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698B1 - 영구접착면과 절단홈의 조합만으로 형성된 부정개봉 방지용 봉함엽서 - Google Patents

영구접착면과 절단홈의 조합만으로 형성된 부정개봉 방지용 봉함엽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698B1
KR101090698B1 KR1020110077153A KR20110077153A KR101090698B1 KR 101090698 B1 KR101090698 B1 KR 101090698B1 KR 1020110077153 A KR1020110077153 A KR 1020110077153A KR 20110077153 A KR20110077153 A KR 20110077153A KR 101090698 B1 KR101090698 B1 KR 101090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card
permanent
front cover
permanent adhesiv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덕준
Original Assignee
한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덕준 filed Critical 한덕준
Priority to KR1020110077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 B42D15/04Foldable or multi-part cards or sheets
    • B42D15/08Letter-cards or letter-sheets, i.e. cards or sheets each of which is to be folded with the message inside and to serve as its own envelope for mailing
    • B42D15/085Letter-cards or letter-sheets, i.e. cards or sheets each of which is to be folded with the message inside and to serve as its own envelope for mailing with special means hiding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73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5/008Foldable or fold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 B42D15/025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with peel-away layer hiding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 B42D15/04Foldable or multi-part cards or sheets
    • B42D15/042Foldable card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 B42D15/04Foldable or multi-part cards or sheets
    • B42D15/045Multi-part cards or sheets, i.e. combined with detachably mounted articles

Landscapes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엽서의 앞표지영역(10-A)과 뒷표지영역(10-B) 및 적어도 하나의 숨겨진영역(10-C1~Cn)으로 구성되는 겉면(10);과 상기 겉면의 뒷면이며, 엽서의 내용기재영역으로 구성되는 속면(20); 용지의 절곡선(4)에 수직한 제1방향(1)으로 배열되며 건조성 영구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두 줄의 제1영구접착면(30); 상기 제1영구접착면(30)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영구접착면(30)을 절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절단홈(50-1); 용지의 절곡선(4)에 평행한 제2방향(2)으로 배열되며 건조성 영구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제2영구접착면(40); 및 상기 앞표지영역(10-A) 또는 상기 앞표지영역(10-A)의 뒷면에 대응되는 앞표지뒷면영역(20-A)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방향(2)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절단홈(50-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봉함엽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대량 발송 우편물에 주로 적용되며, 오직 영구접착면과 절단홈 만을 유기적으로 배열하여, 박리가능한 재접착면을 없앤 간단한 구조로도 확실한 부정개봉방지효과를 발휘하는 봉함엽서에 관한 것이며 기본적으로 상기 숨겨진영역(10-C1)이 상기 앞표지뒷면영역(20-A)의 안쪽으로 말아 접히는 형태로 절곡 및 접착되고 보다 다양하게는 상기 앞표지뒷면영역(20-A)에 대응되는 속면(20)을 제외한 나머지 속면(20) 모두가 두루마리식 또는 지그재그식으로 접힌 다음, 상기 앞표지영역(10-A)에 대응되는 상기 겉면(10)의 안쪽으로 말아 접히는 형태로 절곡 및 접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함엽서는 수취인이 의도적으로 힘주어 찢기 전에는 개봉이 불가하며, 반드시 엽서의 세로테두리 양쪽과 한쪽 가로테두리의 안쪽부분을 절개해야만 개봉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재접착제를 이용한 봉함엽서와 달리 부정개봉을 확실히 막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영구접착제와 재접착제를 혼용하지 않고 제조되므로 기존 엽서와 동등한 비용으로 생산 및 공급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구접착면과 절단홈의 조합만으로 형성된 부정개봉 방지용 봉함엽서{Unfair-opening-preventive Lettercard formed with only a combination of permanent adherends and perforated lines}
본 발명은 대량 발송 우편물에 주로 적용되며, 박리 가능한 재접착면을 없애고 오직 영구접착면과 절단홈 만을 유기적으로 배열하여, 간단한 구조로도 확실한 부정개봉방지효과를 발휘하는 봉함엽서에 관한 것이다.
요금청구서, 법규집행 통지서, 공과금 납부고지서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대량 발송 우편물은 수신인주소와 고지내용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롤형 우편용지에 연속 인쇄하고 이후 절단, 절곡 및 접착 과정을 거쳐 단위 우편물로 제작한 후 발송된다.
이때 별도의 봉투에 담겨 발송되지 않고 단순히 접혀서 접착되어 발송되는 엽서형태 우편물일 경우에는, 접착면을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박리 가능한 재접착제로 밀봉되어 발송되는데 이같이 재접착제로 밀봉된 접착면, 다시 말해서 박리가능 접착면은 떼어내는 과정에서 우편용지의 훼손을 막기 위하여 접착력이 약하게 조절되어 있다.
때문에 한번 박리시켰다 하여도, 박리 즉시 적절한 열과 압력을 가하여 다시 붙이게 되면 개봉 흔적이 남지 않도록 재 밀봉할 수 있다.
이는 곧 제3자가 특정인의 개인정보 획득 등 악의적인 목적으로 우편엽서를 몰래 개봉했다가 다시 원상태로 돌려놓을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이유로 대량발송 우편물 중 개인정보 보호의 필요성이 높은 것들, 예컨대 수취인의 경제여건이나 수입규모 또는 범법사실 등 민감한 내용이 담긴 고지서 등은 높은 비용과 자원낭비를 감수하면서도 별도의 봉투에 따로 밀봉되어 발송되고 있는 실정이다.
봉투를 사용하지 않는 밀봉식의 개봉표시용 봉함엽서에 관한 공개기술로서, 일본공개특허 특개2009-104159호에 기재된 은폐라벨시트가 있다. 상기 은페라벨시트는 압착성 재접착제를 정보가 기입된 면에 도포하고 그 둘레로 건조성 영구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그 위를 은폐용 면으로 덮고 두 가지 접착제 사이의 경계면을 따라 절단홈을 낸 구성으로서, 비록 압착성 재접착제가 도포된 면을 박리하는 것이지만 절단홈을 따라 영구접착제 테두리를 찢어 제거하기 전에는 은폐용 면을 뜯을 수 없는 구조인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는 기본적으로 복수의 종이를 적층시켜 만든 책자 형태의 시트로서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한 장짜리 절곡식 엽서와 같이 저렴한 제작단가로 봉투식 우편물과 동등한 밀봉 효과를 발휘하기는 어렵다.
3단 또는 4단으로 절곡 접착되는 한 장짜리 엽서에도 이 같은 두 가지 접착제와 절취선의 결합구조를 적용한 발명이 있다. 본 발명자의 선출원 특허발명인 한국등록특허 10-1005009호의 부정개봉 방지용 봉함엽서가 바로 그것이다. 이것은 용지가 접힌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건조성 영구접착제가 도포되는 영구접착면과, 영구접착면과 직교하되 겹치지 않도록 배열되고 압착성 재접착제가 도포되는 박리가능접착면, 그리고 영구접착면과 박리가능접착면 사이에서 역시 용지 절곡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주 절단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정개봉 방지용 봉함엽서는 단 한장으로 절첩 및 접착되어 제작되는 엽서식 우편물에서도 확실하게 부정개봉을 막을 수 있었던 매우 뛰어난 발명이지만, 제조과정에서 두 종류의 접착제를 1기의 접착제 도포롤에 두 번에 걸쳐서 도포해야 하거나 또는 2기의 접착제 도포롤을 사용하여 접착제 도포공정을 2단으로 진행하여야 하는 복잡함이 있어 단 한종류의 재접착제로만 제작된 종래의 1장짜리 절곡식 엽서와 비교하면 제조단가 측면에서 다소 불리한 점이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09-104159호 한국등록특허 10-1005009호
없음
현대의 대량우편물은 주로 원지롤에서 인출되는 인쇄용지에 인쇄롤와 접착제도포롤, 절단롤 및 절곡롤을 차례로 배치하여 일련의 연속 인쇄공정으로 고속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대량 고속생산과정에 있어서 공정 하나가 추가될수록 총 제작비용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1장짜리 절곡식 엽서가 아니라 책자형으로 제조된다거나, 또는 접착과정을 2단 또는 2중으로 진행하는 등의 간단한 공정변화에 의해서도 총 제조비용은 그 이상으로 크게 증가한다. 결국 2종류의 접착제 도포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상기 우편물들은 일반 봉투식 우편물보다는 저렴한 생산단가를 갖고 봉투식 우편물에 근접하는 부정개봉 방지효과를 갖고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단순히 재접착제 도포공정만으로 제조되어 뛰어난 가격경쟁력을 갖는 기존의 간단한 봉함엽서들과 비교하여 가격 대비 월등한 성능을 보여주지는 못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원지롤에서 절단되는 1매의 용지를 이용하여 1회~수회의 절곡공정 후 접착 공정에 의해 완성되는 간단한 1장 짜리 형태의 봉함엽서에 있어서, 봉투식 우편물에 필적하는 부정개봉방지기능(= 개봉표시기능)을 부여하면서 동시에 박리가능접착제를 생략하고 영구접착제 1가지 만을 사용하여 제조공정과 제조비용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봉함엽서를 만드는 것이며, 다시 말해서 저렴한 비용으로도 봉투형 우편물을 실질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혁신적 구조를 갖는 봉함엽서를 만드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우선 엽서를 구성할 때 용지 앞뒷면을 통상적인 지그재그 형식(Z형 접지방식)으로 접어 구성하지 않고 용지를 두루마리 형식으로 접어서 구성하되(C형 접지방식), 엽서의 세로 절단홈(제1절단홈) 안쪽 영역에만 가로 절단홈(제2절단홈)을 선택적으로 배치하였다.
이렇게 되면 개봉행위자는 영구접착면으로 된 엽서 양 테두리의 세로 절단홈을 완전히 다 찢어내야만 엽서의 가로 절단홈에 손을 댈 수 있으므로, 우편물의 수취인이 아니라면 다른 사람은 모든 형태의 엽서 내용에 대한 접근이 확실히 차단된다.
본 발명은 단순히 절단 메커니즘만 놓고 본다면 본 발명자의 선출원 발명인 도 2의 봉함엽서와 일견 비슷한 개봉방법을 취하고 있으나, 반면에 재접착제를 전혀 쓰지 않고 있다는 큰 차이가 있으며 추가적인 특징으로 가로방향 접착면(제2영구접착면)을 찢어내는 과정이 한 번이면 족하다는 차이가 있다.
좋은 예로, 엽서의 기본 형태를 훼손하지 않고 부정개봉 방지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본 발명의 접착면은 제2절단홈과 인접한 가로 방향의 제2영구접착면이며 이 접착면은 단 하나면 족하다. 도 1,2와 같은 Z형 접지엽서는 C형 접지엽서와 달리 개봉부분이 2군데이므로 본 발명과 같이 구현하려면 2개의 제2영구접착면을 두어야 하고 거기에 맞추어 2개의 가로 절단홈을 찢어내는 과정에서 최소한 엽서의 어느 한쪽 면은 남아있는 접착면에 의해 자연스럽게 펼쳐지지 못하는 큰 단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일견 통상적인 절단 절취선 배열을 약간 변경한 것에 불과하게 보일 수 있으나 자세히 살펴보면 지그재그 방식의 Z형 접지엽서에서는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힘든 매우 독특한 것이다.(도 4 참조)
이후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구체적 내용에서는 상기 두 방향의 영구접착면들과 두 방향 절단홈들의 유기적인 배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가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함엽서는 수취인이 의도적으로 힘주어 찢기 전에는 개봉이 불가하며, 반드시 엽서의 세로테두리 양쪽과 한쪽 가로테두리의 안쪽부분을 절개해야만 개봉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재접착제를 이용한 봉함엽서와 달리 부정개봉을 확실히 막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재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절단홈에 의해서만 개봉이 되므로 개봉감이 매우 명쾌하고 확실하며, 더운 날씨 높은 습도 등 재접착제의 접착불량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운송 취급되어도 자연개봉에 대한 염려를 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봉함엽서는 영구접착제와 재접착제를 혼용하지 않고 제조되므로 기존 엽서와 동등한 비용으로 생산 및 공급 가능하며, 덧붙여 새로운 절단선 위치와 두루마리처럼 펼쳐지는 색다른 절첩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많은 내용이 담긴 우편물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통상의 봉함엽서보다 소비자의 호기심을 좀 더 유발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박리가능안 재접착면으로만 밀봉된 종래의 3단 지그재그 절첩식 봉함엽서.
도 2는 재접착면과 영구접착면이 혼합 구성된 종래의 3단 지그재그 절첩식 봉함엽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3단 두루마리 절첩식 봉함엽서.(겉면, 속면 및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제1영구접착면을 떼어내고 제2절단홈을 여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5단 두루마리-지그재그 복합 절첩식 봉함엽서.(겉면, 속면 및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제1영구접착면을 떼어내고 제2절단홈을 여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3, 도 5 등에서 제1,2절단홈의 교차부분에 보조절개부를 추가한 실시예.
상기 본 발명의 주된 기술적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도면에 포함된 본 발명의 일 예를 참조하여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아래에 기술하는 구체적인 실시예(specific example) 들에서 특정 기술용어를 포함한 구성요소들과 그들을 서로 결합한 특정 결합구조가 본 발명에 내재한 포괄적인 기술사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압착성 재접착제가 도포된 재접착면이 형성된 종래의 3단 지그재그형 접지방식 엽서의 겉면, 속면 및 외형을 나타낸 것이다.
통상적으로 용지내부면의 가장자리에는 절취홈 등으로 구분된 용지 이송용 천공부(3)가 형성된다. 상기 천공부(3)에 의해 용지는 롤형태로 말려진 원지에서 인출되어 제조공정 경로를 따라 이송 급지되면서 인쇄롤, 접착롤, 절단롤 등에 의해 엽서로 제작된다.
용지 내부면 중간에는 엽서로 접힐 수 있게끔 용지절곡선(4)이 마련되어 있으며 도면에서 하늘색으로 표현된 부분이 압착성 재접착제가 도포된 재접착면(박리가능접착면) 영역이 된다.
도 1의 엽서는 하단의 외형사시도와 같이 접히고 용지이송용 천공부(3)가 분리되어 엽서는 발송되는데, 수취인은 엽서 귀퉁이를 벌려서 상기 박리가능접착면(12)을 다시 떼어낸다. 이 과정에서 제3자가 의도적으로 살짝 떼었다가 열과 압력을 다시 가하면서 눌러붙이면, 압착성 재접착제는 다시 붙게 되고 수취인은 엽서가 한번 개봉되었다가 다시 밀봉된 사실을 모르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압착성 재접착제와 영구접착제가 혼합 도포된 종래의 3단 지그재그형 접지방식 봉함엽서의 겉면, 속면 및 외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녹색으로 표현된 부분이 건조성 영구접착제가 도포된 영구접착면인데, 용지의 절곡선(4)과 수직한 제1방향(1), 즉 용지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주로 형성된다.
도면에서 재접착면은 도 1과 달리 용지의 절곡선(4)과 평행한 제2방향(2)으로만 배열되며 제1방향(1)으로는 영구접착면과 겹치지 않도록 짧게 끊어진 길이와 형태로 형성된다.
도 2의 방식은 도 1과 달리 한번 개봉한 다음에는 다시 밀봉할 수 없지만 무엇보다도 재접착제와 영구접착제를 혼용하여 제조되므로 단가가 비싸지는 것이 흠이다.
참고로 본 발명자의 선출원 발명인 도 2에서 설명하고 있는 엽서의 좌표계는 제1방향이 엽서 세로방향(용지 진행방향)이 되며, 제2방향이 엽서 가로방향(용지 절곡선방향)이 된다. 이것은 이후 설명할 본 발명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도 3은 영구접착제만 도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3단 두루마리 절첩식 봉함엽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도 3에서 제1영구접착면(30)을 떼어내고 제2절단홈을 여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왼쪽상단의 엽서 겉면(10)을 영역별로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먼저 3단의 겉면 중 맨 윗단은 엽서 속으로 숨는 숨겨진영역(10-C1)이 되며 이는 아래쪽 외형사시도에서 밑바닥면(보이지 않는 면)이 된다. 다음으로 3단의 겉면 중 중간 단은 엽서의 뒷표지영역(10-B)이 되며, 마지막으로 3단의 겉면 중 맨 아랫 단은 엽서의 앞표지영역(10-A)이 되고 이는 아래쪽 외형사시도에서 맨 윗면(보이는 면)이다.
겉면을 옆으로 뒤집은 형태인 엽서 속면(20)을 영역별로 살펴본다. 엽서의 속면(20)은 전체적으로 내용기재영역이 되며 기본적으로 겉면처럼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필요는 없다. 단지 내용기재영역 중, 상기 앞표지영역(10-A)의 뒷면에 대응되는 앞표지뒷면영역(20-A)은 가로로 제2영구접착면(40)이 들어가면서 봉함시에 앞표지영역과 서로 접착되므로 이 부분은 단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상 특정될 필요가 있는 부분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 봉함엽서의 겉면(10)은 엽서의 앞표지영역(10-A)과 뒷표지영역(10-B) 및 적어도 하나의 숨겨진영역(10-C1~Cn)으로 구성되며, 속면(20)은 상기 겉면의 뒷면이며, 엽서의 내용기재영역으로 구성된다.
도 3에서 용지의 절곡선(4)에 수직한 제1방향(1)으로 배열되며 건조성 영구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두 줄의 제1영구접착면(30)을 볼 수 있는데 상기 제1영구접착면(30)이 도포된 위치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상기 앞표지영역(10-A)과 상기 뒷표지영역(10-B)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된다는 점이다. 즉 엽서의 속 부분 가장자리에는 모두 영구접착제가 도포되며 외부에만 도포되지 않는다.
도 3에서 제1영구접착면(30)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영구접착면(30)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제1방향(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절단홈(50-1)을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영구접착면이 제1절단홈에 의해 제거되어도 엽서는 개봉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도 3의 엽서는 3단 두루마리식이기 때문에 엽서를 밀봉하고 있는 단 하나의 가로방향(제2방향) 접착면만 남아도 엽서가 펼쳐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가로방향, 즉 용지의 절곡선(4)에 평행한 제2방향으로 배열된 접착면은 제2영구접착면(40)이며 상기 제2영구접착면(40)은 상기 앞표지뒷면영역(20-A) 및 상기 숨겨진영역(10-C1)을 포함하여 이후 설명될 둘 이상의 숨겨진 영역(10-C1~Cn)중, 상기 앞표지뒷면영역(20-A)에 대응되는 숨겨진영역(10-C1)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위와 같이 형성된 제2영구접착면이 서로 붙으면 그 인접영역을 떼어내기 위한 가로(제2방향) 절단홈, 즉 제2절단홈(50-2)이 배치된 영역이 최종적으로 엽서용지의 앞표지 부분에 위치한다. 따라서 엽서의 개봉자는 제1절단홈을 따라 절단 후 제2절단홈을 따라 절단해야 만이 엽서의 앞표지영역(10-A)을 개봉할 수 있다.
제2영구접착면(40)을 옆서의 뒷표지영역(10-B)에 그대로 남아있게 하면서 엽서를 개봉할 수 있게 하는 핵심적 구성이 바로 제2절단홈(50-2)이다. 제2절단홈은 상기 앞표지영역(10-A) 또는 상기 앞표지영역(10-A)의 뒷면에 대응되는 앞표지뒷면영역(20-A)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방향(2)으로 배열된다.
물론 이때에도 제2영구접착면(40)은 상기 제2절단홈에 인접하면서 앞표지영역(10-A) 또는 앞표지뒷면영역(20-A)의 일단에 위치하는 것이 엽서 속면의 내용기재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나 만약 용지의 절첩장수가 5단 이상인 긴 용지라면 앞표지 1단의 용지 면 정도는 버릴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일단에 치우쳐 형성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이후 설명할 도 5,6에서 두 줄의 제2절단홈(50-2)으로 개봉조각을 넓게 떼어내는 다단 엽서에서 더욱 자주 쓰일 수 있다.
한편 제2영구접착면(40)의 위치와 개수에 상관없이 어떠한 경우라도 상기 제2절단홈(50-2)은 상기 제1영구접착면(30)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좋은데 이는 제1절단홈(50-1)을 따라 제1영구접착면이 매끄럽게 떼어내 질 수 있기 위해서이며 또한 제2절단홈을 가능한 용지의 안쪽 영역에만 배치하는 것이 부정개봉에 대한 위험을 조금 더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위와 같이 정의된 봉함엽서의 겉면(10)과 속면이 어떤 식으로 접히는지 잘 알 수 있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제1영구접착면(30)은 제거된 상태임을 감안한다. 기본적으로 상기 숨겨진영역(10-C1)이 상기 앞표지뒷면영역(20-A)의 안쪽으로 말아 접히는 형태, 즉 3단 두루마리식으로 절곡 및 접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후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보다 다양하게는 앞표지뒷면영역(20-A)을 제외한 나머지 속면(20) 들은 일부구간에서 선택적으로 두루마리식 또는 지그재그식으로 접힐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앞표지영역(10-A)에 대응되는 상기 겉면(10)의 안쪽으로 두루마리식으로 말아 접히는 형태로 절곡 및 접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확장실시예 중 하나로써 두 줄의 제2절단홈을 갖고 제1절단홈과 제1영구접착면이 부분적으로 공유된 구조를 나타낸 5단 두루마리-지그재그 복합 절첩식 봉함엽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도 4와 마찬가지로 도 5에서 제1영구접착면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상기 숨겨진영역(10-C1)은 도 3,4와 같은 3단 엽서가 아니라면 필요에 따라 적어도 3개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도 3~6에서 공통적으로 반드시 두루마리 식으로 접혀지는 부분은 것은 뒷표지영역(10-B)의 바로 다음칸에 위치하는 첫번째 숨겨진영역(10-C1)이며 그 이후의 숨겨진 영역들, 예컨대 도 5, 도 6의 (10-C2, 10-C3)을 포함하여 이후 더 확장 가능한 숨겨진 영역들(,,,,10-Cn)은 첫번째 숨겨진영역의 안쪽으로 접혀 들어가기만 하면 된다. 다시 말해서 첫번째 숨겨진영역(10-C1) 이후의 숨겨진 영역들(10-C2, 10-C3,,,,10-Cn)의 절첩방식은 반드시 두루마리식으로 접히지 않아도 되며 반드시 두루마리 식으로 접혀야 할 겉면의 영역은 (10-A, B, C1)의 3개 면이다.
도 5에서 제1영구접착면(30)이 겉면(10)과 속면(20)의 양 가장자리 근처에 형성되는 것은 도 3과 유사하나, 다른 점은 제1영구접착면(30)이 제1절단홈(50-1)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제1절단홈(50-1)을 따라 제1영구접착면(30)을 완전히 떼어내어도 겉면(10)과 속면(20)은 어느 정도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그 다음으로 2개로 형성된 제2절단홈(50-2)을 제거하면 가로로 넓은 개봉영역이 생긴다. 따라서 넓은 가로개봉 부분을 잡고 당기면 양 가장자리로 드문드문 남아있는 제1영구접착면들을 모두 떼어낼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제2절단홈에 의해 개봉되는 부분은 예컨대 수취인의 개인정보가 담긴 수취인주소부분과 바코드영역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 이상의 제2절단홈에 의한 넓은 개봉부분으로 인해 수취인은 편리하게 개인정보 부분을 제거해서 따로 버리고 엽서내용물 만을 보관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지그재그형 양면접착식 봉함엽서에서는 결코 기대할 수 없는 효과이다. 또한 개봉 후 버려지는 넓은 부분으로 인한 엽서 용지의 축소 손실되는 부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 또는 두루마리형으로 자유롭게 확장 가능한 속면(20), 즉 숨겨진 겉면 영역의 뒷면으로 인해 충분히 보충할 수 있으므로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 내지는 추가 실시예로써 제1절단홈(50-1)과, 제2절단홈(50-2)의 교차부분에 보조절개부(50-3)를 더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보조절개부(50-3) 구성은 제2절단홈을 따라 개봉하는 것을 더욱 편리하게 해 줄 뿐 아니라 본 발명과 같은 봉함엽서를 처음 접하는 소비자도 쉽게 개봉방법을 연상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상 본 발명이 구체화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도면에 기재된 기술구성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단순한 변경제작 및 간단한 확장 설계를 추가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고유한 기술사상의 범위에 자명하게 포함된다.
봉투식 우편물의 최대 단점 중 하나는 수취인의 주소지 등 수취정보를 효과적으로 대량 고속인쇄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개인정보보호가 반드시 요구되면서도, 자주 바뀌는 대량의 수취인정보를 월 단위로 비교적 자주 인쇄해야 할 필요가 있는 분야에서는 용지내용에 수취인의 수취정보를 인쇄하고 이것이 밖으로 보이도록 절곡시키며 외부에 투명창이 구비된 복합식 봉투에 담아 발송하게 되는데 이 부분에서 창봉투 제조비용 등 상당한 자원낭비와 투명 필름 폐기물 등 환경오염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엽서는 상술한 창봉투 등 개인정보보호와 대량의 정보처리 편의성을 절충한 형태의 고가의 자원낭비 성 우편물을 완벽히 대체할 수 있어 자원 절약과 환경오염방지에도 효과가 있다.
1: 용지의 절곡선에 수직한 제1방향
2: 용지의 절곡선에 평행한 제2방향
3: 용지 이송용 천공부
4: 용지 절곡선
10: 용지 겉면
10-A: 용지 겉면 중 앞표지영역
10-B: 용지 겉면 중 뒷표지영역
10-C1~Cn: 용지 겉면 중 숨겨진영역
20: 용지 속면
20-A: 용지 속면 중 앞표지뒷면영역
30: 제1영구접착면
40: 제2영구접착면
50-1: 제1절단홈
50-2: 제2절단홈
50-3: 보조 절개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엽서의 앞표지영역(10-A)과 뒷표지영역(10-B) 및 적어도 하나의 숨겨진영역(10-C1~Cn)으로 구성되는 겉면(10);
    상기 겉면의 뒷면이며, 엽서의 내용기재영역으로 구성되는 속면(20);
    용지의 절곡선(4)에 수직한 제1방향(1)으로 배열되며 건조성 영구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앞표지영역(10-A)과 상기 뒷표지영역(10-B)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 줄의 제1영구접착면(30);
    상기 제1영구접착면(30)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영구접착면(30)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방향(1)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제1절단홈(50-1);
    용지의 절곡선(4)에 평행한 제2방향(2)으로 배열되며 건조성 영구접착제가 도포되어 앞표지뒷면영역(20-A)의 일단과 상기 앞표지뒷면영역(20-A)의 일단에 대응되는 숨겨진영역(10-C1)의 일단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제2영구접착면(40); 및
    상기 앞표지영역(10-A) 또는 상기 앞표지영역(10-A)의 뒷면에 대응되는 앞표지뒷면영역(20-A)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방향(2)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영구접착면(30) 및 상기 제2영구접착면(40) 상에는 형성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제2절단홈(50-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봉함엽서.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봉함엽서는 상기 앞표지뒷면영역(20-A)에 대응되는 속면(20)을 제외한 나머지 속면(20) 모두가 두루마리식 또는 지그재그식으로 접힌 다음, 상기 앞표지영역(10-A)에 대응되는 상기 겉면(10)의 안쪽으로 말아 접히는 형태로 절곡 및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엽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구접착면(30)은 상기 겉면(10)과 상기 속면(20)의 양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절단홈(50-1)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엽서.
  8. 삭제
KR1020110077153A 2011-08-03 2011-08-03 영구접착면과 절단홈의 조합만으로 형성된 부정개봉 방지용 봉함엽서 KR101090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153A KR101090698B1 (ko) 2011-08-03 2011-08-03 영구접착면과 절단홈의 조합만으로 형성된 부정개봉 방지용 봉함엽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153A KR101090698B1 (ko) 2011-08-03 2011-08-03 영구접착면과 절단홈의 조합만으로 형성된 부정개봉 방지용 봉함엽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698B1 true KR101090698B1 (ko) 2011-12-08

Family

ID=45505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153A KR101090698B1 (ko) 2011-08-03 2011-08-03 영구접착면과 절단홈의 조합만으로 형성된 부정개봉 방지용 봉함엽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6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8608A (ja) * 2001-03-26 2002-10-04 Toppan Forms Co Ltd 非接触型データ送受信カード付き封書及びその作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8608A (ja) * 2001-03-26 2002-10-04 Toppan Forms Co Ltd 非接触型データ送受信カード付き封書及びその作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3817A (en) Envelope system with multiple pockets
US20060231605A1 (en) Mailer envelope with integrated return response vehicle
US6409079B1 (en) Print-to mail compatible, two-way self-contained mailer
KR101090698B1 (ko) 영구접착면과 절단홈의 조합만으로 형성된 부정개봉 방지용 봉함엽서
JP3153236U (ja) クリアファイル
JP3917861B2 (ja) 封筒
US6460760B1 (en) Two-up rotated pressure seal return mailer
US3352481A (en) Social correspondence card construction
US7731239B2 (en) Card forming sheet
US20060145472A1 (en) Folded self-adhesive label
US7607247B2 (en) Envelope with interior decorative elements
KR101005009B1 (ko) 복합 접착면으로 밀봉된 부정개봉 방지용 봉함엽서
US10046588B2 (en) Security self-mailer
JPH037398A (ja) 葉書とその製造方法
WO2014181113A2 (en) Method and document
CN215795491U (zh) 一种快递袋
CN2815912Y (zh) 一种有多折内函的封、函一体邮简
CN210338841U (zh) 一种防伪真空收纳袋
CN211843786U (zh) 一种具有额外撕口的保密薪资单
CN211280351U (zh) 一种具有多段拆卸结构的无撕边面单
JP2020179937A (ja) 折り畳み袋体
RU123395U1 (ru) Конверт-письмо (варианты)
JP2023086637A (ja) 対向する2紙片の任意の縁辺を剥離不能に接着する構造とそれを用いた折り畳み情報通信体。
JP2000255186A (ja) 送付媒体
JPH03176198A (ja) 葉書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