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885B1 -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885B1
KR101093885B1 KR1020100005040A KR20100005040A KR101093885B1 KR 101093885 B1 KR101093885 B1 KR 101093885B1 KR 1020100005040 A KR1020100005040 A KR 1020100005040A KR 20100005040 A KR20100005040 A KR 20100005040A KR 101093885 B1 KR101093885 B1 KR 101093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called
destination
sig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319A (ko
Inventor
신익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00005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8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8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using multi-step notification by increasing the notification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2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s or mobility ser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발신측 교환기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착신측 교환기와,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담당하는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담당하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등록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 등록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기 저장한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기초로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 존에 포함된 기지국을 통해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경계 지역 판별 정보에 대응되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에 해당 인접 착신측 교환기가 담당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 존으로의 페이징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의 요청에 따라 전송한 페이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응답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에 자신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페이징 요청 응답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발신측 교환기에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라우팅 전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상기 라우팅 전환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착신측 교환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환기 담당 경계 지역에 있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효율적으로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통화로를 형성하여 상호간 음성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와 실제로 통신 신호를 주고받는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즉,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어느 교환기가 담당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등록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호 연결을 수행하는 교환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간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교환기들은 각 담당하는 영역이 일정 부분 교차하면서 서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통신이 가능한 교환기가 변경됨을 감지하면 위치 등록 서버에 자신의 위치 정보가 갱신되도록 한다.
따라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이를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거쳐 수신한 발신측 교환기가 위치 등록 서버에 우선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위치 등록 서버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담당하는 착신측 교환기의 라우팅 정보를 발신측 교환기에 전송한다.
그 후 발신측 교환기는 수신된 라우팅 정보를 기초로 착신측 교환기에 통신 연결 신호를 전송하고, 착신측 교환기는 요청받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고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발신측 교환기로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통신 채널이 연결되어 상호간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올바르게 위치 등록 서버에 등록되어 있어야만 한다.
그런데 이동통신 단말기가 복수 개의 교환기의 담당 경계 지역에서 이동하고 있을 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제대로 등록되지 않아 초기에 통신 연결이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A라는 교환기 담당 영역에서 위치 등록을 했던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B라는 교환기 담당 영역으로 이동하였음에도 아직 새로운 위치 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을 요청하면 여전히 A라는 교환기를 통해 페이징 신호가 송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페이징 신호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인접 교환기에 페이징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착신측 교환기와 인접 교환기와 통신 채널을 유지한 상태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호 통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착신측 교환기와 인접 교환기 간에 부가적인 통신 채널의 할당과 트래픽 발생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에는 착신측 교환기의 제어에 따른 페이징 신호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즉, 페이징 실패가 발생한 경우에야 비로소 인접 교환기에 페이징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도록 되어 있는 등,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복수 개의 교환기 경계 영역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사전 판단을 하지 않고 있어서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교환기 담당 경계 지역에 있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함에 있어서 신속하게 통신 채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막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등록 서버로부터 수신된 라우팅 정보를 기초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소정의 착신측 교환기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소정의 라우팅 전환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라우팅 전환 신호에 포함된 라우팅 정보를 기초로 소정 인접 착신측 교환기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착신측 교환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발신측 교환기와;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 등록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기 저장한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기초로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 존에 포함된 기지국을 통해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경계 지역 판별 정보에 대응되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에 해당 인접 착신측 교환기가 담당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 존으로의 페이징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측 교환기에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라우팅 전환 신호를 전송하는 착신측 교환기와; 상기 착신측 교환기의 요청에 따라 전송한 페이징 신호에 대응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착신측 교환기에 자신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발신측 교환기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착신측 교환기와,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담당하는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담당하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등록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 등록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기 저장한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기초로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 존에 포함된 기지국을 통해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경계 지역 판별 정보에 대응되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에 해당 인접 착신측 교환기가 담당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 존으로의 페이징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의 요청에 따라 전송한 페이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응답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착신측 교환기에 자신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페이징 요청 응답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발신측 교환기에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라우팅 전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상기 라우팅 전환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착신측 교환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측 교환기는 착신측 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직접 인접 착신측 교환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서, 착신측 교환기와 인접 착신측 교환기 간의 통신 채널 형성에 따른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위치 등록 서버(예를 들어 HLR : Home Location Register)에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시간 간격을 기초로 미리 해당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복수 개의 교환기 경계 영역에 있음을 판단하고 이를 착신측 교환기에 알려 줌으로써, 착신측 교환기는 그 판단에 따라 로컬 영역(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으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인접 착신측 교환기에도 페이지 전송을 요청함으로써 보다 불필요한 페이징 신호의 전송을 줄이면서도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착신측 교환기와 인접 착신측 교환기의 담당 지역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고,
도 5는 도 1의 착신측 교환기에 저장된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가 도 1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에는 발신측 교환기(100), 착신측 교환기(200),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 위치 등록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위치 등록 서버(400)는 예를 들어 홈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데,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는 것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담당하는 교환기(즉,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교환기)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치 등록 서버(400)는 발신측 교환기(100)로부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 즉, 해당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를 담당하는 착신측 교환기(200)의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착신측 교환기(200)와 통신하여 획득한 착신측 교환기(200)의 라우팅 정보를 발신측 교환기(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위치 등록 서버(400)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 갱신 시간 간격을 기초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복수 개의 착신측 교환기의 담당 경계 지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복수 개의 착신측 교환기의 담당 경계 지역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현재 등록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착신측 교환기(200)에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포함하는 라우팅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그 착신측 교환기(200)로부터 수신되는 라우팅 정보를 발신측 교환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 갱신 시간 간격이라는 것은 2 개의 교환기 간에 갱신된 위치 정보 시간 차를 의미한다.
한편, 발신측 교환기(100)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교환기로서, 예를 들어 발신측 교환기(100)는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에 있는 기지국과 통신 채널을 형성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전송하는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즉, 실제로 발신측 교환기(100)가 전송하는 신호는 기지국 및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를 거쳐 발신측 교환기(100)에 도달할 수 있지만,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의 기능을 기 공지된 것에 불과하므로 이하 이를 생략하여 설명한다.
발신측 교환기(100)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등록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라우팅 정보를 기초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대응되는 소정의 착신측 교환기(200)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그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착신측 교환기(200)로부터 소정의 라우팅 전환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라우팅 전환 신호에 포함된 라우팅 정보를 기초로 다른 착신측 교환기(이하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라 함)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이전 착신측 교환기(200)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착신측 교환기(200)는 발신측 교환기(100)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 이전에 위치 등록 서버(400)로부터 수신하여 기 저장한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기초로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 존에 포함된 기지국을 통해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경계 지역 판별 정보에 대응되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에 해당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가 담당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 존으로의 페이징 신호의 전송을 요청한다.
그리고 착신측 교환기(200)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로부터 해당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발신측 교환기(100)에 그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라우팅 전환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는 착신측 교환기(200)의 요청에 따라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 존에 포함된 기지국을 통해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그 페이징 신호에 대응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페이징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착신측 교환기(200)에 자신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이처럼 페이징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먼저 전송되어야하는 신호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각기 다른 기지국을 통해 페이징 신호가 동시에 수신된다 하더라도 그 중 가장 최적의 신호 레벨을 갖는 곳으로 페이징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는 또한, 발신측 교환기(100)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는 착신측 교환기(200)와 경계 지역을 형성하는 교환기로서 착신측 교환기(200)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에 불과하고, 그 기본 기능 즉, 이동통신 단말기에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페이징 신호에 응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채널이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은 동일하다.
착신측 교환기(200)와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의 관계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교환기는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이 정해져 있다. 여기서 담당하는 영역이 정해져 있다는 것은 소정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그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기가 해당 교환기에 할당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A 영역(250)에 포함된 기지국들을 통해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통신하는 경우에는 A 영역(250)에 할당된 소정의 A 교환기(미 도시함)가 그 통신 연결 기능을 수행하고, B 영역(350)에 포함된 기지국들을 통해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가(210) 통신하는 경우에는 B 영역(350)에 할당된 소정의 B 교환기(미 도시함)가 그 통신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소정의 영역별로 서로 다른 교환기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므로, 통신이 가능한 교환기가 변경될 때마다 즉, A 영역(250)에서 B 영역(350)으로 이동할 때(또는 그 반대의 경우)마다 자신의 현재 위치를 등록해야 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A 영역(250)과 B 영역(350)의 경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착신 신호의 전송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 지역(350)에서 A 지역(250)으로 이동하여 위치 등록을 하였던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시 B 지역(350)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위치 등록 서버(40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A 교환기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착신 신호는 A 교환기를 통해 전송되게 되나, 실제로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B 지역에 있으므로 착신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등록 서버(4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시간 간격 즉, B 지역에서 위치 등록 하였다가 A 지역에서 다시 위치 등록하는 시간 간격(또는 A 지역에 위치 등록한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을 기초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복수 개의 착신측 교환기의 담당 경계 지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현재 위치 등록 착신측 교환기(200)(예를 들어 A 교환기)에 전송하는 것이다.
그러면 A 교환기는 이러한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미리 저장해 놓고서 발신측 교환기(100)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기 저장한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기초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경계 지역에 있다고 판단하고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의 특정 존(예를 들어 A1 존(251))에 포함된 기지국을 통해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에 해당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가 담당하는 영역의 특정 존(예를 들어 B1 존(351))으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A 교환기에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의 일 예가 도 3에 도시되었다.
여기서 Zone 필드는 A 교환기 즉, 착신측 교환기(200)가 담당하는 영역내의 일부 영역(예를 들어, A1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필드이고- 즉, 하나의 교환기가 담당하는 영역은 복수 개의 Zone으로 구분될 수 있음-,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 정보 필드는 착신측 교환기(200)에 인접한 교환기(예를 들어 B 교환기)들에 대한 정보(일 예로 연결을 위한 주소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이고,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 존 영역 필드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가 담당하는 영역의 많은 존들 중에서 착신측 교환기(200)가 담당하는 영역의 특정 존(A1)에 인접한 존(B1)을 특정하기 위한 필드이다.
즉, 착신측 교환기(200)는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 중 10번 Zone에 위치하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로의 연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10번 Zone에 인접한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즉, H'2000, H'3000)와 그 각각의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의 존(즉, H'2000의 20번 존, H'3000의 14번 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H'2000 인접 교환기에는 해당 교환기가 담당하는 영역의 20번 존으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도록 요청하고, H'3000 인접 교환기에는 해당 교환기가 담당하는 영역의 14번 존으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가 하나인 경우만을 일 예로 하였으나 이처럼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는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이때, 착신측 교환기(200)는 별도의 경계 지역 판별 정보 필드에 위치 등록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측 교환기(200)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10번 Zone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경계 지역에 있다고 판단하는 위치 등록 서버(400)의 경계 지역 판별 정보에 따라 10번 Zone에 대응되는 경계 지역 판별 정보의 값을 'True'로 설정해 놓고서 그 10번 Zone에 있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로의 통신 연결 요청을 발신측 교환기(100)로부터 수신하면 우선 10번 Zone에 대응되는 경계 지역 판별정보를 확인하여 'True'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인접 착신 교환기에 페이징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이다.
만일 경계 지역 판별 정보가 'False'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착신측 교환기(200)는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으로만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위치 등록 정보에는 A 교환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B 지역(350)의 B1 존(351)에 있다고 가정하면(이 경우 A 교환기는 착신측 교환기(200)가 되고 B 교환기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가 됨),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B1 존(351)의 기지국에 의한 페이징 신호에 응답을 하게 되는데, 이 페이징 응답신호는 B 지역(350)을 담당하는 B 교환기에 전송되며, B 교환기는 자신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 응답 신호를 A 교환기에 전송한다.
이때, B 교환기는 자신의 영역에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있다고 판단하여 위치 등록 서버(400)에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대한 새로운 위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A 교환기는 B 교환기로부터 페이징 요청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B 교환기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라우팅 전환 신호를 발신측 교환기(1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발신측 교환기(100)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와의 통신을 위해서는 B 교환기와 연결해야 함을 인지하고, A 교환기와의 통신 연결을 해제하고 B 교환기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B 교환기는 자신의 영역에 있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발신측 단말기와 착신측 단말기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발신측 교환기(100)가 위치 등록 서버(400)를 이용하여 착신측 교환기(200)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까지를 설명한다.
발신측 교환기(100)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와의 통신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대응되는 착신측 교환기(200) 정보를 위치 등록 서버(400)에 요청한다(단계 S1).
위치 등록 서버(400)는 요청받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위치 등록 시간 간격을 비교하는데(단계 S3), 예를 들어 새로운 위치 등록이 이루어진 후 180초(이 시간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함) 이내인 경우 또는 위치 등록 되는 시간 간격이 180초 이내인 경우 등 위치 등록 시간에 기초한 소정 조건에 따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복수 개의 교환기 경계 지역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포함하는 라우팅 정보 요청 신호 생성하여(단계 S5) 현재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대응되어 등록된 착신측 교환기(200)에 전송한다(단계 S7).
만일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등록 시간 간격이 180초 이상인 경우(단계 S3) 위치 등록 서버(400)는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라우팅 정보 요청 신호를 착신측 교환기(200)에 전송한다(단계 S7).
착신측 교환기(200)는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저장하고(단계 S9) 자신의 라우팅 정보를 위치 등록 서버(400)에 전송한다(단계 S11).
위치 등록 서버(400)는 착신측 교환기(200)로부터 수신된 라우팅 정보를 발신측 교환기(100)에 전송하고(단계 S13), 발신측 교환기(100)는 이 라우팅 정보를 기초로 착신측 교환기(200)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15).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발신측 교환기(100)와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가 통신 연결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발신측 교환기(100)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단계 S21) 착신측 교환기(200)는 기 저장된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기초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경계 지역에 있다고 판단하면(단계 S23)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에 페이징 신호의 전송을 요청함과(단계 S25) 아울러 자신의 로컬 영역 즉, 자신이 담당하는 지역에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위치 등록된 영역(특정 존 영역일 수 있음)에 페이징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29).
본 실시예에서 페이징 신호의 전송은 교환기의 요청에 따라 기지국 제어기를 거쳐 기지국에서 수행하는 것이나, 기지국 제어기나 기지국의 기능은 기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는 페이징 신호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전송하는데(단계 S27),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가 담당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에 페이징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31).
이에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는 자신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 응답 신호를 착신측 교환기(200)에 전송한다(단계 S33).
이때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대한 위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34). 즉, 위치 등록 서버(400)에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로부터 페이징 요청 응답 신호를 수신한 착신측 교환기(200)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라우팅 전환 신호를 발신측 교환기(100)에 전송한다(단계 S35).
발신측 교환기(100)는 라우팅 전환 신호에 따라 착신측 교환기(200)에 연결 해제 신호를 전송함과(단계 S37) 아울러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41).
이에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단계 S43)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0)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발신측 교환기(100) 및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를 거쳐 상호간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착신측 교환기(200)를 거치지 않고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통신이 가능하고, 더욱이 착신측 교환기(200)는 위치 등록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기초로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에만 페이징 신호를 전송할지 또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에도 페이징 신호의 전송을 요청할지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경계 지역에 있지 않은데도 불필요하게 인접 착신측 교환기(300)에 페이징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거나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경계 지역에 있는데도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에만 먼저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여 응답을 기다릴 필요가 없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발신측 교환기 200 : 착신측 교환기
300 : 인접 착신측 교환기 400 : 위치 등록 서버
110 :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120,220,320 : 기지국
210 :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Claims (6)

  1.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발신측 교환기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착신측 교환기 및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담당하는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담당하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등록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위치 등록 서버에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착신측 교환기의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b) 상기 위치 등록 서버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복수 개의 착신측 교환기의 담당 경계 지역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현재 등록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착신측 교환기에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포함하는 라우팅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위치 등록 서버로부터 라우팅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 등록 서버에 자신의 라우팅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위치 등록 서버가 상기 수신된 착신측 교환기의 라우팅 정보를 상기 발신측 교환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e)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 등록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기 저장한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기초로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 존에 포함된 기지국을 통해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경계 지역 판별 정보에 대응되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에 해당 인접 착신측 교환기가 담당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 존으로의 페이징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f)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의 요청에 따라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고, 그 전송한 페이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착신측 교환기에 자신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g)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페이징 요청 응답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발신측 교환기에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라우팅 전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h)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상기 라우팅 전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착신측 교환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위치 등록 서버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갱신 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복수 개의 착신측 교환기의 담당 경계 지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1)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의 요청에 따라 전송한 페이징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응답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위치 등록 서버에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4. 발신측 교환기로부터 착신측 교환기의 라우팅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복수 개의 착신측 교환기의 담당 경계 지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복수 개의 착신측 교환기의 담당 경계 지역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현재 등록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착신측 교환기에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포함하는 라우팅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라우팅 정보를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는 위치 등록 서버와;
    상기 위치 등록 서버로부터 수신된 라우팅 정보를 기초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소정의 착신측 교환기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소정의 라우팅 전환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라우팅 전환 신호에 포함된 라우팅 정보를 기초로 소정 인접 착신측 교환기에 통신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착신측 교환기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발신측 교환기와;
    상기 위치 등록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라우팅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 등록 서버에 자신의 라우팅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 등록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기 저장한 경계 지역 판별 정보를 기초로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 존에 포함된 기지국을 통해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경계 지역 판별 정보에 대응되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에 해당 인접 착신측 교환기가 담당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 존으로의 페이징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측 교환기에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라우팅 전환 신호를 전송하는 착신측 교환기와;
    상기 착신측 교환기의 요청에 따라 전송한 페이징 신호에 대응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착신측 교환기에 자신의 라우팅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요청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인접 착신측 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 서버는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부터 상기 착신측 교환기의 라우팅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갱신 시간 간격을 기초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복수 개의 착신측 교환기의 담당 경계 지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착신측 교환기는 상기 착신측 교환기의 요청에 따라 전송한 페이징 신호에 대응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응답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위치 등록 서버에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100005040A 2010-01-20 2010-01-20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93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040A KR101093885B1 (ko) 2010-01-20 2010-01-20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040A KR101093885B1 (ko) 2010-01-20 2010-01-20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319A KR20110085319A (ko) 2011-07-27
KR101093885B1 true KR101093885B1 (ko) 2011-12-13

Family

ID=4492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040A KR101093885B1 (ko) 2010-01-20 2010-01-20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8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446B1 (ko) * 2001-06-25 2004-03-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위치 등록기를 이용한 멀티 페이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446B1 (ko) * 2001-06-25 2004-03-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위치 등록기를 이용한 멀티 페이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319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6953B2 (en) System and a method of realizing subscriber's foreign roaming service through the router
CN103609150A (zh) 基于apn专有或者非apn专有信息经由本地网络进行流量分流
CN104105155A (zh) 接收设备发现信息、发送设备发现信息的方法和用户设备
CN105392153A (zh) 通信系统、方法和装置
US8060087B2 (en) CDMA intelligent network system and its method, device for realizing international roaming service
RU2008148835A (ru) Передача событийного контекста в гетерогенной системе связи
CN106465038B (zh) 在运营移动网络中提供多imsi方案的方法和系统
CN101098561A (zh) 通信系统、操作控制方法、以及位置管理服务器
US20070291686A1 (en) Wimax network, wimax network element, and method of handling qos requirements therein
KR101162960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경유한 공유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공유 서버
CN103228025B (zh) 机器类通信终端的接入方法、装置及系统
CN103188756B (zh) 一种跨域业务路由方法、装置、系统及相关设备
KR101093885B1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279782A (ja) 移動端末呼び出し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呼び出し方法
US89653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in small-sized communication area
AU756365B2 (en) Method for identifying a call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513022B1 (ko) 무선 고속 데이터 시스템에서 공중망과 사설망의 데이터위치 저장기 공통 사용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13313A (ko) 이동 통신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69976A (ko)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착신 방법
KR101039169B1 (ko) 경계 지역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20690B1 (ko) 무선 가입자 회선 액세스 네트워크 시스템
KR101074547B1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35694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설정 방법
CN104852837B (zh) 一种家庭网络中多控制中心切换的方法、装置及控制中心
KR20060119468A (ko) 다중 페이징 방법 및 이동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