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399B1 -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399B1
KR101092399B1 KR1020100019509A KR20100019509A KR101092399B1 KR 101092399 B1 KR101092399 B1 KR 101092399B1 KR 1020100019509 A KR1020100019509 A KR 1020100019509A KR 20100019509 A KR20100019509 A KR 20100019509A KR 101092399 B1 KR101092399 B1 KR 101092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display device
afterimage display
mounting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485A (ko
Inventor
이성복
김문섭
Original Assignee
이성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복 filed Critical 이성복
Priority to KR1020100019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399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5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supported by the whe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7Displays with power supply provided by solar cells or photo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는, 회전 중심으로 이루는 허브와, 상기 허브보다 큰 반경을 갖고 허브의 바깥쪽 둘레에 배치되는 회전 링과, 상기 허브와 회전 링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체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잔상표시장치는, 상기 허브와 회전 링 사이에 회전체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어 장착되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탄성부재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허브의 둘레면 또는 상기 회전 링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장착체가 구비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경제성을 높이면서도, 회전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보다 안정된 장착 구조를 실현함과 아울러, 회전체의 회전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전체적으로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Afterimage display device which is affixed in the rotary body}
본 발명은 자전거 또는 모터사이클 등과 같은 회전체의 장치일부 또는 회전장치 전체에 장착되어 잔상효과를 통한 문자, 이미지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체가 시각적으로 빠른 속도로 발광 후 점멸하면 빛의 자극이 제거된 후에도 인간의 시각기관인 망막에 각각의 자국이 남아 있음으로 해서 영상의 겹침이 일어난다. 이 현상은 쪼개어진 각각의 영상을 생생히 계속되는 영화로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가 계속되어 시각작용이 잠시 남는 잔상현상이 생겨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회전체 즉, 자전거나 모터사이클 등의 바퀴에 잔상표시장치를 설치하여 바퀴의 회전에 따른 잔상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등록특허 10-0883568에 개시된 '회전체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이하 '특허발명'이라 함)의 도면들이다.
도면에 예시된 특허발명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잔상표시장치의 구조 및 문제점을 살펴본다.
위 특허발명은, 스윙 또는 회전에 의해 조사되는 빛이 잔상효과를 발생하여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로 표시되는 잔상표시장치(100)와, 이 잔상표시장치(100)를 자전거의 전방 바퀴 또는 후방 바퀴의 바퀴살(3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고정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수단(200)은 상기 잔상표시장치(100)가 일정부분 내입되는 몸체부(110), 이 몸체부(110)의 상부와 결합되며 일측과 타측이 회전체의 전방 바퀴 또는 후방 바퀴의 바퀴살(300)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20), 몸체부(110)의 하부 일측와 고정결합되며 잔상표시장치(100)와 분리되지 않도록 일정 외력을 가압하는 결착부(130), 하부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바퀴살의 일정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고정브라켓(120)은 몸체부(110) 및 바퀴살(300)과 결합되어 잔상표시장치(10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이 고정브라켓(120)의 일단부(도 2에서 오른쪽)가 한 쪽 바퀴살(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반대쪽에서 너트부재(150)로 다른 쪽 바퀴살(300)에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특허발명을 포함한 종래 기술의 잔상표시장치는, 회전체의 반경 반향으로 연결된 부재, 즉 자전거 바퀴의 바퀴살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잔상표시장치를 바퀴 등 회전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부품이 매우 복잡하여 제작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특허발명을 포함한 종래 기술의 잔상표시장치는, 바퀴살에 볼트 등으로 조여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자전거와 같이 중량이 가벼우면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바퀴의 경우에는 회전 무게 균형이 깨어져서, 자전거 주행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고, 특히 산악 자전거 등과 같은 고성능 자전거들의 경우에는 더욱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특허발명을 포함한 종래 기술의 잔상표시장치는, 양쪽 바퀴살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잔상표시장치를 보다 안정되고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하기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특허발명을 포함한 종래 잔상표시장치는,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여 발광체를 발광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잦은 배터리 교체 작업으로 상당한 불편이 따르고 배터리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경제성을 높이면서도, 회전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보다 안정된 장착 구조를 실현함과 아울러, 회전체의 회전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력 발광이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체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회전체의 크기에 맞게 전체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한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는, 회전 중심으로 이루는 허브와, 상기 허브보다 큰 반경을 갖고 허브의 바깥쪽 둘레에 배치되는 회전 링과, 상기 허브와 회전 링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체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잔상표시장치는, 상기 허브와 회전 링 사이에 회전체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어 장착되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탄성부재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허브의 둘레면 또는 상기 회전 링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장착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잔상표시장치는, 그 일측에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태양전지판이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얻어진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잔상표시장치는, 상기 허브와 회전 링 사이에 회전체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한 쪽 끝단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디부의 다른 쪽 끝단부가 상기 회전 링에 밀착되게 하면서 상기 허브의 둘레에 장착되는 허브 장착체와, 상기 바디부와 허브 장착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허브 장착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체가 자전거 바퀴이고, 상기 회전 링이 바퀴의 림(rim)일 경우에,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림에 밀착되는 부분은 림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바퀴의 원주 방향으로 오목한 홈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허브 장착체가 구비되는 부분에 상기 허브 장착체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체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브 장착체는 허브의 둘레에 밀착되는 부분에 오목한 홈 구조의 허브 장착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경우에, 상기 바디부와 허브 장착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프링 지지핀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프링 지지핀은 상기 바디부와 허브 장착체에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모두 구비되되, 암수 방식으로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부의 한쪽 면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태양전지판이 구비되고, 반대쪽 면에는 상기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얻어진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는 회전체의 반경에 따라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가이드체는 바디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바디부에 구비된 삽입부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바디부의 전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는, 바디부의 적어도 한쪽에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장착체를 구비하여, 간단한 구조로 경제성을 높이면서도, 회전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보다 안정된 장착 구조를 실현함과 아울러, 회전체의 회전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전체적으로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력 발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경제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체의 크기에 맞게 바디부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회전체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사이즈의 회전체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 특허발명의 잔상표시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도 1에서 잔상표시장치의 설치 상태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표시장치가 자전거 바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표시장치가 자전거 바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표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표시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표시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표시장치의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표시장치의 배면도로서, 허브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각 도면의 (a) 부분은 길이를 길게 했을 때의 조절 상태도, (b) 부분은 길이를 짧게 했을 때의 조절 상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는, 자전거 바퀴에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가 설치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잔상표시장치는 자전거 바퀴 한정되지 않고, 자전거 바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 모터사이클 등 다른 여러 회전체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표시장치가 자전거 바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상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20)가 장착되는 회전체의 하나인 자전거 바퀴(10)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바퀴(10)의 회전 중심으로 이루는 허브(11)와, 이 허브(11)보다 큰 반경을 갖고 허브(11)의 바깥쪽 둘레에 배치되어 타이어가 장착되는 회전 링인 림(rim)(13)과, 상기 허브(11)와 림(13)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인 바퀴살(15)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가 자전거 바퀴에 장착되는 경우, 회전체는 자전거 바퀴가 되며, 회전 링은 자전거 바퀴의 림(Rim)이 된다.
이러한 자전거 바퀴(10)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20)는, 상기 허브(11)와 림(13) 사이에서 바퀴(10)의 반경 방향으로 길게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20)는, 그 일측에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태양전지판(31)이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태양전지판(31)으로부터 얻어진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3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20)의 구성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잔상표시장치(20)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허브(11)와 림(13) 사이에 바퀴(10)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디부(21)와, 이 바디부(21)의 한 쪽 끝단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디부(21)의 다른 쪽 끝단부가 림(13)의 내측에 밀착되게 하면서 상기 허브(11)의 둘레에 장착되는 허브 장착체(25)와, 바디부(21)와 허브 장착체(25)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허브 장착체(2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21)는,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박스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면과 내부에는 잔상표시를 위한 제반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바디부(21)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허브(11)에 양쪽에 교대로 연결되는 바퀴살(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부(21)의 한 쪽 면에는 배터리를 이용하지 않고도 전기 에너지를 자체 제공할 수 있도록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태양전지판(31)이 구비되고, 반대쪽 면에는 상기 태양전지판(31)으로부터 얻어진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33)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바디부(21)의 내측에는 상기 태양전지판(31)을 통해 얻어진 전기 에너지를 발광체(33)에 제공할 수 있는 전원제공시스템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태양전지판(31)을 통해 얻어진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지, 축전지에서 발광체(33)에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수단은 발광체(33)의 발광 형태(점멸시간, 발광 개수 및 범위, 발광 색상 등)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여러 잔상표시 프로그램들이 메모리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 번호 35는 발광 제어스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발광 제어스위치(35)는 잔상표시장치(20)의 제어를 위해 공지의 스위치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에서 발광체(33)는 LE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할 수 있는 공지의 발광체이면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바디부(21)의 한쪽 면에 태양전지판(31)이 설치되고, 반대쪽 면에 발광체(33)가 설치된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조건에 따라 태양전지판(31)과 발광체(33)들을 바디부(21)의 외측면에 적절하게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들 들면, 바디부(21)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로 분할하여 양쪽면 상부에는 발광체(33)를 설치하고, 양쪽면 하부에는 태양전지판(31)을 설치하거나, 바디부(21)의 각 면의 중앙에는 발광체(33)를 상하로 길게 설치하고, 발광체(33)의 양쪽에 태양전지판(31)을 배치하는 구조 등 실시 조건에 따라 태양전지판(31)과 발광체(33)의 배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에서는 발광체(33)가 바디부(2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 역시 실시 조건에 따라 발광체(33)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고, 또 발광체(33)가 빛을 발생시켜 잔상을 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다양한 문자, 또는 문양(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가능한 발광 조합체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바디부(21)는 도면에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는 부분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태양전지판(31)에 의해 축전된 전기 에너지가 방전 또는 소모되었을 때, 배터리를 이용하여 비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물론, 태양전지판(31)에 의한 발생한 전기에너지와 배터리에서 제공된 전기에너지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이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상기와 같은 바디부(21)의 상부(도면에서)에는 상기 림(13)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림 밀착체(29)가 구비되는데, 림 밀착체(29)의 상면(바깥쪽면)에는 상기 림(13)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바퀴(10)의 원주 방향으로 오목한 홈 구조의 림 밀착홈(29a; 도 7 참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등에서 림 밀착체(29)가 좌우 방향으로 직선형인 구조로 예시하고 있지만, 림(13)의 내측 곡률과 대략 일치하도록 곡면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상기 바디부(21)의 하부(도면에서)에는 상기 허브 장착체(25)가 구비되는 부분에 상기 허브 장착체(25)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체(2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가이드체(23)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21)의 하단부에서 일자형 구조로 나란히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허브 장착체(25)의 상하 슬라이딩 운동 및 이탈 방지를 위해서, 가이드체(23)의 내면과 허브 장착체(25) 사이에는 가이드 결합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 결합 구조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도면 예시 및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상기 허브 장착체(25)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체(23)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허브(11)에 장착되는 부분은 허브(11)의 둘레면 안착되도록 오목한 홈 구조로 허브 장착홈(25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탄성부재(27)는 상기 허브 장착체(25)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체이면 공지의 탄성부재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27)를 예시한다.
탄성부재(27)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상기 바디부(21)와 허브 장착체(25)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코일 스프링의 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프링 지지핀(22)(26)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지지핀(22)(26)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21)와 허브 장착체(25)에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모두 구비될 수 있으며, 스프링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암수 방식으로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바디부(21) 쪽에 연결된 스프링 지지핀(22)에 허브 장착체(25)에서 연결된 스프링 지지핀(26)이 삽입되는 구조를 예시하였다. 이러한 스프링 지지핀(22)(26)은 어느 한쪽에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도면에서와 같이 바디부(21)와 허브 장착체(25)에 모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20)를 자전거 바퀴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디부(21)의 하측에 구비된 허브 장착체(25)를 자전거 바퀴(10)의 허브(11)에 대고 힘을 가하게 되면, 탄성부재(27)가 압축되면서 바디부(21) 전체가 허브(11)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측의 림 밀착체(29)를 림(13)의 안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힘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부재(27)의 복원력에 의해 허브 장착체(25)는 허브(11)에 밀착되고, 반대쪽의 림 밀착체(29)는 림(13)에 밀착됨으로써 잔상표시장치(20)가 자전거 바퀴(10)에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잔상표시장치(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스위치를 작동하여 잔상표시 시스템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잔상표시장치(20)를 자전거 바퀴에서 분리하는 방법은 상기 장착 방법과 반대로 하여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허브 장착체(25) 쪽에 구비된 탄성부재(27)에 의해 장착력이 제공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림 밀착체(29) 쪽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장착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허브 장착체(25)는 바디부(21)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림 밀착체(29)는 바디부(21)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바디부(21)에 지지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력이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21)의 양쪽 모두, 즉 허브 장착체(25)와 림 밀착체(29)가 모두 탄성부재에 지지된 상태에서 바디부의 양쪽에서 장착력이 제공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상기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도면 예시 및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의 잔상표시장치는, 특정 반경을 가진 자전거 바퀴(회전체) 등에 이용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자전거 바퀴의 크기 즉, 반경이 달라지더라도 잔상표시장치의 전체 길이를 가변시키도록 구성하여 공용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며, 다른 구성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잔상표시장치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잔상표시장치(20)에서 길이 조절 가능 구조는 바디부(21)의 하단부에 삽입부(21a)가 구성되고, 이 삽입부(21a)에 가이드체(23) 등이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체(23)가 삽입부(21a)에 삽입되는 정도(깊이)를 적절하게 조절한 다음 고정핀(24)을 이용하여 전체 길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잔상표시장치의 전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회전체 즉, 자전거 바퀴의 반경이 달라지더라도 본 발명의 잔상표시장치를 공용으로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참조 번호 23a는 양쪽 가이드체(23)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삽입부(21a)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탄성부재(27)를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양쪽 가이드체(23), 탄성부재(27), 허브 장착체(25)가 일체로 움직이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를 보여준다.
또한 고정핀(24)은 바디부(21)와 양쪽 가이드체(23)에 각각 형성된 고정홀(23b)에 함께 삽입됨으로써, 잔상표시장치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고정홀(23b)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바디부(21)과 가이드체(23)의 길이를 적절하게 설정한 상태에서, 상호 고정하는 구조로 상기한 고정핀(11) 및 고정홀(23b)을 이용한 고정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두 부재(바디부와 가이드체)를 상호 고정할 수 있는 공지의 다른 여러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과 도 11에서 (a) 부분은 잔상표시장치의 길이를 길게 했을 때의 조절 상태도이고, (b) 부분은 잔상표시장치의 길이를 짧게 했을 때의 조절 상태도를 보여준다.
한편, 도면에 예시된 잔상표시장치에서 길이 조절 가능 구조는 가이드체(23)가 구비된 하부(도면에서) 쪽에 설치된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잔상표시장치의 상부 쪽인 림 밀착체(29)가 구성된 부분에 상기와 동일한 구조로 림 밀착체(29)와 바디부(21)를 분리하여, 림 밀착체(29)와 바디부(21)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전체 길이를 가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회전 중심으로 이루는 허브와, 상기 허브보다 큰 반경을 갖고 허브의 바깥쪽 둘레에 배치되는 회전 링과, 상기 허브와 회전 링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체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잔상표시장치는,
    상기 허브와 회전 링 사이에 회전체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한 쪽 끝단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디부의 다른 쪽 끝단부가 상기 회전 링에 밀착되게 하면서 상기 허브의 둘레에 장착되는 허브 장착체와,
    상기 바디부와 허브 장착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허브 장착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허브 장착체가 구비되는 부분에 상기 허브 장착체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잔상표시장치는, 그 일측에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태양전지판이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얻어진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
  3. 삭제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가 자전거 바퀴이고, 상기 회전 링이 바퀴의 림(rim)일 경우에,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림에 밀착되는 부분은 림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바퀴의 원주 방향으로 오목한 홈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
  5. 삭제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허브 장착체는 허브의 둘레에 밀착되는 부분에 오목한 홈 구조의 허브 장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
  7. 삭제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핀은 상기 바디부와 허브 장착체에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모두 구비되되, 암수 방식으로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한쪽 면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태양전지판이 구비되고, 반대쪽 면에는 상기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얻어진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
  10.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회전체의 크기에 따라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
  11. 청구항10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허브 장착체가 구비되는 부분에 상기 허브 장착체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체가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가이드체는 바디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바디부에 구비된 삽입부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바디부의 전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
KR1020100019509A 2010-03-04 2010-03-04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 KR101092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509A KR101092399B1 (ko) 2010-03-04 2010-03-04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509A KR101092399B1 (ko) 2010-03-04 2010-03-04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485A KR20110100485A (ko) 2011-09-14
KR101092399B1 true KR101092399B1 (ko) 2011-12-12

Family

ID=4495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509A KR101092399B1 (ko) 2010-03-04 2010-03-04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3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337Y1 (ko) * 2005-06-08 2005-08-31 김영환 바퀴에 장착하는 회전용 잔상영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337Y1 (ko) * 2005-06-08 2005-08-31 김영환 바퀴에 장착하는 회전용 잔상영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485A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58894A (zh) 电动平衡车
JP3163844U (ja) 自転車用靴固定装置
US8356824B1 (en) Stroller illumination system
US9359040B2 (en) Electric bike retrofit for disc brakes bicycle
US20100270871A1 (en) Electric generating system of a vehicle
TW201936446A (zh) 自行車操作裝置
KR20110113929A (ko) 자가발전 전기자전거
KR101092399B1 (ko) 회전체 장착용 잔상표시장치
ES2754299T3 (es) Rueda de bicicleta
US9219405B2 (en) Portable driven generator
CN110550085A (zh) 一种卡丁车及其控制方法
KR20170099186A (ko) 전기 자전거용 휠 모터 조립체
KR101630170B1 (ko) 이륜차용 휴대형 충전장치
CN108544390A (zh) 一种安装式转动变位加工装置
KR200473458Y1 (ko) 자전거용 휴대형 램프 장착기구
KR20170106788A (ko) 전기 자전거용 휠 모터 조립체
KR101902484B1 (ko) 광고용 자전거 휠라이트
EP3889023A1 (en) Movable magnet type bicycle pedal, and shoe coupling device equipped with means for preventing attachment of metal powder
JP4746151B1 (ja) 自転車の灯火システム
KR200484402Y1 (ko) 자전거용 발광등
PT108079A (pt) Dispositivo de modulação de binário de eixo pedaleiro de bicicleta e processo de afinação de binário gerado pelo dispositivo
CN205801401U (zh) 一种电动自行车中置电机的安装结构
CN104859776A (zh) 一种新型脚踏车驱动装置
KR101735215B1 (ko)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송수단
CN209776710U (zh) 一种滑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