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764B1 -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764B1
KR101095764B1 KR1020090079661A KR20090079661A KR101095764B1 KR 101095764 B1 KR101095764 B1 KR 101095764B1 KR 1020090079661 A KR1020090079661 A KR 1020090079661A KR 20090079661 A KR20090079661 A KR 20090079661A KR 101095764 B1 KR101095764 B1 KR 101095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ight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light source
poin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7023A (ko
Inventor
사찌꼬 야마자끼
류따로 오께
이꾸꼬 이마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ublication of KR2010002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점광원 소자가 배열되는 전체 영역이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소영역마다 대응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화면에 발생하는 휘도의 떨어짐을 억제하여,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점광원 소자(2)를 평면 형상으로 복수 배열한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에서, 점광원 소자(2)가 배열되는 전체 영역이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되고, 소영역마다, 점광원 소자(2)를 지지하는 지지 기판(31, 32)과, 그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점광원 소자(2)로 구성되는 복수의 백라이트 유닛과, 그 백라이트 유닛의 그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되며, 그 점광원 소자의 배치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반사 시트를 갖고, 그 반사 시트는 그 전체 영역을 복수의 시트(41, 42)로 덮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광원 소자, 백라이트 유닛, 지지 기판, 반사 시트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BACK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일본국 특허 출원 2008-220135(2008년 8월 28일)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점광원 소자를 평면 형상으로 규칙적으로 배열한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에는, 액정 패널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백라이트가 이용되고 있다. 백라이트는, 다양한 발광원이 이용 가능하지만, 주된 것으로 냉음극관이나 외부 전극 형광관 등의 형광관,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등의 면 형상 광원, 발광 다이오드 등의 점 형상 광원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대화면화, 전력 절약화, 게다가, 백라이트의 표시 화상에 맞춘 점등 제어 등의 요청으로부터, 특히, 발광 다이오드를 평면 형상으로 배치하는 백라이트에의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광원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LED)(2)는, 지지 기판(3) 상에, 평면 형상으로 또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1)를 구성하고 있다. 도 1의 (a)는 백라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의 화살표 X-X'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지지 기판(3) 상에는, LED의 배치 위치에 개구(40)를 형성한 반사 시트(4)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백라이트의 전면에 배치된 액정 패널 방향으로, LED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지향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백라이트는, 특허 문헌 1에도 개시되어 있지만, 액정 표시 장치의 대화면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백라이트를 단일의 지지 기판으로 구성하는 것은, 제조 코스트의 증대의 원인으로 된다. 즉, 대화면에 대응하는 단일의 지지 기판은, 가격이 높고, 또한 취급이 번잡하며, 지지 기판의 일부 영역에 결함이 생긴 경우라도 기판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있어, 매우 고코스트로 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7-73295호 공보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광원 소자(2)가 배열되는 전체 영역 A를, 복수의 소영역 a1∼a8로 분할하고, 소영역마다 지지 기판(31∼38)을 설치하고, 각 지지 기판 상에 점광원 소자인 LED(2)를 배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부호 51∼58은 각 지지 기판에 배치된 LED(2)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 등을 급전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또한, 도 2 중의 점선은, LED(2)가 연속하여 배치되는 모습을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분할된 지지 기판은, 비교적 사이즈가 작은 지지 기판이 이용 가능하고, 백라이트의 일부 영역에 결함이 발생하여도, 해당하는 지지 기판만을 교환 함으로써, 간단히 보수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영역 A를, 등분할한 경우에서는, 각 소영역 a1∼a8에, 동일한 사이즈의 지지 기판에서 동일한 수나 배치의 LED를 갖는 공통의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할 수도 있어, 제조 코스트를 대폭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반사 시트(4)는, 분할한 지지 기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반사 시트와 지지 기판은, 통상적으로,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의 대화면화에 수반하여, 반사 시트(4)에 형성되는 LED용의 개구(40)를,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된 LED(2)에, 정밀도 좋게 위치 정렬을 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분할한 지지 기판을 1매의 큰 반사 시트로 덮기 때문에, 만약 하나의 지지 기판을 교환하고자 한 경우라도, 반사 시트 전체를 벗겨낼 필요가 있어, 지지 기판을 분할한 메리트가 저하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점광원 소자가 배열되는 전체 영역이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소영역마다 대 응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휘도의 균일화도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1) 복수의 점광원 소자를 평면 형상으로 복수 배열한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에 있어서,
점광원 소자가 배열되는 전체 영역이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되고, 소영역마다, 점광원 소자를 지지하는 지지 기판과, 그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점광원 소자로 구성되는 복수의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기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점광원 소자의 배치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반사 시트를 갖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전체 영역을 복수의 시트로 덮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평면 형상으로 인접 배치하였을 때에, 상기 시트끼리가 인접하는 경계를 사이에 두는 점광원 소자의 배치 간격은, 단일의 반사 시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점광원 소자의 배치 간격보다도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상기 (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에 있어서, 그 반사 시트를 구성하는 각 시트는, 적어도 1개의 소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소영역을 최소 단 위로 하는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상기 (3)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용의 백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반사 시트를 구성하는 각 시트는, 각 백라이트 유닛과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상기 (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반사 시트를 구성하는 각 시트는,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상기 (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 소자가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액정 표시 패널과, 그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직하형의 백라이트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점광원 소자가 배열되는 전체 영역이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되고, 소영역마다 대응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는 경우라도, 그 전체 영역을 덮는 반사 시트를 복수의 시트로 형성함으로써, 조립이나 교환 등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그 시트끼리의 경계에서의 휘도의 저하를, 점광원 소자의 배치 간격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화면의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발생하는 휘도의 떨어짐을 억제하여,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반사 시트를 구성하는 각 시트를, 적어도 1개의 소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소영역을 최소 단위로 하는 면적을 갖도록 조정하거나, 또한, 각 백라이트 유닛과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조정함으로써, 인접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끼리의 경계에 가까운 점광원 소자의 배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휘도의 떨어짐을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휘도의 떨어짐이 백라이트 유닛끼리의 경계에서만 발생하기 때문에, 동일 규격의(지지 기판의 크기나 점광원 소자의 수나 배치가 동일한) 백라이트 유닛이라도, 휘도의 떨어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바람직한 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액정 표시 패널 PNL은 관찰자측에 배치되고, 그 액정 표시 패널 PNL의 후방에 시트 OS, 및 백라이트 BL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액정 표시 패널 PNL은, 한 쌍의 평행 배치된, 예를 들면, 글래스로 이루어지는 기판 SUB1, SUB2를 갖고, 이들 각 기판 SUB1, SUB2 사이에 액정이 협지된다. 기판 SUB1, SUB2의 액정측의 면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도시 생략)가 그 액정을 1구성 요소로 하여 형성되어, 이들 화소마다 그 광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이들 각 화소가 형성된 영역을 표시 영역 AR(도면 중 일점쇄선 틀로 둘러싸여진 영역)로 하고, 이 표시 영역 AR에서, 백라이트 BL로부터의 광을 통과시켜 관찰자에 화상을 인식시킨다.
기판 SUB1은, 예를 들면, 도면 중 좌측변 및 상측변에서 기판 SUB2로부터 노출된 부분을 갖고, 이들 부분에서, 복수의 플렉시블 기판 FB의 1변측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플렉시블 기판 FB에는, 상기 각 화소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영상 신호 구동 회로 He 및 주사 신호 구동 회로 V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x방향으로 병설되는 플렉시블 기판 FB에는, 영상 신호 구동 회로 He가 형성된다. 이 영상 신호 구동 회로 He가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 FB는, 기판 SUB1과 접속된 1변측과 대향하는 다른 변측에 프린트 기판 PCB1, PCB2가 접속되고, 프린트 기판 PCB1, PCB2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로부터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도면 중 y방향으로 병설되는 플렉시블 기판 FB에는, 주사 신호 구동 회로 V가 형성된다. 이 주사 신호 구동 회로 V가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 FB는, 표시 제어 회로(도시 생략)로부터의 입력 신호가 프린트 기판 PCB1과 기판 SUB1의 표면에 형성된 배선(도시 생략)을 통하여 입력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영상 신호 구동 회로 He가 재치된 플렉시블 기판 FB와 같이, 프린트 기판 PCB1, PCB2에 상당하는 다른 기판은, 특별히, 접속되어 있지 않다.
액정 표시 패널 PNL의 배면에는, 예를 들면,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혹은 이들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광학 시트 OS를 개재하여 백라이트 BL이 배치되어 있다. 광학 시트 OS는, 백라이트 BL로부터의 광을 확산, 혹은 집광시키거나 하여 액정 표시 패널 PNL에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백라이트 BL은, 액정 표시 패널 PNL의 적어도 표시 영역 AR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지지 기판(3)의 표면에, 복수의 LED(2)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형 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BL에서의 지지 기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소영역 a1∼a8로 분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반사 시트도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된다(후술하는 도 5 참조).
반사 시트가 복수로 분할되어 있음으로써, 지지 기판의 착탈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반사 시트를 소영역마다 분할하는 것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광원 소자가 형성하는 백라이트의 휘도 분포에 불균일이 생기게 된다.
도 3의 a1∼a8은, 도 2에 도시한 소영역 a1∼a8에 대응하는 영역이며, 각 소영역의 지지 기판 상에는, 지지 기판과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갖는 반사 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도 3의 구조에서, 소영역마다 64개의 LED를 배치하고, 백라이트 전체 영역에서 LED를 26㎜ 정도의 등간격으로 배치함과 함께, 지지 기판으로부터 약 17㎜ 정도 상방에서의 휘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도 3에는 측정한 휘도 분포의 개략을 추기하고 있다. 백라이트 중앙 가로 방향(x축 방향)의 휘도 분포는 그래프 c1로, 백라이트 중앙 세로 방향(y축 방향)의 휘도 분포는 그래프 c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의 분포로 된다. 이와 같이, 소영역의 경계 부분에서는, 휘도 E의 떨어짐 b1∼b4가 보이고, 특히, 떨어짐 b1에서 는, 주변의 휘도와 비교하여 4% 정도의 감소가 보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휘도의 떨어짐은, 액정 표시 장치에 종선 또는 횡선의 그림자를 형성하여, 화질의 저하의 원인으로 되며,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방향(x방향)의 휘도의 떨어짐 b1은, 주변이 연속하여 고휘도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시각자에게는 휘도의 저하가 현저하게 인식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또한, 인접하는 지지 기판 사이의 LED(2)의 배치 간격을 다른 위치의 배치 간격보다도 좁게 하였다. 구체예는, 도 4에 도시한다. 도 4는, 소영역(a1, a2)의 확대 단면도이며, LED(2)를 복수 배치한 지지 기판(31, 32) 상에, 그 LED(2)의 배치 위치에 개구(40)가 형성된 반사 시트(41, 42)가 접착되어 있다. 각 지지 기판 상의 LED(2)의 배치 간격은 S1로 표시되고, 인접하는 지지 기판 사이의 LED(2)의 간격은 S2로 표시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LED(2)의 배치 간격은, S1>S2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휘도 분포의 떨어짐이 발생하는 지지 기판의 경계 부분에서는, LED(2)의 배치 간격이, 다른 영역보다도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전체로서 휘도 분포의 떨어짐이 적은 백라이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도시한, LED를 26㎜ 정도의 피치 간격으로 배치하는 경 우에서는, 반사 시트끼리의 경계를 사이에 두는 점광원 소자의 배치 간격을 23㎜ 정도로 함으로써, 휘도를 4% 정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기판(31, 32)(백라이트 유닛)의 경계 부분에서, 반사 시트(43, 44)가 중복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 기판간의 경계와 반사 시트간의 경계를 어긋나게 할 수 있어, 지지 기판간의 휘도 분포의 떨어짐을 더욱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백라이트 유닛」은, 하나의 지지 기판에 점광원 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지지 기판이 복수 배열되어 전체로서 「백라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것처럼, 「백라이트 유닛」이 복수 배열되어 「백라이트」 본체를 구성하고 있다.
도 5는 2개의 지지 기판(백라이트 유닛)(31과 33 또는 32와 34)을 1개의 반사 시트(43 또는 44)로 덮고 있는 예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반사 시트는, 지지 기판마다 1매씩 배치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지지 기판에 대하여 1매의 반사 시트를 배치하여도 된다. 반사 시트를 구성하는 각 시트는, 적어도 1개의 소영역(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또한 소영역을 최소 단위로 하는 면적을 갖고 있으면 된다.
여기서는, 「적어도 1개의 소영역을 포함하는 면적」인 것과, 「소영역을 최소 단위로 하는 면적」인 것이 필요하다. 특히, 「소영역을 최소 단위로 하는 면적」이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기판(31)을 덮는 반사 시트(43)가 다른 지지 기판(33)도 덮는 경우에는, 지지 기판(33)의 반사 시트가 필요한 영역의 전부 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지지 기판(33)의 반사 시트가 필요한 영역의 일부만을 덮는 것이 아닌 것을 의도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 시트(43 및 44)의 경계 부분은, 지지 기판(31과 32) 사이 또는 지지 기판(33과 34)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지 기판(31과 32)의 경계를 사이에 두는 LED(2)의 배치 간격 S2를, 동일한 방향의 다른 배치 간격 S1보다 좁게 하도록 지지 기판 상의 점광원 소자의 위치가 조정되어 있다. 단, 지지 기판(31과 33) 사이나 지지 기판(32과 34) 사이에서는, 반사 시트끼리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방향의 다른 LED(2)의 배치 간격과 동일한 간격 S3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6은, 1개의 지지 기판(백라이트 유닛)(31)마다, 반사 시트(41)를 설치하는 것이며, 그 반사 시트를 구성하는 각 시트는, 각 백라이트 유닛과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갖고 있다.
도 5 또는 도 6과 같이, 지지 기판(백라이트 유닛)끼리의 경계 부분에 반사 시트끼리의 경계를 위치 결정함으로써, 점광원 소자의 배치 간격의 조정이 필요한 부분을, 지지 기판의 측부 근방의 점광원 소자만으로 하도록, 지지 기판 상에서 항상 동일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동일규격의(지지 기판의 크기나 점광원 소자의 수나 배치가 동일한) 백라이트 유닛이어도, 휘도의 떨어짐을 간단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에서,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 시트를 구성하는 각 시트는,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특히, 휘도 분포의 떨어짐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에서, 점광원 소자로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LED에 한하지 않고 점 형상의 광원이면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점광원 소자가 배열되는 전체 영역이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소영역마다 대응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화면의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발생하는 휘도의 떨어짐을 억제하여,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및 그것을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점광원 소자를 이용한 백라이트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점광원 소자가 배열되는 전체 영역을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한 경우의 백라이트의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2의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분포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에 대하여, 점광원 소자의 배치 간격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그것에 대응하는 반사 시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LED
3, 31, 32, 33, 34 : 지지 기판
40 : 개구
41, 42, 43, 44 : 반사 시트

Claims (7)

  1. 삭제
  2. 복수의 점광원 소자를 평면 형상으로 복수 배열한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로서,
    점광원 소자가 배열되는 전체 영역이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되고, 소영역 마다, 점광원 소자를 지지하는 지지 기판과, 그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점광원 소자로 구성되는 복수의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기 지지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점광원 소자의 배치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반사 시트를 갖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전체 영역을 복수의 시트로 덮도록 구성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평면 형상으로 인접 배치하였을 때에, 상기 시트끼리가 인접하는 경계를 사이에 두는 점광원 소자의 배치 간격은, 단일의 반사 시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점광원 소자의 배치 간격보다도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시트를 구성하는 각 시트는, 적어도 1개의 상기 소영역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소영역을 최소 단위로 하는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시트를 구성하는 각 시트는, 각 백라이트 유닛과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시트를 구성하는 각 시트는,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 소자가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7. 액정 표시 패널과, 그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직하형의 백라이트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는,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90079661A 2008-08-28 2009-08-27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095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20135A JP5368751B2 (ja) 2008-08-28 2008-08-28 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JP-P-2008-220135 2008-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023A KR20100027023A (ko) 2010-03-10
KR101095764B1 true KR101095764B1 (ko) 2011-12-21

Family

ID=4172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661A KR101095764B1 (ko) 2008-08-28 2009-08-27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43232B2 (ko)
JP (1) JP5368751B2 (ko)
KR (1) KR101095764B1 (ko)
CN (1) CN101661192B (ko)
TW (1) TWI4286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8110B2 (ja) * 2009-07-31 2013-07-03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628228B1 (ko) 2009-09-10 2016-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20120656A1 (en) * 2009-10-19 2012-05-17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CN102563447A (zh) * 2010-12-30 2012-07-11 苏州世鼎电子有限公司 具有高工艺良率的led背光模块及其制造方法
WO2013069583A1 (ja) * 2011-11-11 2013-05-16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
US20160004123A1 (en) * 2014-07-02 2016-01-07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display apparatus
US9995962B2 (en) * 2015-06-12 2018-06-12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800866B2 (ja) * 2016-03-01 2020-12-16 ソニー株式会社 発光装置、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CN109946874A (zh) * 2017-12-20 2019-06-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
KR102448600B1 (ko) * 2018-02-26 2022-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0297356A (zh) * 2019-06-25 2019-10-0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灯板、背光模组和曲面显示装置
JP2021157875A (ja) 2020-03-25 2021-10-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CN113448123A (zh) * 2021-06-21 2021-09-28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和显示装置
CN114170919A (zh) * 2021-12-13 2022-03-11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双面显示面板及双面显示拼接屏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3813B2 (ja) 2004-08-04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このバックライト装置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100609057B1 (ko) * 2004-11-17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
KR101134302B1 (ko) * 2005-06-30 2012-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커버버툼 및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백라이트어셈블리와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0645788B1 (ko) 2005-08-26 2006-11-14 주식회사 파이컴 백라이트 장치
JP2007073295A (ja) 2005-09-06 2007-03-22 Sharp Corp 直下式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237788B1 (ko) * 2005-12-29 2013-0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엘이디 발광유닛 및 엘이디 백라이트어셈블리와액정표시장치모듈
JP4857945B2 (ja) * 2006-06-21 2012-01-18 ソニー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組立体
KR20080013592A (ko) * 2006-08-09 2008-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61192A (zh) 2010-03-03
US8243232B2 (en) 2012-08-14
TWI428670B (zh) 2014-03-01
CN101661192B (zh) 2011-12-14
TW201027188A (en) 2010-07-16
JP5368751B2 (ja) 2013-12-18
US20100053505A1 (en) 2010-03-04
KR20100027023A (ko) 2010-03-10
JP2010055952A (ja)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764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US842195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210667B2 (ja) 液晶表示装置
US868714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2431653A1 (en) Illumina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070002144A (ko) 액정표시장치용 반사시트 및 이를 이용한백라이트어셈블리와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80013739A (ko) 액정 표시 장치
EP2251720A2 (en) Light-emitting unit and backlight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20200786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2133160A1 (ja)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KR20170038377A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KR20110080580A (ko) 백라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211139A1 (en) Display device
JP2009224030A (ja) Led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1045192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414250B2 (ja) 液晶表示装置
US9116277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20160070893A (ko) 가변형 표시장치
JP5417031B2 (ja) 液晶表示装置
US20120182496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2013239289A (ja) 面状光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KR20100072652A (ko) 액정표시장치
US20100165252A1 (en) Backlight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0232050A (ja) 液晶表示装置
KR102484506B1 (ko)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