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064B1 -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064B1
KR101094064B1 KR1020090039752A KR20090039752A KR101094064B1 KR 101094064 B1 KR101094064 B1 KR 101094064B1 KR 1020090039752 A KR1020090039752 A KR 1020090039752A KR 20090039752 A KR20090039752 A KR 20090039752A KR 101094064 B1 KR101094064 B1 KR 101094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air
building
pipe
exhaus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889A (ko
Inventor
김기혁
Original Assignee
김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혁 filed Critical 김기혁
Priority to KR1020090039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06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4Junctions of roof sheathings to chimneys or other parts extending above the roof
    • E04D13/143Junctions of roof sheathings to chimneys or other parts extending above the roof with ventilating means in junctions of roof sheathings to parts extending above the 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옥상 지붕면에 설치되는 투명 공기 배출부 내부가 그 하측에 착설된 동판 및 단열재에 의해 손쉽게 가열되어, 성당이나 교회의 건물, 체육관등과 같이 내부에 공간이 비교적 넓은 건물의 더운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부의 가열된 공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손쉽고,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따라 내부에 공간이 비교적 넓은 건물의 내부가 항상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전원 및 이와 연설되는 구동장치가 필요 없이 자연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고, 공기 배출부의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한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실내공기 배출관(120)과 연통 연설되는 공기 배출부(150)의 저부에는 햇빛에 의해 공기 배출부(150)의 내측인 공기 배출통로(14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동판(160)이 1∼5mm의 두께로 착설되고, 상기 동판(160)의 하측에는 단열재(170)가 순차로 착설되며, 상기 실내공기 배출관(120)과 공기 배출통로(140)를 통하여 연통 연설되는 공기 배출부(150)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는 공기 배출통로(140)의 내부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180)가 마련되고, 건축물 실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150)의 전방에는 상기 공기 배출통로(140)와 연통되는 배기관(200)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관(200) 상측에는 십자형 공기 배출관(190)이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200)과 연통 연설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지붕면, 실내공기 배출관, 공기 배출통로, 공기 배출부, 동판

Description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An Apparatus for natural exhaust of air in the room}
본 발명은 성당이나 교회의 건물, 체육관등과 같이 내부에 공간이 비교적 넓은 건물 내부의 더운 공기를 옥상부위 지붕면에 설치되는 실내공기 배출관 및 공기 배출부를 통하여 손쉽고,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건물 내부가 항상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한 건축물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내부에 공간이 비교적 넓은 건물의 내부와 옥상부위 지붕면이 연통 연설되어 실내 공기가 배출되는 실내공기 배출관은, 그 전방 단부에 지지대를 개재하여 내부에 공기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투명 재질의 공기 배출부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상기 실내공기 배출관과 연통 연설되며, 상기 공기 배출부의 저부에는 햇빛에 의해 공기 배출부의 내측인 공기 배출통로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동판이 및 단열재가 순차로 착설되고, 상기 건축물 실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의 전방에는 상기 공기 배출통로와 연통되는 배기관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관 상측에는 십자형 공기 배출관이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과 연통 연설됨으로 인하여, 건물 옥상 지붕면에 설치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투명유리로 이루어진 공기 배출부 내부가 그 하측에 착설된 동판 및 단열재에 의해 손쉽게 가열되어, 성당이나 교회의 건물, 체육관등과 같이 내부에 공간이 비교적 넓은 건물의 더운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부의 가열된 공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손쉽고,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따라 내부에 공간이 비교적 넓은 건물의 내부가 항상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전원 및 이와 연설되는 구동장치가 필요 없이 자연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고, 공기 배출부의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한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건물 실내를 환기시키기 위한 방식에 있어서는, 다수의 창문을 통해 내부의 더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상기 창문을 통해 실내로 유입하도록 하는것이 대부분인 것이다,
한편, 성당이나 교회의 건물, 체육관등과 같이 내부에 공간이 비교적 넓은 건물의 경우에는 창문이 거의 없거나 또는 채광을 위하여 설치되는 창문의 높이가 너무 높게 되어 제대로 개폐시키기가 곤란한 관계로, 건물 내부의 천정등에 보조 배관을 관통 설치한 후, 상기 보조 배관을 대형 팬(Fan)이 내부에 설치된 케이스와 연통 연설하여, 상기 대형 팬의 구동에 의해, 건물 내부의 더운 공기가 상기 보조 배관 및 대형 팬이 설치된 케이스를 거쳐 외부로 강제 배출 방식에 의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대형 팬의 구동에 의해 강제 배출 방식으로 건물 내부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경우, 건물의 옥상등에 설치되는 대형 팬을 구동하기 위하여 전원과 연결된 별도의 구동장치는 물론, 이와 연결된 보조 배관 및 상기 구동장치와 대형 팬등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용 케이스등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이의 제작 및 설치가 어렵게 되며,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같은 대형 팬을 통하여 건물 내부의 더운 공기가 상기 보조 배관 및 대형 팬이 설치된 케이스를 거쳐 외부로 강제 배출 방식에 의해 배출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대형 팬의 구동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유발시켜, 비교적 조용한 내부 공간을 유지해야 하는 성당이나 교회의 건물등에는 제대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성당이나 교회의 건물, 체육관 또는 내부에 무대가 설치되는 건물등과 같이, 내부에 공간이 비교적 넓은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투명유리로 이루어진 공기 배출부 내부가 그 하측에 착설된 동판 및 단열재에 의해 손쉽게 가열되어, 성당이나 교회의 건물, 체육관등과 같이 내부에 공간이 비교적 넓은 건물의 더운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부의 가열된 공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손쉽고,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따라 내부에 공간이 비교적 넓은 건물의 내부가 항상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전원 및 이와 연설되는 구동장치가 필요 없이 자연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고, 공기 배출부의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를 제공하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비교적 넓은 건물의 내부와 옥상부위 지붕면이 연통 연설되어 실내 공기가 배출되는 실내공기 배출관은, 전방 단부에 지지대를 개재하여 내부에 공기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투명 재질의 공기 배출부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상기 실내공기 배출관과 연통 연설되는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 배출관과 연통 연설되는 공기 배출부의 저부에는 햇빛에 의해 공기 배출부의 내측인 공기 배출통로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동판이 1∼5mm의 두께로 착설되고, 상기 동판의 하측에는 단열재가 순차로 착설되며, 상기 실내공기 배출관과 공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연통 연설되는 공기 배출부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는 공기 배출통로의 내부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마련되고, 건축물 실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의 전방에는 상기 공기 배출통로와 연통되는 배기관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관 상측에는 십자형 공기 배출관이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과 연통 연설되고, 상기 공기 배출부와 그 전방에 연통 연설되는 배기관 및 십자형 공기 배출관은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삭제
본 발명인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에 의하면, 건물 옥상의 지붕면에 설치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투명유리로 이루어진 공기 배출부내부가 그 하측에 착설된 동판 및 단열재에 의해 손쉽게 가열되어, 성당이나 교회의 건물, 체육관등과 같이 내부에 공간이 비교적 넓은 건물의 더운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부의 가열된 공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손쉽고,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따라 내부에 공간이 비교적 넓은 건물의 내부가 항상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전원 및 이와 연설되는 구동장치가 필요 없이 자연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고, 공기 배출부의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의 개략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의 정단면 구조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 구조도로서, 내부에 공간이 비교적 넓은 건물의 내부와 옥상부위 지붕면(110)이 연통 연설되어 실내 공기가 배출되는 실내공기 배출관(120)은, 그 전방 단부에 지지대(130)를 개재하여 내부에 공기 배출통로(140)가 형성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투명유리로 이루어진 투명 재질의 공기 배출부(150)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상기 실내공기 배출관(120)과 연통 연설된다.
또한, 상기 실내공기 배출관(120)과 연통 연설되는 공기 배출부(150)의 저부에는 햇빛에 의해 공기 배출부(150)의 내측인 공기 배출통로(14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동판(160)이 착설되고, 상기 동판(160)의 하측에는 단열재(170)가 순차로 착설된다.
또한, 상기 실내공기 배출관(120)과 공기 배출통로(140)를 통하여 연통 연설되는 공기 배출부(150)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는 공기 배출통로(140)의 내부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180)가 마련되고, 건축물 실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150)의 전방에는 상기 공기 배출통로(140)와 연통되는 배기관(200)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관(200) 상측에는 십자형 공기 배출관(190)이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200)과 연통 연설된다.
이때, 상기 공 배출부(150)와 그 전방에 연통 연설되는 배기관(200) 및 십자형 공기 배출관(190)은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도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성당이나 교회의 건물, 체육관 또는 내부 전방으로 무대가 설치되는 건물등과 같이, 내부에 공간이 비교적 넓은 건물의 실내에 여름철 더운 공기를 별도의 실외기등이 필요없이 손쉽고,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경우에는, 건물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옥상부위 지붕면(110)에 실내공기 배출관(120)을 연통 연설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내공기 배출관(120)의 전방 단부에는 지지대(130)를 통해 지지되면서 내부에 공기 배출통로(140)가 형성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투명유리로 이루어진 공기 배출부(150)가 전방으로 상기 실내공기 배출관(120)과 경사지게 연통 연설토록 된다.
상기, 공기 배출부(15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부에 공기 배출부(150)의 공기 배출통로(140) 내부의 공기를 햇빛에 의해 가열토록 동판(160)이 1∼5mm의 두께로 착설되는 상태에서, 상기 동판(160)의 하측에는 스티로폼등과 같은 단열재(170)가 순차로 착설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투명유리에 의해 햇빛이 투과되어 동판(160)을 손쉽게 가열하게 되며, 이때 상기 동판(160) 하측에 착설되는 스티로폼등의 단열재(170)에 의해, 상기 동판(160)의 온도가 공기 배출부(150)의 공기 배출통로(140)에 그대로 전달되고, 이에따라 성당이나 교회의 건물, 체육관등과 같이 내부에 공간이 비교적 넓은 건물의 더운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가열된 공기 배출통로(140)를 통하여 손쉽고,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저부에 착설되는 동판(160)의 두께가 1mm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동판이 쉽게 가열되는 잇점은 있으나, 너무 얇은 두께에 의해 공기 배출통로(140)를 제대로 가열할 수 없게 되며, 또한 상기 동판(160)의 두께가 5mm 이상인 경우에는, 햇빛을 통해 가열되는 동판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공기 배출통로(140)를 제대로 가열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나, 상기 동판의 두께가 너무 두껍게 되어 동판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는 관계로, 상기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투명유리로 이루어진 공기 배출부(150)의 저부에 부착이 어렵게 됨은 물론,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동판(160)의 두께는 1∼5mm가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실내공기 배출관(120)과 연통 연설되는 공기 배출부(150)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는, 공기 배출통로(140)의 내부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180)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공기 배출통로(140)에는 실내공기 배출관(120)을 통하여 실내의 더워진 공기만 용이하게 유입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내의 더워진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150)의 전방에는 상측에 십자형 공기 배출관(190)이 설치되어 배기관(200)으로 상기 공기 배출부(150)와 연통 연설토록 됨으로써, 상기 공기 배출부(150)의 공기 배출통로(140)를 통하여 이송되는 공기는 상기 배기관(200)을 거쳐 십자형 공기 배출관(190)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십자형 공기 배출관(190)은 십자(十字)형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전후 및 좌우측 어느 방향으로도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더운 공기가 손쉽고, 용이하게 자연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의 개략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의 정단면 구조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지붕면 120...실내공기 배출관
130...지지대 140...공기 배출통로
150...공기 배출부 160...동판
170...단열재 180...차단부
190...십자형 공기 배출관 200...배기관

Claims (3)

  1. 내부에 공간이 비교적 넓은 건물의 내부와 옥상부위 지붕면(110)이 연통 연설되어 실내 공기가 배출되는 실내공기 배출관(120)은, 그 전방 단부에 지지대(130)를 개재하여 내부에 공기 배출통로(140)가 형성되는 투명 재질의 공기 배출부(150)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상기 실내공기 배출관(120)과 연통 연설되는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 배출관(120)과 연통 연설되는 공기 배출부(150)의 저부에는 햇빛에 의해 공기 배출부(150)의 내측인 공기 배출통로(14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동판(160)이 1∼5mm의 두께로 착설되고, 상기 동판(160)의 하측에는 단열재(170)가 순차로 착설되며, 상기 실내공기 배출관(120)과 공기 배출통로(140)를 통하여 연통 연설되는 공기 배출부(150)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는 공기 배출통로(140)의 내부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180)가 마련되고, 건축물 실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150)의 전방에는 상기 공기 배출통로(140)와 연통되는 배기관(200)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관(200) 상측에는 십자형 공기 배출관(190)이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200)과 연통 연설되고, 상기 공기 배출부(150)와 그 전방에 연통 연설되는 배기관(200) 및 십자형 공기 배출관(190)은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90039752A 2009-05-07 2009-05-07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 KR101094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752A KR101094064B1 (ko) 2009-05-07 2009-05-07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752A KR101094064B1 (ko) 2009-05-07 2009-05-07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889A KR20100120889A (ko) 2010-11-17
KR101094064B1 true KR101094064B1 (ko) 2011-12-20

Family

ID=4340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752A KR101094064B1 (ko) 2009-05-07 2009-05-07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0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837B1 (ko) * 2004-12-08 2006-07-19 박창길 태양광을 이용하는 무동력 벤틸레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837B1 (ko) * 2004-12-08 2006-07-19 박창길 태양광을 이용하는 무동력 벤틸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889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051874A (ja) 気密性住宅の省エネ換気システム
JP2009127921A (ja) 採冷システム
CN100513723C (zh) 一种通风幕墙的构建方法及通风幕墙
CN104508389A (zh) 用于节能的换气墙壁系统
JP2009235677A (ja) 温熱環境改善システム
EP1923643A2 (en) A building system
KR101094064B1 (ko)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
JP3156275U (ja) エアコンを用いた快適居住空間を有する家屋
JP5410112B2 (ja) 建物の換気構造
CN1125279C (zh) 下排出、上吸入式空调方法
CN205224681U (zh) 冷却塔设于内部的建筑结构
JP2014142151A (ja) 地中熱利用空調システム
CN204282712U (zh) 一种抗菌、保温的铝制建筑扣板
JP2007285029A (ja) 屋根構造
KR20100120890A (ko)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
KR20210091887A (ko) 조립형 실외기용 방열 덮개
CN203441013U (zh) 自然对流之屋顶装置
KR101688100B1 (ko) 자연대류를 이용한 환기 및 발전장치
CN204043124U (zh) 一种升温式太阳能无动力通风系统
JP6093526B2 (ja) 建物
CN202767631U (zh) 空调室外机排风系统
CN214657676U (zh) 安全型空调机位结构
JP2001193206A (ja) 住宅の床構造及び床の施工方法
KR20120065163A (ko) 지열을 이용한 실내 환기 시스템 및 열교환기
CN105484395A (zh) 具有发电功能的呼吸式幕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