를 경유한 원초를 건조 김 상태로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경유한 발장(2) 위의 건조 김을 발장(2)에서 분리하는 건조김분리단계;
    상기 건조김분리단계를 경유한 발장(2)을 세척하여 발장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발장세척단계; 및
    상기 건조김분리단계에서 건조 김을 발장으로부터 분리할 때 건조 김이 발장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고체상태의 기름을 발장에 문질러 발장에 기름을 코팅하는 발장코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김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방법.
KR1020100081134A 2010-08-22 2010-08-22 건조 김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KR101095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134A KR101095905B1 (ko) 2010-08-22 2010-08-22 건조 김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134A KR101095905B1 (ko) 2010-08-22 2010-08-22 건조 김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905B1 true KR101095905B1 (ko) 2011-12-21

Family

ID=4550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134A KR101095905B1 (ko) 2010-08-22 2010-08-22 건조 김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892A (ko) * 2018-07-20 2020-01-30 유한회사 진성 해태 건조기의 발장 클리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892A (ko) * 2018-07-20 2020-01-30 유한회사 진성 해태 건조기의 발장 클리닝 장치
KR102081442B1 (ko) * 2018-07-20 2020-02-25 유한회사 진성 해태 건조기의 발장 클리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5103615A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нутрованных туш животных или потрошеных тушек птицы
CN207476851U (zh) 一种水产品加工的喷淋消毒装置
JP2004024926A (ja) 高濃度炭酸水による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CN104305334A (zh) 一种禽蛋腌制清洗杀菌生产线
CN202761106U (zh) 果蔬农药残留清洗装置
RU2020117847A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очищаемое плазменно-активированной водой
CN106974270A (zh) 一种新型阿胶块生产线
KR101095906B1 (ko) 위생적인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CN108914598A (zh) 一种孔雀羽翎的加工处理方法
KR101095905B1 (ko) 건조 김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CN215228153U (zh) 一种舌苔清洁头及口腔清理器
KR20140141010A (ko) 농수산물 세척 시스템
KR101095904B1 (ko) 생산원가를 낮추고 위생적인 건조 김을 생산하기 위한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KR20120021912A (ko) 원초 살균을 위한 약품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는 건조 김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KR20130058126A (ko) 원가 절감이 가능한 건조 김을 생산하는 장치
US2374209A (en) Process for treating fruit
CN203253674U (zh) 一种食品杀菌消毒清洗机
JP2012200725A (ja) 傾斜した円形洗浄槽の中に、器具を固定するターンテーブルを有する器具洗浄乾燥器
JP2004130006A (ja) オゾン殺菌方法とその装置
CN212347243U (zh) 一种畜牧养殖粪便清理装置的杀菌机构
JP2019083791A (ja) 牡蠣貝の殺微生物洗浄方法及び殺微生物洗浄装置
KR20150086747A (ko) 채반용 세척기
CN203167984U (zh) 果蔬洗涤消毒装置
CN107360989A (zh) 一种智能化的食品加工杀菌清洗综合设备
CN207461368U (zh) 一种柑橘消毒与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