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759B1 -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 - Google Patents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1759B1 KR101091759B1 KR1020100072862A KR20100072862A KR101091759B1 KR 101091759 B1 KR101091759 B1 KR 101091759B1 KR 1020100072862 A KR1020100072862 A KR 1020100072862A KR 20100072862 A KR20100072862 A KR 20100072862A KR 101091759 B1 KR101091759 B1 KR 1010917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peller
- stern
- shaft
- sliding
- propul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08—Means enabling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propulsion element, e.g. for trim, tilt or steering; Control of trim or tilt
- B63H20/10—Means enabling trim or tilt, or lifting of the propulsion element when an obstruction is hit; Control of trim or tilt
- B63H20/106—Means enabling lifting of the propulsion element in a substantially vertical, linearly sliding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08—Means enabling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propulsion element, e.g. for trim, tilt or steering; Control of trim or tilt
- B63H20/12—Means enabling stee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08—Steering gear
- B63H25/12—Steering gear with fluid transmis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벨기어박스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면서 축을 길이방향으로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슬라이드축(50)과; 동력을 가속 및 감속하여 전달하는 기어박스(60)와; 상기 기어박스에 연결되고, 선미추진기 본체를 상하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도록 작동하는 상하 유압실린더(70)와; 상기 기어박스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그 내부에는 회전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까지 연결되는 추진축을 형성하며, 당해 추진축을 중심으로 선미추진기를 좌우로 회전시켜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추진기중심축(80)과; 추진기중심축에 연결되고, 공동화현상(Cavitation)을 방지하는 공동화현상 방지장치(90)와; 내부에 회전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110)를 구비하여 프로펠라 하우징을 형성하는 선미추진기 본체(100)와; 상기 선미추진기 본체의 상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베드(120)와; 선미추진기 본체를 조립하고 부착하여, 상하 직선이동을 행하는 슬라이딩본체(130)와; 상기 슬라이딩본체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추진기중심축을 내부에 관통하여 설치하는 상부조타베어링(140)과; 상기 슬라이딩본체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추진기중심축을 내부에 관통하는 하부조타베어링(150)과; 상기 슬라이딩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선미추진기 본체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선박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조타장치부(160); 를 일체로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의 선미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의 정박이나 수리 또는 보관시에 추진장치의 파손이나 부식방지 및 해조류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추진장치를 바닷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해수면 보다 높은 위치로 들어 올릴 수 있는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미추진장치는 선박의 후미에 설치되어 선박을 추진시키거나 후진시키고 또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선미추진장치는 대개 구동부와 이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는 스턴드라이브로 이루어지는 데 이 스턴드라이브에 의해 추진부가 해수로 잠긴 채 추진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선미추진장치로는 엔진과 추진기 일체형인 선외기 방식의 장치와 선내외기의 선미추진기 방식의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에 이용되는 선외기 방식의 선미추진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작동 설명도이고, 도 2는 종래에 이용되는 선내외기의 선미추진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작동 설명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추진기(10)가 선외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회전축(8)을 중심으로 엔진본체(6)를 앞쪽으로 기울여 들어 올리면, 프로펠러(5)를 구비한 추진기(10)가 들려져서 바닷물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도면에서는 추진기(10)가 해수면 위로 이동하는 것을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부호 9는 공동화현상(cavitation) 방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엔진(2)은 보트단면(1)으로 구분된 선내에 위치하게 되며, 선미추진기(10)는 선미 외부에 조립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서의 선미추진기(10)는 회전축(8, C2)를 중심으로 A2 지점에서 B2 지점으로 들어 올려지면 해수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상기 선미추진장치는 종래에 구동부와 스턴드라이브(stern driver)가 밀착결합되고 변속장치가 스턴드라이브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속운행시 장애물 발견시 순간변속으로 급제동 및 후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선미추진기에서, 구동부가 스턴드라이브와 밀착결합되는 관계로 항상 선미에 위치하게 되며, 또한 변속장치는 내부에 별도의 감속기가 설치되어 정, 역회전을 변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감속기 설치에 따른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선미추진장치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선체를 앞으로 기울이거나 별도의 작동을 하지 않고서도 직선으로 승하강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선박의 운항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장치의 구성이 간편해지는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박의 고속운행시 장애물을 발견하는 경우에도 선미추진장치를 신속하게 작동시킴으로써 순간적으로 급제동 및 후진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박에 변속장치가 스턴드라이브에 별도로 설치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감속기 설치에 따른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는, 선박의 추진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디젤엔진의 동력을 제공받아 수평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축과, 동력전달축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베벨기어박스와, 상기 베벨기어박스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가속 및 감속시켜 선미추진기를 이동하는 기어박스를 구비한 선미추진장치로서, 상기 베벨기어박스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면서 축을 길이방향으로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슬라이드축(50)과; 상기 슬라이드축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고, 그 동력을 가속 및 감속하여 전달하는 기어박스(60)와; 상기 기어박스에 연결되고, 선미추진기 본체를 상하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도록 작동하는 상하 유압실린더(70)와; 상기 기어박스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그 내부에는 회전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까지 연결되는 추진축을 형성하며, 당해 추진축을 중심으로 선미추진기를 좌우로 회전시켜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추진기중심축(80)과; 상기 추진기중심축에 연결되고, 공동화현상(Cavitation)을 방지하는 공동화현상 방지장치(90)와; 상기 공동화현상 방지장치에 연장되어 연결되고, 내부에 회전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110)를 일체로 구비하여 프로펠라 하우징을 형성하는 선미추진기 본체(100)와; 상기 선미추진기 본체의 상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guiding) 슬라이딩베드(120)와; 상기 기어박스와 상기 슬라이딩베드에 연결되고, 선미추진기 본체를 조립하고 부착하여, 상하 직선이동을 행하는 슬라이딩본체(130)와; 상기 슬라이딩본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추진기중심축을 내부에 관통하여 설치하는 상부조타베어링(140)과; 상기 슬라이딩본체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추진기중심축을 내부에 관통하여 설치하는 하부조타베어링(150)과; 상기 슬라이딩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선미추진기 본체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선박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조타장치부(160);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타장치부(160)는, 상기 슬라이딩본체(130)에 연장 연결되고, 상기 기어박스(60)로부터 상기 프로펠러(110)를 갖추는 선미추진기 본체(100)에 연결되는 상기 추진기중심축(80)을 내부에 삽입하여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슬라이딩본체(130)의 상측과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추진기중심축(80)이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선미추진기 본체(100)가 좌우로 회전작동하도록 하는 상부조타베어링(140) 및 하부조타베어링(150)과; 상기 슬라이딩본체(130)에 연결되고, 확장과 수축작용을 행함으로써 조타레버를 회전시키는 조타용 유압실린더(145)와; 상기 조타용 유압실린더에 연장 연결되는 실린더로드(Cylinder Rod)(146)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설치되어 직선운동하는 실린더로드 레버(147)와; 상기 실린더로드 레버에 연동하여 작동하고, 상기 선미추진기 본체를 조타하기 위하여 상기 추진기중심축에 부착된 레버인 조타레버(148); 및 상기 실린더로드 레버와 조타레버를 연결하여, 상기 실린더로드의 확장 및 수축운동을 상기 조타레버에 전달하는 연결봉(149); 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조타용 유압실린더(145)의 확장 및 수축작용에 의하여, 상기 프로펠러(110)의 좌우회전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선박의 진행경로를 변경하는 조타작용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에 의하면, 선미추진장치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선체를 앞으로 기울이지 않고 별도의 작동을 하지 않고서도 승하강 작동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운항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장치의 구성이 간편해지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구동부와 스턴드라이브(stern driver)가 분리되어 설치되어 작동하기 때문에, 고속운행시 장애물을 발견하는 경우에도 순간적으로 급제동 및 후진동작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변속장치가 스턴드라이브에 별도로 설치되지 않는 구성이기 때문에, 감속기 설치에 따른 제조단가를 절감하는 경제적인 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종래에 이용되는 선외기 방식의 선미추진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작동 설명도,
도 2는 종래에 이용되는 선내외기의 선미추진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작동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의 상승작용을 설명하는 작동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의 조타작용을 설명하는 작동 설명도.
도 2는 종래에 이용되는 선내외기의 선미추진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작동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의 상승작용을 설명하는 작동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의 조타작용을 설명하는 작동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의 상승작용을 설명하는 작동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의 조타작용을 설명하는 작동 설명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주요 부호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호 10은 선박의 단면을 나타내는 보트 단면, 부호 20은 동력을 발생하는 디젤엔진을 도시하고, 부호 30은 수평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축, 부호 40은 동력을 수직(직각)방향으로 전환하는 베벨기어박스를 도시한다. 부호 50은 동력을 전달하면서 축을 길이방향으로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구성을 가지며, 신축이음축이라고도 불리는 슬라이드축을 도시하고, 부호 60은 동력을 가감속하여 전달하기 위한 기어박스, 부호 70은 선미추진기를 상하로 들어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작동하는 상하유압실린더를 도시한다.
부호 80은 그 내부에 프로펠러까지 연결되는 추진축을 구비하고, 이 축을 중심으로 선미추진기를 자우로 회전시켜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추진기중심축을 도시하며, 부호 90은 동력의 공동화현상(cavitation)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화현상 방지장치, 부호 100은 프로펠러 하우징을 구비하는 선미추진기 본체를 도시하며, 부호 110은 회전함으로써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를 도시하고, 부호 120은 선미추진기의 상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베드이며, 부호 130은 선미추진기를 조립되며, 상하 직선이동을 행하는 슬라이딩본체를 도시하고, 부호 140은 추진기중심축이 조립되어 있으며, 선미추진기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상부 조타베어링, 부호 150은 추진기중심축이 조립되어 있으며, 선미추진기가 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하부 조타베어링을 도시하고, 부호 160은 선미추진기를 좌우로 회전시켜 선박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조타장치를 도시하고, 부호 200은 이러한 구성요소를 구비하여 작동하는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를 각각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200)는 아래와 같이 구성 및 작동한다.
먼저, 선박의 추진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디젤엔진의 동력을 제공받아 수평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축과, 동력전달축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베벨기어로 구성되는 베벨기어박스와, 상기 베벨기어박스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가속 및 감속시켜 선미추진기를 이동하는 통상의 기어박스는 것은 통상의 선미추진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는 베벨기어박스(40)에 연결되어 제공된 동력을 전달하면서 축을 길이방향으로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슬라이드축(50)을 구비한다. 이 슬라이드축(50)은 확장과 수축운동할 수 있도록 상하부가 결합된 채로 미끄러짐 운동을 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슬라이드축(50)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고, 그 동력을 가속 및 감속하여 전달하는 기어박스(60)를 구비한다.
또, 상기 기어박스(60)에는, 선미추진기 본체(100)를 상하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도록 작동하는 상하 유압실린더(70)와; 그 내부에는 회전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110)까지 연결되는 추진축(도시 생략)을 구비하며, 당해 추진축을 중심으로 선미추진기를 좌우로 회전시켜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추진기중심축(80)이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추진기중심축(80)에 연결되고, 공동화현상(Cavitation)을 방지하는 공동화현상 방지장치(90)가 구비되는데, 이것은 프로펠러(110)에서 발생하는 추진력의 손실을 줄이는 기능을 행한다.
상기 공동화현상 방지장치(90)에 연장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회전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110)를 일체로 구비하여 프로펠라 하우징을 형성하는 선미추진기 본체(100)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선미추진기 본체(100)는 상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guiding) 슬라이딩베드(120)와; 상기 기어박스(60)와 상기 슬라이딩베드(120)에 연결되고, 선미추진기 본체(100)를 그 단부에 조립 부착하여, 상하 직선이동을 행하는 슬라이딩본체(130)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또, 상기 슬라이딩본체(130)에는, 그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추진기중심축(80)을 내부에 관통하여 끼움설치하는 상부조타베어링(140)과; 상기 슬라이딩본체(13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추진기중심축(80)을 내부에 관통하여 끼움 설치하는 하부조타베어링(150)과; 상기 슬라이딩본체(130)에 연결되고, 상기 선미추진기 본체(10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선박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조타장치부(160); 를 일체로 구비하여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기어박스(60)의 작동에 의해 직선구조인 추진기중심축(80)을 통해 선미추진기 본체(100)를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딩베드(120)와 슬라이딩본체(130)를 통해 상기 추진기중심축(80)을 견고하게 고정한 다음, 상기 상하 유압실린더(70)를 작동함으로써 상기 선미추진기 본체(100)를 상하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도록 작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을 통하여, 선박의 추진기 본체를 숙이거나 할 필요가 없고, 또 급격한 고속운행시 장애물 발견시 순간변속으로 급제동 및 후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인 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기어박스 내부에 별도의 감속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필요시에 신속하게 정, 역회전을 변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감속기 설치가 불필요하여 제조단가를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구현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게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축(50)은, 상기 베벨기어박스(40)에 일축이 연결되는 하부 슬라이드축(52)과 상기 기어박스(60)에 일축이 연결되는 상부 슬라이드축(54)으로 구비되어, 상호 이탈하지 하지 않도록 결합된 상태로 상하이동을 행하는 구성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베벨기어박스(40)와 기어박스(60)를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하 유압실린더(70)는, 그 일측이 선박후면 내측(보트 단면, 31)에 고정된 상기 기어박스(60)에 연결되는 상부실린더 고정부(71)에 연장되는 상부실린더(72)와, 그 일측이 선박후면 내측에 고정된 하부실린더 고정부(73)에서 연장되는 하부실린더(74)로 구성되어, 상기 선미추진기 본체(100)를 상하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200)의 동력전달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디젤엔진(20)에서 발생한 동력은, 상기 동력전달축(30)을 통해 상기 베벨기어박스(40)로 전달되고, 상기 베벨기어박스(40)에서는 수평동력을 수직방향으로 전달하도록 변환하여 상기 슬라이드축(50)에 제공하며, 상기 슬라이드축(50)을 통해 제공된 동력을 상기 기어박스(60)에 전달하고, 상기 상기 상하 유압실린더(7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베드(120) 및 상기 슬라이딩본체(130)에 결합된 상기 프로펠러(110)를 회전시켜 순차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된다.
다음으로,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200)에 있어서 조타장치부(16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타장치부(160)는, 상기 슬라이딩본체(130)에 연장 연결되고, 상기 기어박스(60)로부터 상기 프로펠러(110)를 갖추는 선미추진기 본체(100)에 연결되는 상기 추진기중심축(80)을 내부에 삽입하여 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본체(130)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추진기중심축(80)을내부에 끼워 조립하며, 상기 선미추진기 본체(100)가 좌우로 회전작동하도록 하는 상부조타베어링(140) 및 하부조타베어링(150)이 설치된다.
또, 상기 슬라이딩본체(130)에는, 확장과 수축작용을 행함으로써 조타레버를 회전시키는 조타용 유압실린더(145)가 연결되고, 상기 조타용 유압실린더(145)에 연장되어 실린더로드(Cylinder Rod)(146)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로드(146)의 단부에는 직선운동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로드 레버(147)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로드 레버(147)에 연동하여 작동하고, 상기 선미추진기 본체(100)를 조타하기 위하여 상기 추진기중심축(80)에 부착된 레버인 조타레버(148), 및 상기 실린더로드 레버(147)와 조타레버(148)를 연결하여, 상기 실린더로드(146)가 확장 및 수축운동을 행하여 상기 조타레버(148)에 전달하는 연결봉(149)을 일체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200)에서의 조타장치부(16)의 작동은 아래와 같은 순서에 따라 진행된다.
즉, 상기 조타장치부(160)는, 상기 슬라이딩본체(130)에 연결되어 조타용 유압실린더(145)를 확장 및 수축작용하고, 이렇게 작용함으로써 상기 실린더로드 레버(147)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실린더로드 레버(147)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연동되는 상기 연결봉(149)의 좌우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연결봉(149)의 작동에 의해 상기 조타레버(148)가 회전운동을 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프로펠러(110)가 'A5' 방향에서 'B5' 방향으로 좌우회전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선박의 진행경로를 변경하는 조타작용을 행하는 것이다. 이때, 선박의 진행방향은 도면에서 'A0'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를 일례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직선 운동을 통한 승강식 선미추진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과 그 기술적인 사상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 내의 구성 및 작동이라면, 당업자에게 있어서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어, 그러한 구성의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보트 단면 20: 디젤엔진
30: 동력전달축 40: 베벨기어박스
50: 슬라이드축 60: 기어박스
70: 상하유압실린더 80: 추진기중심축
90: 공동화현상 방지장치 100: 선미추진기 본체
110: 프로펠러 120: 슬라이딩베드
130: 슬라이딩본체 140: 상부 조타베어링
145: 조타용 유압실린더 146: 실린더로드(Cylinder Rod)
147: 실린더로드 레버 148: 조타레버
149: 연결봉 150: 하부 조타베어링
160: 조타장치
200: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
30: 동력전달축 40: 베벨기어박스
50: 슬라이드축 60: 기어박스
70: 상하유압실린더 80: 추진기중심축
90: 공동화현상 방지장치 100: 선미추진기 본체
110: 프로펠러 120: 슬라이딩베드
130: 슬라이딩본체 140: 상부 조타베어링
145: 조타용 유압실린더 146: 실린더로드(Cylinder Rod)
147: 실린더로드 레버 148: 조타레버
149: 연결봉 150: 하부 조타베어링
160: 조타장치
200: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
Claims (5)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베벨기어박스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면서 축을 길이방향으로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슬라이드축(50)과; 상기 슬라이드축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고, 그 동력을 가속 및 감속하여 전달하는 기어박스(60)와; 상기 기어박스에 연결되고, 선미추진기 본체를 상하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도록 작동하는 상하 유압실린더(70)와; 상기 기어박스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그 내부에는 회전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까지 연결되는 추진축을 형성하며, 당해 추진축을 중심으로 선미추진기를 좌우로 회전시켜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추진기중심축(80)과; 상기 추진기중심축에 연결되고, 공동화현상(Cavitation)을 방지하는 공동화현상 방지장치(90)와; 상기 공동화현상 방지장치에 연장되어 연결되고, 내부에 회전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110)를 일체로 구비하여 프로펠라 하우징을 형성하는 선미추진기 본체(100)와; 상기 선미추진기 본체의 상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guiding) 슬라이딩베드(120)와; 상기 기어박스와 상기 슬라이딩베드에 연결되고, 선미추진기 본체를 조립하고 부착하여, 상하 직선이동을 행하는 슬라이딩본체(130)와; 상기 슬라이딩본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추진기중심축을 내부에 관통하여 설치하는 상부조타베어링(140)과; 상기 슬라이딩본체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추진기중심축을 내부에 관통하여 설치하는 하부조타베어링(150)과; 상기 슬라이딩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선미추진기 본체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선박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조타장치부(160);를 일체로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축(50)은, 상하운동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벨기어박스에 일축이 연결되는 하부 슬라이드축(52)과 상기 기어박스(60)에 일축이 연결되는 상부 슬라이드축(54)을 구비하고:
상기 조타장치부(160)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본체(130)에 연장 연결되고, 상기 기어박스(60)로부터 상기 프로펠러(110)를 갖추는 선미추진기 본체(100)에 연결되는 상기 추진기중심축(80)을 본체 내부에 삽입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2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2862A KR101091759B1 (ko) | 2010-07-28 | 2010-07-28 |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2862A KR101091759B1 (ko) | 2010-07-28 | 2010-07-28 |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91759B1 true KR101091759B1 (ko) | 2011-12-12 |
Family
ID=45505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2862A KR101091759B1 (ko) | 2010-07-28 | 2010-07-28 |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1759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4570B1 (ko) | 2018-01-30 | 2018-06-04 | 이응태 | 전기 추진 선박의 관리 장치 |
KR20190065548A (ko) | 2017-12-03 | 2019-06-12 | 김건호 | 태양 패널과 수력 터빈을 장착한 선박 |
KR20190083716A (ko) * | 2018-01-05 | 2019-07-15 |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해양구조물의 벽면 검사가 가능한 해양 작업 로봇 |
CN114771793A (zh) * | 2022-05-09 | 2022-07-22 | 江苏科技大学 | 一种防缠绕升降可调舵的螺旋桨装置 |
CN117794813A (zh) * | 2022-08-19 | 2024-03-29 | 广东逸动科技有限公司 | 船外机、船舶及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13028A (en) | 1986-06-19 | 1987-12-15 | Don Duff | Shallow water boat design |
JP2007008282A (ja) * | 2005-06-29 | 2007-01-18 | Unikas Industrial Inc | 船外機の操舵機構 |
-
2010
- 2010-07-28 KR KR1020100072862A patent/KR1010917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13028A (en) | 1986-06-19 | 1987-12-15 | Don Duff | Shallow water boat design |
JP2007008282A (ja) * | 2005-06-29 | 2007-01-18 | Unikas Industrial Inc | 船外機の操舵機構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5548A (ko) | 2017-12-03 | 2019-06-12 | 김건호 | 태양 패널과 수력 터빈을 장착한 선박 |
KR20190083716A (ko) * | 2018-01-05 | 2019-07-15 |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해양구조물의 벽면 검사가 가능한 해양 작업 로봇 |
KR102075229B1 (ko) * | 2018-01-05 | 2020-02-07 |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해양구조물의 벽면 검사가 가능한 해양 작업 로봇 |
KR101864570B1 (ko) | 2018-01-30 | 2018-06-04 | 이응태 | 전기 추진 선박의 관리 장치 |
CN114771793A (zh) * | 2022-05-09 | 2022-07-22 | 江苏科技大学 | 一种防缠绕升降可调舵的螺旋桨装置 |
CN117794813A (zh) * | 2022-08-19 | 2024-03-29 | 广东逸动科技有限公司 | 船外机、船舶及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85018B2 (en) | Marine drive system | |
KR101091759B1 (ko) | 직선 승강식 선미추진장치 | |
CN102256868B (zh) | 用于船舶的横向推进器 | |
US6165031A (en) | Marine propulsion and steering unit | |
KR20130055604A (ko) | 전기 해양 표면 구동장치 | |
CN106945808B (zh) | 一种舷外集成电机与舵的推进装置 | |
US9340271B2 (en) | System for controlling marine craft with steerable propellers | |
CN102887217A (zh) | 一种自治式水下航行器矢量推进装置 | |
CN103204231A (zh) | 可伸缩全回转推进器 | |
JP4220970B2 (ja) | 船舶推進構造および船舶駆動装置 | |
CN103818536B (zh) | 一种两栖车辆水上混合推进装置 | |
KR101261867B1 (ko) | 포드형 추진기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 |
WO2010110703A1 (en) | Propulsion unit for a boat | |
KR101271614B1 (ko) | 선박의 스러스터 | |
US6325010B1 (en) | Method of vessel propulsion with coordinated bow propulsion | |
KR101881725B1 (ko) | 선박을 조종하기 위한 방법 | |
CN201901249U (zh) | 一种船用侧推器 | |
KR20130143235A (ko) | 회전식 선미추진장치 | |
CA2823443C (en) | Watercraft with improved characteristics for travel in ice | |
CN202481283U (zh) | 可伸缩全回转推进器 | |
WO2005021374A1 (en) | Contra-rotat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fitted on the strut | |
EP0433296B1 (en) | Marine propulsion apparatus | |
CN218506108U (zh) | 船外机及船舶 | |
KR20100053999A (ko) | 반전기어세트를 가지는 선박 | |
CN114735185B (zh) | 舵系和船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8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