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706B1 - 연료 전지 및 이에 사용되는 스택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및 이에 사용되는 스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706B1
KR101093706B1 KR1020040049325A KR20040049325A KR101093706B1 KR 101093706 B1 KR101093706 B1 KR 101093706B1 KR 1020040049325 A KR1020040049325 A KR 1020040049325A KR 20040049325 A KR20040049325 A KR 20040049325A KR 101093706 B1 KR101093706 B1 KR 10109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dge portion
fuel cell
electrolyte composite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0460A (ko
Inventor
은영찬
김형준
윤해권
안성진
조성용
김잔디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9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706B1/ko
Publication of KR20060000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comprising framed electrodes or intermediary frame-like gas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5Methods for shaping the electrode into free-standing bodies, like sheets, films or grids, e.g. moulding, hot-pressing, casting without support, extrusion without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nitrogen, e.g. sulfonated polybenzimidazoles [S-PBI], polybenzimidazoles with phosphoric acid, sulfonated polyamides [S-PA] or sulfonated polyphosphazenes [S-PP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2432Grouping of unit cells of planar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및 산소를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산소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발생부는 전극-전해질 합성체(MEA)와 이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와 양 세퍼레이터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개재되는 가스켓을 구비하며, 상기 가스켓이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전극 가장자리 부분에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Figure R1020040049325
연료전지, 전기발생부, 연료공급부, 산소공급부, 세퍼레이터, MEA, 전극, 전해질막, 가스켓, 크랙

Description

연료 전지 및 이에 사용되는 스택 {FUEL CELL AND STACK US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택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전극-전해질 합성체와 가스켓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 전지의 전극-전해질 합성체(MEA)와 가스켓의 결합 구조를 개선한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연료 전지(Fuel Cell)는 메탄올과 같은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와, 산소 또는 산소를 포함한 공기의 화학 반응 에너 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시스템이다.
이러한 연료 전지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 등을 개질하여 만들어진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자동차와 같은 이동용 전원은 물론, 주택, 공공건물과 같은 분산용 전원 및 전자기기용과 같은 소형 전원 등 그 응용 범위가 넓은 장점을 갖는다.
상기 연료 전지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단위의 셀 즉, 전극-전해질 합성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와 이의 양측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separator)('바이폴라 플레이트'라고도 한다.)에 의한 적층 구조의 셀을 형성하는 바, 상기한 전극-전해질 합성체는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이의 양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극-전해질 합성체는 전해질막의 가장자리 둘레 부분이 노출되도록 이 전해질막의 일면에 애노드 전극이 위치하고, 다른 일면에 캐소드 전극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한 단위의 셀은 양 세퍼레이터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되는 가스켓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가스켓은 중앙 부분에 개구를 형성하고 있고, 이 개구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전해질막의 양면 가장자리 부분을 덮으면서 핫 프레스(hot press) 방식에 의해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단이 양 전극의 가장자리단에 열융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연료 전지는 특히,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하고 전해질막이 대략 100Pa 이하의 인장강도를 갖는 폴리[2,5-벤즈이미다졸](ABPBI:poly[2,5-benzimidazole]) 또는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 (PBI: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으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고온형 연료 전지에 있어, 위와 같은 핫프레스 방식으로 전극-전해질 합성체와 가스켓을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가스켓의 개구 가장자리단과 양 전극의 가장자리단 사이 틈새로 프레스의 열간 압력이 집중되어 이 부분에 상응하는 전해질막이 상기 열간 압력을 이기지 못해 깨지는 등의 크랙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전해질막의 크랙으로 인해 세퍼레이터와 전극-전해질 합성체 사이의 기밀이 파괴되어 연료 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극-전해질막(MEA)의 전해질막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전극-전해질 합성체와 가스켓의 결합 구조를 개선한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및 산소를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산소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발생부는 전극-전해질 합성체(MEA)와 이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와 양 세퍼레이터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개재되는 가스켓을 구비하며, 상기 가스켓이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전극 가장자리 부분에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는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이의 양면에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위치하며, 상기 전극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전해질막의 가장자리 부분이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가 위치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면적을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전극 면적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그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1∼2㎜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발생부는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하는 고온형 연료 전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해질막이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 또는 폴리[2,5-벤즈이미다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부는: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 탱크에 연결 설치되는 연료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소 공급부는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부는, 상기 전기 발생부와 연료 탱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수소 가스를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개질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이,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ce Fuel Cell: PEMFC)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택은, 전극-전해질 합성체(MEA)와 이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발생부는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와 양 세퍼레이터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개재되는 가스켓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는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이의 양면에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위치하고, 상기 전극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전해질막의 가장자리 부분이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가 위치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면적을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전극 면적 보다 작게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택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그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1∼2㎜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택은, 상기 가스켓과 전극-전해질 합성체가 핫프레스(hot press) 방식에 의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택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발생부는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하는 고온형 연료 전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해질막이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 또는 폴리[2,5-벤즈이미다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택은, 전극-전해질 합성체(MEA)와 이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에 의한 고온형 연료 전지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발생부는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와 양 세퍼레이터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개재되고,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전극 가장자리 부분에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가스켓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택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1∼2㎜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택에 있어서,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는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이의 양면에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위치하고, 상기 전극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전해질막의 가장자리 부분이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해질막이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 또는 폴리[2,5-벤즈이미다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택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시스템(100)은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이 수소 가스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Polymer Electrode Membrane Fuel Cell; PEMFC)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00)에 있어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연료라 함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천연 가스 등과 같이 수소를 함유한 협의(狹義)의 연료 이 외에, 광의(廣義)의 연료로서 물 및 산소가 더욱 포함된다.
그리고 본 시스템(100)은 상기 연료에 함유된 수소와 반응하는 산소 연료로서 별도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순수한 산소 가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공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상기한 산소 연료로서 공기를 사용하는 후자의 예를 설명한다.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111)와, 수소를 함유한 연료로부터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이 수소 가스를 전기 발생부(111)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120)와, 공기를 전기 발생부(111)로 공급하는 산소 공급부(130)를 포함한다.
전기 발생부(111)는 대략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하는 통상적인 고온형 연료 전지 및 무가습형 연료 전지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발생부(111)는 전극-전해질 합성체(MEA: 이하, 'MEA"라고 한다.)(112)를 중심에 두고 이의 양측에 세퍼레이터(Separator)('바이폴라 플레이트'라고도 한다.)(116)를 배치하여 단일 스택을 형성하며, 상기 전기 발생부(111)가 복수로 구비되어 본 실시예와 같은 적층 구조의 스택(11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양측 세퍼레이터(116) 사이에 개재되는 MEA(112)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활성 영역을 구비하며, 이의 양면에 애노드 전극(112a)과 캐소드 전극(112b)이 위치하고, 상기 두 전극(112a, 112b) 사이에 전해질막(112c)을 구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애노드 전극(112a)은 전해질막(112c)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캐소드 전극(112b)은 전해질막(112c)의 다른 일면에 마련되되, 전해질막(112c)의 가장자리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전극(112a)은 통상적인 기체 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을 통하여 확산되는 수소 가스와 산소를 산화/환원 반응시키는 촉매층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MEA(112)와 세퍼레이터(116)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MEA(112)와 양 세퍼레이터(116)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가스켓(119)이 개재된다. 이 때 상기한 가스켓(119)은 양 전극(112a, 112b)에 의해 노출되는 전해질막(112c)의 양면 가장자리 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116)는 MEA(112)를 사이에 두고 밀착 배치되어, MEA(112)의 양측에 각각 수소통로(116a)와 공기통로(116b)를 형성한다. 여기서 수소통로(116a)는 MEA(112)의 애노드 전극(112a) 측에 위치하고, 공기통로(116b)는 MEA(112)의 캐소드 전극(112b) 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세퍼레이터(116)는 MEA(112)의 양측에 수소와 산소를 공급하는 기능 외에, 애노드 전극(112a)과 캐소드 전극(112b)을 직렬로 연결시켜 주는 전도체의 기능도 가진다.
그리고 전해질막(112c)은 그 두께가 대략 50∼200㎛이며, 일 례로서 폴리[2,5-벤즈이미다졸](ABPBI:poly[2,5-benzimidazole]) 또는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 (PBI: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로 이루어지는 고체 폴리머 전해질로 형성되어, 애노드 전극(112a)에서 생성된 수소 이온을 캐소드 전극(112b)으로 이동시키는 이온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연료 공급부(120)는 전술한 바 있는 협의의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121)와, 이 연료 탱크(121)에 연결 설치되는 연료 펌프(122)와, 연료 탱크(121)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협의의 연료로부터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이 수소 가스를 전기 발생부(111)로 공급하는 개질기(123)를 포함한다. 그리고 산소 공급부(130)는 공기를 흡입하여 전기 발생부(111)로 공급하는 공기 펌프(12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료 공급부(120)에 있어 개질기(123)는 열 에너지에 의한 화학 촉매 반응을 통해 상기 협의의 연료로부터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수소 가스에 함유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키는 통상적인 개질기의 구조를 갖는다. 부연 설명하면, 개질기(123)는 일 례로서, 수증기 개질, 부분산화 또는 자열 반응 등의 촉매 반응을 통해 상기한 연료로부터 수소 가스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개질기(123) 는 일 례로서, 수성가스 전환 방법, 선택적 산화 방법 등과 같은 촉매 반응 또는 분리막을 이용한 수소의 정제 등과 같은 방법으로 수소 가스에 함유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킨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00)은 상기 협의의 연료를 직접 전기 발생부(111)로 공급하여 전기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직접 메탄올형 연료 방식의 연료 전지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와 달리, 전술한 바 있는 개질기(123)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00)에 있어 전기 발생부(111)를 구성하는 MEA(112)와 가스켓(119)의 결합 구조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전극-전해질 합성체와 가스켓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16)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개재되는 가스켓(119)은 탄성 재료인 고무 소재 예컨대, 실리콘계, 불소계 또는 올레핀계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스켓(119)은 애노드 전극(112a)에 의해 노출되는 전해질막(112c)의 일면 가장자리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1 가스켓 패드(119b)와, 캐소드 전극(112b)에 의해 노출되는 전해질막(112c)의 다른 일면 가장자리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2 가스켓 패드(119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스켓 패드(119b, 119c)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MEA(112)가 위치할 수 있는 소정 면적의 개구부(119a)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가스켓(119)은 상기한 개구부(119a)의 면적을 양 전극(112a, 112b)의 면적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양 전극(112a, 112b)의 가장자리 부분이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상기 개구부(119a)의 가장자리 부분에 겹쳐지면서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가스켓(119)은 상기한 개구부(119a)의 가장자리 부분이 양 전극(112a, 112b)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해 1∼2㎜ 정도 겹쳐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은 가스켓(119)과 MEA(112)는 도면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가스켓(119)의 개구부(119a) 가장자리 부분이, 이에 상응하는 양 전극(112a, 112b)의 가장자리 부분 및 상기 전극(112a, 112b)에 의해 노출되는 전해질막(112c)의 가장자리 부분에 핫 프레스(hot press)('열간 프레스'라고도 한다.)방식에 의해 열 압착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가스켓 패드(119b)의 개구부(119a) 가장자리 부분이 애노드 전극(112a)의 가장자리 부분 및 상기 전극에 의하여 노출되는 전해질막(112c)의 가장자리 부분을 덮도록 상기한 제1 가스켓 패드(119b)를 애노드 전극(112a) 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2 가스켓 패드(119c)의 개구부(119a) 가장자리 부분이 캐소드 전극(112b)의 가장자리 부분 및 상기 전극에 의하여 노출되는 전해질막(112c)의 가장자리 부분을 덮도록 상기한 제2 가스켓 패드(119c)를 캐소드 전극(112b) 측에 위치시킨다. 이 때 상기 개구부(119a)의 가장자리 부분을 양 전극(112a, 112b)의 가장자리단으로부터 대략 1∼2㎜ 정도 겹쳐지도록 하는 바, 이는 가스켓(119)과 MEA(112)를 결합시키기 위해 핫 프레스 방식을 적용할 경우, 양 전극(112a, 112b)의 가장자리단으로 전술한 열간 압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겹쳐지는 간격을 1㎜ 이하로 하는 경우, 양 전극(112a, 112b)의 가장자리단으로 열간 압력이 집중하게 되어 전해질막(112c)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겹쳐지는 간격을 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양 전극(112a, 112b)의 촉매층 면적이 실질적으로 감소되어 촉매층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핫 프레스(hot press) 방식으로 MEA(112)와 가스켓(119)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개구부(119a)의 가장자리 부분이 MEA(112)의 가장자리 부분에 열 융착된다. 여기서 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부분은 애노드 전극(112a) 및 캐소드 전극(112b)에 각각 형성되는 기체 확산층을 의미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스켓(119)의 개구부(119a) 가장자리 부분이 양 전극(112a, 112b)의 가장자리 부분에 겹쳐지면서 핫 프레스 방식에 의해 열 융착된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와 달리 열간 압력이 양 전극(112a, 112b)의 가장자리단과 상기 개구부(119a)의 가장자리단에 집중되는 것을 억제하여 양 전극(112a, 112b)의 가장자리단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위의 전해질막(112c)이 상기 열간 압력에 의해 깨지는 등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양 전극의 가장자리단에 집중되는 열간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가스켓과 MEA의 결합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양 전극의 가장자리단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해질막 부위가 열간 압력에 의해 깨지는 등의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MEA와 세퍼레이터의 기밀 유지를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연료 전지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및
    산소를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산소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발생부는 전극-전해질 합성체(MEA)와 이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와 양 세퍼레이터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개재되는 가스켓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는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이의 양면에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위치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가 위치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전극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전극 가장자리 부분에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연료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상기 전해질막의 가장자리 부분이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연료 전지.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1∼2㎜ 덮도록 형성되는 연료 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발생부는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하는 고온형 연료 전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해질막이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 또는 폴리[2,5-벤즈이미다졸]으로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부는: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 탱크에 연결 설치되는 연료 펌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공급부는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펌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부는, 상기 전기 발생부와 연료 탱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수소 가스를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개질기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이,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ce Fuel Cell: PEMFC)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
  10. 전극-전해질 합성체(MEA)와 이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발생부는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와 양 세퍼레이터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개재되는 가스켓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는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이의 양면에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위치하고, 상기 전극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전해질막의 가장자리 부분이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가 위치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전극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전극 가장자리 부분에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스택.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1∼2㎜ 덮도록 형성되는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스택.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과 전극-전해질 합성체가 핫프레스(hot press) 방식에 의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스택.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발생부는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하는 고온형 연료 전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해질막이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 또는 폴리[2,5-벤즈이미다졸]으로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스택.
  14. 전극-전해질 합성체(MEA)와 이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에 의한 고온형 연료 전지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발생부는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와 양 세퍼레이터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에 개재되고,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전극 가장자리 부분에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가장자리 부분이 형성된 가스켓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가 위치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전극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스택.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을 1∼2㎜ 덮도록 형성되는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스택.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전해질 합성체는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이의 양면에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위치하고, 상기 전극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전해질막의 가장자리 부분이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해질막이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 또는 폴리[2,5-벤즈이미다졸]으로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스택.
KR1020040049325A 2004-06-29 2004-06-29 연료 전지 및 이에 사용되는 스택 KR10109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325A KR101093706B1 (ko) 2004-06-29 2004-06-29 연료 전지 및 이에 사용되는 스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325A KR101093706B1 (ko) 2004-06-29 2004-06-29 연료 전지 및 이에 사용되는 스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460A KR20060000460A (ko) 2006-01-06
KR101093706B1 true KR101093706B1 (ko) 2011-12-19

Family

ID=3710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325A KR101093706B1 (ko) 2004-06-29 2004-06-29 연료 전지 및 이에 사용되는 스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0080A (ko) 2010-03-03 2011-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용 연마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 설비
KR102083052B1 (ko) * 2016-02-18 2020-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막 전극 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3539B1 (ko) * 2017-09-29 2020-10-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460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5335B2 (en) Air breathing direct methanol fuel cell pack
KR19980703672A (ko) 고체 중합체 전해질을 갖는 연료 전지
JPH07220742A (ja)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及び該燃料電池の電極−イオン交換膜接合体の製造方法
JP2009277448A (ja) 燃料電池および燃料電池層
JP2008508679A (ja) 端部が保護された触媒被覆した拡散媒体と膜電極集成体
KR100709212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JP4566995B2 (ja) 膜電極アッセンブリを備える装置及びこの装置を準備する方法
JP3696230B1 (ja) 燃料電池
US8003274B2 (en) Direct liquid fuel cell
JP4213515B2 (ja)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KR101147238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 스택
JPH06338335A (ja)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US7862954B2 (en) Fuel cell
KR101093706B1 (ko) 연료 전지 및 이에 사용되는 스택
JP2005150008A (ja) 燃料電池
KR100590041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택
KR100649204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스택 및 세퍼레이터
KR101030044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이에 사용되는 스택 및 세퍼레이터
KR101065380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택
US20060159976A1 (en) Electrochemical energy source and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such an energy source
JPH06333582A (ja)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JP2005190749A (ja) 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JP2024056240A (ja) 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
KR101065376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이에 사용되는 스택 및 세퍼레이터
KR101093702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