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554B1 - 대화형 인터페이스 기반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화형 인터페이스 기반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554B1
KR101090554B1 KR1020040083747A KR20040083747A KR101090554B1 KR 101090554 B1 KR101090554 B1 KR 101090554B1 KR 1020040083747 A KR1020040083747 A KR 1020040083747A KR 20040083747 A KR20040083747 A KR 20040083747A KR 101090554 B1 KR101090554 B1 KR 101090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wireless internet
speech
internet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4576A (ko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3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554B1/ko
Publication of KR20060034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자연어 처리를 통한 대화형 인터페이스 기반의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발화 내용을 수신하여 구문 분석을 수행하는 발화 메시지 처리부, 구문 분석 수행 결과에 대한 오류 수정 및 정정을 수행하는 자연어 분석부,자연어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사용자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지,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는지,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발화 내용 확인부, 발화 내용이 확인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로 왑 브라우저를 구동하도록 요청하는 브라우저 기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인터넷 접속 과정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접속, 대화형 인터페이스

Description

대화형 인터페이스 기반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방법{Wireless Internet Access Method Based on Conversational Interfa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발화 메시지 처리부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자연어 분석부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발화 내용 확인부의 상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중 발화 내용 확인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20 : 이동통신 단말
30 : 무선통신망 40, 50 : CP 서버
110 : 제어부 120 : 접속 처리부
130 : 발화 메시지 처리부 140 : 자연어 분석부
150 : 발화 내용 확인부 160 : 브라우저 기동부
170 : 발화 내용 재확인부 180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190 : 데이터베이스 132 : 파싱 수단
134 : 페이지 기술언어 객체 생성 수단
136 : 자연어 생성 수단 138 : 페이지 기술언어 전문 생성 수단
142 : 오타 처리 수단 144 : 형태소 분석 수단
146 : 유의어 처리 수단 152 : 발화 패턴 확인 수단
154 : 발화 의도 확인 수단 156 : 개체명 인식 수단
192 : 도메인명 데이터베이스 194 : 대화 데이터베이스
196 :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198 : 사전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어 처리를 통한 대화형 인터페이스 기반의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이동통신 단말의 보편화에 따라 무선 인터넷 콘텐츠의 종류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이동통신망 사업자간의 망 개방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무선 인터넷 환경은 더욱 복잡 다단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 콘텐츠에 접속하는 방법은 이동통 신망 사업자가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를 통해 네비게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접속하는 방법, 이동통신 단말에 직접 URL을 입력하여 접속하는 방법, 모바일 주소(Wireless Internet Numbers for Contents; WINC)를 이용하는 방법, SMS로 콜백 URL을 수신한 후 이를 통해 접속하는 방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이동통신망 사업자가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를 통해 네비게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접속하는 방법은 무선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메뉴 체계를 통해 하위 카테고리를 선택해 내려가는 방식으로, 최종 콘텐츠까지 도달하기 위해 많은 단계를 거쳐야 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불필요한 트래픽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이동통신 단말에 직접 URL을 입력하여 접속하는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의 입력 인터페이스 특성상 복잡한 영문 URL을 입력하기 불편하며, 입력시 오타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모바일 주소를 이용하는 방법은 영문 도메인에 대응하는 번호를 이동통신 단말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한 후 특정 구분자와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하는 방식으로서, 해당 도메인의 고유번호를 암기해 두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마지막으로, 콜백 URL을 통해 접속하는 방법은 특정 구분자와 고유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 버튼을 눌러 콜백 URL을 수신하고, 수신된 URL을 통해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SMS를 수신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범용 도메인이 아닌 이동통신망 사업자가 제공하는 몇가지 콘텐츠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단점이 있다. 아울러, 해당 도메인의 고유번호를 암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이, 현재의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의 특성 즉,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와 키패드를 이용한 단순 입력방식에 의해 접속하고자 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주소를 입력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접속 주소를 입력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모바일 주소, 콜백 URL을 이용하는 방법 등)은 고유번호를 암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발화 내용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시 사용자의 발화 의도를 재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발화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로의 정확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및 복수의 콘텐츠 제공자 서버와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콘텐츠 제공자 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발화를 요청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발화 내용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접속 처리부; 상기 접속 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발화 내용에 대한 구문 분석을 수행하는 발화 메시지 처리부; 상기 발화 메시지 처리부의 구문 분석 수행 결과에 대한 오류 수정 및 정정을 수행하는 자연어 분석부; 상기 자연어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사용자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지,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는지,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발화 내용 확인부; 상기 발화 내용 확인부에서 사용자의 발화 내용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왑 브라우저를 구동하도록 요청하는 브라우저 기동부; 및 상기 콘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도메인명, 키워드, 키워드에 해당하는 왑 페이지의 URL 및 사전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및 복수의 콘텐츠 제공자 서버와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콘텐츠 제공자 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발화를 요청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발화 내용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접속 처리부; 상기 접속 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발화 내용에 대한 구문 분석을 수행하는 발화 메시지 처리부; 상기 발화 메시지 처리부의 구문 분석 수행 결과에 대한 오류 수정 및 정정을 수행하는 자연어 분석부; 상기 자연어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사용자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발화 내용 확인부; 상기 발화 내용 확인부에서 상기 특정 도메인 명칭,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상기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도메인 명칭,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상기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왑 페이지의 URL을 추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왑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상기 추출된 왑 페이지 URL로 접속을 요청하는 브라우저 기동부; 및 상기 콘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상기 도메인 명칭,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상기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각각에 해당하는 상기 왑 페이지의 URL 및 사전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은 상기 발화 내용 확인부의 확인 결과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에게 재확인하기 위한 발화 내용 재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문자, 음성, 이미지, 동영상, 캐릭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대화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연어 분석부는 상기 발화 메시지 처리부에서 생성한 자연어에 대한 맞춤법을 검사하고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오타 처리 수단; 상기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대한 형태소를 분석하고 각 형태소별 품사를 결정하여 특정 품사의 형태소를 추출하기 위한 형태소 분석 수단; 및 상기 형태소 분석 수단에서 사용자 발화 내용으로부터 분석된 형태소를 상기 형태소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유사 단어로 변환하기 위한 유의어 처리 수단; 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화 내용 확인부는 상기 자연어 분석부의 분석 결과로 얻어진 자연어와 동일한 구문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발화 패턴 확인 수단;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문 중 사용자의 발화 내용과 일치하는 구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포함된 단어들과 관련된 콘텐츠를 판단하는 발화 의도 확인 수단; 및 상기 사용자의 발화 내용이 특정 도메인 명칭이 아니고, 특정 콘텐츠와 관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자연어 분석부의 자연어 추출 결과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키워드와 일치하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개체명 인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화 패턴 확인 수단은 상기 자연어 분석부의 분석 결과로 얻어진 상기 자연어에 도메인 명칭임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포함된 경우 상기 자연어가 상기 도메인 명칭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은, 복수의 콘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도메인명, 키워드,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왑 페이지의 URL 및 사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두고, 상기 콘텐츠 제공자 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발화 내용을 전송함에 따라,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대한 구문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상기 구문 분석 수행 결과에 대한 오류 수정 및 정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사용자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상기 특정 도메인 명칭,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상기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도메인 명칭,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상기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왑 페이지의 URL을 추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왑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상기 추출된 왑 페이지 URL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문 분석 수행 결과에 대한 오류 수정 및 정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포함된 자연어에 오타가 존재하는 경우 오타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대한 형태소를 분석하고 각 형태소별 품사를 결정하여 특정 품사의 형태소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발화 내용으로부터 분석된 형태소를 상기 형태소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유사 단어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왑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상기 추출된 왑 페이지 URL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이전,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접속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상기 추출된 왑 페이지 URL에 대응되는 콘텐츠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사용자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발화 내용에 도메인임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발화 내용에 상기 특정 도메인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사용자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발화 내용에 포함된 형태소 중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형태소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사용자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을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사용자 발화 내용에 포함된 형태소 중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형태소가 없는 것으로 확인하는 경우에는,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10)은 무선통신망(3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20)과 접속되어, 복수의 콘텐츠 제공자 서버(40, 5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20)로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20)에는 대화형 인터페이스 기반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수단(클라이언트)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으로 탑재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대화형 인터페이스 기반의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를 실행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10)에 접속한 후, 원하는 무선 인 터넷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접속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도메인명을 입력하거나, 궁금한 사항, 자신의 감정상태, 또는 콘텐츠 내용을 포함하는 구문을 입력한다. 이때,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10)은 예를 들어 문자, 음성, 이미지, 동영상 캐릭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통신 단말(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적절한 메시지를 표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대화하는 기분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캐릭터를 이용한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다양한 감정 상태에 대한 캐릭터를 생성하여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로부터의 발화 내용에 따라 사용자의 기분을 파악하여 적합한 캐릭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의 발화 내용 즉, 이동통신 단말(10)로 입력된 메시지는 이동통신 단말(20) 번호와 함께 무선통신망(30)을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10)으로 전송된다.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10)은 이동통신 단말(20)의 번호 등을 참조하여 적법한 사용자인지 인증하고, 적법한 사용자로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의 발화 내용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발화 내용 중에 특정 도메인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지, 또는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는지, 또는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10)은 이동통신 단말(10)이 왑(WAP) 브라우저를 구동하도록 하고 해당 도메인으로 접속을 시도한다. 만약,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다면 왑 브라우저를 구동하도록 한 후 해당 콘텐츠를 제공한다. 아울러, 사용자의 발화 내용 중 특정 콘텐츠에 해당하는 키워드가 적어 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경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10)은 왑 브라우저를 구동하도록 하고 해당 콘텐츠를 제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10)은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발화 내용을 전송받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접속 처리부(120), 접속 처리부(12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발화 내용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10) 정보 등을 포함시켜 페이지 기술언어(예를 들어, XML) 문서로 생성하는 발화 메시지 처리부(130), 사용자의 발화 내용을 분석하고 오류를 수정하는 자연어 분석부(140), 데이터베이스(190)를 참조하여 자연어 분석부(140)의 분석 결과로 출력된 사용자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지,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는지,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발화 내용 확인부(150), 발화 내용 확인부(150)에서 사용자의 발화 내용이 확인되면 이동통신 단말(10)의 왑 브라우저가 기동되도록 하는 브라우저 기동부(160)를 포함한다.
아울러, 발화 내용 확인부(150)의 결과가 정확한지 사용자에게 확인하기 위한 발화 내용 재확인부(1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발화 내용을 재확인할 때에는 문자, 음성, 이미지, 동영상, 캐릭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발화 내용 확인부(150)에서 접속 결정한 도메인명 또는 콘텐츠명이 정확한지 사용자에게 질문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사용자로부터 전송받게 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80)는 복수의 CP 서버(40, 50)로부터 도메인명, 키워드, 키워드에 해당하는 왑 페이지의 URL 등을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190)에 저장하며,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오류가 있는 경우 이를 정정하기 위한 사전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190)에 저장하고,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는 경우 이를 갱신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발화 메시지 처리부(130), 자연어 분석부(140) 및 발화 내용 확인부(150)는 각각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은 발화 메시지 처리부의 상세 구성도로서, 파싱 수단(132), 페이지 기술언어 객체 생성 수단(134), 자연어 생성 수단(Natural Lanhuage Generator; NLG, 136) 및 페이지 기술언어 전문 생성 수단(1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싱 수단(132)은 접속 처리부(120)를 통해 전송된 사용자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분석(parsing)하기 위한 수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에 입력된 메시지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페이지 기술언어(예를 들어, XML) 형태의 문서로 전달되며, 파싱 수단(132)은 이 문서에 포함된 내용의 의미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문서가 전달된 경우를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xml version="1.0" encoding="EUC-KR"?>
<ciml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noNamespaceSchemaLocation="D:\eclipse\workspace\core_platform\conf\ciml.xsd">
<customerID>8888</customerID>
<instanceID>8888</instanceID>
<minNumber>01112345678</minNumber>
<query>날씨가 궁금해</query>
파싱 수단(132)은 상기 문서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 번호가 '01112345678'인 사용자가 '날씨가 궁금해'라는 메시지를 입력했다는 것을 파악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은 이에 대한 응답이 포함된 문서를 생성하여 전송하게 되며, 이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파싱되어진 후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한편, 페이지 기술언어 객체 생성수단(134)은 파싱 수단(132)의 결과를 처리하기 위한 객체를 생성하며, 자연어 생성수단(136)은 파싱 수단(132)의 결과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응답할 메시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술한 문서를 수신한 경우, 자연어 생성수단(136)은 예를 들어 '일기예보를 알고 싶어?'라는 답변을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페이지 기술언어 전문 생성수단(138)은 발화를 통한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 번호, 자연어 생성 수단(136)에서 생성한 응답 메시지, 접속 URL 등이 포함되는 페이지 기술언어 문서 예를 들어, XML 문서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캐릭터와 함께 제공하는 경우 페이지 기술언어 전문 생성수단(138)에서 생성한 문서에는 선택된 캐릭터의 종류, 표정, 액션 등을 지정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자연어 분석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자연어 분석부(140)는 오타 처리 수단(142), 형태소 분석 수단(144) 및 유의어 처리 수단(146)으로 이루어진다.
오타 처리 수단(142)은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발화에 대한 맞춤법을 검사하여, 오타라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한 오류를 수정한다. 이때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전 정보를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에는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메시지를 입력하는 경우 발생 빈도가 높은 오타 패턴을 정의해 둔 사전을 이용한다.
형태소 분석 수단(144)은 사용자 발화 내용을 형태소 단위, 사전의 표제어 단위로 분석한 후 각 분석 단위에 대한 사전 정보(품사 등)를 포함시켜 출력한다. 즉, 어절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서 참조할 수 있도록 사전의 표제어 즉, 원형을 정확하게 찾는 것이다.
유의어 처리 수단(146)은 형태소 분석 수단(144)에서 사용자 발화 내용으로부터 분석된 각각의 형태소 중 데이터베이스(190)의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단어와 유사하여 사실상 동일한 단어로 판단되는 단어를 사전상의 단어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발화 내용 중 '베에토벤'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고, 데이터베이스(190)에는 '베토벤'이라고 등록되어 있는 경우 유의어 처리 수단(146)은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포함된 '베에토벤'을 '베토벤'으로 변경 처리하는 것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발화 내용 확인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발화 내용 확인부(150)는 발화 패턴 확인 수단(152), 발 화 의도 확인 수단(154) 및 개체명 인식 수단(156)을 포함한다.
발화 패턴 확인 수단(152)은 자연어 분석부(140)의 분석 결과로 얻어진 자연어와 동일한 구문이 데이터베이스(190)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사용자 발화와 데이터베이스(190) 저장 구문이 일치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메인명을 발화한 경우가 될 수 있다. 아울러, 발화 패턴 확인 수단(152)은 자연어 분석부(140)의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발화 내용 중 특정 식별자(*, - 등)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즉, 통상의 도메인 명칭에 포함되는 식별자를 발화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가 특정 도메인 명칭을 발화한 것으로 판단한다.
발화 의도 확인 수단(151)은 데이터베이스(190)에 저장된 구문 중 사용자의 발화 내용과 일치하는 구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포함된 의미 있는 단어들로부터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유추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발화 내용이 '날씨가 궁금해'인 경우 사용자에게 날씨 정보를 제공한다. 아울러, 사용자의 발화 내용이 '눈이 올 것 같아'인 경우에도 '눈'이라는 형태소로부터 사용자가 날씨 정보를 궁금해 할 것으로 유추하여 사용자에게 날씨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에는 사용자의 정확한 발화 의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제 콘텐츠를 제공하기 전, 발화 내용 재확인부(170)를 통해 예를 들어, '날씨 정보를 알려드릴까요?'와 같은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콘텐츠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체명 인식 수단(156)은 사용자의 발화 내용이 특정 도메인 명칭이 아니고, 아울러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의도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자연어 분 석부(140)로부터 추출된 형태소 중 주어, 목적어 등과 같이 의미 있는 품사를 갖는 단어가 데이터베이스(190)에 등록되어 있는 키워드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다. 즉, 사용자의 발화 내용 중에 콘텐츠 제공자가 데이터베이스(190)에 기 등록해 둔 키워드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콘텐츠 제공자는 복수의 키워드 및 그에 해당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URL을 데이터베이스(190)에 기 등록해 두어야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URL로의 접속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또한 등록해 두어야 한다. 이와 같이, 개체명 인식은 인명, 지명, 상품명 등 사전에 등록되지 않는 고유명사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두고, 이를 사용자 발화 내용에 포함된 단어와 비교하는 것으로, 통상의 개체명 인식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데이터베이스(190)는 도메인명 DB(192), 대화 DB(194), 키워드 DB(196) 및 사전 DB(198)를 포함하며,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는 독립적인 테이블로 구성하거나 하나의 테이블로 구성할 수 있다.
도메인명 DB(192)에는 복수의 콘텐츠 제공자 서버(40, 5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인터넷 접속 주소 정보가 저장된다. 대화 DB(192)에는 사용자의 무선 인터넷 접속 의도를 확인할 수 있는 복수의 단어가 저장된다. 아울러, 키워드 DB(196)에는 복수의 콘텐츠 제공자 서버(40, 50)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키워드가 저장된다. 이 키워드는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대한 개체명 인식 결과로 얻어지는 단어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키워드가 된다. 한편, 사전 DB(198)에는 오타 패턴 사전, 유의어 사전 등이 전자 문서 형태로 생성되어 저장된다.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는 대화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캐릭터를 이용하여 대화형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캐릭터마다 다양한 감정상태가 나타나도록 구성하여 두고,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따라 사용자의 기분을 파악하여 적합한 캐릭터를 표출하여 이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10)의 대화형 인터페이스 기반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클라이언트를 실행한 후 발화 내용을 입력하면(S10),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10)의 접속 처리부(120)는 발화 내용과 함께 전송된 이동통신 단말(10) 정보를 참조하여 적법한 사용자인지 확인한다(S20).
확인 결과 적법한 사용자로 판명되면, 발화 메시지 처리부(130)의 파싱 수단(132)의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대한 프로토콜 분석을 수행한다(S30). 이후, 페이지 기술언어 객체 생성 수단(134)은 파싱 결과를 처리하기 위한 객체를 생성하고(S40). 자연어 생성수단(136)은 파싱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할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S50). 이어서, 페이지 기술언어 전문 생성수단(138)은 발화를 통한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 번호, 단계(S50)에서 생성한 응답 메시지 등이 포함되는 페이지 기술언어 문서를 예를 들어, XML 문서 형태로 생성한다(S60).
다음에, 자연어 분석부(140)는 자연어 생성 단계(S50)에서 생성한 자연어에 대한 오타 수정, 형태소 분석, 유의어 처리 등을 수행하고(S70), 발화 내용 확인부(150)는 자연어 분석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발화 내용이 어떠한 콘텐츠로의 접속을 요구하는 것인지 결정한다(S80). 이와 같이 사용자 발화 내용이 확인된 후에는 브라우저 기동부(160)가 이동통신 단말(20)로 왑 브라우저를 구동할 것을 요청하고(S80), 이에 따라 왑 브라우저가 기동되면 해당 콘텐츠 정보를 제공한다(S100).
여기에서, 발화 내용을 확인한 후(S80), 브라우저 구동을 요청하기(S90) 전, 발화 내용 재확인부(17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도메인명 또는 콘텐츠가 발화 내용 확인부(150)에서 결정한 도메인명 또는 콘텐츠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에게 발화를 입력하도록 하는 과정, 원하는 도메인 또는 콘텐츠로의 접속이 확실한지 확인하는 과정 등은 문자, 이미지, 동영상, 캐릭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대화형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중 발화 내용 확인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발화 내용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따라 사용자가 접속하고자 하는 도메인 또는 콘텐츠가 어떤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도메인명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여(S810), 도메인명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도메인을 의미하는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820). 확인 결과,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도메인으로의 연결 의도가 명확한 것으로 간주하여 이동통신 단말로 왑 브라우저의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S90)로 이동한다. 반면,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도메인으로 접속할 것인지 사용자에게 확인하고(S830), 사용자가 접속을 요청하면 해당 도메인으로 접속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의 왑 브라우저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S90)로 진행한다.
한편,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도메인명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발화 내용 중 의미 있는 형태소들로부터 사용자의 발화 의도가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한다(S850). 확인 결과,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발화 의도가 명확한지 확인하는 단계(S830)로 진행한다.
아울러, 사용자의 발화 의도가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포함된 의미 있는 형태소 중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기 등록된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860). 확인 결과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발화 의도를 재확인하는 단계(S830)로 진행하여 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대한 자연어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무선 인터넷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접속하고자 하는 도메인명 등을 암기하지 않고도 용이하고 간단하게 무선 인터넷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서비스가 대화형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 방법이 쉽고, 사용자의 발화 내용으로부터 발화 의도를 분석하여 보다 지능적인 방식의 무선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3)

  1.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및 복수의 콘텐츠 제공자 서버와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콘텐츠 제공자 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발화를 요청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발화 내용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접속 처리부;
    상기 접속 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발화 내용에 대한 구문 분석을 수행하는 발화 메시지 처리부;
    상기 발화 메시지 처리부의 구문 분석 수행 결과에 대한 오류 수정 및 정정을 수행하는 자연어 분석부;
    상기 자연어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사용자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발화 내용 확인부;
    상기 발화 내용 확인부에서 상기 특정 도메인 명칭,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상기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도메인 명칭,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상기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왑 페이지의 URL을 추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왑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상기 추출된 왑 페이지 URL로 접속을 요청하는 브라우저 기동부; 및
    상기 콘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상기 도메인 명칭,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상기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각각에 해당하는 상기 왑 페이지의 URL 및 사전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은
    상기 발화 내용 확인부의 확인 결과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에게 재확인하기 위한 발화 내용 재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문자, 음성, 이미지, 동영상, 캐릭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대화형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어 분석부는 상기 발화 메시지 처리부에서 생성한 자연어에 대한 맞춤법을 검사하고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오타 처리 수단;
    상기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대한 형태소를 분석하고 각 형태소별 품사를 결정하여 특정 품사의 형태소를 추출하기 위한 형태소 분석 수단; 및
    상기 형태소 분석 수단에서 사용자 발화 내용으로부터 분석된 형태소를 상기 형태소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유사 단어로 변환하기 위한 유의어 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 내용 확인부는 상기 자연어 분석부의 분석 결과로 얻어진 자연어와 동일한 구문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발화 패턴 확인 수단;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문 중 사용자의 발화 내용과 일치하는 구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포함된 단어들과 관련된 콘텐츠를 판단하는 발화 의도 확인 수단; 및
    상기 사용자의 발화 내용이 특정 도메인 명칭이 아니고, 특정 콘텐츠와 관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자연어 분석부의 자연어 추출 결과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키워드와 일치하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개체명 인식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 패턴 확인 수단은 상기 자연어 분석부의 분석 결과로 얻어진 상기 자연어에 도메인 명칭임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포함된 경우 상기 자연어가 상기 도메인 명칭인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8. 복수의 콘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도메인명, 키워드,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왑 페이지의 URL 및 사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두고, 상기 콘텐츠 제공자 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발화 내용을 전송함에 따라,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대한 구문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상기 구문 분석 수행 결과에 대한 오류 수정 및 정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사용자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상기 특정 도메인 명칭,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상기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도메인 명칭,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상기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왑 페이지의 URL을 추출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왑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상기 추출된 왑 페이지 URL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문 분석 수행 결과에 대한 오류 수정 및 정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포함된 자연어에 오타가 존재하는 경우 오타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발화 내용에 대한 형태소를 분석하고 각 형태소별 품사를 결정하여 특정 품사의 형태소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발화 내용으로부터 분석된 형태소를 상기 형태소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유사 단어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왑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상기 추출된 왑 페이지 URL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이전,
    상기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접속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상기 추출된 왑 페이지 URL에 대응되는 콘텐츠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사용자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발화 내용에 도메인임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발화 내용에 상기 특정 도메인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사용자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발화 내용에 포함된 형태소 중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형태소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이 사용자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구문 및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발화 내용에 특정 도메인 명칭을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사용자 발화 내용에 포함된 형태소 중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형태소가 없는 것으로 확인하는 경우에는, 특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키워드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KR1020040083747A 2004-10-19 2004-10-19 대화형 인터페이스 기반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방법 KR101090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747A KR101090554B1 (ko) 2004-10-19 2004-10-19 대화형 인터페이스 기반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747A KR101090554B1 (ko) 2004-10-19 2004-10-19 대화형 인터페이스 기반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576A KR20060034576A (ko) 2006-04-24
KR101090554B1 true KR101090554B1 (ko) 2011-12-08

Family

ID=3714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747A KR101090554B1 (ko) 2004-10-19 2004-10-19 대화형 인터페이스 기반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944B1 (ko) * 2017-06-18 2023-02-01 박여림 콘텐츠 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9687A (ja) 1999-10-07 2001-04-20 Nec Corp ホームページアクセス装置及びホームページアクセス方法
JP2001229008A (ja) 2000-02-16 2001-08-24 Yogi Communications Kk 電話発信者の音声指示の認識によるインターネットホームページ自動表示装置及び方法、また、インターネットホームページ自動表示機能の基本データとなるホームページ情報の管理技術、並びにインターネットホームページ自動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2183187A (ja) 2000-12-18 2002-06-28 Toshiba Corp ホームページ閲覧を容易化するインターネット接続機構を有する機器、該機器で用いられるホームページ検索方法およびホームページ検索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9687A (ja) 1999-10-07 2001-04-20 Nec Corp ホームページアクセス装置及びホームページアクセス方法
JP2001229008A (ja) 2000-02-16 2001-08-24 Yogi Communications Kk 電話発信者の音声指示の認識によるインターネットホームページ自動表示装置及び方法、また、インターネットホームページ自動表示機能の基本データとなるホームページ情報の管理技術、並びにインターネットホームページ自動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2183187A (ja) 2000-12-18 2002-06-28 Toshiba Corp ホームページ閲覧を容易化するインターネット接続機構を有する機器、該機器で用いられるホームページ検索方法およびホームページ検索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576A (ko) 2006-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220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horing of mixed-initiative multi-modal interactions and related browsing mechanisms
US20060235694A1 (en) Integrating conversational speech into Web browsers
JP3936718B2 (ja) インターネットコンテンツのアクセスに関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378100B1 (ko) 통역 서비스 방법 및 통역 서비스 장치
US6604075B1 (en) Web-based voice dialog interface
US9131050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to disambiguate requests
US20020077823A1 (en) Software development systems and methods
US200301448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the behavior of an application based upon the application&#39;s grammar
US200600643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voice-enabled autofill
EP1215656B1 (en) Idiom handling in voice service systems
WO2013189342A2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移动终端
WO2004064357A2 (en) Data conversion server for voice browsing system
US20080215519A1 (en) Method and data processing system for the controlled query of structured saved information
CN110232921A (zh) 基于生活服务的语音操作方法、装置、智能电视及系统
JP2017120616A (ja) 機械翻訳方法、及び、機械翻訳システム
JPH11184670A (ja) 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システム、方法及び記録媒体
US8782171B2 (en) Voice-enabled web portal system
US20100042409A1 (en) Automated voice system and method
KR101090554B1 (ko) 대화형 인터페이스 기반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방법
US20040049386A1 (en)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for a small device
Krahmer et al. How to obey the 7 commandments for spoken dialogue systems?
KR100432373B1 (ko) 독립적 음성처리를 위한 음성인식 시스템
JP2002297646A (ja) サービス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151037A (ja) 音声処理装置および音声処理方法
KR100820217B1 (ko) 전화를 이용한 음성 포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