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550B1 - 침핀 꽂이 장치 - Google Patents

침핀 꽂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550B1
KR101092550B1 KR1020110057910A KR20110057910A KR101092550B1 KR 101092550 B1 KR101092550 B1 KR 101092550B1 KR 1020110057910 A KR1020110057910 A KR 1020110057910A KR 20110057910 A KR20110057910 A KR 20110057910A KR 101092550 B1 KR101092550 B1 KR 101092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outer case
pin
tak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회자
김민석
Original Assignee
김민석
이회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석, 이회자 filed Critical 김민석
Priority to KR1020110057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rod-shaped articles, e.g. 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65D85/2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for needles, nails or like elongate smal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5/00Drawing-pins, Thumb-t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핀 꽂이 장치는, 다수의 침핀을 한개씩 연속적으로 취출할 수 있으며, 여분의 침핀을 보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사용 편의성은 물론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핀 꽂이 장치 { Needle dispens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침핀 꽂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핀은 서류 또는 천 등의 고정을 위한 것으로 바늘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을 위한 대상물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바늘과 같은 형상의 침핀은 그 형상의 특성상 강한 힘으로 머리 부분을 누르게 되면 다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머리부분을 둥글게 형성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침핀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침핀의 사용시에는 골무와 같은 안전을 위한 용품을 착용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도 있으나, 작업시 마다 착용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상의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침핀의 보관시에도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보관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침핀에 의해 부상을 당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침핀을 한개씩 취출하여 보다 용이하게 꽂는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여분의 침핀을 보관하여 보다 편리하게 수납 및 사용할 수 있는 침핀 꽂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핀 꽂이 장치는, 내부가 중공된 통 형상의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다수의 침핀이 길이방향으로 연속 수용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관 내부의 침핀이 차례로 상기 공급관의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취출 유닛;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에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어 조작시 상기 공급관을 전방이동 시키는 조작부재; 상기 외부 케이스의 개구된 전단에 장착되며, 상기 취출 유닛을 통해 취출되는 침핀을 외부로 안내하는 취출 캡; 및 상기 취출 캡에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침핀을 뽑아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침핀 제거부가 형성된 서포터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공급관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후방의 상기 조작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공급관을 관통하여 상기 공급관 내부의 침핀을 밀어주는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조작부재에는 상기 조작부재의 복귀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에는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을 위해, 상기 외부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절개된 케이스 가이드 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관에는 상기 공급부가 관통되도록 상기 공급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절개된 공급관 가이드 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는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여 여분의 침핀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취출 캡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침핀을 꽂을 때 대상물과 접촉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핀 제거부는 상기 절곡부의 단부가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중심과 떨어진 위치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공급관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회전 조작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회전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상기 다수의 공급관은 상기 취출유닛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취출 캡의 출구는 상기 취출 캡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핀 꽂이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핀 꽂이 장치는 침핀의 취출을 위한 조작부재의 조작으로 침핀이 한개씩 취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핀을 밀어서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보다 안전하게 침핀을 꽂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핀 꽂이 장치는 침핀의 취출시 취출구가 편심되어 경사진 취출 캡을 통하여 침핀의 취출이 가능하게 되고, 취출 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서포터에 의해 상기 침핀 꽂이 장치가 지지됨으로서 안정적인 상태에서 침핀을 꽂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핀 꽂이 장치는 침핀이 연속 공급되는 공급관 외에 여분의 침핀이 별도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침핀을 사용할 때에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핀 꽂이 장치는 침핀이 공급되는 공급관이 다수개 구비되며,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취출 유닛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침핀을 보다 안정적으로 연속 공급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핀 꽂이는 상기 서포터의 단부에 침핀을 뽑을 수 있는 침핀 제거부가 형성되어 사기 침핀 꽂이를 이용하여 침핀을 꽂는 작업은 물론 뽑는 작업도 수행할 수 있으며, 뽑은 침핀은 다시 저장부재 또는 공급관에 수납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핀 꽂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침핀 꽂이의 하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침핀 꽂이의 측면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재의 연결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5-5'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침핀 꽂이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 조작부재의 장착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핀 꽂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핀 꽂이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침핀 꽂이의 하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침핀 꽂이의 측면 투시도이다.
도 1 및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핀 꽂이 장치(1)는 전체적인 형상이 샤프 펜슬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외부 케이스(10)와 취출 캡(20) 그리고 리어 캡(30)에 의해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부 케이스(10)는 내부가 중공되고, 전후면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상면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절개되는 케이스 가이드 홀(11)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가이드 홀(11)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조작부재(60)가 장착되는 구멍으로, 상기 조작부재(60)의 이동 조작시 상기 조작부재(60)를 안내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가.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개구된 전면에는 상기 취출 캡(20)이 장착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개구된 후면에는 리어 캡(30)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케이스(10)는 전면과 후면이 막힌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내부는 다수의 침핀(2)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부 케이스(10)는 사용자가 잡기 용이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케이스(10)는 그립감이 우수하고 내부에 많은 양의 침핀(2)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샤프펜슬의 직경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전반부 하면에는 상기 침핀 꽂이 장치(1)의 사용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그립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12)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12)에는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무 또는 실리콘 패드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취출 캡(20)은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개구된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취출 캡(20)은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 일부가 나사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전단에 회전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취출 캡(20)은 상기 침핀(2)이 외부로 취출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취출 캡(20)의 출구부(21)는 상기 취출 캡(20)의 중앙부에서 다소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구부(21)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침핀(2)의 취출 시 상기 침핀을 보다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구부(21)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취출 캡(20)의 하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출구부(21)를 기준으로 상부의 기울기보다 하부의 기울기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침핀(2)의 취출 및 삽입시 상기 취출 캡(20)의 하면은 대상물과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침핀 꽂이 장치(1)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취출 캡(20)의 하면에는 서포터(22)가 장착된다. 상기 서포터(22)는 상기 침핀(2)을 대상물에 꽂을 때 상기 침핀 꽂이 장치(1)를 지지함과 동시에 대상물에 꽂혀 있는 상기 침핀(2)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서포터(22)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취출 캡(20)의 일측에서 졍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22)는 연장부(221)와 절곡부(2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21)는 상기 취출 캡(20)의 일측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상기 취출 캡(20)의 하면과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21)는 상기 취출 캡(20)의 단부보다는 더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침핀 꽂이 장치(1)의 사용시 상기 서포터(22)에 의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222)는 상기 연장부(221)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취출 캡(20)을 향하여 상방으로 다소 절곡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222)의 단부와 상기 취출 캡(20)의 하면은 다소 이격되어 상기 침핀(2)의 머리 부분이 삽입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222)의 단부에는 침핀 제거부(223)가 형성된다. 상기 침핀 제거부(223)는 상기 절곡부(222)의 단부의 중앙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침핀(2)의 머리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서포터(22)를 이용하여 침핀(2)을 뽑기 위해서는 상기 침핀(2)의 머리 부분을 상기 침핀 제거부(223)에 삽입하고, 상기 침핀(2)의 머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침핀 꽂이 장치(1)를 상기 절곡부(222)를 기준으로 지렛대와 같이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침핀(2)이 원할하게 빠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포터(22)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영구자석으로 형성되거나, 영구자석이 부착된 상태에서 자성을 띨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침핀(2)을 수거하거나 일시 보관하게 될 때 상기 서포터(22)에 부착할 수 있게 되므로 분실을 방지하고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22)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취출 캡(20)에 수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서포터(22)는 상기 취출 캡(20)에 회동에 의해 밀착되거나, 슬라이드 인출입되어 침핀(2)을 뽑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개구된 후면에는 리어 캡(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캡(30)은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개구된 후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압입 또는 나사방식의 결합에 의해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내측에는 상기 침핀(2)의 순차적인 공급을 위한 취출유닛(40)과 상기 침핀(2)의 공급을 위한 공급관(50) 그리고 침핀(2)의 저장을 위한 저장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취출유닛(40)은 상기 취출 캡(20)의 내부 및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전반부에 위치되며, 상기 공급관(50)과 연결되어 상기 침핀(2)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취출유닛(40)은 일반적인 샤프펜슬의 내부 구성과 유사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취출유닛(40)은 전단에 구비되며 다수의 갈래로 갈라져 침핀(2)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재(41)와, 상기 배출부재(41)를 감싸는 수용부재(42) 그리고, 상기 수용부재(4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50)을 뒤에서 밀어주게 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43)가 압축되면서 상기 배출부재(41)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배출부재(41)는 양측으로 갈라지게 되면서 상기 침핀(2)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공급관(5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될 경우, 상기 배출부재(41)와 공급관(50)은 상기 탄성부재(43)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배출부재(41)는 상기 수용부재(42)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갈라진 부분들이 다시 닫히게 된다.
한편, 상기 침핀(2)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침핀(2)이 취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재(41)의 단부에는 고정홈(4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침핀(2)이 상기 배출부재(41)를 지나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부재(41)가 닫히게 되면, 상기 침핀(2)의 머리 부분이 상기 배출부재(41)의 고정홈(411)에서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침핀(2)은 상기 취출 캡(20)을 통해 일정길이만큼 노출된 상태가 되고, 사용자는 상기 외부 케이스(10)를 잡고 상기 침핀(2)을 안정적으로 꽂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침핀(2)을 꽂은 후에는 상기 배출부재(41)가 다시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침핀(2)을 상기 취출 캡(20)으로부터 완전히 취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급관(50)은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취출유닛(41)의 후단과 연결된다. 상기 공급관(50)은 내부에 다수의 침핀(2)이 길이방향으로 연속 저장될 수 있도록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내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공급관(50)은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내측 중심 부분에서 다소 상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취출 캡(20)의 출구부(21) 및 취출유닛(40)과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50)에는 상기 조작부재(60)와 대응하는 위치에 절개된 공급관 가이드 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 가이드 홀(51)은 사용자의 상기 조작부재(60) 조작시 상기 조작부재(60)의 일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공급관(5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 가이드 홀(51)은 상기 케이스 가이드 홀(1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재(60)의 조작시 상기 조작부재(60)가 이동되면서 상기 공급관(50) 내부의 침핀(2)을 밀어 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작부재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재의 연결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작부재(60)는 상기 침핀(2)의 취출 조작을 위한 것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10)에 장착되며, 상기 공급관(50)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관(50)을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60)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61), 공급관(50)과 연결되는 연결부(62) 그리고 상기 공급관(50)의 내측에서 상기 침핀(2)을 밀어주는 공급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조작부(61)는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 가이드 홀(11)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조작부(61)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표면에 돌기가 형성되거나 고무 패드 등이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재(60)의 조작을 위해 상기 조작부(61)를 손으로 누르고 전방으로 밀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61)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조작부(61)는 상기 그립부(12)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외부 케이스(10)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침핀(2)을 취출하거나 꽂기 위해서 상기 외부 케이스(10)를 잡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그립부(12)와 조작부(61)의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조작부(61)의 하면에는 연결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2)는 상기 조작부(61)의 하면 전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62)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 홀(11)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내측에서 상기 공급관(5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2)는 상기 공급관(50)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급관(50)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62)는 상기 공급관(5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2)는 상기 공급관(50)에 돌출된 돌출부(52)와 간섭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62)는 상기 공급관(50)과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61)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공급관(50)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취출유닛이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62)에는 탄성부재(621)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621)는 상기 조작부(61)와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조작부(61)의 조작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조작부(61)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61)의 하면에는 공급부(6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63)는 상기 연결부(62)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조작부(61)의 하면 후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63)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61)의 조작 전 상태에서는 상기 공급관(50)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조작부(61)를 누르게 되면, 상기 공급관(5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63)에는 탄성부재(6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631)는 상기 공급부(63)와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조작부(61)의 조작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조작부(61) 및 연결부(6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61)를 누르게 되면, 상기 공급부(63)는 상기 공급관(5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6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침핀(2)은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침핀(2)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여 상기 침핀(2)을 꽂을 때 침핀(2)이 뒤로 밀리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침핀(2)을 꽂고 난 후 상기 조작부(61)에 손을 떼면 상기 조작부(61)는 상기 취출유닛(40)에 구비된 탄성부재(43)에 의해 상기 공급관(5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조작부재(60)에 구비된 탄성부재(621,631)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저장부재(70)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저장부재(7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도 3의 5-5'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내측에는 공급관(50)과 저장부재(7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관(50)은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중심에서 상방으로 치우친 일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저장부재(70)는 상기 공급관(50) 하방의 상기 외부 케이스(10) 내측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재(70)는 내부가 중공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반원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재(70)는 반경이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반경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최대한 많은 양의 침핀(2)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저장부재(70)에는 공급되지 않는 침핀(2)을 수납하게 되며, 상기 공급관(50)에 장전된 침핀(2)의 사용이 완료될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재(70) 내부에 수납된 침핀(2)을 꺼내어 상기 공급관(50)에 장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저장부재(70)는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면이 막혀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리어 캡(30)을 닫을 경우 상기 개구된 후면이 차폐되어 내부에 수납된 침핀(2)이 외부로 빠지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리어 캡(30)을 닫게 되면,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후면을 닫게 되어 상기 공급관(50) 및 저장부재(70) 모두 후면이 닫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침핀 꽂이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침핀 꽂이 장치(1)의 사용을 위해서 우선 리어 캡(30)을 개방하고, 상기 공급관(50)에 침핀(2)을 장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침핀(2)은 바늘 부분이 전방을 향하고 머리 부분이 후방을 향하게 되며, 동일한 배치로 연속하여 다수개가 장전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상기 저장부재(70)에는 여분의 침핀(2)이 수납된다.
상기 침핀(2)의 장전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침핀(2)을 꽂기 위한 대상물에 상기 침핀 꽂이 장치(1)를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그립부(12)와 상기 조작부(61)를 잡은 상태로 상기 침핀 꽂이 장치(1)를 가져가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61)를 눌러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연결부(62)에 의해 상기 공급관(50)이 전방 이동되고, 상기 취출유닛(40)의 동작으로 침핀(2)이 상기 취출 캡(20)의 출구부(21)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63)는 상기 공급관(5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침핀(2)의 머리를 후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침핀(2)을 대상물에 꽂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침핀(2)을 보다 안정적으로 꽂을 수 있도록 상기 취출 캡(20)의 경사진 하면 또는 상기 서포터(22)를 상기 대상물에 안착시키거나 지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재(6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침핀(2)을 꽂은 후에 상기 조작부(61)를 누르는 손을 떼면, 상기 조작부재(6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상기 침핀(2)을 꽂는 작업이 완료되고, 연속하여 다음 침핀(2)을 꽂을 수 있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꽂혀 있는 침핀(2)을 뽑기 위해서는 상기 서포터(22)를 상기 침핀(2)의 위치로 가져가고, 상기 침핀(2)의 머리 부분이 상기 침핀 제거부(223)에 상기 침핀(2)의 머리 부분을 넣은 후 상기 침핀(2)을 뽑게 된다. 뽑혀진 침핀(2)은 상기 서포터(22)의 자성에 의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다시 상기 공급관(50)에 장전되거나, 상기 저장부재(70)에 수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침핀 꽂이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침핀 꽂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친핀 꽂이는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 다수의 공급관이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취출 유닛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침핀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공급관과 조작부재의 구성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침핀 꽂이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 조작부재의 장착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침핀 꽂이 장치(1)는, 상기 외부 케이스(10)와 상기 취출 캡(20) 및 리어 캡(3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취출 캡(20) 전단에는 침핀(2)이 취출되는 상기 취출부(21)가 형성되고, 침핀(2)을 뽑거나, 침핀 꽂이 장치(1)를 지지하는 서포터(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취출 캡(20)의 후단에는 리어 캡(30)이 구비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개구된 후면 또는 상기 회전 조작부재(60)의 후면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취출 캡(20)과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전반부에는 상기 취출유닛(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내부 중앙에는 저장부재(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재(71)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여분의 침핀(2)이 수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다수의 공급관(50)이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공급관(50)은 상기 저장부재(7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50)을 회전시키게 되면, 최상부에 위치되는 공급관(50)이 상기 취출유닛(4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취출유닛(40)과의 연결에 의해 취출을 위한 침핀(2)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공급관(50)의 후단에는 회전 조작부재(6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조작부재(60)는 상기 다수의 공급관(5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후단에 배치되어 외부로 측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 조작부재(60)는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외측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공급관(50) 및 상기 저장부재(71)는 상기 회전 조작부재(60)를 관통하여 고정되며, 상기 회전 조작부재(60)는 상기 저장부재(71)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 조작부재(6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공급관(50)은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부 케이스(10)에는 조작부재(6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재(60)는 조작부(64)와 연결부(65) 그리고 공급부(6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64)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10)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조작부(64)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공급관(50) 중 상단에 위치되는 공급관(50)에 연결되는 연결부(65)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65)는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케이스 가이드 홀(11)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내측에서 하방이 개구된 "n"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64)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부(65)가 상기 공급관(5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가 되고, 상기 조작부(64)를 누르게 되면 상기 공급관(50)이 상기 연결부(65)의 내측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64)를 전방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공급관(50)의 돌출부(52)와 상기 연결부(65)가 간섭되어 상기 조작부(64)와 공급관(50)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취출유닛(40)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작완료 후에는 탄성부재(651)에 의해 다시 상기 연결부(65)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연결부(65)와 상기 공급관(50)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회전 조작부재(60)를 조작하여 상기 다수의 공급관(50) 중 하나의 공급관(50)과 선택하여 상기 연결부(65)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급부(66)는 상기 연결부(65)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조작부(64)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조작부(64)를 누르게 되면, 상기 공급부(66)는 상기 케이스 가이드 홀(11)과 상기 공급관 가이드 홀(51)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공급관(50) 내부의 침핀(2)을 밀거나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회전 조작부재(60)의 조작을 통해 다수의 공급관(50)을 상기 취출유닛(40)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침핀(2)을 연속 취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삭제
  2. 내부가 중공된 통 형상의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다수의 침핀이 길이방향으로 연속 수용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의 전단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관 내부의 침핀이 차례로 상기 공급관의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취출 유닛;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에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어 조작시 상기 공급관을 전방이동 시키는 조작부재;
    상기 외부 케이스의 개구된 전단에 장착되며, 상기 취출 유닛을 통해 취출되는 침핀을 외부로 안내하는 취출 캡; 및
    상기 취출 캡에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침핀을 뽑아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침핀 제거부가 형성된 서포터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공급관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후방의 상기 조작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공급관을 관통하여 상기 공급관 내부의 침핀을 밀어주는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핀 꽂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에는 상기 조작부재의 복귀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핀 꽂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에는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을 위해, 상기 외부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절개된 케이스 가이드 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핀 꽂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에는 상기 공급부가 관통되도록 상기 공급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절개된 공급관 가이드 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핀 꽂이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는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여 여분의 침핀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핀 꽂이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취출 캡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침핀을 꽂을 때 대상물과 접촉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핀 꽂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침핀 제거부는 상기 절곡부의 단부가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핀 꽂이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중심과 떨어진 위치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핀 꽂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핀 꽂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회전 조작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상기 다수의 공급관은 상기 취출유닛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핀 꽂이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캡의 출구는 상기 취출 캡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핀 꽂이 장치.
KR1020110057910A 2011-06-15 2011-06-15 침핀 꽂이 장치 KR101092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910A KR101092550B1 (ko) 2011-06-15 2011-06-15 침핀 꽂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910A KR101092550B1 (ko) 2011-06-15 2011-06-15 침핀 꽂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2550B1 true KR101092550B1 (ko) 2011-12-12

Family

ID=45506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910A KR101092550B1 (ko) 2011-06-15 2011-06-15 침핀 꽂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5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5882A (en) 1977-02-24 1978-04-25 Robert Stamper Nailing tool
US6345755B1 (en) 1998-12-23 2002-02-12 Thomas Leslie Fields Nail driving device with depth guid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5882A (en) 1977-02-24 1978-04-25 Robert Stamper Nailing tool
US6345755B1 (en) 1998-12-23 2002-02-12 Thomas Leslie Fields Nail driving device with depth gui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87317A (zh) 便携设备保护装置
KR101092550B1 (ko) 침핀 꽂이 장치
US20110138974A1 (en) Hand tool having exchangeable tool bits
US4456816A (en) Holder for electrically heated instruments and the like
KR20090103655A (ko) 막대형 비닐봉지 커피믹스 인출장치
CN202344427U (zh) 四爪取物器
CN102845891A (zh) 一种针盒
CN102653095A (zh) 工具盒
CN210092479U (zh) 一种电子绘图笔插座
JP3171622U (ja) 釣り針外し具
EP2637753B1 (fr) Positionneur automatique de tee et de balle de golf, pour parcours de golf
KR200341490Y1 (ko) 마우스를 내부에 수납하는 노트북 컴퓨터
CN217723727U (zh) 一种用于夹住疝针进行清洗的盒架
KR20010058630A (ko) 접착테이프용 수납케이스
CN215194591U (zh) 一种便于销毁针头的锐器盒
KR20090098391A (ko) 모바일 의료용 카트
KR102286632B1 (ko) 다이얼 샤프
KR200331464Y1 (ko) 샤프펜슬
CN212139810U (zh) 一种化学器皿放置柜
JP3124233U (ja) 画鋲ケース
JP3177745U (ja) コンパス
CN210225024U (zh) 一种便于充电线收纳的手机充电器
CN211213546U (zh) 一种便携式锐器收集盒
JP2011135819A (ja) 釣竿
CN209184469U (zh) 一种新型电动车电源适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