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323B1 -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및 이를 갖는 산소포화도 측정기 - Google Patents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및 이를 갖는 산소포화도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323B1
KR101090323B1 KR20090098923A KR20090098923A KR101090323B1 KR 101090323 B1 KR101090323 B1 KR 101090323B1 KR 20090098923 A KR20090098923 A KR 20090098923A KR 20090098923 A KR20090098923 A KR 20090098923A KR 101090323 B1 KR101090323 B1 KR 101090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oxygen saturation
velcro
subject
band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98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1897A (ko
Inventor
이동화
서동규
조인준
Original Assignee
(주)참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케어 filed Critical (주)참케어
Priority to KR20090098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323B1/ko
Priority to PCT/KR2010/006579 priority patent/WO2011046306A2/ko
Publication of KR20110041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61B5/6826F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8Clamps or c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산소포화도 측정용 센서가 구비되는 센서수용부; 그리고 상기 센서수용부를 피측정자의 신체에 장착하기 위한 홀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및 이를 갖는 산소포화도 측정기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부는 벨크로(Velcro) 결합에 의해 상기 센서수용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교체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측정자의 피부와 접촉되어 오염가능성이 높은 홀더부의 교체가 단순한 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고가의 제조비용이 소요되는 센서수용부에 구비되는 센서의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센서수용부와 홀더부의 탈부착에 벨크로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센서수용부, 홀더부, 베이스, 밴드 스트립, 벨크로

Description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및 이를 갖는 산소포화도 측정기{Sensor Unit for Oximeter and Oxime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체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가 피부접촉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 상태로 재사용이 가능하며 센서를 피측정자의 신체에 장착하기 위한 홀더부의 손쉬운 교체가 가능한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및 이를 갖는 산소포화도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소포화도 측정기는 산소포화도 측정용 센서를 이용하여 인체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산소포화도 측정을 위하여 인체에 장착되는 산소포화도 센서유닛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산소포화도 측정기는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환자의 손가락, 발가락 또는 귀의 혈류상태를 체크하고 이를 통해 측정된 산소포화도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기는 비침습적 방법으로 동맥혈액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종래의 일반적인 산소포화도 측정기는 광센서를 이용한 맥박 산소포화도 센서유닛로서, 광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광량이 박동성 동맥혈관의 팽창과 수 축에 따른 불포화혈색소와 포화혈색소간의 감각비(sensitive fraction)에 의해서 좌우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동맥혈액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한다.
상술한 맥박 산소포화도 측정기의 센서유닛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 집게 타입의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상하집게 한쌍과 스프링 등과 같은 다수의 부품들을 조립하고 힌지구조를 적용하여야 하므로, 집게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의 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며 손가락에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을 고정하는 작업이 복잡하고 번잡스러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피측정자의 손가락에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을 붕대처럼 감아서 착용하는 밴드타입의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밴드타입의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은 손가락을 감는 밴드와 산소포화도 측정용 센서가 분리가 어려운 일체형이기 때문에, 피측정자를 달리할 경우 전염의 위험성이 높다. 이에 따라 종래의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이 일회용으로 제조되기도 하나, 고가의 센서를 1회의 사용만으로 폐기해야 하므로 재구매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밴드가 단순한 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센서에 탈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비용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제조가 간편한 구조의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수용부에 구비되는 센서의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며, 피측정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홀더부와 상기 센서수용부의 탈부착이 용이한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측정자의 신체일부에 상기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유동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홀더부를 갖는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측정자의 피부와 상기 센서수용부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의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산소포화도 측정용 센서가 구비되는 센서수용부; 그리고 상기 센서수용부를 피측정자의 신체에 장착하기 위한 홀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을 제공하며: 상기 홀더부는 벨크로(Velcro) 결합에 의해 상기 센서수용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교체가능하다. 상기 홀더부는 상기 센서수용부 및 센서가 피측정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센서수용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산소포화도 측정용 센서가 구비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홀더부는 상기 벨크로 결합에 의해 상기 베이스 에 탈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홀더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벨크로 결합을 위한 암 벨크로를 가지며, 다른 하나는 상기 암 벨크로에 대응되는 수 벨크로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 벨크로는 어느 하나의 표면에 구비되는 후크부를 가지며; 상기 암 벨크로는 상기 후크부와 대응하도록 상기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홀더부 중 다른 하나의 표면에는 구비되는 루프부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와 상기 루프부의 탈부착에 의해 상기 센서수용부에 상기 홀더부가 탈착될 수 있으며, 피측정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상기 홀더부의 교체에 의해 전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센서수용부는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후크부는 복수의 후크(hook)를 갖는 후크층을 포함하며, 상기 루프부는 상기 복수의 후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루프(loop)를 갖는 루프층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부는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일부를 감는 유연한 재질의 밴드 스트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벨크로 결합을 위한 수 벨크로를 가지며, 상기 밴드 스트립은 표면에 상기 수 벨크로에 대응되는 암 벨크로가 구비되는 부직포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센서가 고정되는 베이스 기재와 상기 벨크로 결합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 기재의 표면에 구비되는 수 벨크로를 가지며, 상기 밴드 스트립은 표면에 상기 수 벨크로에 대응되는 암 벨크로가 구비되는 부직포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수 벨크로는 접착식 또는 재봉방식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밴드 스트립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밴드 스트립이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일부를 감은 결속상태를 유지시키는 결속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속고정부는 벨크로 결합에 의하여 상기 피측정자에 대한 상기 밴드 스트립의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 스트립은 상기 센서를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를 향해 노출시키는 개구홀을 가지며; 상기 홀더부는 상기 밴드 스트립의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피측정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오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오염방지부재는, 상기 개구홀을 통해 상기 센서와 상기 피측정자의 피부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오염방지부재의 일측표면에는 상기 밴드 스트립의 표면이 접촉되고, 상기 오염방지부재의 타측표면에는 상기 밴드 스트립과 상기 피측정자의 피부간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염방지부재의 일 예로서, 상기 오염방지부재는 양면 테이프로 제조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산소포화도 측정용 센서가 구비되는 베이스를 갖는 센서수용부; 그리고 상기 센서수용부를 피측정자의 신체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일부를 감는 유연한 재질의 밴드 스트립을 갖는 홀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을 제공하며: 상기 홀더부는 벨크로 결합에 의해 상기 센서수용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교체가능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벨크로 결합을 위한 수 벨크로와 상기 수 벨크로가 결합되며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베이스 기재를 가지며; 상기 밴드 스트립은 표면에 상기 수 벨크로에 대응되는 암 벨크로를 갖는다.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산소포화도 측정용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산소포화도 측정용 센서가 구비되는 센서수용부; 상기 센서수용부와 센서가 피측정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센서수용부를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에 장착하기 위한 홀더부;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산소포화도 수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산소포화도 측정기를 제공하며, 상기 홀더부는 벨크로(Velcro) 결합에 의해 상기 센서수용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교체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수용부의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한 동시에 1회사용에 의해 오염의 여지가 있는 홀더부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홀더부를 통한 세균 등의 전염이 방지되고, 홀더부와 센서수용부가 벨크로에 의해 결합되므로 홀더부와 센서수용부의 탈부착이 단순한 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저비용이 소요되는 벨크로를 사용하여 센서수용부와 홀더부를 상호 탈부착함으로써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제조비용 및 구매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홀더부가 밴드나 붕대처럼 피측정자의 신체 일부를 감아서 상기 센서수용부를 피측정자의 신체에 장착하는 밴드 스트립을 가지므로,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밴드 스트립이 유연한 재질의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상기 홀더 유닛의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피측정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상기 밴드 스트립의 표면에 상기 센서수용부와 피측정자의 피부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오염방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오염방지부재의 표면에 피측정자의 피부와 밴드 스트립간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제가 도포되어 상기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이 피측정자에게 장착된 상태에서 유동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산소포화도 측정 정확도를 높여서 제품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포화도 측정용 센서기의 제1실시예가 피측정자의 손가락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제1실시예(100)는 적어도 하나의 산소포화도 측정용 센서(112)가 구비되는 센서수용부(110)와 상기 센서수용부(110)를 피측정자의 신체에 장착하기 위한 홀더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부(120)는 상기 센서수용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벨크로(Velcro; 일명 찍찍이) 결합에 의해 상기 센서수용부(110)에 손쉽게 탈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수용부(110)와 상기 홀더부(120)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수 벨크로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표면에는 암 벨크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120)는, 상기 센서수용부(110) 및 상기 센서(112)의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센서수용부(110)와 센서(112)가 피측정자의 신체, 즉 피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용부(110)는 상기 센서(112)의 정착을 위한 베이스(1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112)는 상기 베이스(111)에 수용되어 고정되며, 상기 홀더부(120)은 상기 베이스(111)에 벨크로 결합에 의해 탈부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베이스(111)와 상기 홀더부(12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벨크로 결합을 위한 암 벨크로를 가지며, 다른 하나는 상기 암 벨크로에 대응되는 수 벨크로를 가진다. 통상적으로 상기 수 벨크로만을 벨크로라고 칭하기도 하며 상기 암 벨크로는 벨크로(수 벨크로)가 붙을 수 있는 부분을 말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수 벨크로는 후크부를 가지며, 상기 암 벨크로는 상기 후크부가 걸리는 루프부를 갖는데, 상기 후크부는 복수의 후크(hook)를 갖는 후크층을 포함하며, 상기 루프부 복수의 루프(loop)를 갖는 루프층을 포함한다.
상기 벨크로 결합을 위한 벨크로 구조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것에 해당되며, 일반적인 벨크로 결합을 위한 구성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벨크로 자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벨크로 부착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수용부(110)가 상기 홀더부(120)에 단순한 조작을 통해 손쉽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112)는 상기 베이스(111)의 내부에 완전히 매립되거나 표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수용되어 고정되며, 상기 홀더부(120)는 밴드 또는 붕대처럼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일부, 예를 들면 손가락이나 발가락 등의 부위를 감는 유연한 재질의 밴드 스트립(121; band strip)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밴드 스트립(121)은 손가락이나 발가락을 한바퀴 이상 감을 수도 있고 그 둘레의 일부만을 감쌀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1)는 상기 벨크로 결합을 위한 수 벨크로(130)를 가지 며, 상기 밴드 스트립(121)은 상기 수 벨크로(130)에 대응되는 암 벨크로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111)는 상기 센서(112)가 정착되는 베이스 기재(111a)와 상기 베이스 기재의 표면에 구비되는 수 벨크로(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 벨크로(130)는 접착식 또는 재봉 등의 방식에 의해 상기 베이스 기재(111a)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기재(111a)와 상기 수 벨크로(130)가 별도로 제조되어 접착방식으로 상호 고정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베이스 기재(111a) 자체가 상기 수 벨크로 재질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 기재(111a)가 상호 겹쳐진 상태로 부착된 내피와 외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내피와 외피에 의해 상기 센서(112)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기재(111a)의 내피는 상기 홀더부(120)과 마주하는 표면층을 말한다.
상기 홀더부(120)는 상기 베이스(111)와 결합된 상태로 피측정자의 신체 일부 예를 들면 손가락에 고정되며, 상기 수 벨크로(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1)에 상기 홀더부(12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센서수용부(110)가 상기 홀더부(120)에 상기 암/수 벨크로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밴드 스트립(121)을 피측정자의 신체 일부, 예를 들면 손가락에 감을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기재(111a)는 유연한 재질 예를 들면 직물이나 얇은 합성수지 필름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베이스 기재(111a)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단한 재질을 갖는 케이스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1)에 고정되는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용 센서(112)의 일 예로는 광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112)는 발광부(112a)와 수광부(11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112a)에서 발산되어 피측정자의 신체 일부, 특히 손가락을 통해 투과된 광량을 상기 수광부(112b)에서 감지하여 피측정자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112a)는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112b)는 광 센서(light sensor) 또는 광 검출기(light detector)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112a)와 상기 수광부(112b)는 상기 베이스(111)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112a)와 수광부가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매립되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110)의 내피가 광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내피에 광통과를 위한 개구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112a)에서 발산되어 피측정자의 신체 일부, 특히 손가락을 통해 투과한 후 상기 수광부(112b)에 의해 감지되는 광량이 박동성 동맥혈관의 팽창과 수축에 따라 불포화혈색소와 포화혈색소간의 감각비(sensitive fraction)에 의해서 좌우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상기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이 동맥혈액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센서(112)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별도로 분리된 구조가 될 수도 있고, 하나의 몸체로 된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1)는 분할된 복수의 베이스 기재들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 기재들 각각에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가 장착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가 별도로 분리된 구조이고 상기 베이스 기재가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갖는 단단한 케이스 형태일 경우,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가 상호 분할된 베이스 기재에 각각 탑재되는 것이 좋다.
상기 홀더부(120)의 밴드 스트립(121)은 상기 수 벨크로(130)에 의해 상기 센서수용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피측정자의 신체 일부 특히, 손가락에 권선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 예를 들면 얇은 필름이나 천 등의 직물, 특히 부직포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상기 부직포의 표면에는 상기 수 벨크로(130)가 붙을 수 있는 암 벨크로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밴드 스트립(121)에는 상기 센서(112)를 피측정자의 피부를 향해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홀(121a, 121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홀(121a, 121b)에 상기 센서(112)가 정렬되도록 상기 베이스(111)에 상기 밴드 스트립이 상기 수 벨크로(130)에 의해 결합된다. 물론, 상기 밴드 스트립(121)이 상기 개구홀을 갖는 대신에 상기 개구홀의 위치에 광투과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부를 가질 수도 있고 상기 밴드 스트립 전체가 광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 벨크로(130)는, 상기 베이스(111)의 표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부(131, 132)를 가지며, 상기 밴드 스트립(121)의 표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암 벨크로의 루프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부(131, 132)는 상기 베이스 기재(111a)의 표면에 접착식 또는 재봉식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밴드 스트립(121)과 마주하는 표면에 복수의 후크(hook)를 갖는 후크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루프부는 상기 후크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밴드 스트립(121)의 일측표면에 구비되는 루프층을 포함하며, 상기 루프층은 상기 후크와 탈부착되는 복수의 루프(loop)를 갖는다.
상기 수 벨크로(130)는 상기 발광부(112a)와 수광부(112b)와 일치하는 부분에 광통과홀(131a, 132a)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 벨크로(130)는 상호 분할된 복수개의 후크부(131, 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체형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후크부들 중에서 상기 센서와 중첩되는 후크부에는 상술한 광통과홀이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홀더부(120)는 상기 피측정자의 손라락에 상기 밴드 스트립(121)을 감은 상태에서 상기 밴드 스트립의 결속상태를 유지시키는 결속고정부(1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속고정부(122)는 상기 밴드 스트립(121)의 단부에 구비되며, 전술한 벨크로 결합에 의하여 상기 밴드 스트립(121)의 결속상태를 유지시키거나 결속상태를 해지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밴드 스트립(121)의 단부에 결속용 수 벨크로 를 갖는 상기 결속고정부(122)가 구비되는데, 상기 결속용 수 벨크로의 일부만이 상기 밴드 스트립과 겹쳐지도록 상기 결속용 수 벨크로의 일측단부가 상기 밴드 스트립(121)의 일측표면에 구비되는 암 벨크로에 부착되어 상기 밴드 스트립의 단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밴드 스트립(121)의 일측표면에는 전체적으로 상기 암 벨크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 스트립(121)의 타측표면에 피측정자의 피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밴드 스트립(121)을 피측정자의 손가락에 완전히 감으면, 상기 밴드 스트립(121)이 피측정자의 손가락에 감기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결속고정부(122)가 상기 밴드 스트립(121)의 일측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암 벨크로에 부착되므로, 상기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이 피측정자의 손가락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결속고정부(122)가 벨크로 결합에 의해 상기 밴드 스트립의 결속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것을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 자력에 의한 탈착 방식, 버튼에 의한 탈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한 탈착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피측정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되는 홀더부(120)가 상기 센서수용부(110)에 벨크로에 의해 탈부착되므로, 1회 사용후 오염된 상기 홀더부(120)의 교체가 용이하고 아울러 상기 센서수용부(110)의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기존 센서 유닛의 재구매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센서(112)는 케이블(113)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는 산소포화도 측정기의 본체(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센서수용부(110)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유닛과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산소포화도 수치와 같은 인체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인체 정보에는 맥박과 같은 다른 인체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인체 정보의 표시 이외의 다른 용도, 예를 들면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ON/OFF 등과 같은 조작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본 발명에 따른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조작을 위한 전원스위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조작자 또는 피측정자가 스스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산소포화도와 같은 인체 정보의 확인 및/또는 맥박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센서수용부는 유선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센서수용부에서 감지된 산호포화도 산출을 위한 신호가 유선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전달된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센서수용부가 무선에 의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케이스(10)와 표시부(20) 및 회로기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표시부(20)와 상기 회로기판(30) 및 배터리(4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케이블 단부는 상기 센서수용부(110)의 케이블(113) 단부에 구비되는 커넥터(114)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회로기판(30)은 상기 센서수용부의 센서(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회로기판(30)의 상측에는 상기 표시부(20)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30)은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표시부(20)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산소포화도와 같은 인체정보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산소포화도 측정용 센서 유닛 및 이를 갖는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이 설명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소포화도 측정용 센서수용부의 제2실시예(100A)는 적어도 하나의 산소포화도 측정용 센서가 구비되는 센서수용부(110)와 상기 센서수용부(110)에 전술한 벨크로 결합에 의해 탈부착되는 홀더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부(120)는 밴드 스트립(121)과 상기 센서수용부(110)의 오염을 방지하는 오염방지부재(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밴드 스트립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개구홀(121a, 121b)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오염방지부재(123)는 상기 개구홀(121a, 121b)을 통해 상기 센서(112)가 피측정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센서(112)의 오염을 방지한다.
상기 오염방지부재(123)는 상기 밴드 스트립(121)의 표면, 특히 상기 밴드 스트립의 내측면(피부와의 접촉면)에 구비되어 피측정자의 피부에 접촉되며, 상기 개구홀(121a, 121b)을 차단한다. 물론, 상기 오염방지부재(123)는 광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오염방지부재(123)는 유연한 재질을 가지며, 일측표면이 상기 밴드 스트립(121)의 표면에 접촉되고, 타측표면은 피부와 접촉된다. 상기 오염방지부재(123)는 타측표면에 상기 밴드 스트립과 피부간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제, 예를 들면 점착제나 접착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오염방지부재의 일 예로는 투명한 양면 테이프(123a)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밴드 스트립을 피측정자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감아서 본 실시예에 따른 산소포화도 센서유닛(100A)을 피측정자의 신체에 장착하면, 상기 오염방지부재(123)가 상기 센서(112)의 오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밴드 스트립(121)의 슬립(slip) 현상을 최소화 또는 방지하여 산소포화도 측정 정확도를 높이고 센서(212)의 수명을 연장함으로써 제품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오염방지부재(123)의 유무에 관계없이, 상기 밴드 스트립(121)의 표면에 상술한 미끄럼방지제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오염방지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 및 상기 센서수용부와 홀더부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의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포화도 측정용 센서기의 제1실시예가 피측정자의 손가락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포화도 측정기에 적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이 피측정자의 손가락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110: 센서수용부
111: 베이스 112: 센서
113: 케이블 114: 커넥터
120: 홀더부 121: 밴드 스트립
122: 결속고정부 130: 벨크로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산소포화도 측정용 센서가 구비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센서수용부; 그리고
    상기 센서수용부를 피측정자의 신체에 장착하기 위하여, 벨크로(Velcro) 결합에 의해 상기 센서수용부의 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산소포화도 센서유닛으로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일부를 감는 유연한 재질의 밴드 스트립과 오염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밴드 스트립은 상기 센서를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를 향해 노출시키는 개구홀을 가지며; 상기 오염방지부재는 상기 밴드 스트립에 구비되어 상기 피측정자의 피부에 접촉되고, 상기 개구홀을 통해 상기 센서와 상기 피측정자의 피부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홀더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벨크로 결합을 위한 암 벨크로를 가지며, 다른 하나는 상기 암 벨크로에 대응되는 수 벨크로를 갖는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벨크로 결합을 위한 수 벨크로를 가지며, 상기 밴드 스트립은 표면에 상기 수 벨크로에 대응되는 암 벨크로가 구비되는 부직포로 제조되는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센서가 고정되는 베이스 기재와 상기 벨크로 결합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 기재의 표면에 구비되는 수 벨크로를 가지며, 상기 밴드 스트립은 표면에 상기 수 벨크로에 대응되는 암 벨크로가 구비되는 부직포로 제조되는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 벨크로는 접착식 또는 재봉방식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는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밴드 스트립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밴드 스트립이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일부를 감은 결속상태를 유지시키는 결속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고정부는 벨크로 결합에 의하여 상기 밴드 스트립의 결속상태를 유지하는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부재의 일측표면에는 상기 밴드 스트립의 표면이 접촉되고, 상기 오염방지부재의 타측표면에는 상기 밴드 스트립과 상기 피측정자의 피부간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제가 도포된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부재는 양면 테이프로 제조되는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13. 삭제
  14. 제1항에 기재된 산소 포화도 센서유닛;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산소포화도 수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산소포화도 측정기.
KR20090098923A 2009-10-16 2009-10-16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및 이를 갖는 산소포화도 측정기 KR101090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8923A KR101090323B1 (ko) 2009-10-16 2009-10-16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및 이를 갖는 산소포화도 측정기
PCT/KR2010/006579 WO2011046306A2 (ko) 2009-10-16 2010-09-28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및 이를 갖는 산소포화도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8923A KR101090323B1 (ko) 2009-10-16 2009-10-16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및 이를 갖는 산소포화도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897A KR20110041897A (ko) 2011-04-22
KR101090323B1 true KR101090323B1 (ko) 2011-12-07

Family

ID=4387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98923A KR101090323B1 (ko) 2009-10-16 2009-10-16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및 이를 갖는 산소포화도 측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0323B1 (ko)
WO (1) WO20110463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935B1 (ko) * 2020-08-21 2022-06-14 주식회사 하벤 가변형 센싱태그
KR102320959B1 (ko) * 2020-12-04 2021-11-03 정현민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215A (ja) * 2001-11-28 2003-08-12 Nippon Koden Corp パルスフォトメトリープローブ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9739B2 (en) * 2005-10-27 2009-03-03 Smiths Medical Pm, Inc. Single use pulse oximeter
KR100800075B1 (ko) * 2006-04-10 2008-01-31 (주)아이블포토닉스 심박수 산출 방법 및 심박수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215A (ja) * 2001-11-28 2003-08-12 Nippon Koden Corp パルスフォトメトリープロー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6306A3 (ko) 2011-07-14
KR20110041897A (ko) 2011-04-22
WO2011046306A2 (ko)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9227B2 (en) Non-invasive physiological sensor cover
US8483790B2 (en) Non-adhesive oximeter sensor for sensitive skin
USRE36000E (en) Adhesive pulse oximeter sensor with reusable portion
JP5425468B2 (ja) 使い捨てパルス酸素濃度計
JP5865909B2 (ja) 連続非侵襲的動脈血圧モニタリング用の使い捨て可能且つ取り外し可能なセンサ
US7486977B2 (en) Single use pulse oximeter
JP2007190122A (ja) 生体情報測定装置
KR101090323B1 (ko)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및 이를 갖는 산소포화도 측정기
EP2926725B1 (en) Probe
JP3524998B2 (ja) 脈波計測装置
JP2000296117A (ja) 指先用光電脈波センサ
US11523758B2 (en) SpO2 sensor having partitioned electronics
US20220146494A1 (en) REATTACHABLE SpO2 SENSOR WITH AMBIENT LIGHT ATTENUATION
TWM404373U (en) Vital signs monitor and hold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