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573B1 -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573B1
KR101095573B1 KR1020110003939A KR20110003939A KR101095573B1 KR 101095573 B1 KR101095573 B1 KR 101095573B1 KR 1020110003939 A KR1020110003939 A KR 1020110003939A KR 20110003939 A KR20110003939 A KR 20110003939A KR 101095573 B1 KR101095573 B1 KR 101095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arc
support
absorbing member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택
Original Assignee
(주) 영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영운산업 filed Critical (주) 영운산업
Priority to KR1020110003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시 신발이 지면에 닿을 때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스프링의 신축작용에 의해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부품수를 현저히 줄이고 조립성을 향상시킨 간단한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조립성 향상으로 인한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양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발의 뒷굽에 삽입 설치되어 스프링의 신축작용에 의해 보행 시 지면과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일측은 밀폐되고 타측은 개방된 원형의 제1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프링이 유입 설치되어 유동을 방지하는 스프링안착홈을 형성시키는 유동방지턱이 설치되고, 상기 유동방지턱의 상측에는 중공형태의 제1지지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체의 일측 끝단부 외측에는 호형돌기와 호형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부결합체와, 양측이 개방된 원형의 제2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의 중앙부에는 스프링의 유동을 방지하는 스프링안착홈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1지지체가 유입되는 중공형태의 제2지지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체의 일측 끝단부 내측에는 상기 호형돌기 및 호형홈이 대응 유입 설치되는 호형홈 및 호형돌기가 교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하부결합체와, 상기 스프링안착홈에는 신축작용에 의해 보행 시 지면과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이 유입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Shoe having impact absorption member}
본 발명은 보행 시 신발이 지면에 닿을 때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스프링의 신축작용에 의해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부품수를 현저히 줄이고 조립성을 향상시킨 간단한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조립성 향상으로 인한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양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에 대하여 개발되는 주된 기술 내용은 걷거나 뛰는 경우 인체의 무릎과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과 하중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특수한 소재를 사용하여 신발의 중량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신발 내부에 통풍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땀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술적인 사항에 중점을 두고 있다.
상기 신발을 착용한 보행자의 무릎과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과 하중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는 신발의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의 뒤꿈치 부분에 에어백을 설치하는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신발에 내장되어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과 체중을 흡수하는 에어백은 주로 필름 형태의 섬머플라스틱 폴리우레탄(PPU)을 고주파 접착하여 튜브 형태로 제작 사용하고 있으나, 대부분 신발 중창에 내장 설치되는 관계로 인해 소형화되어 제작됨으로써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과 체중을 흡수하기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백 내부의 공기압력이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충격 흡수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사용자의 체중이 변화될 경우나, 보행, 경보, 조깅, 등산, 달리기, 운동 등의 보행 조건에 따라 무릎과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과 하중이 변화됨으로써 이에 비례하여 적절히 대응할 수 없게 되어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신발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보행 시 신발이 지면에 닿을 때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스프링의 신축작용에 의해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이 제공되고 있다.
즉, 도 1a는 종래의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된 신발의 측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충격흡수부재가 설치된 신발의 일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분해단면도로서, 상기 충격흡수부재(100)는 중창(2)의 저면과 밑창(3) 상면에 부가적으로 부착되는 제1, 제2지지패널(4)(5)에 형성된 요홈부(4a)(5a)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충격흡수부재(100)는 제1, 제2지지패널(4)(5)에 형성된 요홈부(4a)(5a)내에 설치되는 상.하부지지체(8)(9)가 구비되고, 상.하부지지체(8)(9)의 일측면 전 둘레에는 보행 시 신발이 지면에 닿을 때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7)이 유입 설치되는 스프링 안착홈(8a)(9a)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지지체(8)(9)의 중앙부에는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부재(6a)(6b가 유입되는 체결홈(8b)(9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충격흡수부재(100)의 조립과정은, 먼저 상.하부지지체(8)(9)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홈(8a)(9a) 내부에 스프링(7)을 유입 설치한 다음, 제1지지패널(4)에 형성된 통공(4c)과 상.하부지지체(8)(9)에 형성된 체결홈(8b)(9b)을 통해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부재(6a)(6b)로서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충격흡수부재(100)의 상부지지체(8)는 체결부재(6a)(6b)에 의해 요홈부(4a)내에서 제1지지패널(4)과 결합되며, 하부지지체(9)는 제2지지패널(5)에 형성된 요홈부(4a)내에서 접착제로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충격흡수부재(100)가 중창(2)의 저면과 밑창(3) 상면에 부가적으로 부착되는 제1, 제2지지패널(4)(5)에 설치된 상태에서 보행을 하게 되면 발이 지면에 닿을 때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스프링(7)의 신축작용에 의해 흡수함으로써 보행, 경보, 조깅, 등산, 달리기, 운동 등의 보행 조건에 따라 무릎과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과 하중이 변화될 경우에도 그에 비례하여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은 여러 개의 부품을 순차적으로 결합한 후에, 상기 결합된 충격흡수부재를 신발의 중창과 밑창 사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복잡한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조립성이 저하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낮아질 뿐만 아니라,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불량률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전술한 종래의 충격흡수부재(100)는 상.하부지지체(8)(9)와 스프링(7)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리벳으로 결합하는 경우가 통상적이며, 스프링(7)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유지보수가 필요할 경우 상.하부지지체(8)(9)의 분해가 어려워 스프링(7)의 교환이 불가능하게 되며, 이로 인해 충격흡수부재(100)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불합리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에 있어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상부결합체와 하부결합체 및 스프링의 3종류의 부품만으로 구성하되, 상기 상.하부결합체의 일측 끝단부에는 호형돌기와 호형홈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상.하부결합체 사이에 스프링을 배치한 상태에서 호형돌기를 호형홈에 유입 후, 회전시켜 상기 호형돌기와 호형홈을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하여 상.하부결합체와 스프링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조립성 향상으로 인한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양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신발의 뒷굽에 삽입 설치되어 스프링의 신축작용에 의해 보행 시 지면과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일측은 밀폐되고 타측은 개방된 원형의 제1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프링이 유입 설치되어 유동을 방지하는 스프링안착홈을 형성시키는 유동방지턱이 설치되고, 상기 유동방지턱의 상측에는 중공형태의 제1지지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체의 일측 끝단부 외측에는 호형돌기와 호형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부결합체와, 양측이 개방된 원형의 제2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의 중앙부에는 스프링의 유동을 방지하는 스프링안착홈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1지지체가 유입되는 중공형태의 제2지지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체의 일측 끝단부 내측에는 상기 호형돌기 및 호형홈이 대응 유입 설치되는 호형홈 및 호형돌기가 교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하부결합체와, 상기 스프링안착홈에는 신축작용에 의해 보행 시 지면과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이 유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로서 상기 스프링은 양측이 서로 다른 크기의 반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보행경로를 따라 보행 시 부위별 충격흡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행 시 신발이 지면에 닿을 때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스프링의 신축작용에 의해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상부결합체와 하부결합체 및 스프링의 3종류의 부품만으로 구성하되, 상.하부결합체의 일측 끝단부에는 호형돌기와 호형홈을 각가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결합체 사이에 스프링을 배치한 상태에서 서로의 호형돌기와 호형홈에 유입 후, 회전시켜 각각의 호형돌기가 서로 일치되게 배치될 경우 상.하부결합체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상.하부결합체와 스프링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조립성 향상으로 인한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양질의 제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된 신발의 측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충격흡수부재가 설치된 신발의 일부확대 단면도.
도 1c는 도 1b의 분해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를 분해단면도.
도 4a의 (가), (나)는 도 3의 A-A선 및 B-B선 단면도.
도 4b의 (가), (나)는 호형돌기와 호형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의 (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가 설치된 신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5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를 분해단면도이고, 도 4a의 (가), (나)는 도 3의 A-A선 및 B-B선 단면도이며, 도 4b의 (가), (나)는 호형돌기와 호형홈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5의 (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가 설치된 신발의 측면도로서, 상기 충격흡수부재(100)는 크게 중창(2)의 저면에 부가적으로 부착되는 제1지지패널(4)에 형성된 요홈부(4a)에 설치되는 상부결합체(10)와, 밑창(3) 상면에 부가적으로 부착되는 제2지지패널(5)에 형성된 요홈부(5a)에 설치되는 하부결합체(20)와, 보행 시 신발이 지면에 닿을 때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신축작용에 의해 흡수하는 스프링(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결합체(10)는 일측은 밀폐되고 타측은 개방된 원형의 제1몸체(11)가 구비되고, 이 제1몸체(11)의 중앙부에는 스프링(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턱(12)이 설치되어 상기 제1몸체(11)와 유동방지턱(12) 사이에 스프링안착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유동방지턱(12)의 상측에는 중공형태의 제1지지체(14)가 설치되고, 이 제1지지체(14)의 일측 끝단부 외측에는 하부결합체(20)와 결합시키기 위한 호형돌기(15)와 호형홈(16)이 교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결합체(10)는 사출성형으로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하부결합체(20)는 양측이 개방된 원형의 제2몸체(21)가 구비되고, 이 제2몸체(21)의 중앙부에는 스프링(30)의 유동을 방지하며 상기 제1지지체(14) 보다 직경이 큰 제2지지체(22)가 설치되어 상기 제2몸체(21)와 제2지지체(22) 사이에 스프링안착홈(23)이 형성되며, 이 제2지지체(22)의 일측 끝단부 내측에는 상기 호형돌기(15)가 유입 설치되어 상부결합체(10)와 결합시키기 위한 호형홈(24) 및 호형돌기(25)가 교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결합체(20)는 사출성형으로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100)의 조립은 먼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부결합체(10)와 스프링(30) 및 하부결합체(20)를 차례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30)을 제1, 제2지지체(14)(22)를 관통하게 하여 스프링안착홈(13)(23)에 유입 설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b의 (가)에서와 같이 제1몸체(11)의 제1지지체(14) 일측 끝단부 외측에 형성된 호형돌기(15)와 호형홈(16)을 제2몸체(21)의 제2지지체(22) 일측 끝단부 내측에 형성된 호형홈(24)과 호형돌기(25)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스프링(30)을 압축시켜 상부결합체(10) 또는 하부결합체(20)를 도 4b의 (나)에서와 같이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 제2지지체(14)(22)에 형성된 호형돌기(15)(25)가 서로 일치 배열됨으로써 상.하부결합체(10)는 스프링(30)이 유입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하부결합체(10)(20)의 조립이 완료되면 압축된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제1지지체(14)에 형성된 호형돌기(15)와 제2지지체(22)에 형성된 호형돌기(25)가 서로 밀착 고정되어 인위적으로 상.하부결합체(10)(20)를 회전시켜 분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100)는 도 6에서와 같이 제1지지패널(4)에 형성된 요홈부(4a) 내부에 상부결합체(10)의 제1몸체(11)를 유입하고, 제2지지패널(5)에 형성된 요홈부(4b) 내부에 하부결합체(20)의 제2몸체(21)를 유입하여 접착제로서 고정하게 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100)는 신발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3~6개 정도 설치할 수 있으나,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4개의 충격흡수부재(100)를 사방형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보행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이 지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일 경우에는 도 5의 (가)에서와 같이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상.하부결합체(10)(20)의 호형돌기(15)(25)가 서로 맞닿은 최대의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보행경로에 의해 신발의 발뒤꿈치 부분이 지면에 닿을 경우 착용자의 체중이 상부결합체(10)에 전달되고, 이 체중에 의해 도 5의 (나)에서와 같이 스프링(30)이 압축되어 상부결합체(10)의 제1지지체(14)가 하부결합체(20)의 제2지지체(22) 내부로 하강됨으로서 상기 스프링(30)의 신축작용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30)의 반발탄성력에 의해 체중의 분산하여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행, 경보, 조깅, 등산, 달리기, 운동 등의 보행 조건에 따라 무릎과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과 하중이 변화될 경우 이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상기 스프링(30)의 양측은 서로 다른 크기의 반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보행경로를 따라 보행 시 부위별 충격흡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스프링(30)의 반경이 작은 부분에서는 압력이 가해지는 면적이 적어 신축 변화량이 낮게 일어나게 되며, 스프링(30)의 반경이 큰 부분에서는 압력이 가해지는 면적이 많아 신축 변화량이 높게 일어나게 됨으로서 보행경로에 의한 신발 뒤꿈치부분과 지면의 접촉지점에 따라 충격흡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1 : 갑피 2 : 중창
3 : 밑창 4 : 제1지지패널
4a, 5a : 요홈부 5 : 제2지지패널
10 : 상부결합체 11 : 제1몸체
12 : 유동방지턱 13, 23 : 스프링안착홈
14 : 제1지지체 15,25 : 호형돌기
16, 24 : 호형홈 20 : 하부결합체
21 : 제2몸체 22 : 제2지지체
30 : 스프링 100 : 충격흡수부재

Claims (2)

  1. 신발의 뒷굽에 삽입 설치되어 스프링(30)의 신축작용에 의해 보행 시 지면과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흡수부재(100)는 일측은 밀폐되고 타측은 개방된 원형의 제1몸체(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11)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프링(30)이 유입 설치되어 유동을 방지하는 스프링안착홈(13)을 형성시키는 유동방지턱(12)이 설치되고, 상기 유동방지턱(12)의 상측에는 중공형태의 제1지지체(14)가 설치되는 상부결합체(10)와, 양측이 개방된 원형의 제2몸체(21)가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21)의 중앙부에는 스프링(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스프링안착홈(23)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1지지체(14)가 유입되는 중공형태의 제2지지체(22)가 설치되는 하부결합체(20)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상부결합체(10)의 제1지지체(14) 일측 끝단부 외측에는 호형돌기(15)와 호형홈(16)이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결합체(20)의 제2지지체(22) 일측 끝단부 내측에는 상기 호형돌기(15) 및 호형홈(16)이 대응 유입 설치되는 호형홈(24) 및 호형돌기(25)가 교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2. 삭제
KR1020110003939A 2011-01-14 2011-01-14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KR101095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939A KR101095573B1 (ko) 2011-01-14 2011-01-14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939A KR101095573B1 (ko) 2011-01-14 2011-01-14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573B1 true KR101095573B1 (ko) 2011-12-19

Family

ID=4550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939A KR101095573B1 (ko) 2011-01-14 2011-01-14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5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064B1 (ko) * 2020-09-08 2021-01-29 권기대 스프링 쿠션신발
KR20230088062A (ko) 2021-12-10 2023-06-19 최민기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아동용 축구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376Y1 (ko) 2002-04-22 2002-07-22 배을홍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한 신발
US20050126039A1 (en) * 1999-04-29 2005-06-16 Levert Francis E. Spring cushioned sho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6039A1 (en) * 1999-04-29 2005-06-16 Levert Francis E. Spring cushioned shoe
KR200282376Y1 (ko) 2002-04-22 2002-07-22 배을홍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한 신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064B1 (ko) * 2020-09-08 2021-01-29 권기대 스프링 쿠션신발
KR20230088062A (ko) 2021-12-10 2023-06-19 최민기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아동용 축구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5426B (zh) 可独立移动的鞋底结构
US11464280B2 (en) Shoe
US9320319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perforated midsole
EP3250072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xetic structure
US8365444B2 (en) Articulating footwear sole
EP3229629B1 (en) Footwear with flexible auxetic sole structure
CN107205519A (zh) 具有一体形成的拉胀结构的鞋类制品
KR101006923B1 (ko) 신발 중창
CN104968230A (zh) 用于鞋类物品的柔性鞋底和鞋面
CN102415643A (zh) 带有突起的鞋底和鞋类物品
CN102048299B (zh) 防滑式鞋底
US9907355B2 (en) Article of footwear for running and cycling
KR101095573B1 (ko)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KR100998239B1 (ko) 경도차 부재를 갖는 밑창 및 이를 구비한 무릎 관절화
CN106974357A (zh) 一种减震鞋
KR101625917B1 (ko) 기능성 신발물품
WO2022143220A1 (zh) 充气式组装弹力鞋
EP3267826B1 (en) Auxetic soles with corresponding inner or outer liners
CN104839930B (zh) 透气的泡泡缓震鞋底
KR100996559B1 (ko)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CN202680700U (zh) 全掌气囊弹力鞋底
CN214103460U (zh) 一种具有侧向支撑功能的运动鞋
KR101567481B1 (ko) 통풍신발
KR200410356Y1 (ko) 충격 흡수 신발
JP3049755U (ja) 靴用クッション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