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735B1 -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 - Google Patents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735B1
KR101089735B1 KR1020090061982A KR20090061982A KR101089735B1 KR 101089735 B1 KR101089735 B1 KR 101089735B1 KR 1020090061982 A KR1020090061982 A KR 1020090061982A KR 20090061982 A KR20090061982 A KR 20090061982A KR 101089735 B1 KR101089735 B1 KR 101089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flector
projection
mobile robot
image be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527A (ko
Inventor
권동수
손희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61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735B1/ko
Publication of KR20110004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73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G03B21/008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using micromirro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사진, 문구, 동영상 등을 사람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이동 로봇 자체에 설치된 빔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는 반사경을 통해 바닥측에 360°표현하도록 하는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에 관한 것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영상을 주사할 수 있는 외부 영상제공 장치로 구성된 이동 로봇과; 상기 이동 로봇의 외부 영상제공 장치로부터 각종 이미지 영상 소스를 입력받아 상단 방향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시키기 위한 빔 프로젝터와; 상기 빔 프로젝터의 이미지 빔을 전방으로 확대시키는 확대 렌즈부와; 상기 확대 렌즈부로부터 받은 이미지 빔을 바다측으로 확대 반사시키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역 원뿔형태의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에서 꼭지점이 하단에 위치하면서 꼭지점 부분에 소정의 영역으로 도포된 비반사코팅부와; 상기 반사경과 확대 렌즈부가 수직선상으로 위치하면서 소정간격으로 이격을 이루도록 고정하기 위해 확대 렌즈부에 수직하게 세워진 지지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도넛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을 제공하는 데 있다.
프로젝션,빔 프로젝터, 렌즈, 이미지 빔, 광고 사진, 문구, 동영상

Description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Projection that display image inserting a beam in doughnut shape on underneath}
본 발명은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 사진, 문구, 동영상 등을 사람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이동 로봇 자체에 설치된 빔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는 바닥측에 표현하도록 하는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텔레비전 등의 스크린에 재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스크린이 사용되고 있다.
즉, 영상을 재생하는 기기 등은 영상이 맺힐 수 있는 스크린이 필요하고, 이는 극히 제한된 상태에서만 영상을 표시할 수 있었다.
현재 동영상을 옥외 광고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는 발광다이오드의 조합을 이용하여 건물의 옥상(또는 측면벽)에 거대한 발광다이오드 스크린을 장착시키고, 이 스크린의 발광다이오드의 점멸을 제어하는 별도의 컨트롤러가 있어야 하며, 발 광다이오드를 점멸시키기 위해 많은 전력의 소모가 있어야 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광고용으로 사용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은 그 크기가 커지면 커질수록 필요 되는 발광다이오드이 양은 증대되고, 이에 따른 전력소비도 많아지며, 또, 배선도 복잡해지고 콘트롤러의 제어도 어려워지며 제작비용도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지보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대형 스크린을 이용한 종래의 광고 장치는 강풍 등에 의해 광고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고물의 견 고성에 주안점을 두고 비교적 고비용으로 제작되고 있었고, 시대상황이나 유행에 맞는 문구를 적시에 광고하기 위해 그리고 신제품의 출시를 적시에 광고하기 위해 새로운 광고물을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광고 사진, 문구, 동영상 등을 사람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이동 로봇 자체에 설치된 빔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는 반사경을 통해 바닥측에 360°표현하도록 하는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광고 사진, 문구, 동영상 등을 사람들에게 이동 로봇 자체에 설치된 반사경과 빔 프로젝터를 구성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현되어 움직이는 영상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어 사람들에게 보다 호소력 있고, 사람들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하며 영상을 주사할 수 있는 외부 영상제공 장치로 구성된 이동 로봇과; 상기 이동 로봇의 외부 영상제공 장치로부터 각종 이미지 영상 소스를 입력받아 상단 방향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시키기 위한 빔 프로젝터와; 상기 빔 프로젝터의 이미지 빔을 전방으로 확대시키는 확대 렌즈부와; 상기 확대 렌즈부로부터 받은 이미지 빔을 바닥측으로 확대 반사시키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역 원뿔형태의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에서 꼭지점이 하단에 위치하면서 꼭지점 부분에 소정의 영역으로 도포된 비반사코팅부와; 상기 반사경과 확대 렌즈부가 수직선상으로 위치하면서 소정간격으로 이 격을 이루도록 고정하기 위해 확대 렌즈부에 수직하게 세워진 지지대; 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빔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이미지 빔은 확대 렌즈부를 투과하여 반사경에 도달하여 바닥측으로 반사하되, 반사경의 검게 코팅된 비반사코팅부는 이미지 빔이 반사되지 않는 것으로 상기 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된 이미지 빔은 이동 로봇의 주위 360° 바닥면에 도넛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상기 빔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이미지 빔은 이동 로봇의 주위 360° 바닥면에 도넛 형태의 문구, 그림, 동영상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 사진, 문구, 동영상 등을 사람들에게 쉽고 정확하게 전달이 가능하도록 이동 로봇 자체에 설치된 빔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이미지가 반사경을 통해 바닥측에 360°표현하도록 하는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이 출력되어 재미와 오래 기억에 남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고 사진, 문구, 동영상 등을 다양한 분야 또는 학습에 적용이 가능하며 사람들에게 움직이는 영상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어 사람들에게 보다 호소력 있고, 사람들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대상황이나 유행에 맞는 문구를 적시에 광고하기가 가능하며, 신제품의 출시를 적시에 광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이동이 가능하며 영상을 주사할 수 있는 외부 영상제공 장치로 구성된 이동 로봇과;
상기 이동 로봇의 외부 영상제공 장치로부터 각종 이미지 영상 소스를 입력받아 상단 방향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시키기 위한 빔 프로젝터와;
상기 빔 프로젝터의 이미지 빔을 전방으로 확대시키는 확대 렌즈부와;
상기 확대 렌즈부로부터 받은 이미지 빔을 바다측으로 확대 반사시키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역 원뿔형태의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에서 꼭지점이 하단에 위치하면서 꼭지점 부분에 소정의 영역으로 도포된 비반사코팅부와;
상기 반사경과 확대 렌즈부가 수직선상으로 위치하면서 소정간격으로 이격을 이루도록 고정하기 위해 확대 렌즈부에 수직하게 세워진 지지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도넛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을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100)는 광고 사진, 문구, 동영상 등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사람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이동 로봇(110) 자체에 설치된 빔 프로젝터(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는 반사경(140)을 통해 바닥측에 360°표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프로젝션 장치(100)는 영상을 주사할 수 있는 외부 영상제공 장치를 내부에 구성하여 이동이 가능한 이동 로봇(110)이 기본 몸체를 이룬다.
상기 이동 로봇(110)의 상단에서 세로로 세워지게 놓여지는 빔 프로젝터(120)는 외부 영상제공 장치로부터 각종 이미지 영상 소스를 입력받아 하늘 방향의 상단 방향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로봇(110)의 외부 영상제공 장치는 전용소프트웨어가 내장되어 있는 컨트롤 컴퓨터가 구성되며,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서버로부터 광고스케쥴 및 광고컨텐츠파일을 주기적으로 다운로드 받을 있고, 다운로드 된 광고컨텐츠 및 광고스케쥴은 컨트롤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추가적인 변경이 있 을 때까지 저장된 일정 및 내용대로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컨트롤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빔 프로젝터(120)는 이미지 빔 영상신호를 확대 렌즈부(130)에 빔 투사한다.
그리고, 상기 빔 프로젝터(120)의 상단에 위치하는 확대 렌즈부(130)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여 빔 프로젝터(120)에서 출력된 이미지 빔을 전방으로 확대시킨다.
이러한, 상기 확대 렌즈부(13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빔을 반사경(140)에서 받아 다시 바닥측으로 확대 반사시키는 것으로 상기 반사경(140)은 역 원뿔형태로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반사경(140)은 역 원뿔형태로 꼭지점이 하단에 위치하면서 꼭지점 부분에 소정의 영역으로 비반사코팅부(150)가 도포된다.
아울러, 상기 반사경(140)과 확대 렌즈부(130)가 이동 로봇(110)에서 수직선상으로 위치하도록 지지대(160)에 고정되어 확대 렌즈부(130)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세워져 반사경(140)과 확대 렌즈부(130)가 소정간격으로 이격을 이루도록 고정한다.
이러한, 상기 반사경(140)은 밑변을 위로 꼭짓점을 아래로 한 역 원뿔 형태로 위치하면서 이미지 빔을 받는 부분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반사경(14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여 이미지 빔을 반사하게 되는 것으로 밑변을 위로 꼭짓점을 아래로 된 형태에서 경사면이 라운드를 가진 역 원추형태와 반 타원형태, 반 구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경(140)의 형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 원뿔형태 등 을 구성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반사경에 사용되는 역 원뿔형태, 역 원추형태, 반 구형태가 아닌 반사경으로써 더욱 우수한 다른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같이, 본 발명의 프로젝션 장치(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 프로젝터(120)로부터 투사된 이미지 빔은 확대 렌즈부(130)를 투과하여 반사경(140)에 도달하여 바닥측으로 반사하되, 반사경(140)의 검게 코팅된 비반사코팅부(150)는 이미지 빔이 반사되지 않는 것으로 상기 반사경(140)으로부터 반사된 이미지 빔은 이동 로봇(110)의 주위 360° 바닥면에 도넛 형태로 표시된다.
즉, 상기 빔 프로젝터(120)로부터 투사된 이미지 빔은 반사경(140)에 도달하여 비반사코팅부(15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반사면으로 이미지 빔이 반사되어 바닥측에 도넛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빔 프로젝터(120)로부터 투사된 이미지 빔이 비반사코팅부(150)이 반사되지 않게 하는 것은 이동 로봇(110)에 이미지 빔이 출력되지 않게 함이다.
아울러, 상기 빔 프로젝터(120)로부터 투사된 이미지 빔은 이동 로봇(110)의 주위 360° 바닥면에 도넛 형태의 문구, 그림, 동영상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젝터 장치(100)에 의해 이동 로봇(110) 자체에 설치된 빔 프로젝터(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 빔이 반사경(140)을 통해 바닥측에 360°표현하도록 하여 광고 사진, 문구, 동영상 등이 사람들에게 표현되어 움직이는 영상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어 사람들에게 보다 호소력 있고, 사람들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을 제공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에 의해 바닥측에 광고 문구, 그림, 동영상 표현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의 반사경 형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프로젝션 장치 110:이동 로봇
120:빔 프로젝터 130:확대 렌즈부
140:반사경 150:비반사코팅부
160:지지대

Claims (5)

  1. 이동이 가능하며 영상을 주사할 수 있는 외부 영상제공 장치로 구성된 이동 로봇(110)과;
    상기 이동 로봇(110)의 외부 영상제공 장치로부터 각종 이미지 영상 소스를 입력받아 상단 방향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시키기 위한 빔 프로젝터(120)와;
    상기 빔 프로젝터(120)의 이미지 빔을 전방으로 확대시키는 확대 렌즈부(130)와;
    상기 확대 렌즈부(130)로부터 받은 이미지 빔을 바닥측으로 확대 반사시키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역 원뿔형태의 반사경(140)과;
    상기 반사경(140)에서 꼭지점이 하단에 위치하면서 꼭지점 부분에 소정의 영역으로 도포된 비반사코팅부(150)와;
    상기 반사경(140)과 확대 렌즈부(130)가 수직선상으로 위치하면서 소정간격으로 이격을 이루도록 고정하기 위해 확대 렌즈부(130)에 수직하게 세워진 지지대(16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도넛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140)은,
    밑변을 위로 꼭짓점을 아래로 한 역 원뿔 형태로 위치하면서 이미지 빔을 받는 부분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도넛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140)은,
    밑변을 위로 꼭짓점을 아래로 된 형태에서 경사면이 라운드를 가진 역 원추형태와 반 타원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도넛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프로젝터(120)로부터 투사된 이미지 빔은 확대 렌즈부(130)를 투과하여 반사경(140)에 도달하여 바닥측으로 반사하되, 반사경(140)의 검게 코팅된 비반사코팅부(150)는 이미지 빔이 반사되지 않는 것으로 상기 반사경(140)으로부터 반사된 이미지 빔은 이동 로봇(110)의 주위 360° 바닥면에 도넛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도넛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빔 프로젝터(120)로부터 투사된 이미지 빔은 이동 로봇(110)의 주위 360° 바닥면에 도넛 형태의 문구, 그림, 동영상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에 도넛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
KR1020090061982A 2009-07-08 2009-07-08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 Expired - Fee Related KR101089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982A KR101089735B1 (ko) 2009-07-08 2009-07-08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982A KR101089735B1 (ko) 2009-07-08 2009-07-08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27A KR20110004527A (ko) 2011-01-14
KR101089735B1 true KR101089735B1 (ko) 2011-12-07

Family

ID=4361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982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9735B1 (ko) 2009-07-08 2009-07-08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7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038A (ko) 2019-11-18 2021-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83197A (ko) 2022-12-01 2024-06-12 윤성하 반려동물용 반응형 영상 제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551B1 (ko) * 2014-10-01 2022-03-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디지털 사이니지 드론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97699B1 (ko) * 2021-11-29 2022-05-16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화재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9774A (ja) 2006-06-29 2008-01-17 National Univ Corp Shizuoka Univ 移動体および変位経路表示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006551A (ja) * 2006-06-29 2008-01-17 National Univ Corp Shizuoka Univ 作動装置
JP2009123045A (ja) 2007-11-16 2009-06-04 Toyota Motor Corp 移動ロボット及び移動ロボットの危険範囲の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9774A (ja) 2006-06-29 2008-01-17 National Univ Corp Shizuoka Univ 移動体および変位経路表示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006551A (ja) * 2006-06-29 2008-01-17 National Univ Corp Shizuoka Univ 作動装置
JP2009123045A (ja) 2007-11-16 2009-06-04 Toyota Motor Corp 移動ロボット及び移動ロボットの危険範囲の表示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038A (ko) 2019-11-18 2021-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US11717955B2 (en) 2019-11-18 2023-08-08 Lg Electronics Inc. Robo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83197A (ko) 2022-12-01 2024-06-12 윤성하 반려동물용 반응형 영상 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27A (ko)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8368B2 (en) Projection system
US8256904B2 (en) Rear projected expressive head
CN102365573B (zh) 双反射镜扫描系统
US82622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namorphic Pepper's ghost illusion
KR101089735B1 (ko) 바닥면에 도넛 형상으로 이미지 빔을 출력하는 프로젝션
CN101535928A (zh) 投影笔
JP2017169024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US20150237319A1 (en)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ion method thereof
CN103777358A (zh) 显示装置
JP6583954B2 (ja) 展示装置および映像展示方法
US20160202843A1 (en) Projective computing system
JP2018088663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CN102394030A (zh) 物品的展示设备和展示方法
CN102262843A (zh) 一种点阵显示变换装置
US20060285081A1 (en) Portable rear projection apparatus for projection display
US9690183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image projecting unit and screen unit
US11837123B2 (en) Hologram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enabling two-way interaction using 3D data
JP2014106377A (ja) プラネタリウム装置
CN101783100A (zh) 吉祥物造型led动态显示装置
KR102531925B1 (ko) 프로젝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30038607A (ko) 빔프로젝터와 리어스크린을 이용한 옥외광고방법
KR20180039508A (ko) 크로마키를 이용한 홀로그램 영상 제작 시스템
Radmanović et al. One solution for building reconfigurable multiprojection systems using the Adobe AIR platform
JP2018205602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ート及び表示方法
CN212012913U (zh) 一种基于投影互动技术的儿童寓教于乐一体化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