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495B1 - Upper sheet and electric mattress us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Upper sheet and electric mattress us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495B1
KR101095495B1 KR1020100001258A KR20100001258A KR101095495B1 KR 101095495 B1 KR101095495 B1 KR 101095495B1 KR 1020100001258 A KR1020100001258 A KR 1020100001258A KR 20100001258 A KR20100001258 A KR 20100001258A KR 101095495 B1 KR101095495 B1 KR 101095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yer
electric
cushio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2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0842A (en
Inventor
윤영기
Original Assignee
윤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기 filed Critical 윤영기
Priority to KR1020100001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495B1/en
Publication of KR20110080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8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4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장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장판용 상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장판,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발명은 부직포로 형성된 쿠션층; 상기 쿠션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코팅층; 상기 쿠션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상면에 상기 쿠션층보다 데니어가 작은 부직포로 형성된 쿠션마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용 상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장판, 그 제조방법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she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p sheet for an electric sheet, an electric sheet using the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shion layer formed of a nonwoven fabric; A coating layer formed on the cushion layer; An upper sheet for an electric sheet and an electric sheet using the same, including a cushioning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layer and formed of a nonwoven fabric having a denier smaller than the cushion layer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Description

전기장판용 상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장판, 그 제조방법{Upper sheet and electric mattress us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Upper sheet for electric sheet and electric sheet using sam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pper sheet and electric mattress us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장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장판용 상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장판,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she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p sheet for an electric sheet, an electric sheet using the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전기장판은 단기간에 바닥을 데우는 용도로 사용된다. 즉, 거실이나, 침대 위에 펴서, 전기를 사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전기장판은 석유 등, 기존의 난방기구에 비해서 비교적 저렴한 에너지인 전기를 사용함으로써, 유가 급등에 따라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Electric blankets are used for warming floor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at is, it is used to generate heat by using electricity to spread on a living room or bed. Such electric blankets use electricity, which is relatively inexpensive energy, compared to existing heating appliances such as petroleum, and thus the demand is increasing rapidly as oil prices soar.

도 1은 종래의 전기장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ic field plate.

종래의 전기장판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열을 하는 전열부(10)와, 전열부(10)를 사이에 두고 상하 위치한 상부시트(20), 하부시트(30)를 포함한다. The conventional electric field plate includes a heat transfer unit 10 for generating heat using electric energy, and an upper sheet 20 and a lower sheet 30 positioned up and down with the heat transfer unit 10 interposed therebetween.

전열부(10)는 통상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열선이 많이 사용되나, 최근에는 온수파이프가 사용되기도 한다. 상부시트(20)는 대부분 일반 모노륨이라 불리는 장판지가 사용되고 있으며, 하부시트(30)는 부직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 heat transfer unit 10 is usually used a lot of electric heating wire that generates heat by electricity, but recently a hot water pipe is also used. Most of the top sheet 20 is a long sheet of paper called a common monolium, the lower sheet 30 is a non-woven fabric is used a lot.

그런데, 상부시트(20)로 사용되는 모노륨이라 불리는 장판지는 PVC를 주재료로 하여 형성된다. 즉, 종래의 상부시트(20)를 이룬 장판지는 쿠션을 위해서 여러 화학성분이 함께 들어간 PVC 소재를 발포한 기층과, 이 기층의 표면에 PVC재질의 상부 표면층과, 상부 표면층의 상면에 여러 표면 코팅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장판지는 저온에서 경화가 되어, 약한 충격에도 쉽게 깨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장기간 전기장판을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유해물질이 배출되어 인체 및 환경에도 해롭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By the way, the longboard called monolium used as the top sheet 20 is formed using PVC as a main material. That is, the longboard made of the conventional top sheet 20 is a base layer foamed with PVC material containing various chemical components for the cushion, the upper surface layer of the PVC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several surface coating laye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layer Is formed. Such a longboard is hardened at a low temperature,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easily broken even in a weak impact. Therefore, a problem has been pointed out that it is difficult to use an electric field plate for a long time. In addition, it is pointed out that harmful substances are emitted and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the environment.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장판은 전열부(10)의 전기열선이 직접 상부시트(20)와 접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전기열선의 형태가 상부시트(20)의 표면에 드러나, 사용자에게 안전성에 의구심이 들도록 하며 전기장판의 울퉁불퉁하여 사람의 몸에 배기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heating wire of the heating plate 1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sheet 20, the electric heating wire of the conventional electric plate 10 is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upper sheet 20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a drawback to exhausting the human body because of the bumpy electric fields.

그리고, 상부 시트(20)와 하부시트(30)를 테두리에서 박음질하는 것 외에는 전기 열선의 고정이 어려우므로, 전기장판을 보관을 위해 접거나 말았을 때 상부 시트(20)와 하부시트(30)가 들떠 전기열선의 위치가 변동되거나 전기열선이 파손될 우려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xing of the electric heating wire is difficult, except that the upper sheet 20 and the lower sheet 30 are sewn at the edges, the upper sheet 20 and the lower sheet 30 when the electric sheet is folded or rolled up for storage. In some cases,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heating wire may change or the electric heating wire may be broke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환경에 전혀 해롭지 않으며, 경화의 우려가 없는 전기장판용 상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장판,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not harmful to the environment at all,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p sheet for an electric sheet and an electric sheet using the sam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온의 환경에서도 쉽게 경화되지 않으며, 장시간 사용에도 전기열선의 형태가 상부시트의 표면으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한 전기 장판용 상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장판,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p sheet for an electric sheet and an electric sheet using the sam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does not easily cure even in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and prevents the form of the electric heating wire from being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top sheet even after long time use.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열선을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 전기장판용 상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장판,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p sheet for an electric sheet, an electric sheet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erein the electric heating wire can be stably positioned between the top sheet and the bottom sheet.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부직포로 형성된 쿠션층; 상기 쿠션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코팅층; 상기 쿠션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상면에 상기 쿠션층보다 데니어가 작은 부직포로 형성된 쿠션마감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용 상부시트를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 cushion layer formed of a nonwoven fabric; A coating layer formed on the cushion layer; A cushion finishing layer laminated on the cushion layer and formed of a nonwoven fabric having a denier smaller than the cushion layer on an upper surface thereof; It proposes a top sheet for electric she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쿠션층은 부직포의 개별 단섬유의 배치 방향이 수평방향에 비해 상하방향으로 우세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ushion lay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individual shor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is superior to the vertical direction compared to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쿠션층과 상기 쿠션마감층은 상호 니들펀칭(needle punching)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The cushion layer and the cushion finishing layer may be bonded to each other by needle punching.

상기 쿠션마감층의 두께가 상기 쿠션층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cushion finishing lay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ushion layer.

상기 코팅층은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이하 'PET')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material.

상기 코팅층의 접합력에 의해 상기 코팅층의 상부에 접합되어 전기장판의 표면을 이루는 원단의 상부 표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urface layer of the fabric bonded to the top of the coating layer by the bonding force of the coating layer to form the surface of the electric plate.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발명은 하부시트; 및, 상기 하부시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전열부; 상기 전열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술한 전기장판용 상부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을 제시한다.In addi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sheet; And a heat transfer unit disposed on the lower sheet. It proposes an electric she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above-mentioned top sheet for electric sheet laminated on top of the heat transfer unit.

상기 하부시트는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sheet may be formed of a nonwoven fabric.

상기 하부시트는 부직포의 개별 단섬유의 배치 방향이 수평방향에 비해 상하방향으로 우세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ower shee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individual shor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is superior to the vertical direction compared to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하부시트의 하면은 발포수지로 전면 코팅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heet may be completely coated with a foamed resin.

상기 전열부는 전기열선 및 상기 전기열선을 사이에 두고 포개져서 접합되는 제1,제2커버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transfer part may include an electric heating wire and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stacked and bonded to each other with the electric heating wire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제1,제2커버층은 각각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may be formed of nonwoven fabrics, respectively.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발명은 상기 쿠션층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쿠션마감층을 공급하여 상기 쿠션층의 상부에 적층하여 접합하는 단계; 상기 접합 후, 상기 쿠션마감층의 상면에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용융된 액상을 필름형상으로 코팅하는 단계; 상기 용융된 액상의 건조 전에, 상기 상부 표면층을 이루는 원단을 접합하는 단계; 상기 원단 접합 후, 상기 원단이 접합된 상태로 용융된 액상이 건조될 수 있도록 건조공정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용 상부시트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o supply the cushion lay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upplying the cushion finishing layer and laminating and bo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ushion layer; After the bonding, coating a molten liquid forming the coating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finishing layer in a film shape; Bonding the fabric forming the upper surface layer before drying the molten liquid phase; After the fabric bonding, the step of performing a drying process so that the molten liquid is dried in the bonded state of the fabric; prop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p sheet for electric sheet comprising a.

상기 상호 적층된 쿠션층과 쿠션마감층은 니들펀칭(needle punching)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The mutually laminated cushion layer and cushion finishing layer may be bonded by needle punching.

상기 원단 접합시 상기 원단을 용융된 액상 위에 위치시키면서 롤러로 눌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fabric is bonded, the fabric may be characterized by pressing with a roller while placing on the molten liquid.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발명은 상기 상부시트 및, 상기 전열부를 각각 제조하며, 상기 하부시트를 부직포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각각 제조된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전열부, 그리고 상기 하부시트를 라미네이팅 방법으로 접합하여 상기 전기장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upper sheet and the heat transfer portion, respectively, and manufacturing the lower sheet using a nonwoven fabric as a main material; It propos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 sheet comprising a; the step of forming the electric sheet by bonding the top sheet and the heat transfer portion, and the lower sheet, respectively manufactured by a laminating method.

상기 상부시트의 쿠션층과 쿠션마감층은 상호 니들펀칭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ushion layer and the cushion finishing layer of the upper shee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bonded by mutual needle punching.

상기 전열부는 상기 제1커버층을 펼쳐 놓는 단계; 상기 전기열선의 배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핀을 상기 제1커버층에 관통시키는 단계; 상기 다수의 가이드핀을 따라서 상기 제1커버층 상에 상기 전기열선을 배선하는 단계; 상기 전기열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제2커버층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Spreading the first cover layer by the heat transfer unit; Passing a plurality of guide pins through the first cover layer to guide the wiring of the electric heating wire; Wiring the electric heating wire on the first cover layer along the plurality of guide pins; And bonding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with the electric heating wire therebetween.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교발포수지로 형성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쿠션층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용 상부시트를 제시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cushion layer formed of a cross-linking foam resin, and a coating layer formed on the cushion layer, the cushion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resent a top sheet for electric sheet.

상기 쿠션층과 상기 코팅층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쿠션층보다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쿠션 마감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쿠션 마감층은 상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쿠션층보다 촘촘한 조직으로 형성된 가교발포수지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ushion finishing layer is located between the cushion layer and the coating layer, and further includes a cushion finishing layer having a thickness that is relatively thinner than the cushion layer, wherein the cushion finishing layer has a structure that is less dense than the cushion layer and does not have hole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linked foamed resin or non-woven fabric formed.

상술한 전기장판용 상부시트를 포함하는 전기장판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시트는 부직포로 형성된 쿠션하부층을 상기 쿠션층의 하면에 니들펀칭에 의해 접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시트는 부직포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하고, 상기 상부시트의 쿠션하부층과 상기 하부시트를 라미네이팅 방법으로 접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시트는 부직포로 형성된 쿠션하부층을 상기 쿠션층의 하면에 니들펀칭에 의해 접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전열부는 부직포로 형성된 제1,제2커버층 사이에 전기열선이 배선되도록 제조하고, 상기 상부시트의 쿠션하부층과 상기 전열부의 제1커버층을 라미네이팅 방법으로 접합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ic plat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top sheet for electric plate may be made as follows. That is, the upper sheet includes a process of joining a cushion lower layer formed of a nonwoven fabric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ushion layer by needle punching, and the lower sheet is manufactured using a nonwoven fabric as a main material, and the cushion lower layer and the lower sheet of the upper sheet. Can be joined by a laminating method. Alternatively, the upper sheet includes a process of joining a cushion lower layer formed of a nonwoven fabric to a lower surface of the cushion layer by needle punching, wherein the heat transfer part is manufactured so that an electric heating wire is wir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formed of a nonwoven fabric. The lower cover of the upper sheet and the first cover layer of the heat transfer part may be bonded by a laminating metho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상부시트는 환경에 전혀 해롭지 않으며, 경화의 우려가 없다. 또한, 장시간 사용에도 전기열선의 형태가 상부시트의 표면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그리고, 전기열선을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First, the topsheet is not harmful to the environment at all and there is no fear of curing. In addition, even after prolonged use, the shape of the electric heating wire does not appear on the surface of the top sheet. In addition, the electric heating wire can be stably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sheet and the lower sheet.

또한, 상부시트는 쿠션층과 코팅층 사이에 촘촘하게 형성된 쿠션마감층이 우치됨으로써, 코팅층이 평활하게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어서 품질이 좋아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heet is a cushion finish layer formed between the cushion layer and the coating layer is placed so that the coating layer can be smoothly coated, and thus the upper surface can be formed smoothly, the quality can be improved.

또한, 쿠션층이 데니어, 즉 섬유굵기가 큰 부직포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홀이 형성된 가교발포수지로 형성됨에 따라서, 전열부에서 발생된 열이 쿠션층의 공극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상부시트의 상부 표면에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cushion layer is formed of a denier, that is, a nonwoven fabric having a large fiber thickness, or a crosslinked foamed resin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heat generated in the heat transfer part is more easily formed through the pores of the cushion layer. Can be delivered to the surface.

또한, 하부시트는 부직포를 주재료로 하여 형성되며 하면에 발포수지가 도포됨으로써, 하부로 열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장판이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줄 수 있고, 단열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부피가 증대되어 쿠션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heet is formed of a nonwoven fabric as a main material, and the foamed resin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thereby minimizing heat loss to the lower side, and preventing the electric sheet from slipping on the floor, and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is improved. Not only is it excellent, the volume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feeling of cushioning.

또한, 전열부는 전기열선이 제1,제2커버층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열부의 제1,제2커버층이 각각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와 접합되는 바, 전기열선의 소손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전열부가 전기열선 및 제1,제2커버층으로 구성됨으로써, 전열부을 장치에 의해 대량생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ating ele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lectric heating wire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of the heating portion are respectively bonded to the upper sheet and the lower sheet, and thus, the electric heating wire needs to be concerned about burnout. There is no. In addition, since the heat transfer unit is composed of the electric heating wire and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the heat transfer unit can be mass-produced by the apparatus.

또한,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전열부로 분리하여 각각 제조한 후, 일체로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분업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pper sheet, the lower sheet, and the heat transfer portion can be separately prepared and then joined together, the division of labor can be performed and 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도 1은 종래의 전기장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장판용 상부시트가 적용된 전기장판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쿠션층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장판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상부시트, 전열부, 하부시트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전열부의 전기열선의 배선공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7과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전기열선 배선 후 제1,제2커버층과 전기열선의 접합공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기장판용 상부시트를 제조하는 장치의 개념도.
도 10은 도 9의 에어발생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도 9의 에어발생장치 부위의 시트의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전기장판용 상부시트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쿠션층의 평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ic field plat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electric sheet to which the top sheet for electric she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cushion layer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n electric field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the top sheet, the heat transfer unit, and the bottom sheet of FIG. 4 separately;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wiring process of an electric heating wire of the heating unit of FIG.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FIG. 8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7, illustrating a bonding process of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and the electric heating wire after the electric heating wire is wired.
9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top sheet for an electric shee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air generating device of FIG.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at of the air generating device portion of FIG. 9;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upper sheet for electric pla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lan view of the cushion layer of FIG. 12. FI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장판용 상부시트가 적용된 전기장판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n electric sheet to which the top sheet for electric she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장판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열을 하는 전열부(200)와, 전열부(200)를 사이에 두고 상하 위치한 상부시트(100), 하부시트(300)를 포함한다.The electric she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sheet 200 for generating heat using electrical energy, the upper sheet 100 and the lower sheet 300 positioned up and down between the heating portion 200 between. It includes.

상부시트(100)는 부직포로 형성된 쿠션층(110)과, 쿠션층(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코팅층(130)과, 쿠션층(110)의 상부에 적층되며 상면에 코팅층(130)이 평활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쿠션층(110)보다 데니어(denier), 즉 섬유굵기가 작은 부직포로 형성된 쿠션마감층(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p sheet 100 is a cushion layer 110 formed of a nonwoven fabric, a coating layer 130 formed on the cushion layer 110 and the cushion layer 110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130 is smoo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ushion finishing layer 120 formed of a non-woven fabric having a denier, that is, the fiber thickness is smaller than the cushion layer 110 so as to be formed.

즉, 상부시트(100)는 부직포에 의해 적은 재료(즉, 가벼운 중량)로 공기가 많이 함유된 두터운 두께로 형성된 쿠션층(110)을 포함한다. That is, the topsheet 100 includes a cushion layer 110 formed of a thick thickness containing a lot of air with a small material (ie, light weight) by the nonwoven fabric.

이와 같은 상부시트(100)의 쿠션층(110)은 종래의 발포된 기층의 역할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의 기층과 달리 다수의 단섬유로 형성되기 때문에 경화의 우려가 없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 혹은 저온의 환경에서 경화에 의한 상부시트(100)의 파단의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시트(100)가 부직포를 주재료로 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유해물질 배출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쿠션층(110)의 두터운 두께에 의해 전열부(200)(즉 전기열선(210)이나 온수파이프 등)가 코팅층(130)과 직접 맞닿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에도 코팅층(130)의 표면에 전기열선(210)의 형태가 드러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ushion layer 110 of the upper sheet 100 may perform the same role as the conventional foamed base layer, and unlike the conventional base layer, since there is no plurality of short fibers, there is no fear of curing.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fear of breaking of the top sheet 100 by curing in a long-term use or low temperature environment. In addition, since the upper sheet 100 is formed of a nonwoven fabric as a main material,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the discharge of harmful substances. In addition, since the heat-transfer part 200 (ie, the electric heating wire 210 or the hot water pipe, etc.)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coating layer 130 due to the thick thickness of the cushion layer 110,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130 may be used even for long-term use. The shape of the electric heating wire 2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vealed.

아울러, 쿠션층(110)과 코팅층(130) 사이에 쿠션마감층(120)이 있기 때문에, 쿠션층(110)은 데니어가 큰 부직포(예컨대, 40데니어 정도)로 형성될 수 있고, 코팅층(130)은 평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cushion finishing layer 120 between the cushion layer 110 and the coating layer 130, the cushion layer 110 may be formed of a nonwoven fabric having a large denier (eg, about 40 denier), and the coating layer 130. ) May be formed smoothly.

즉, 코팅층(130)은 용융된 액상을 필름형상으로 쿠션마감층(120)의 상면에 위치시켜 코팅하는데, 쿠션마감층(120)이 쿠션층(110)의 비해 상당히 데니어가 작은 부직포(예컨대, 3~6데니어 정도)로 촘촘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코팅층(130) 형성시 코팅층(130)을 형성하는 용융된 액상이 쿠션마감층(120)의 상면에 울퉁불퉁하지 않게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시트(100)의 표면이 보다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coating layer 130 is a molten liquid film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finishing layer 120 in the form of a film, the cushion finishing layer 120 is a non-woven fabric having a considerably denier than the cushion layer 110 (for example, 3 to 6 denier), the molten liquid forming the coating layer 130 when the coating layer 130 is formed may be unevenly co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finish layer 120. Therefore, the surface of the top sheet 100 may be formed more smoothly.

그리고, 쿠션층(110)은 코팅층(130)에 상관없이 충분히 공기가 많이 함유될 수 있는 조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시트(100)의 쿠션감이 좋아질 수 있다. 또한 쿠션층(110)의 공극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쿠션층(110)의 공극을 통해 전열부(200)의 열이 직접 상부시트(100)의 표면으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열이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hion layer 110 may be form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ufficient amount of air may be contained regardless of the coating layer 130. Therefore, the cushioning of the top sheet 100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pores of the cushion layer 110 are relatively large, heat is quickly transferred because the heat of the heat transfer part 200 may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upper sheet 100 through the pores of the cushion layer 110. Can be.

이와 아울러, 쿠션마감층(120)이 쿠션층(110)과 동일하게 부직포로 형성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을 더 가질 수 있다. 즉, 쿠션마감층(120)의 경화 및 유해물질배출 등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쿠션마감층(120) 또한 쿠션층(110)과 함께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쿠션마감층(120)과 쿠션층(110)의 접합이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ushion finishing layer 120 is formed of a nonwoven fabric in the same manner as the cushion layer 110, the cushion finishing layer 120 may further have the following advantages. That is,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curing of the cushion finishing layer 120 and discharge of harmful substances. In addition, the cushion closing layer 120 may als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together with the cushioning layer 110. In addition, the bonding of the cushion finishing layer 120 and the cushion layer 110 can be made more easily and firmly.

이와 같은 쿠션마감층(120)은 전열부(200)의 열 전달 및 쿠션감을 위해 쿠션층(110)의 두께에 비해 상당히 얇은 두께로 막처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shion finishing layer 120 is preferably formed as a film with a considerably thinner thickn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cushion layer 110 for heat transfer and a feeling of cushioning of the heat transfer part 200.

이에 더 나아가, 쿠션층(110)은 부직포의 개별 단섬유의 배치 방향이 수평방향에 비해 상하방향으로 우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쿠션층(110)의 부직포의 단섬유(111)가 가상의 수평선(112)과 이루는 각도(α)가 45도 이상인 것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직포는 단섬유들이 서로 얽혀 형성되는 것이므로, 모든 단섬유가 이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는 없으나, 확률적으로 많은 수의 단섬유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ushion layer 110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individual shor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is superior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as shown in FIG. 3, it means that the angle? Of the short fibers 111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cushion layer 110 and the virtual horizontal line 112 is 45 degrees or more. Since the nonwoven fabric is formed of entangled single fibers, not all single fibers can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but it is preferable that a large number of short fiber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쿠션층(110)이 이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우세하게 형성됨으로서, 적은 재료(즉, 가벼운 중량)로 공기가 보다 많이 함유된 두터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As the cushion layer 110 is predominant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ushion layer 110 may be formed to a thicker thickness containing more air with less material (ie, lighter weight).

코팅층(130)은 무해한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이하 'PET')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ating layer 130 may be formed of a harmless PET (polyethylen terephthalate; PET) material.

한편 상부시트(100)는 코팅층(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기장판의 상부 표면을 이루는 상부 표면층(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sheet 10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urface layer 140 formed on the coating layer 130 to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electric plate.

상부 표면층(140)은 여러가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특히 코팅층(130)에 용이하게 접합될 수 있고 무해한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표면층(140)이 원단으로 이루어면, 유해물질 배출 등을 전혀 염려할 필요가 없으며, 원단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 표현이 가능하다.The upper surface layer 14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but in particular, may be easily bonded to the coating layer 130 and may be made of a harmless fabric. If the upper surface layer 140 is made of fabric,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the discharge of harmful substances, etc., various designs can be represented by the fabric.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부시트(100)는 코팅층(130)이 바로 전기장판의 상부 표면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쿠션마감층(120)의 상면에는 무늬가 인쇄될 수 있다. 예컨대, 쿠션마감층(120)의 상면에 코팅층(130)을 형성하기 전에, 쿠션마감층(120)의 상면에 무늬가 인쇄된 전사지를 위치시킨 후 열을 가하면, 쿠션마감층(120)의 상면에 무늬가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코팅층(130)은 코팅층(130)을 이루는 용융된 액상의 코팅 후 건조 전에 요철이 형성된 롤러에 의해 가압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30)의 요철은 사용시 질감을 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top sheet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ating layer 130 is just an upper surface of the electric field plate. In this case, a pattern may be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finishing layer 120. For example, before the coating layer 1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finishing layer 120, the transfer sheet having a pattern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finishing layer 120 is placed and heat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finishing layer 120 is applied. Patterns can be printed on In addition, the coating layer 130 after the coating of the molten liquid constituting the coating layer 130 after the process of being pressed by a roller having a concave-convex formation before drying, the concave-convex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Unevenness of the coating layer 130 may give a texture when used. The user may be prevented from slipping.

이와 같은 상부시트(100)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This top sheet 100 may be manufactured as follows.

즉, 쿠션층(110)을 공급하는 단계; 및, 쿠션마감층(120)을 공급하여 쿠션층(110)의 상부에 적층하여 접합하는 단계; 상기의 접합 후, 쿠션마감층(120)의 상면에 용융된 액상을 필름형상으로 코팅하는 단계; 상기의 용융된 액상의 건조 전에, 상부 표면층(140)을 이루는 원단을 접합하는 단계; 원단 접합 후, 원단이 접합된 상태로 용융된 액상이 건조될 수 있도록 건조공정을 실시하여, 원단이 접합된 상태로 용융된 액상에 의해 코팅층(13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supplying the cushion layer 110; And, by supplying a cushion finishing layer 120 laminated on top of the cushion layer 110 and bonded; After the bonding, coating the molten liqu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finishing layer 120 in the form of a film; Bonding the fabric forming the upper surface layer 140 before drying the molten liquid; After fabric bonding, a dry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dry the molten liquid in the bonded state of the fabric, thereby forming the coating layer 130 by the molten liquid in the bonded state of the fabric.

여기서, 코팅층(130)에 의해 원단에 의해 형성된 상부 표면층(140)이 울퉁불퉁하지 않게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는데, 코팅층(130)을 이루는 용융된 액상이 건조되기 전에 상부 표면층(140)을 이루는 원단이 접합됨으로써, 코팅층(130)이 상부 표면층(140)의 접합역할도 같이 할 수 있으며, 별도로 원단을 접합하기 위한 공정을 준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신속하게 제조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표면층(140)을 이루는 원단은 좀 더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용융된 액상 위에 위치되면서 롤러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Here, the upper surface layer 140 formed by the fabric by the coating layer 130 may be smoothly formed unevenly, the fabric forming the upper surface layer 140 is bonded before the molten liquid constituting the coating layer 130 is dried. By doing so, the coating layer 130 may also serve as a bonding role of the upper surface layer 140,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may proceed quickly because it does not have to prepare a process for bonding the fabric separately. At this time, the fabric forming the upper surface layer 140 may be pressed by the roller while being positioned on the molten liquid to be more firmly bonded.

이와 아울러, 상호 적층된 쿠션층과 쿠션마감층은 여러가지 접합방법 중 특히 니들펀칭(needle punching)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hion layer and the cushion finishing layer laminated on each other may be bonded by needle punching, among other various bonding methods.

따라서, 쿠션마감층(120)과 쿠션층(110)이 물리적으로 접합되기 때문에 그 접합이 견고하며, 부직포의 열에 의한 손상이나 화학약품에 의한 유해물질 배출 등이 없다. 또한, 니들펀칭부분의 공극을 통해 전열부(200)의 열이 보다 빠르게 상부시트(100)의 표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cushion finishing layer 120 and the cushion layer 110 are physically bonded, the bonding is firm, and there is no damage caused by heat of the nonwoven fabric or discharge of harmful substances by chemicals. In addition, the heat of the heat transfer part 200 may be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upper sheet 100 more quickly through the air gap of the needle punching part.

참고로 니들펀칭은 니들이 적층된 쿠션마감층(120)과 쿠션층(110)을 펀칭하면, 쿠션마감층(120)과 쿠션층(110)의 섬유들이 서로 물리적으로 얽히면서 쿠션마감층(120)과 쿠션층(110)이 하나로 접합될 수 있는 접합방법이다. For reference, needle punching is performed by punching the cushioning layer 120 and the cushioning layer 110 in which the needles are stacked, and the fibers of the cushioning closing layer 120 and the cushioning layer 110 are physically entangled with each other. Cushion layer 110 is a bonding method that can be bonded to one.

한편, 하부시트(300) 또한 부직포(310)를 주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에는 발포수지(320)로 전면 코팅될 수 있다. 하부시트(300)의 부직포(310)도 개별 단섬유의 배치 방향이 수평방향에 비해 상하방향으로 우세하게 형성된다. 이는 쿠션감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lower sheet 300 may also be formed of the nonwoven fabric 310 as a main material, and may be completely coated with the foamed resin 320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The nonwoven fabric 310 of the lower sheet 300 is also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individual short fibers is superior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is serves to increase the feeling of cushioning.

하부시트(300)의 하면은 발포수지(320)를 도포한 후, 예비건조를 한 후, 요철이 형성된 성형롤을 사용하여,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 후, 최종건조하여 코팅을 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를 발포수지(320)로 형성하여, 하부로 열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장판이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즉, 발포수지(320)는 내부에 기포를 함유하고 있어, 단열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부피가 증대되어 쿠션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heet 300 is coated with a foamed resin 320, and after preliminary drying, by using a forming roll formed with unevenness, to form the unevenness on the surface, it is finally dried and coated.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oamed resin 320, it is possible not only to minimize the loss of heat to the lower portion, but also to prevent the electric plate from slipping on the floor. That is, since the foamed resin 320 contains bubbles therein, it is not only excellent in adiabatic effect, but also increases in volume to increase a feeling of cushioning.

상부시트(100)와 하부시트(300)의 접합은 라미네이팅(laminating)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즉, 하부시트(300) 혹은 상부시트(100)의 마주보는 면에 약간의 열을 가해 녹인 후, 전기열선(2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포개서 접합하는 방식이다. 그 다음, 모서리를 마감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상부시트(100)와 하부시트(300)를 합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전기열선(210)을 사이에 두고 부직포가 마주하고 있으므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이다.Bonding of the upper sheet 100 and the lower sheet 300 may be performed by a laminating method. That is, after a slight heat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heet 300 or the upper sheet 100 facing each other, the electric heating wire 210 is sandwiched and bonded to each other. Next, close the corners.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top sheet 100 and the bottom sheet 300 can be combined in a very simple manner. This is an advantage that can be obtained because the non-woven fabric with the electric heating wire 210 therebetween.

따라서, 전기장판을 보관을 위해서 접거나, 마는 경우에도 전기열선(210)이 일정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섬유가 수직으로 형성된 부직포가 전기열선(210)을 감싸므로, 전기열선(210)이 이동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도 있다.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ic heating wire 210 may be in a certain position even when folding or rolling the electric field plate for storage. Since the non-woven fabric in which the short fibers are formed vertically surrounds the electric heating wire 210, the electric heating wire 210 may be more effectively blocked from moving.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장판에 관한 것이다.4 to 8 relate to an electric field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장판의 전열부(200)는, 기본적으로 전기열선(210)을 포함하며, 나아가 전기열선(210)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는 제1,제2커버층(220,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제2커버층(220,230)은 여러가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부직포로 형성되면 전면적으로 전기열선(210)을 사이에 두고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으며, 전기열선(210)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잘 전달되며 전기장판의 전체적인 쿠션감도 높일 수 있다. The heat transfer part 200 of the electric pl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n electric heating wire 210, and further,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stacked with the electric heating wire 210 therebetween ( 220, 23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220 and 23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When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220 and 230 are formed of a nonwoven fabric,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220 and 230 may be firmly joined with the electric heating wire 21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heat generated from the electric heating wire 210 may be used. This is well communicated and can increase the overall cushioning of the electric blanket.

특히, 전기장판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시트(100) 및 하부시트(300)가 구성됨은 물론, 이와 같이 전열부(200)가 전기열선(210) 및 제1,제2커버층(220,230)으로 구성됨에 따라서, 상부시트(100) 및 전열부(200), 하부시트(300)를 각각 분리하여 제조한 후, 각각 분리하여 제조된 상부시트(100) 및 전열부(200), 하부시트(300)를 함께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장판의 제조 분업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electric sheet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heet 100 and the lower sheet 300, as well as the heat transfer unit 200 as the electric heating wire 210 and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220,230)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fter the upper sheet 100 and the heat transfer unit 200, the lower sheet 300 is produced separately, respectively, the upper sheet 100 and the heat transfer unit 200, the lower sheet 300 prepared separately ) Can be combined together. As a result, the division of labor of the electric field plate can be manufactured, thereby increasing productivity.

또한, 전기열선(210)이 제1,제2커버층(220,230) 사이에 위치되면, 제1,제2커버층(220,230)을 상부시트(100) 및 하부시트(300)와 라미네이팅할 때, 전기열선(210)의 소손 등을 걱정할 필요가 없으며 전체면적이 상호 접합될 수 있는 바, 작업성 및 접합성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ic heating wire 21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220 and 230, when laminating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220 and 230 with the upper sheet 100 and the lower sheet 300,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burnout of the electric heating wire 210 and the whole area can be bonded to each other, which is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workability and bonding properties.

또한, 전열부(200)가 따로 제작 가능하면, 특히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500)에 의해 전열부(200)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량 생산이 가능해질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heat transfer unit 200 can be manufactured separately, the heat transfer unit 200 may be automatically manufactured by the apparatus 500 as shown in FIGS. 6 to 8, and thus mass production may be possible. Can be.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가이드핀(510)이 돌출된 장치(500) 위에 제1커버층(220)을 펼쳐 놓은 후, 장치(500)를 제1커버층(220)을 향해 상향 이동시켜서 다수의 가이드핀(510)이 제1커버층(220)을 관통하도록 한다. 이때, 다수의 가이드핀(510)은 제1커버층(220) 상에 전기열선(210)을 배선하기 위해 전기열선(210)의 배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S. 6 and 7, after spreading the first cover layer 220 on the device 500 on which the plurality of guide pins 510 protrudes, the device 500 is disposed on the first cover layer 220. The plurality of guide pins 510 penetrate the first cover layer 220 by moving upwar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guide pins 510 are for guiding the wiring of the electric heating wire 210 to wire the electric heating wire 210 on the first cover layer 220.

이와 같이 제1커버층(220)이 준비되면, 다수의 가이드핀(510)을 따라서 전기열선(210)을 제1커버층(220) 상에 배선한다.When the first cover layer 220 i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heating wire 210 is wired on the first cover layer 220 along the plurality of guide pins 510.

전기열선(210) 배선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500)를 하향 이동시켜서 다수의 가이드핀(510)이 제1커버층(220)으로부터 빠지도록 하며, 제2커버층(230)을 제1커버층(220) 상에 포개서 접합한다.After wiring the electric heating wire 210, as shown in FIG. 8, the apparatus 500 is moved downward so that the plurality of guide pins 510 are removed from the first cover layer 220, and the second cover layer 230 is disposed. Is laminated on the first cover layer 220 and bonded.

이때, 제1커버층(220)과 제2커버층(230)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상호 접합될 수 있으며, 부직포로 형성된 경우 바람직하게는 라미네이팅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ver layer 220 and the second cover layer 230 may be bonded to each other in a variety of ways, preferably formed of a nonwoven fabric may be bonded by a laminating method.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장판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field plat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manufactured as follows.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시트(100), 그리고 전열부(200), 하부시트(300)를 각각 분업하여 제조한다.First,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heet 100, the heat transfer part 200, and the lower sheet 300 are manufactured by dividing each.

그리고, 각각 분업제조된 상부시트(100), 그리고 전열부(200), 하부시트(300)를 여러가지 접합 방법 중, 라미네이팅 방법으로 상호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시트(100), 그리고 전열부(200), 하부시트(300)의 상호 접합면이 부직포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라미네이팅에 의해 매우 간단하고 견고하게 상호 접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bond the upper sheet 100, the heat transfer part 200, and the lower sheet 300, which are manufactured separately, to each other by a laminating method among various bonding methods. That is,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sheet 100, the heat transfer portion 200, the lower surface of the bonding between the lower sheet 300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can be very simply and firmly bonded to each other by laminating.

나아가, 상부시트(100)의 쿠션층(110)과 쿠션마감층(120)가 상술한 바와 같은 니들펀칭에 의해 결합되면, 이로 인해 생긴 보푸라기(N)로 인해 상부시트(100)와 전열부(200)의 라미네이팅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cushion layer 110 and the cushion finishing layer 120 of the upper sheet 100 are combined by needle punching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heet 100 and the heat transfer part (due to the resulting lint N) are formed. The laminating bond of 200 can be made more robust.

도 9 내지 도 11은 전술한 전기 장판용 상부시트(100)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9 to 11 are related to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above-mentioned top sheet 100 for electric sheet.

상부시트(100)의 쿠션층(110) 및 쿠션마감층(120)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는,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장치(1100)와, 원료공급장치(1100)에서 원료를 공급받아 원료를 개섬하여 시트를 형성하는 카딩기(1200)와, 카딩기(1200)의 원료 토출부에 설치되어 에어를 석션하는 에어 발생장치(1300)와, 에어 발생장치(1300) 이후에 배치되어 카딩기(1200)에 의해 형성된 시트를 여러 층 겹쳐 적층시트를 형성하는 섬유층 배치기(1400)와, 섬유층 배치기(1400) 이후에 배치되어 섬유층 배치기(1400)에 의해 형성된 적층시트를 압착하여 부직포를 형성하는 니들 펀칭기(15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cushion layer 110 and the cushion closing layer 120 of the upper sheet 100, the raw material supply device 1100 for supplying the raw material and the raw material supplied from the raw material supply device 1100 to receive the raw material A carding machine 1200 for opening a sheet to form a sheet, an air generator 1300 installed at a raw material discharge part of the carding machine 1200 to suction air, and a carding machine disposed after the air generator 1300. A needle punching machine for forming a nonwoven fabric by pressing the fibrous layer arranger 1400 to form a laminated sheet by stacking the sheets formed by the 1200, and the laminated sheet formed by the fibrous layer arranger 1400 to form a nonwoven fabric. (1500).

원료공급장치(1100)는, 원섬유를 잘개 부수며, 공기에 의해 부풀리는 장치이다. The raw material supply device 1100 is a device in which raw fibers are broken into pieces and inflated by air.

카딩기(1200)는 부분적으로 뭉쳐있는 섬유까지 완전하게 풀어서 개섬하는 장치이다. 카딩기(1200)는 표면이 침포(針布)로 형성된 롤러(1210)를 사용하여, 섬유를 한 올, 한 올 분리하면서 평행하게 편다.The carding machine 1200 is a device for completely opening and opening up to the partially bundled fibers. The carding machine 1200 uses a roller 1210 whose surface is formed by needle cloth, and straightens the fibers while separating the fibers one by one.

카딩기(1200)에 의해 단섬유들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형성된 시트는 카딩기(1200)의 후방에 배치된 컨베이어 벨트(1220)에 위치한다. 컨베이어 벨트(1220)는 시트를 섬유층 배치기(1400)로 이송한다.The sheets formed by arranging short fibers in parallel by the carding machine 1200 are positioned on the conveyor belt 1220 disposed behind the carding machine 1200. The conveyor belt 1220 transfers the sheet to the fibrous layer batcher 1400.

에어 발생장치(1300)는 컨베이어 벨트(1220) 상측 혹은, 카딩기(1200)와 컨베이어 벨트(1220) 사이에 설치된다. 에어 발생장치(1300)는 상기 시트(1230)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ir generator 1300 is installed above the conveyor belt 1220 or between the carding machine 1200 and the conveyor belt 1220. The air generator 1300 preferably generates a flow of air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heet 1230.

또는, 특히 도 10과 같이, 카딩기(1200)와 컨베이어 벨트(1220) 사이에 에어 발생장치(1310, 1320)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에어 발생장치는, 상기 시트의 상부 및 하부 양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Or,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0, when the air generating apparatuses 1310 and 1320 are positioned between the carding machine 1200 and the conveyor belt 1220, the air generat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ir in both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sheet. It can be arranged to generate a flow of.

특히 도 11과 같이, 카딩기(1200)에서 막 배출되는 시트(1231)는 단섬유의 방향이 좌우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 발생장치(1300)를 통과한 다음의 시트(1232)는 단섬유의 방향이 상하로 우세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에어 발생장치(1300)를 사용하여, 시트의 단섬유의 방향이 상하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11, the sheet 1231 is just discharged from the carding machine 1200, the direction of the short fibers are arranged left and right. However, the sheet 1232 after passing through the air generating device 1300 is arrang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short fibers is predominant up and down. In this way, by using the air generating device 1300, the direction of the short fibers of the sheet can be arranged up and down.

섬유층 배치기(1400)는 시트를 다수의 층으로 배치하도록 한다. 즉, 컨베이어 벨트 상측에서, 왕복해서 시트를 다수의 층으로 배치하도록 한다. The fibrous layer placer 1400 allows the sheet to be placed in multiple layers. That is, above the conveyor belt, the sheets are reciprocated to arrange the sheets in multiple layers.

니들 펀칭기(1500)는 측면에 다수의 홈이 형성된 니들이 촘촘하게 박힌 니들보드를 상하 왕복시켜 적층시트를 니들 펀칭한다.이로 인해, 단섬유들이 서로 물리적으로 얽히어, 하나의 부직포로 제조된다. 섬유층 배치기(1400) 및 니들 펀칭기(1500)는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needle puncher 1500 needle-punches the laminated sheet by vertically reciprocating a needle boar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on the side thereof. The short fibers are physically entangled with each other, and are manufactured as one nonwoven fabric. Since the fiber layer arrangement 1400 and the needle punching machine 1500 are well know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장판용 상판시트에 관한 것이다.12 and 13 relate to a top sheet for an electric pla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전기장판용 상부시트(100)는, 쿠션층(110)이 가교발포수지(110a)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나아가 가교발포수지(110a)로 형성된 쿠션층(11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sheet 100 for an electric shee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hion layer 110 is formed of a crosslinked foaming resin 110a, and furthermore, a cushion layer formed of a crosslinked foaming resin 110a ( A plurality of holes h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110.

즉 쿠션층(110)을 이루는 가교발포수지(110a)가 상술한 본 발명의 부직포로 형성된 쿠션층과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다. That is, the crosslinked foamed resin 110a constituting the cushion layer 110 may play the same role as the cushion layer formed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아울러, 쿠션층(110)을 이루는 가교발포수지(110a)에 다수의 홀(h)이 형성됨에 따라서, 전열부로부터 발생된 열이 쿠션층(110)의 홀(h)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상부시트(100)의 상부 표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 plurality of holes (h) are formed in the crosslinked foaming resin (110a) forming the cushion layer 110,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transfer portion more easily through the holes (h) of the cushion layer (110). It may be delivered to the top surface of the sheet 100.

여기서, 쿠션층(110)의 홀(h)은 스펀지 등과 같은 다공성 소재의 공극과는 다른 것으로서, 가교발포수지(110a)가 다수의 홀(h)을 갖는 형상을 취하도록 제조 형성되거나, 가교발포수지(110a)의 제조 형성 후 펀칭(punchign) 등의 방법에 의해 다수의 홀(h)이 형성되는 것이다.Here, the hole (h) of the cushion layer 110 is different from the pores of the porous material such as sponge, and the like is formed or formed so that the crosslinked foaming resin (110a) has a shap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h), or crosslinked foaming. After the formation of the resin 110a, a plurality of holes h are formed by a punching method or the like.

쿠션층(110)을 이루는 가교발포수지(110a)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수지가 있다.The crosslinked foaming resin 110a constituting the cushion layer 110 may be various,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a polyethylene resin.

본 실시 예의 상부시트(100)는 쿠션층(110)이 가교발포수지(110a)로 형성됨으로써, 부직포로 형성된 쿠션층과 달리 쿠션 마감층(120)없이 바로 코팅층(13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upper shee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ushion layer 110 is formed of the crosslinked foaming resin 110a, the coating layer 130 may be formed directly without the cushion finishing layer 120 unlike the cushion layer formed of the nonwoven fabric. .

다만, 코팅층(130)의 보다 우수한 평활도를 위해, 쿠션층(110)과 코팅층(130) 사이에는 가교발포수지 또는 부직포에 의해 쿠션층(110)보다 촘촘한 조직으로 형성된 쿠션 마감층(120)이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쿠션 마감층(120)은 코팅층(130)의 평활도를 위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지 않는다.However, for better smoothness of the coating layer 130, a cushion finish layer 120 formed between the cushion layer 110 and the coating layer 130 in a denser structure than the cushion layer 110 by a crosslinked foam resin or nonwoven fabric is positioned. Can be. Of course, the cushion finishing layer 120 is not formed through the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the smoothness of the coating layer 130.

나아가, 본 실시 예의 상부시트(100)는 쿠션층(110)이 가교발포수지(110a)로 형성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부직포를 주재료로 형성된 하부시트 또는 부직포로 형성된 제1,제2커버층을 포함하는 전열부와의 접합성을 높이기 위해, 쿠션층(110)의 하면에 접합되며 부직포로 형성된 쿠션하부층(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upper shee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cushion layer 110 is formed of the crosslinked foaming resin 110a,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formed of the lower sheet or the nonwoven fabric formed of the nonwoven fabric as the main material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ncrease adhesion to the heat transfer part including a, it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 lower layer 115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ushion layer 110 and formed of a nonwoven fabric.

쿠션층(110)과 쿠션하부층(115)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상호 접합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쿠션층(110)과 쿠션하부층(115) 간 접합성 및 상부시트(100)와 하부시트, 전열부 간 라미네이팅에 의한 접합 등을 위해, 니들펀칭에 의해 상호 접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The cushion layer 110 and the cushion lower layer 115 may be bonded to each other in various ways, and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on between the cushion layer 110 and the cushion lower layer 115 and the upper sheet 100 and the lower sheet and the heat transfer part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join each other by needle punching, for example, by joining by interlaminating.

도 12의 미설명부호 '14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표면층이다.Reference numeral '140' of FIG. 12 is an upper surface layer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ince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s well know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will be sai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which together with the base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상부시트 110; 쿠션층
120; 쿠션마감층 130; 코팅층
140; 상부 표면층 200; 전열부
210; 전기열선 220; 제1커버층
230; 제2커버층 300; 하부시트
1230: 시트 1200: 카딩기
1300: 에어 발생장치 1400: 섬유층 배치기
1500: 니들 펀칭기
100; Topsheet 110; Cushion layer
120; Cushion finish layer 130; Coating layer
140; Upper surface layer 200; Electric heating part
210; Electric heating wire 220; First cover layer
230; Second cover layer 300; Bottom sheet
1230 sheet 1200 carding machine
1300: air generator 1400: fiber layer arrangement
1500: needle punching machine

Claims (20)

부직포로 형성된 쿠션층;
상기 쿠션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코팅층;
상기 쿠션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상면에 상기 쿠션층보다 데니어가 작은 부직포로 형성된 쿠션마감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용 상부시트.
A cushion layer formed of a nonwoven fabric;
A coating layer formed on the cushion layer;
A cushion finishing layer laminated on the cushion layer and formed of a nonwoven fabric having a denier smaller than the cushion layer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op sheet for electric sheet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은 부직포의 개별 단섬유의 배치 방향이 수평방향에 비해 상하방향으로 우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용 상부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shion layer is an upper sheet for an electric sheet,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individual shor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is superior to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마감층의 두께가 상기 쿠션층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용 상부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heet for an electric sheet,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cushion layer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ushion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이하 'PET')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용 상부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ating layer is a top sheet for electric she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PET (polyethylen terephthalate; "PET")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상부에 접합되어 전기장판의 표면을 이루는 원단의 상부 표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용 상부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heet for the electric sheet further comprises a top surface layer of a fabric bonded to the top of the coating layer to form the surface of the electric plate.
가교발포수지로 형성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쿠션층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용 상부시트.And a coating layer formed on the cushion layer, wherein the cushion layer has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ed in a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과 상기 코팅층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쿠션층보다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쿠션 마감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쿠션 마감층은 상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쿠션층보다 촘촘한 조직으로 형성된 가교발포수지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용 상부시트.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cushion finishing layer located between the cushion layer and the coating layer, the thickness is relatively thinner than the cushion layer,
The cushion finishing layer is an upper sheet for the electric shee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is not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f a cross-linked foam resin or non-woven fabric with a tighter structure than the cushion lay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의 상부시트;
상기 상부시트의 하부에 적층되는 하부시트;
상기 하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 사이에 위치되는 전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
The topsheet of claim 1;
A lower sheet stacked below the upper sheet;
A heat transfer part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heet and the upper sheet;
Electric field plate comprising a.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는 부직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lower sheet is an electric she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nonwoven fabric.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의 하면은 발포수지로 전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heet is an electric blan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ire surface coated with a foamed resi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는 전기열선 및 상기 전기열선을 사이에 두고 포개져서 접합되는 제1,제2커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electric heating unit comprises an electric heating wire and the electric heating wir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erimposed and bonde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커버층은 각각 부직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are each electric fiel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nonwoven fabric.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의 전기장판용 상부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쿠션층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쿠션마감층을 공급하여 상기 쿠션층의 상부에 적층하여 접합하는 단계;
상기 접합 후, 상기 쿠션마감층의 상면에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용융된 액상을 필름형상으로 코팅하는 단계;
상기 용융된 액상의 건조 전에, 상기 상부 표면층을 이루는 원단을 접합하는 단계;
상기 원단 접합 후, 상기 원단이 접합된 상태로 용융된 액상이 건조될 수 있도록 건조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용 상부시트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op sheet for electric plate of claim 5 or 7,
Supplying the cushion layer;
Supplying the cushion finishing layer and laminating and bo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ushion layer;
After the bonding, coating a molten liquid forming the coating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finishing layer in a film shape;
Bonding the fabric forming the upper surface layer before drying the molten liquid phase;
After the fabric bonding, performing a drying process such that the molten liquid can be dried in the bonded state of the fabric;
Method of manufacturing a top sheet for electric sheet comprising a.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호 적층된 쿠션층과 쿠션마감층은 니들펀칭(needle punching)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용 상부시트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mutually laminated cushion layer and the cushion finishing layer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upper sheet for electric sheet, characterized in that bonded by needle punching (needle punching).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원단 접합시 상기 원단을 용융된 액상 위에 위치시키면서 롤러로 눌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용 상부시트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fabric sheet manufacturing method of the upper sheet for electric sheet, characterized in that pressing the fabric while positioning the fabric on the molten liquid phase.
청구항 8의 전기장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상부시트 및, 상기 전열부를 각각 제조하며, 상기 하부시트를 부직포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각각 제조된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전열부, 그리고 상기 하부시트를 라미네이팅 방법으로 접합하여 상기 전기장판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lectric field plate of claim 8,
Manufacturing the upper sheet and the heat transfer unit, and manufacturing the lower sheet using a nonwoven fabric as a main material;
Bonding each of the manufactured top sheets, the heat transfer parts, and the bottom sheets by a laminating method to form the electric plate;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 field plate comprising a.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의 쿠션층과 쿠션마감층은 상호 니들펀칭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The cushioning layer and the cushion finishing layer of the top sheet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ic fiel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bonded by mutual needle punching.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는 전기열선 및 상기 전기열선을 사이에 두고 포개져서 접합되는 제1,제2커버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열부의 제조는 상기 제1커버층을 펼쳐 놓는 단계 및, 상기 전기열선의 배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핀을 상기 제1커버층에 관통시키는 단계, 상기 다수의 가이드핀을 따라서 상기 제1커버층 상에 상기 전기열선을 배선하는 단계, 상기 전기열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제2커버층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The heat transfer part includes an electric heating wire and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stacked and bonded to each other with the electric heating wire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manufacture of the heat transfer part, spreading the first cover layer, and passing a plurality of guide pins for guiding the wiring of the electric heating wire to the first cover layer, the first along the plurality of guide pins Wiring the electric heating wire on a cover layer, and bonding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with the electric heating wire interposed therebetween.
청구항 6의 전기장판용 상부시트 및, 상기 상부시트의 하부에 적층되는 하부시트, 그리고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 사이에 위치되는 전열부를 포함하는 전기장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상부시트는 부직포로 형성된 쿠션하부층을 상기 쿠션층의 하면에 니들펀칭에 의해 접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시트는 부직포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하고,
상기 상부시트의 쿠션하부층과 상기 하부시트를 그 사이에 전열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라미네이팅 방법으로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 sheet comprising a top sheet for an electric sheet of claim 6, a bottom sheet stacked below the top sheet, and a heat transfer part positioned between the top sheet and the bottom sheet.
The upper sheet includes a process of bonding a lower cushion layer formed of a nonwoven fabric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ushion layer by needle punching, the lower sheet is manufactured using a nonwoven fabric as a main material,
The cushioning layer of the upper sheet and the lower sheet of the electric sheet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joining by a laminating method in a heat transfer portion disposed therebetween.
청구항 6의 전기장판용 상부시트 및, 상기 상부시트의 하부에 적층되는 하부시트, 그리고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 사이에 위치되는 전열부를 포함하는 전기장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상부시트는 부직포로 형성된 쿠션하부층을 상기 쿠션층의 하면에 니들펀칭에 의해 접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전열부는 부직포로 형성된 제1,제2커버층 사이에 전기열선이 배선되도록 제조하고,
상기 상부시트의 쿠션하부층과 상기 전열부의 제1커버층을 라미네이팅 방법으로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 sheet comprising a top sheet for an electric sheet of claim 6, a bottom sheet stacked below the top sheet, and a heat transfer part positioned between the top sheet and the bottom sheet.
The upper sheet includes a process of bonding a lower cushion layer formed of a nonwoven fabric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ushion layer by needle punching, wherein the heat transfer part is manufactured so that an electric heating wire is wir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ver layers formed of the nonwoven fabric.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 fiel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for bonding the lower layer of the cushion of the upper sheet and the first cover layer of the heat transfer unit by a laminating method.
KR1020100001258A 2010-01-07 2010-01-07 Upper sheet and electric mattress us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0954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258A KR101095495B1 (en) 2010-01-07 2010-01-07 Upper sheet and electric mattress us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258A KR101095495B1 (en) 2010-01-07 2010-01-07 Upper sheet and electric mattress us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842A KR20110080842A (en) 2011-07-13
KR101095495B1 true KR101095495B1 (en) 2011-12-19

Family

ID=4491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258A KR101095495B1 (en) 2010-01-07 2010-01-07 Upper sheet and electric mattress us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49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422B1 (en) * 2022-10-24 2023-07-13 최흥모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scroll type heater
KR102577307B1 (en) * 2022-10-24 2023-09-12 최흥모 Manufacturing method for a scroll type hea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587B1 (en) * 2013-04-02 2015-01-28 백훈 Assembly type electric heat seat
KR102634551B1 (en) * 2022-08-23 2024-02-07 강규봉 Mat containing graphe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742Y1 (en) 2003-01-15 2003-04-14 김성기 mat
KR100758064B1 (en) 2005-09-15 2007-09-11 진 정 Menufacturing method of met containing hot-wi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742Y1 (en) 2003-01-15 2003-04-14 김성기 mat
KR100758064B1 (en) 2005-09-15 2007-09-11 진 정 Menufacturing method of met containing hot-wi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422B1 (en) * 2022-10-24 2023-07-13 최흥모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scroll type heater
KR102577307B1 (en) * 2022-10-24 2023-09-12 최흥모 Manufacturing method for a scroll type he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842A (en)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495B1 (en) Upper sheet and electric mattress us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9990071568A (en) Laminated products for shoe manufacturing
TW200306378A (en) Flooring system and method
BRPI0903821A2 (en) textured composite
US20140141198A1 (en) Cushioned mat with apertured foam
WO2016165583A1 (en) Bio-inspired cellular cott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U2013131823A (en) SUPERELASTIC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FABRIC
CN110234501A (en) Acoustics carpet for vehicle
RU2691293C1 (en) Fireproof lining for upholstered furniture
JP2015004144A (en) Printed laminated nonwoven fabric
KR100944396B1 (en) Cushion carpe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TWI710470B (en) Insulative constructs with selective venting
TW415983B (en) Modified secondary backing fabric,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nd carpet containing the same
US20020197442A1 (en) Insulating fabrics
KR20100076582A (en) Heating mat, aapparatus for manufacturing cushion layer in the same,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insulator in the same
US20100310813A1 (en) Loop-backed carpet til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1009620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oor mat of sound-proof for apartment floor
KR10127559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on-woven hard board for building, floor device for building and floor construction structure of building
JP2017503543A (en) Textile products and their use, methods of manufacturing such products, and methods of recycling such products
BR112019014315A2 (en) MULTIPLE NOISE ABSORBENT LAYER SYSTEM FOR A VEHICLE
KR20110080531A (en) Upper sheet and electric mattress us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00076163A (en) Upper sheet used in electric mattress and apparatus for fabrication of the same
JP2017177532A (en) Inner cotton
JP2010159933A (en) Electric carpet
JP6167441B1 (en) Tatami mat t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atami mat 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