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107B1 - 안전화용 내답판 - Google Patents

안전화용 내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107B1
KR101090107B1 KR1020080081853A KR20080081853A KR101090107B1 KR 101090107 B1 KR101090107 B1 KR 101090107B1 KR 1020080081853 A KR1020080081853 A KR 1020080081853A KR 20080081853 A KR20080081853 A KR 20080081853A KR 101090107 B1 KR101090107 B1 KR 101090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safety shoes
safety
steel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206A (ko
Inventor
이인수
Original Assignee
케이투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투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투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1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107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안전화용 내답판(200)은 발의 형상으로 만들어지며, 발의 지절골(Phalanges)(10)(도 1)부분의 제 1 강판(210)과, 발의 중족골(Metatarsus)(20)(도 1)부분이후의 뒷금치 부분의 제 2 강판(230)과, 이 제 1 강판(210)과 제 2 강판(230)에 겹쳐지게 접착되는 내관통 섬유계 원단(220)으로 이루어지며, 제 1 및 제 2 강판(210)(230)은 0.6mm 이상의 스테인레스로서 종래보다 두꺼우므로 내관통성이 강화되며, L-PROTECTION의 상표명으로 시판중인 내관통 섬유계 원단(220)이 제 1 및 제 2 강판(210)(230)사이의 발의 중족골부분에 위치되므로, 비록 고가이지만 보행시 반복되는 발바닥의 굴곡에 유연성이 필요한 부분에서 강판과 겹쳐지게 접착됨에 따라 착화감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두꺼운 내답판 철판의 사용으로 인한 안전화 무게 및 굽힘을 보완하면서도, 고가의 내관통성 섬유계 원단만을 사용함으로 인한 급격한 가격 증가를 방지하게 되고, 발의 움직임에 무리를 주지 않으므로 산업현장에서의 안전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안전화용 내답판{PENETRATION-RESISTANT INSERT FOR SAFETY BOOTS}
본 발명은 안전화용 내답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향후 시행 예정인 개정안의 규정을 만족하도록 안전화의 내부에 삽입되는 강재의 내답판 중 발의 특정부위를 내답발성 섬유가 개제되어 보행 시 발바닥의 굴곡의 유연성을 가짐으로서 보다 편안한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안전화용 내답판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안전화란 물체의 낙하, 충격 또는 날카로운 물체로 인한 위험이나 화학약품 등으로부터 발 또는 발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신발을 의미한다.
이러한 안전화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을 감싸는 외피(1)와, 하부의 밑창으로 구성되는데, 외피(1)는 날카로운 요소로부터 부상당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통상 가죽으로 이루어지고, 선심(토우캡(toe-cap))(2)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작업자의 발가락을 보호할 수 있는 강도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외피(1)의 앞코부분에 내입된다. 밑창은 하단부터 아웃솔(3)과, 미드솔(6)과, 내답판(5)과, (인솔)(4)(4-1)과, 깔창(7)을 포함하고 있다. 아웃 솔(3)은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화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고, 인솔(4)(4-1)은 갑피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부분이고, 내답판(5)은 내답발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얇은 금속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재질로 된 부분이다. 통상, 2겹의 인솔(4)(4-1)사이에 내답판(5)이 결합되거나, 인솔(4)의 하부에 내답판(5)이 위치한다. 한편, 깔창(7)은 작업자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발의 충격을 완화시키며 땀 흡수 및 냄새제거가 용이한 재질로 된 부분이다.
내답판(Penetration-resistant insert)이란, 날카로운 물체가 바닥으로부터 안전화의 바닥을 뚫고 작업자의 발바닥에 상처를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화의 중창과 안창사이에 위치시키는 판을 말하는 것으로, 노동부 고시 제2003-19호(보호구검정규정 제35조 제4항)에 의하면, 중작업용 및 보통작업용 안전화에 사용되는 내답판은 압박시험장치를 이용하여 KSD3522(강선)에서 규정한 못용 강선을 재질로 하는 철목(길이 65±3mm, 직경 3.05±0.08mm)을 겉창의 허구리부분에 수직으로 세우고 50kgf(490.3N)의 정하중을 걸어도 관통하지 않는 강도를 가져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또한 신발의 기능상 보행시 굴곡의 유연성은 좋은 착화감을 실현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되는 바, 보통 신발 전체 길이 중 뒤끝에서 68-70% 지점을 플렉스존(FLEX ZONE)이라 칭하며, 보행 중 이러한 플렉스존이 유연하게 구부러져야 자연스럽고 편안한 걸음걸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안전화 제조업체에서는 종래에 상기 규정된 강도를 만족시키면서도 보행 시의 굴곡의 유연성을 갖추기 위하여, 통상 한 장의 얇은 철판, 즉 0.4mm 스테인리스강판으로 이루어진 내답판을 안전화의 인솔(4)(4-1)사이에 위치시킨 채로 접합시켜 왔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내답판 철판은 보행 시 반복되는 발바닥의 굴곡이 계속 진행되면 바닥이 결렬되는 현상이 나타나 찔리게 될 위험으로부터 보호가 되지 않는 단점이 있고, 더구나 2009년 1월 산업안전 보건법의 안전 인증제 시행에 따라 보호구 부분에서 KS ISO 기준과 유럽규격인 EN 규격과 거의 동격화되면서 KSM 기준을 바탕으로 시행되던 안전화 성능시험기준이 EN 규격을 벤치마킹하여 보다 세부적으로 명문화됨에 의의를 가지고 마련된 보호구 안전화 부분의 개정안을 기준으로 2008년 5월 말까지 노동부 자체 심사 후 2008년 7월 공포 예정으로 2009년 1월 시행을 목적으로 6개월에서 1년간의 유예기간을 두어 법률이 시행될 예정에 있으므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안전화용 내답판 사양의 변경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상술한 개정안에 따른 규정을 적용하였을 때, 현재의 안전 성능 기준에 따라 사용하고 있는 0.4mm 스테인레스강판은 두께가 얇아서 내관통성능이 떨어지므로 현재 사용하는 스테인레스 강판의 두께인 0.4mm 보다 두꺼운 적어도 0.6mm 이상의 스테인레스 강판 두께를 사용하거나 더욱 강화된 금속의 내관통 삽입물을 사용해야 할 것이라 판단되지만, 이와 같이 두꺼운 내답판 철판을 사용하게 되면, 내관통 성능은 만족시킬 수 있다하더라도, 안전화 착용자에게는 첫째 현재의 안전화 보다 피로도의 체감이 빨라질뿐아니라 높게 느끼게 되고, 둘째 보행 시 반복되는 발바닥의 굴곡에 유연성이 없고, 신발의 굽힘이 거의 없어져서 계단이나 무빙(moving)시 낙상이나 넘어질 우려가 상당히 높아지게 되며, 발을 구부리고 앉아서 작업할 경우 불편하며, 셋째 신발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창재료에 철판을 부착하여 작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발바닥 전체를 보호하지 못하는 불합리한 기능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상과 같은 두꺼운 내답판 철판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술한 개정안에 따른 규정을 만족하면서도 내관통성이 우수한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내답판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섬유재질의 내답판으로 예를 들면 "PUNCTURE RESISTANT TEXTILE STRUCTURE, ESPECIALLY FOR SHOE SOLES"의 명칭으로 출원된 PCT/IT2004/000208호와, "ACCIENDT PREVENTION INSOLE"의 명칭으로 출원된 PCT/IB2006/02658호와, "ANTI-PERFORATION INSOLE FOR FOOTWEAR"의 명칭으로 출원된 PCT/IB2005/03228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고, 상표명 "L-PROTECTION"으로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내답판용 섬유계 원단은 상술한 개정안을 만족시킬 정도로 내관통성은 우수하지만 매우 고가이므로, 안전화의 바닥에 전체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원단의 높은 가격으로 인하여 안전화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향후 시행 예정인 개정안에 따른 규정을 만족하면서도 보행시의 보행 시 발바닥의 굴곡의 유연성을 가지되 저렴한 안전화용 내답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화용 내답판은 발의 지절골부분의 제 1 강판과, 발의 중족골부분이후의 뒷금치 부분의 제 2 강판과, 상기 제 1 강판과 제 2 강판사이의 발의 중족골부분에서 상기 제 1 강판과 제 2 강판에 겹쳐지게 접착되는 내관통 섬유계 원단으로 이루어진다.
내답판은 안전화의 미드솔과 아웃솔사이에 삽입되고, 미드솔의 바닥에는 내답판의 제 1 강판 삽입홈과, 내관통 섬유계 원단 삽입홈과, 내답판의 제 2 강판 삽입홈이 제공되며, 이때 원단 삽입홈이 제 1 및 제 2 강판 삽입홈보다 더 깊은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아웃솔(겉창)과 내답판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EVA 발포수지판으로 내답판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답판은 안전화의 인솔과 미드솔사이에 삽입되고, 인솔의 바닥 또는 미드솔의 상면에는 내답판의 제 1 강판 삽입홈과, 내관통 섬유계 원단 삽입홈과, 내답판의 제 2 강판 삽입홈이 제공되며, 이때 원단 삽입홈이 제 1 및 제 2 강판 삽입홈보다 더 깊은 것이 바잠직하다.
제 1 및 제 2 강판의 각각과 내관통 섬유계 원단과의 각각의 접착면은 서로를 향하는 볼록한 면이거나, 평행한 면이거나, 내측은 좁고 외측은 넓어지도록 형성된 면으로, 각 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답판 철판의 사용으로 인한 안전화 무게 및 굽힘을 보완하며, 고가의 내관통성 섬유계 원단의 사용으로 인한 급격한 가격 증가를 방지하게 되고, 발의 움직임에 무리를 주지 않으므로 산업현장에서의 안전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화용 내답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화용 내답판(200)은 발의 형상으로 만들어지며, 발의 지절골(Phalanges)(10)(도 1)부분의 제 1 강판(210)과, 발의 중족골(Metatarsus)(20)(도 1)부분이후의 뒷금치 부분의 제 2 강판(230)과, 이 제 1 강판(210)과 제 2 강판(230)에 접착 또는 봉제되는 내관통 섬유계 원단(220)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및 제 2 강판(210)(230)은 0.6mm 이상의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배 경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개정안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관통 섬유계 원단(220)은 제 1 강판(210)과 제 2 강판(230)사이의 발의 중족골부분에 위치되며, 상표명 "L-PROTECTION"으로 시판되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제 1 강판(210)의 하부접착면(212)과 내관통 섬유계 원단(220)의 상부접착면(222)이 통상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겹쳐지게 접착되고, 제 2 강판(230)의 상부접착면(232)과 내관통 섬유계 원단(220)의 하부접착면(224)이 겹쳐지게 접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안전화용 내답판(200)은 0.6mm 이상 두께의 제 1 및 제 2 스테인레스 강판(210)(230)의 사이에 내관통 섬유계 원단(220)이 접착제에 의해 겹쳐지게 접착되는 것이므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발바닥의 굴곡에 의해 접착제에 의해 겹쳐지게 접착된 강판과 섬유계 원단의 사이가 분리되어 강판에 마찰이 가해짐에 따라 바닥이 결렬되는 현상이 나타나서 강판에 발바닥이 찔리게 되는 위험이 있는 바, 이러한 마찰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고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답판(200)의 제 1 및 제 2 강판(210)(230)의 각각과 내관통 섬유계 원단(220)이 접착제에 의해 겹쳐지게 접착되는 각각의 접착면(212)(232)은 서로를 향하는 볼록한 접착면이거나, 평행한 접촉면이거나, 또는 내측은 좁고 외측은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로를 향하여 볼록하되 각각 요철(214)(234)이 형성된 접착면(212)(232)이거나, 평행하되 각각 요철(214)(234)이 형성된 접착면(212)(232)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더구나, 내측은 좁고 외측은 넓어지는 접착면(212)(232)으로 형성하되, 각각 요철(214)(234)이 형성되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안전화용 내답판(200)은 일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화의 미드솔(300) 바닥의 홈과 아웃솔(100)사이에 부착된다.
미드솔(300)의 바닥에는 내답판(200)의 제 1 강판(210)이 삽입되는 제 1 강판 삽입홈(310)과, 내관통 섬유계 원단(220)이 삽입되는 원단 삽입홈(320)과, 상기 내답판(200)의 제 2 강판(230)이 삽입되는 제 2 강판 삽입홈(330)이 제공되며, 이때 원단 삽입홈(320)은 그 두께만큼 제 1 및 제 2 강판 삽입홈(310)(330)보다 더 깊게 형성되며, 내관통 섬유계 원단(220)이 접착제에 의해 제 1 및 제 2 강판(210)(230)의 상면에 겹쳐지게 접착된다.
한편 내답판(200)의 제 1 및 제 2 강판(210)(230)이 철판이므로, 아웃솔(겉창)(100)과의 접착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내답판(200)이 미드솔(300)의 바닥에 위치된 경우, 내답판(200)을 2.0mm의 에틸렌 공중합체(Ethylene Copolymer)로 이루어진, 바람직하기로는 EVA(Ethylene-Vinyl Acetate) 발포수지판(400)으로 덮는 것이 접착을 용이하게 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EVA는 유연성(부드러움), 내충격성(충격흡수성), 질감성, 단열성, 보온성 등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사출성형제품에 많이 쓰이고 있으므로, 신발 밑창(shoe sole)의 충격흡수성 및 복원성을 향상시켜 신발의 기능화와 고급화에 크게 기여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화용 내답판(200)이 미드솔(300) 상면의 홈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통 섬유계 원단(220)은 제 1 및 제 2 강판(210)(230)의 하면에 접착 또는 봉제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안전화용 내 답판(200)은 안창 바닥의 홈이나, 아웃솔(1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안전화용 내답판(200)은 배경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개정안에 따른 규정을 만족시키고자 종래보다 두꺼운 강판을 사용하되, 보행시 반복되는 발바닥의 굴곡에 유연성이 필요한 부분에는 비록 고가이지만 유연성이 있으면서 내관통성이 우수한 섬유계 원단이 접착 또는 봉제됨에 따라 착화감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용 내답판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예들들어 내관통 섬유계 원단이 제 1 및 제 2 강판사이의 양면에 접착제에 의해 겹쳐지게 접착될 수도 있는 것 이므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안전화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화용 내답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내답판의 접착면의 여러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2의 내답판이 미드솔 바닥의 홈과 아웃솔사이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안전화용 내답판이 미드솔 상면의 홈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아웃솔 200 : 내답판
210 : 제 1 강판 212 : 접착면
214 : 요철 220 : 내관통 섬유계 원단
222,224 : 접착면 230 : 제 2 강판
232 : 접착면 234 : 요철
300 : 미드솔 310 : 제 1 강판 삽입홈
320 : 섬유계 원단 삽입홈 330 : 제 2 강판 삽입홈

Claims (9)

  1. 안전화용 내답판에 있어서,
    발의 지절골부분의 제 1 강판과,
    발의 중족골부분이후의 뒷금치 부분의 제 2 강판과,
    상기 제 1 강판과 제 2 강판사이의 발의 중족골부분에서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강판과 제 2 강판에 접착제에 의해 겹쳐지게 접착되는 내관통 섬유계 원단으로 이루어진
    안전화용 내답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답판은 안전화의 미드솔과 아웃솔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용 내답판.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답판은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발포수지판으로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용 내답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는 EV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용 내답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답판은 안전화의 인솔과 미드솔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용 내답판.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강판의 각각과 내관통 섬유계 원단과의 각각의 접착면은 서로를 향하는 볼록한 면이거나, 수평한 면이거나, 내측은 좁고 외측은 넓어지도록 형성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용 내답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강판의 각각과 내관통 섬유계 원단과의 각각의 접착면은 서로를 향하여 볼록하되 요철이 형성된 면이거나, 평행하되 요철이 형성된 면이거나, 내측은 좁고 외측은 넓어지도록 형성하되 요철이 형성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용 내답판.
KR1020080081853A 2008-08-21 2008-08-21 안전화용 내답판 KR101090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853A KR101090107B1 (ko) 2008-08-21 2008-08-21 안전화용 내답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853A KR101090107B1 (ko) 2008-08-21 2008-08-21 안전화용 내답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206A KR20100023206A (ko) 2010-03-04
KR101090107B1 true KR101090107B1 (ko) 2011-12-07

Family

ID=4217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853A KR101090107B1 (ko) 2008-08-21 2008-08-21 안전화용 내답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251A (ko) 2014-07-16 2016-01-26 미래테크(주) 스테인레스 스틸판을 이용한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
KR20210048733A (ko) * 2019-10-24 2021-05-04 이주용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754B1 (ko) * 2011-06-03 2013-11-11 김순철 신발깔창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신발깔창
KR101641416B1 (ko) * 2014-07-18 2016-07-20 박문숙 부드러운 지면과 단단한 지반에서 안정된 착화 성능을 갖는 신발의 바닥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718B1 (ko) 2003-11-06 2006-05-22 한국과학기술원 안전화용 복합재료 선심구조
KR200438822Y1 (ko) 2007-05-22 2008-03-06 박철수 안전화용 내답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718B1 (ko) 2003-11-06 2006-05-22 한국과학기술원 안전화용 복합재료 선심구조
KR200438822Y1 (ko) 2007-05-22 2008-03-06 박철수 안전화용 내답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251A (ko) 2014-07-16 2016-01-26 미래테크(주) 스테인레스 스틸판을 이용한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
KR20210048733A (ko) * 2019-10-24 2021-05-04 이주용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
KR102271334B1 (ko) 2019-10-24 2021-07-01 이주용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206A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1421B2 (en) Sole construction
US10136698B2 (en) Shoe insole
CA2256634C (en) Improved footwear
US7685744B2 (en) Arch support insole
CN107249374B (zh) 多层鞋类物品
US20070283598A1 (en) Cushioning foot insert
CA2109384C (en) Safety footwear
US20180125145A1 (en) Element for realizing an assembled footwear with pre-formed parts and a related footwear
KR101090107B1 (ko) 안전화용 내답판
US20240065379A1 (en) Sole Board
US20050268484A1 (en) Resilient sole insert
KR200434478Y1 (ko) 신발의 안전깔창
KR101478955B1 (ko) 미드솔 및 인솔
CN210094787U (zh) 一种防穿刺布面胶鞋
KR20130064940A (ko) 맞춤형 인솔
EP2064965A1 (en) Piercing resistive planar member
US20160316854A1 (en) Footwear device
GB2599771A (en) A metatarsal protection bridge
JP5114159B2 (ja) 足裏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TWM569165U (zh) insole
KR20110000046U (ko) 신발에 이용하는 발꿈치용 깔창
US20220330654A1 (en) Shoe sole assembly, sho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hoe
US20150366292A1 (en) Puncture Resistant Insole
JP2010052238A (ja) 釣り用靴・タビ・ウェ−ダ−
GB2551043A (en) A sock with a sole comprising hexagonally shaped embossed su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