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095B1 - 양면판용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양면판용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095B1
KR101093095B1 KR1020090085897A KR20090085897A KR101093095B1 KR 101093095 B1 KR101093095 B1 KR 101093095B1 KR 1020090085897 A KR1020090085897 A KR 1020090085897A KR 20090085897 A KR20090085897 A KR 20090085897A KR 101093095 B1 KR101093095 B1 KR 101093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hole
sided plate
binding
s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009A (ko
Inventor
이기범
Original Assignee
(주)다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즐 filed Critical (주)다즐
Priority to KR1020090085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09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8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10Top board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02Ironing boards  with collapsible underfra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14Means for attaching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판용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판을 사용시에 상부에서 가압하는 힘에 의해 양면판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간편한 조작에 의해 양면판을 회전시켜 양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양면판용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부와, 고정부와, 연결부와, 결속부로 이루어진 양면판용 회전장치에 있어서, 연결부와 고정부의 사이에 와이어가 연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다리의 상부에 고정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장착되는 결속부와, 양면판에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와 고정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면판, 회전, 양면, 회전장치, 와이어, 집게

Description

양면판용 회전장치{A rotator of table that use two faces}
본 발명은 양면판용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판을 사용시에 상부에서 가압하는 힘에 의해 양면판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간편한 조작에 의해 양면판을 회전시켜 양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양면판용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면판을 사용하는 기술로는다림판이 있데, 일예로 다림판(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로 제작되며 상면에 다림질 대상 물체가 놓이는 평면의 다림면(14)이 있으며, 다림면(14)의 일단에는 구배가 형성된 구배부(16)가 구비되어 있어 소매 부분 등을 다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다림면(14)의 이면에는 절첩 가능한 다리(12)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종래 다림판(10)은 의복류를 다림질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특히 와이셔츠를 다릴 경우 와이셔츠의 앞면과 뒷면을 다리기 위해 다림질면(14)에 와이셔츠의 앞면과 뒷면을 일일이 뒤집는 작업을 한 후 다림질을 해야 했는데, 이로 인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먼저 다린 부분은 다려지지 않은 부분을 다릴 경우 구겨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구겨진 부분을 다시 다림질해야 하는 번거로움뿐만 아니라 다림질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바지를 다릴 경우 주름부가 많은 바지의 앞부분을 다림질 하는 것이 문제였는데, 그 이유는 종래의 양면판의 다림면(14)은 평면으로 되어 있으나 실질적인 바지의 앞 부분과 엉덩이 부분 및 주머니 부분은 불록 상태이기 때문에 다림면(14)이 평면인 다림판으로는 바지 등을 곱게 다리는 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다림판(10)은 와이셔츠, 와이셔츠의 소매부분, 하의를 단일화된 다림질 면을 통해 다림질을 시행하기 때문에 다리고자 하는 의류들의 특성에 맞는 다림질을 하는 데 있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양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양면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가 구비된 양면판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양면판 회전장치는 양면판을 견고하게 고정시키지 못하여 다림질을 하는 과정에서 다림판이 흔들리는 등의 유동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림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반복 사용에 의해 부품이 파손되거나 마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림판 및 테이블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다림판을 일예로 설명하면 다리부와 양면판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에 양면판을 회전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양면판을 회전시켜 양면판의 양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양면판의 일측부에 형성된 고정축과 이 고정축의 외측으로 형성된 결속공에 회전단속부재가 결속 고정되어 양면판의 사용 중에 상부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양면판이 유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다림질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다리부와 회전단속부재에 각각 양측부가 고정되는 와이어가 구비되어 양면판을 상부로 올리게 되면 회전단속부재가 양면판의 결속공으로부터 결속 해지되어 양면판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회전 완료 후에는 양면판을 하강시키게 되면 회전단속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회전단속부재가 양면판의 결속공에 결속되어 양면판이 고정되는 것으로, 간편한 조작에 의해 양면판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고정시켜 사용 중 양면판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양면을 사용하는 물품의 회전장치에 광범위하게 사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면판용 회전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는 다리의 상부에 체결 고정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장착되는 결속부와, 양면판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부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와 결속부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하부에 다리가 끼워지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후부에 지지턱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제1체결공이 형성된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부에는 서로 대응되게 결속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연결부에 체결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소정 위치를 커버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하부에 연결부의 연결부재에 힌지 결합되되,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이 고정구의 내측에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단에 제1안착공이 형성되며, 제1안착공의 일측부에는 제1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제1안착홀에는 핀이 안착고정되는 핀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케이스는 몸체 상부에 고정되되, 하부에 제2안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몸체의 제1안착홀과 대응되는 제2안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안착홀의 반대 방향에는 몸체의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는 몸체부 몸체 및 케이스의 제1,2안착공에 장착되는 회전방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의 중앙부에는 장착공이 형성되며, 이 장착공의 내주면 양측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의 외주면 양측부에는 몸체부 및 케이스부의 제1,2결속홈에 끼워져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부재의 하부에는 와이어의 일측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일측부가 양면판에 일체 또는 체결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에는 양면판이 고정된 반대 방향에는 결속부의 장착공에 끼워지는 결속축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축의 소정 위치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연장 형성되되, 결속부의 장착공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형성된 결속축의 양측에는 결속부의 회전방지부재에 형성된 연장돌기가 끼워지는 끼움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축에 끼워지되, 결속부의 회전방지부재와 몸체부의 몸체 내측에 위치되는 제1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와이어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연결부의 결속홈에 끼워져 고정되어 몸체부의 몸체에 형성된 절개홈을 통해 핀에 연결되고, 반대 끝단부는 결속부의 고정부재에 형성된 고정공에 끼워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는 집게부가 구비되되,상기 집게부는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어 케이스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제2관통홀의 양측 내주면에 결속돌기가 형성되어 이 결속돌기에 끼워지는 체결고리가 형성된 유동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결속돌기에 끼워져 유동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리부와 양면판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에 양면판을 회전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양면판을 회전시켜 양면판의 양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면판의 일측부에 형성된 고정축과 이 고정축의 외측으로 형성된 결속공에 회전단속부재가 결속 고정되어 양면판의 사용 중에 상부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양면판이 유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다림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리부와 회전단속부재에 각각 양측부가 고정되는 와이어가 구비되어 양면판을 상부로 올리게 되면 회전단속부재가 양면판의 결속공으로부터 결속 해지되어 양면판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회전 완료 후에는 양면판을 하강시키게 되면 회전단속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회전단속부재가 양면판의 결속공에 결속되어 양면판이 고정되는 것으로, 간편한 조작에 의해 양면판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고정시켜 사용 중 양면판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면을 사용하는 물품의 회전장치에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 이 있다.
본 발명은 양면판용 회전장치로써, 반대편에 장기판이 형성된 바둑판, 탁구대가 반대편에 형성된 미니당구대, 양면을 사용하는 어린이놀이판, 양면을 사용하는 자수테이블 등 양면을 사용하는 모든 판(테이블)에 적용가능하고, 양면판의 상부에 케이스를 커버시키게 되면 작업용 테이블로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여기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양면 양면다림판을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스부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와이어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100)는 지면에 고정되는 다리(102)의 상부에 체결 고정되는 연결부(110)와, 상기 연결부(110)의 상부에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내측에 장착되는 결속부(410)와, 일측이 양면판(104)에 형성된 결속부(410)에 장착되는 고정부(510)와, 상기 결속부(410)를 동작시키는 와이어(6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10)는 하부에 다리(102)가 끼워지는 연결구(114)가 형성되고, 몸체부(210)의 하부에 체결 고정되는 연결부재(1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연결부재(112)의 외측면에는 몸체부(210)의 회전 반경을 단속하는 지지턱(116)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몸체부(210)의 하부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1체결공(117)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112)의 양측부에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와이어(610)의 일측부가 결속 고정되는 결속홀(11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10)는 연결부(110)에 유동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몸체(212)와, 이 몸체(212)의 상부를 커버하는 케이스(3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몸체(212)와 케이스(312)는 수직 방향으로 분리 형성하여 일측은 몸체(212)로 하고, 반대측은 케이스(312)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분할하여 몸체(212)와 케이스(312)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212)는 하부에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돌출 형성되고, 연결부재(112)의 제1체결공(117)과 대응되게 제2체결공(214a)이 형성되어 힌지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고정구(214)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몸체(212)의 상단에는 제1안착공(216)이 형성되고, 제1안착공(216)의 일측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제1안착홀(218)이 형성되며, 제1안착홀(218)의 양측부에는 상부가 개방되게 서로 대응되는 제1결속홈(220)이 형성되고. 제1안착홀(218)이 형성된 반대 방향에는 제1관통홀(2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212)의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구(214) 사이에는 제1안 착공(216)과 연통되는 절개홈(214b)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안착홀(218)과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부로 돌출 형성된 격판(224)이 형성되고, 이 격판(224)의 전면에는 핀(230)이 안착 고정되는 핀고정홀(22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격판(224)은 회전장치(10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312)는 몸체(212)의 상부에 고정수단(볼트)에 의해 고정되되, 하부에 제2안착공(314)이 형성되고, 제2안착공(314)의 일측부에는 몸체(212)의 제1안착홀(216)과 대응되게 하부가 개방된 제2안착홀(316)이 형성되며, 제2안착홀(316)의 양측부에는 제1결속홈(220)과 대응되게 제2결속홈(31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312)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2안착홈(316)의 반대 방향에는 몸체(212)의 제1관통홀(222)과 대응되는 제2관통홀(320)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제2관통홀(320)의 내측 양측면에는 서로 대응되게 돌출된 결속돌기(3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410)는 몸체(212)의 제1안착공(216)과 케이스(312)의 제2안착공(320)에 상, 하부가 각각 끼워지도록 장착되는 회전방지부재(4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부재(412)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장착공(414)이 형성되고, 이 장착공(414)의 내주면 양측부에는 가이드홈(416)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회전방지부재(412)의 양측 외주면에는 몸체(212)의 제1결속홈(220)과 케이스(312)의 제2결속홈(318)에 상, 하부가 지지되게 끼워져 몸체(212) 및 케이스(312)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연장돌기(418)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방지부재(412)의 하부에는 와이어(610)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공(422)이 형성된 고정부재(4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510)는 일측부가 양면판(104)의 측면에 고정되고, 반대 방향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전방지부재(412)의 장착공(414)에 끼워지는 결속축(514)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5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플레이트(512)는 양면판(104)의 일측에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 고정시킬 수도 있고, 양면판(104)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축(514)의 소정 위치에는 몸체(212) 및 케이스(312)의 제1,2안착공(216)(320)과 제1,2안착홀(220)(316)의 경계면에 걸리도록 하여 고정플레이트(51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516)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516)과 일체로 형성되어 연장 형성되되, 회전방지부재(412)의 장착공(414)에 형성된 가이드홈(416)에 끼워지는 돌기(51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518)는 다수개를 형성되고, 결속부(410)의 장착공(414)에 형성된 가이드홈(416)은 돌기(518)와 대응되게 다수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고정플레이트(512)에 형성된 결속축(516)의 양측에는 회전방지부재(412)의 연장돌기(418)가 끼워지는 끼움구(520)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결속축(516)에 끼워지되, 회전방지부재(412)와 몸체(212)의 격 판(224)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방지부재(412)를 탄성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인 제1탄성부재(5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방지부재(412)의 가이드홈(416)과 연장돌기(418)가 고정플레이트(512)의 돌기(518) 및 끼움구(52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6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연결부재(112)의 결속홀(118)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측부는 몸체(212)의 절개홈(214b)을 통해 제1안착공(216)에 위치되며, 제1안착공(216)에 위치된 와이어(610)의 타측부는 핀(230)에 연결되어 결속부(410)의 고정부재(420)에 형성된 고정공(422)에 끼워져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312)의 상부에는 다림질할 옷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집게부(71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집게부(710)는 케이스(312)의 상부에 장착되되, 케이스(312)의 결속돌기(322)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고리(714)가 형성된 유동부재(7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결속돌기(322)에 끼워지되, 일측은 케이스(312)에 고정되고, 타측은 유동부재(712)의 하부에 위치되어 유동부재(712)를 탄성지지하는 비틀림스프링인 제2탄성부재(71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집게부(710)를 이용하여 바지 등을 다림질할 때 일측을 고정시켜 다림질을 함으로써, 간편하게 바지 등을 다림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양면판용 회전장치(100)에 다리미를 올려놓을 수 있는 안착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양면판이 상승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양면판이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양면판이 상승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100)는 양면판(104)을 파지 후 상부로 올리게 되면 연결부재(112)에 고정된 몸체(212)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212)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소정의 반경으로 몸체가 회전하게 되면 연결부재(112)에 형성된 지지턱(116)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상기 몸체(212)가 상부로 상승함에 따라 와이어(610)가 연결부재(112)에 감기게 되고, 와이어(610)가 연결부재(112)에 감기면서 타측부에 고정된 회전방지부재(412)가 후퇴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방지부재(412)가 고정부(510)의 결속축(514) 상에서 제1 탄성부재(530)를 가압하면서 몸체(212)의 격판(224) 방향으로 후퇴함과 동시에 고정플레이트(512)의 돌기(518)와 끼움구(520)로부터 회전방지부재(412)의 가이드홈 (416) 및 연장돌기(418)가 결속 해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플레이트(512)로부터 회전방지부재(412)의 가이드홈(416) 및 연장돌기(418)가 결속 해지되게 되어 고정플레이트(512)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양면판(104)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양면판(104)을 회전시킨 후 양면판(104)을 하강시키게 되면 제1탄성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방지부재(412)가 원상복귀되게 되고, 이 회전방지부재(412)의 원상복귀에 의해 회전방지부재(412)의 가이드홈(416) 및 연장돌기(418)가 고정플레이트(512)의 돌기(518) 및 끼움구(520)에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양면판(104)을 들어올리게 되면 자동으로 고정플레이트(512)로부터 회전방지부재(412)가 결속 해지되게 되어 간편하게 양면판(104)을 회전시킬 수 있고, 양면판(104)의 회전 완료 후에는 양면판(104)을 하강시키게 되면 제1탄성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방지부재(412)가 고정플레이트(512)에 결속되게 됨으로써, 양면판(104)의 회전 작업을 간편하게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양면판(104)을 간편한 조작에 의해 180°회전시킴으로써, 다림질할 대상물인 상의 및 하의에 맞도록 양면판(104)을 회전시켜 다림질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양면판(104)을 이용하여 바지 등을 다림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집게부(710)에 바지의 일측을 고정시키게 되면 용이하게 다림질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집게부(710)의 유동부재(712)의 일측부를 가압하여 누르게 되면 케이스(312)의 결속돌기(322)를 기준으로 하여 유동부재(712)의 가압부가 하강하게 되고, 반대편을 상승하게 되어 케이스(312)와 유동부재(712)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동부재(712)의 가압부가 하강할 때 제2탄성부재(716)를 가압한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312)와 유동부재(712)의 이격 공간부에 바지의 일측을 위치시킨 후 유동부재(712)의 가압력을 해지시키게 되면 제2탄성부재(716)의 탄성력에 의해 유동부재(712)가 원상복귀되면서 바지가 고정되게 됨으로써, 간편하게 바지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다림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10)에는 다리미를 올려놓을 수 있는 안착부(81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810)는 몸체(212)의 후부, 즉 양면판(104)이 구비된 반대 방향 양측부에 끼움공(228)이 형성되고, 이 끼움공(228)에 다리미가 올려지는 안착부재(81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의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양면판(104)에서 다림질을 한 후 다른 옷으로 교체하거나 다림질하는 옷의 다른 부분을 다림질하고자 옷을 펼칠 때 다리미를 안착부재(812)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다리미에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양면판용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판을 사용시에 상부에서 가압하는 힘에 의해 양면판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간편한 조작에 의해 양면판을 회전시켜 양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양면판용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양면판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스부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와이어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양면판이 상승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양면판이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양면판이 상승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판용 회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회전장치 102 : 다리
104 : 양면판 110 ; 연결부
112 : 연결부재 114 : 연결구
116 : 지지턱 117, 214a : 제1,2체결공
118 : 결속홀
210 ; 몸체부 212 : 몸체
214 : 고정구 214b : 절개홈
216, 314 : 제1,2안착공 218, 316 : 제1안착홀
220, 318 : 제1결속홈 222, 320 : 제1관통홀
224 : 격판 226 : 핀고정홀
230 : 핀 312 : 커버부재
322 : 결속돌기 410 : 결속부
412 : 회전방지부재 414 : 장착공
416 : 가이드홈 418 : 연장돌기
420 : 고정부재 422 : 고정공
510 : 고정부 512 : 고정플레이트
514 : 결속축 516 : 걸림턱
518 : 돌기 520 : 끼움구
530, 716 : 제1,2탄성부재 610 : 와이어
710 : 집게부 712 : 유동부재
714 : 체결고리 810 : 안착부
812 : 안착부재

Claims (13)

  1. 삭제
  2. 양면판용 회전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는 다리의 상부에 체결 고정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장착되는 결속부와,
    양면판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부에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와 결속부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판용 회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부에 다리가 끼워지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후부에 지지턱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제1체결공이 형성된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부에는 서로 대응되게 결속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판용 회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연결부에 체결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소정 위치를 커버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판용 회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하부에 연결부의 연결부재에 힌지 결합되되,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이 고정구의 내측에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단에 제1안착공이 형성되며, 제1안착공의 일측부에는 제1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제1안착홀에는 핀이 안착고정되는 핀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판용 회전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몸체 상부에 고정되되, 하부에 제2안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몸체의 제1안착홀과 대응되는 제2안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안착홀의 반대 방향에는 몸체의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판용 회전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몸체부 몸체 및 케이스의 제1,2안착공에 장착되는 회전방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의 중앙부에는 장착공이 형성되며, 이 장착공의 내주면 양측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의 외주면 양측부에는 몸체부 및 케이스부의 제1,2결속홈에 끼워져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부재의 하부에는 와이어의 일측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판용 회전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측부가 양면판에 일체 또는 체결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에는 양면판이 고정된 반대 방향에는 결속부의 장착공에 끼워지는 결속축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축의 소정 위치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연장 형성되되, 결속부의 장착공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판용 회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형성된 결속축의 양측에는 결속부의 회전방지부재에 형성된 연장돌기가 끼워지는 끼움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축에 끼워지되, 결속부의 회전방지부재와 몸체부의 몸체 내측에 위치되는 제1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판용 회전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연결부의 결속홈에 끼워져 고정되어 몸체부의 몸체에 형성된 절개홈을 통해 핀에 연결되고, 반대 끝단부는 결속부의 고정부재에 형성된 고정공에 끼워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판용 회전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는 집게부가 구비되되, 상기 집게부는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어 케이스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제2관통홀의 양측 내주면에 결속돌기가 형성되어 이 결속돌기에 끼워지는 체결고리가 형성된 유동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결속돌기에 끼워져 유동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판용 회전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다리미를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양면판용 회전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몸체부의 몸체 양측부에 끼움공이 형성되고, 이 끼움공에 끼워지는 안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양면판용 회전장치.
KR1020090085897A 2009-09-11 2009-09-11 양면판용 회전장치 KR101093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897A KR101093095B1 (ko) 2009-09-11 2009-09-11 양면판용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897A KR101093095B1 (ko) 2009-09-11 2009-09-11 양면판용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009A KR20110028009A (ko) 2011-03-17
KR101093095B1 true KR101093095B1 (ko) 2011-12-13

Family

ID=4393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897A KR101093095B1 (ko) 2009-09-11 2009-09-11 양면판용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482B1 (ko) * 2017-03-06 2018-09-13 이기범 다림판용 의류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162B1 (ko) 2003-08-26 2005-07-11 이기범 양면 다림판
EP1602777A2 (en) 2004-02-25 2005-12-07 Luigi Amoretti Ironing apparatus
KR200416109Y1 (ko) 2006-02-27 2006-05-11 구명화 회전 다림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162B1 (ko) 2003-08-26 2005-07-11 이기범 양면 다림판
EP1602777A2 (en) 2004-02-25 2005-12-07 Luigi Amoretti Ironing apparatus
KR200416109Y1 (ko) 2006-02-27 2006-05-11 구명화 회전 다림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009A (ko)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86378B (zh) 婴儿照顾装置
US7676860B2 (en) Security fastening structure of a base of a baby bed for babies to play in
US6984153B2 (en) Electrical accessory
US6634039B1 (en) Folding structure of a baby bed
KR101093095B1 (ko) 양면판용 회전장치
CN204712905U (zh) 儿童汽车座及其支撑腿
KR100802663B1 (ko) 접철식 높이조절장치
JP5723349B2 (ja) ファスナ
US2594123A (en) Foldable ironing board
US20180177290A1 (en) Integrated foldable table tennis table
WO2006031065A1 (en) An ironing board
US4895042A (en) Pump lever for a jack
KR100935459B1 (ko) 높낮이 조절식 지주골조용 고정부재
KR100539466B1 (ko) 절첩식 테이블
KR101297844B1 (ko) 접이식 힌지장치
CN201152304Y (zh) 一种用于滑动连接的定位装置
CN209128774U (zh) 一种便携翻转的熨烫板组件及挂烫机
KR100650553B1 (ko) 집게를 갖는 다리미판
KR100699036B1 (ko) 전기 안전 다리미
CN209018155U (zh) 一种休闲椅用托盘
CN110344228B (zh) 一种具有锁定装置的熨烫设备
US20190191944A1 (en) Toilet convenient to assemble and disassemble
CN205125268U (zh) 一种按压式插扣
CN204862313U (zh) 一种新型拆装方便的盖被
KR200364319Y1 (ko) 안전급수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