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719B1 -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 - Google Patents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719B1
KR101089719B1 KR1020110083070A KR20110083070A KR101089719B1 KR 101089719 B1 KR101089719 B1 KR 101089719B1 KR 1020110083070 A KR1020110083070 A KR 1020110083070A KR 20110083070 A KR20110083070 A KR 20110083070A KR 101089719 B1 KR101089719 B1 KR 101089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locking
earth leakage
short circuit
recover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광
Original Assignee
정윤성
폴그린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성, 폴그린테크(주) filed Critical 정윤성
Priority to KR1020110083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71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01H71/125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characterised by sensing elements, e.g. current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1Details concerning the lever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1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voltage, e.g. for lightning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누전 원인, 누전 시점과 같은 누전기록 데이터를 분석가능하게 하여 누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의 수립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누전을 잘못 감지하여 발생되는 오작동 현상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누전 발생 시 포토센서로 광신호를 감지하여 구동되는 모터에 의해 케이스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승하강되는 레버를 통해 차단 스위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누전을 차단하거나 전원인가되도록 하는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토센서의 광신호 감지여부에 따라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여 레버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누전기록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에 누전 차단 후의 전원인가 복구조건을 입력가능하게 하고 메모리부에 저장된 누전기록을 외부단말기에서 확인가능하게 하는 통신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AUTOMATIC RELEASING APPARATUS FOR ELECTRIC LEAKAGE BREAKER TO RECORD ELECTRIC LEAKAGE DATA}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누전 원인, 누전 시점과 같은 누전기록 데이터를 분석가능하게 하여 누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의 수립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누전을 잘못 감지하여 발생되는 오작동 현상을 예방하기 위한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전차단기(ELB: Earth Leakage Breaker)는 분전반 내에 설치되어 누전, 합선 등과 같은 누설전류의 발생시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안전장치로, 인체의 감전 사고나 누전에 의한 화재 및 과전류와 단락 등에 의한 안전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장품의 일종이다. 이러한, 누전차단기는 인명의 보호 및 재산 보호의 입장에서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전장품이며, 법적인 측면에서도 설치의무가 확장되어 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무인자동화기기(예를 들어 자동 공기조화장치, 이동통신 기지국, 중계기 등)들이 개발되고 그 보급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무인자동화기기에는 기기에 가해지는 전기적 충격(예를 들어 누전, 과전류, 합선, 낙뢰 등)에서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누전차단기가 별도로 설치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무인자동화기기에서 전기적 충격에 의하여 누전차단기가 작동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무인자동화기기의 특성상 무인자동화기기를 다시 작동시켜야 될 경우에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있는 작업자가 직접 무인자동화기기에 접근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있는 누전차단기를 초기 상태로 복구 시켜야 된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무인자동화기기에서 원거리에 있을수록 무인자동화기기의 재작동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무인자동화기기의 작동효율을 떨어뜨리며, 무인자동화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별도의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기존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는 누전차단기가 작동되어 전원의 공급이 차단될 경우, 공급되는 전원의 이상 유무에 따라 누전차단기를 작동시킨 전기적 충격의 원인이 제거되면 누전차단기의 작동상태를 초기상태(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 전환시키게 되는데, 이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누전 차단 후 초기상태로의 자동 복구를 위한 방식으로는 누전을 차단하기 위해 하강된 스위치를 누전 원인이 사라질 시에 모터에 의해 승하강되는 레버로 상승시켜 다시 전원공급이 재개되도록 하며, 여기서의 레버 위치는 포토센서를 통해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로는 국내 등록특허 제0740996호의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구장치" 및 국내 등록특허 제0444724호의 "누전 차단기 복구 및 작동장치와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는 레버가 출몰되는 부위로 외부의 빛이 조사되어 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포토센서가 오작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누전 원인, 누전 시점과 같은 누전기록 데이터를 분석가능하게 하여 누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의 수립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누전을 잘못 감지하여 발생되는 오작동 현상을 예방하기 위한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을 통해 케이스의 가이드홈부에서 노출 또는 상기 가이드홈부로 삽입되는 작동레버의 복귀 여부를 포토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을 통해 누전차단기를 복구하는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토센서의 광신호 감지여부에 따라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여 레버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누전기록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제어부에 누전 차단 후의 전원인가 복구조건을 입력가능하게 하고 메모리부에 저장된 누전기록을 외부단말기에서 확인가능하게 하는 통신포트; 및 상기 가이드홈부를 통해 상기 포토센서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차단부를 포함하는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홈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작동레버가 관통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부가 형성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도록 상기 차단부재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는 장착부재로 구성되는 이물질 차단부를 포함하는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부가 상기 차단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절개라인; 및 상기 제1 절개라인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차단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제2 절개라인을 포함하는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버가 관통되어 이동되도록 작동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부의 양측 내면이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걸림홈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부에 탈착되는 탄성을 가지는 장착프레임; 및 상기 작동공간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장착프레임에 접합되는 커버부재로 구성되는 이물질 차단부를 포함하는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누전차단기의 차단레버를 작동할 때 상기 차단레버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레버의 상측 모서리부에 라운드 형태의 걸림방지부가 형성되는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걸림방지부가 차단레버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걸림방지부가 상기 차단레버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구배부를 더 포함하는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에 의하면, 누전 원인, 누전 시점과 같은 누전기록 데이터를 분석가능하게 하여 누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의 수립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누전을 잘못 감지하여 발생되는 오작동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부를 나타낸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부의 변형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부의 다른 변형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의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버의 다른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100)는 케이스(110), 케이스(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누전차단기(120), 누전차단기(120)를 복구하기 위한 작동레버(130) 및 작동레버(130)가 노출되는 케이스(110)의 가이드홈부(111)를 커버하는 이물질 차단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100)는 작동레버(130)의 복귀 여부를 감지하는 포토센서(101), 작동레버(130)를 구동하는 모터(103)를 제어하는 제어부(105), 누전차단기(120)의 누전기록이 저장되는 메모리부(107) 및 메모리부(107)에 저장된 기록을 확인하기 위한 통신포트(109)를 더 포함한다.
포토센서(101)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되며, 작동레버(130)가 케이스(110)의 내부로 삽입되면 작동레버(130)의 위치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한다. 포토센서(101)에서 발생된 신호는 제어부(105)로 전달된다.
제어부(105)는 누전차단기(120)에서 누전신호가 발생하면 누전신호가 발생한 누전발생시간, 누설 전류값, 누전발생횟수, 누전차단기 복원시간 등을 메모리부(107)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05)는 누설 전류값이 설정값 예를 들어 15mA이하로 떨어지면 누전차단기(120)가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모터(103)를 구동시킨다.
이때, 제어부(105)는 포토센서(101)의 광신호 감지여부에 따라 작동레버(130)의 위치를 감지한 후, 모터(103)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모터(103)의 구동에 따라 작동레버(130)가 회전하여 누전차단기(120)의 레버(121)를 이동시켜 누전차단기(120)가 원위치로 복구된다.
그리고, 제어부(105)는 누전차단기(120)가 원위치로 복구되면 작동레버(130)가 케이스(1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모터(103)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105)는 설정시간 동안 설정횟수 이상 누전차단기(120)가 작동하면 누전차단기(120)를 복구하진 않고 누전차단기(120)가 작동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는 누전차단기(120)가 30분 동안 3회 이상 작동하거나 누전이 30분 이상 지속되면 제어부(105)가 누전차단기(120)를 더 이상 복구시키지 않는다.
메모리부(107)는 제어부(105)를 통해 누전차단기(120)에서 발생하는 누전발생시간, 누설 전류값, 누전발생횟수, 누전차단기 복구시간 등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부(107)는 누전차단기(120)의 복구정보(누전발생시간, 누설 전류값, 누전발생횟수, 누전차단기 복구시간)가 저장횟수 이상 넘어가면 최초에 저장된 복구정보를 제거하고, 새로 발생된 복구정보를 저장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복구정보의 저장횟수는 30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포트(109)는 사용자가 메모리부(107)에 저장되는 누전차단기(120)의 복구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입력수단(도시생략)을 통해 복구정보 저장횟수 및 누전차단기의 복구조건을 입력할 수 있도록 별도의 외부단말기가 접속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통신포트(109)는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100)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RS-232 포트가 사용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무선 모뎀 및 무선 단말기를 접속할 수 있도록 지그비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100)는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상태표시부(150)가 더 구비되고, 상태표시부(150)는 엘이디의 점등을 통해 현재의 상태 예를 들어 자동모드, 과전류, ELB차단, 누전지속 등의 상태를 표시한다. 상태표시부(150) 또한 제어부(105)에 의해 제어된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100)는 케이스(110)의 가이드홈부(111)를 통해 포토센서(101)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고 케이스(1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차단부(140)를 더 포함한다.
이물질 차단부(140)는 가이드홈부(111)를 커버하는 차단부재(141) 및 차단부재(141)를 케이스(110)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재(143)로 구성된다.
차단부재(141)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천 등을 통해 플렉시블(Flexible)하게 제작되며, 작동레버(130)가 관통되도록 중앙부에 이동부(145)가 형성된다. 이러한, 차단부재(141)는 테두리부가 장착부재(143)를 통해 케이스(110)에 접착 고정된다.
이동부(142)는 작동레버(130)가 차단부재(141)를 관통한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차단부재(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이동부(142)는 차단부재(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절개라인(142a) 및 제1 절개라인(142a)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파손방지홀(142b)을 포함한다. 이때, 파손방지홀(142b)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작동레버(130)가 제1 절개라인(142a)에서 작동함에 따라 제1 절개라인(142a)이 더 절개되면서 차단부재(14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이동부(142)는 작동레버(130)가 차단부재(141)에서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제1 절개라인(142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파손방지홀(142b)을 통해 차단부재(14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장착부재(143)는 링 형태를 가지며, 차단부재(141)의 테두리부에 접착된다. 이를 위하여, 장착부재(143)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며, 접착제가 도포된 부위에 이형지(도시생략)가 부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장착부재(143)로는 양면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130)의 움직임에 따라 가이드홈부(111)가 보다 원활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이동부(142)를 변형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변형된 형태의 이동부(145)는 작동레버(130)가 차단부재(141)를 관통한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차단부재(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이동부(145)는 차단부재(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절개라인(145a) 및 제2 절개라인(145b) 에 수직을 이루도록 차단부재(141)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절개라인(145b) 을 포함한다. 이때, 제2 절개라인(145b)은 제1 절개라인(145a) 과 수직을 이루도록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절개라인(145a) 과 제2 절개라인(145b) 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 절개라인(145a) 과 제2 절개라인(145b) 이 이루는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차단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가이드홈부(111)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물질 차단부(140)는 작동레버(130)가 관통되도록 작동공간부(147a)가 형성되어 가이드홈부(111)에 탈착되는 장착프레임(147) 및 작동공간부(147a)가 밀폐되도록 장착프레임(147)에 접합되는 커버부재(149)를 포함한다.
장착프레임(147)은 휨 변형을 통해 가이드홈부(111)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며, 가이드홈부(111)의 양측 내면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양단부에 절곡을 통해 걸림홈부(147b)가 형성된다. 또한, 장착프레임(147)은 걸림홈부(147b)가 형성되는 양단부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48)가 더 형성된다. 파지부(148)는 걸림홈부(147b)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프레임(147)은 그 길이(L1)가 가이드홈부(111)의 길이(L2)보다 길게 형성되고, 탄성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가이드홈부(111)에 삽입된 후, 이완되면서 케이스(110)의 가이드홈부(111)가 걸림홈부(147b)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장착프레임(147)을 케이스(110)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장착프레임(147)은 작동공간부(147a)가 가이드홈부(11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작동공간부(147a)동레버(130)가 관통된다.
커버부재(149)는 작동레버(130)가 작동공간부(147a)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프레임(147)의 작동공간부(147a)를 커버함과 동시에 작동공간부(147a)를 통해 빛이나 이물질이 케이스(11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부재(149)는 플렉시블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며, 접착제를 통해 장착프레임(147)에 접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재(149)는 모(毛)를 모아서 형성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작동레버(130)는 누전차단기(120)의 차단레버(121)를 복구시킬 때 차단레버(121)에 걸리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걸림방지부(131)가 더 형성된다.
예를 들어 작동레버(130)를 통해 차단레버(121)를 지속적으로 복구하는 과정에서 차단레버(121)의 모서리에 홈 또는 스크리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차단레버(121)와 접촉되는 작동레버(130)의 부위가 수직으로 형성될 경우 작동레버(130)의 모서리가 차단레버(121)의 모서리 또는 홈에 걸리면서 오작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레버(130)와 차단레버(121)의 걸림으로 인한 오작동이 걸림방지부(131)에 의해 방지된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걸림방지부(131)는 작동레버(130)가 차단레버(121)를 작동시킬 때 차단레버(121)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차단레버(121)와 접촉되는 작동레버(130)의 상측 모서리부에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차단레버(121)와 접촉되는 걸림방지부(131)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면 작동레버(130)가 차단레버(121)의 모서리 또는 홈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작동레버(130)는 차단레버(121)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경사부(133)가 더 형성된다. 이때, 경사부(133) 또한, 모서리부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다.
경사부(133)는 작동레버(130)와 차단레버(121)가 접촉되는 부위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형성되는 각도(θ)가 45도 이내로 형성된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작동레버(130)는 차단레버(121)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차단레버(121)와 접촉되는 부위에 구배부(135)가 가 형성될 수도 있다. 구배부(135) 또한 차단레버(121)와 접촉되는 부위가 라운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작동레버(130)와 차단레버(121)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작동레버(130)에 의한 차단레버(121)의 이동을 원활하게 해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자동복구 장치 101 : 포토센서
103 : 모터 105 : 제어부
107 : 메모리부 109 : 통신포트
110 : 케이스 111 : 가이드홈부
120 : 누전차단기 130 : 작동레버
131 : 걸림방지부 133 : 경사부
135 : 구배부 140 : 이물질 차단부
141 : 차단부재 143 : 장착부재
142, 145 : 이동부 142a, 145a : 제1 절개라인
142b : 파손방지홀 145b : 제2 절개라인
150 : 상태표시부

Claims (7)

  1. 회전을 통해 케이스의 가이드홈부에서 노출 또는 상기 가이드홈부로 삽입되는 작동레버의 복귀 여부를 포토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을 통해 누전차단기를 복구하는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토센서의 광신호 감지여부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누전기록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제어부에 누전 차단 후의 전원인가 복구조건을 입력가능하게 하고 메모리부에 저장된 누전기록을 외부단말기에서 확인가능하게 하는 통신포트; 및 상기 가이드홈부를 통해 상기 포토센서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누전차단기의 차단레버를 작동시킬 때 상기 차단레버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측 모서리부에 라운드 형태의 걸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차단부는,
    상기 가이드홈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작동레버가 관통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부가 형성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도록 상기 차단부재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는 장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차단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절개라인; 및
    상기 제1 절개라인에 의해 상기 차단부재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절개라인의 양단에 형성되는 파손방지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차단부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작동레버가 관통되어 이동되도록 작동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부의 양측 내면이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걸림홈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부에 탈착되는 장착프레임; 및
    상기 작동공간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장착프레임에 접합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차단레버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상기 차단레버와 접촉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차단레버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상기 차단레버와 접촉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구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
KR1020110083070A 2011-08-19 2011-08-19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89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070A KR101089719B1 (ko) 2011-08-19 2011-08-19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070A KR101089719B1 (ko) 2011-08-19 2011-08-19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9719B1 true KR101089719B1 (ko) 2011-12-15

Family

ID=4550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0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9719B1 (ko) 2011-08-19 2011-08-19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587A (ko) 2016-08-26 2018-03-07 태형산전 주식회사 서지 프리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2806U (ko) * 1986-04-03 1987-10-16
JPS6389119U (ko) 1986-11-28 1988-06-10
KR100444724B1 (ko) * 2002-09-17 2004-08-21 하이테콤시스템(주) 누전 차단기 복구 및 작동 장치와 그 방법
KR100694639B1 (ko) 2005-07-20 2007-03-13 주식회사 이씨플랫폼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2806U (ko) * 1986-04-03 1987-10-16
JPS6389119U (ko) 1986-11-28 1988-06-10
KR100444724B1 (ko) * 2002-09-17 2004-08-21 하이테콤시스템(주) 누전 차단기 복구 및 작동 장치와 그 방법
KR100694639B1 (ko) 2005-07-20 2007-03-13 주식회사 이씨플랫폼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587A (ko) 2016-08-26 2018-03-07 태형산전 주식회사 서지 프리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4926B2 (ja) 安全ソケットおよびそのプラグピン用挿入検出装置
CN104932065B (zh) 光纤配线模块内无pcb板的光纤系统及光纤配线方法
KR20160067173A (ko) 단말 및 전자 방수의 방법
KR101089719B1 (ko) 누전 데이터 기록형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장치
JP2009052714A (ja) ケーブル保護チェーンの破損検知システムおよび破損検知方法
CN203813515U (zh) 评价开关柜部件状态的模块式装置及包括该装置的系统
KR101478116B1 (ko) 충전식 전동 공구의 작동정지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0744196B1 (ko) 컨베이어용 풀코드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컨베이어 감시제어시스템
KR20100062044A (ko) 동심 중성선 전력 케이블용 안전 절단기
KR100694639B1 (ko)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시스템
KR20240018567A (ko) 광학 디스플레이 엘리먼트에 대한 광학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120921A (ko) 지상개폐기함의 온도 모니터링 장치
EP3323755B1 (en) Electronic seal and electronic sealing system
CN209765059U (zh) 一种基于rfid控制的北斗定位器
CN211641908U (zh) 用于换电平台的监控系统
KR20040025536A (ko) 누전 차단기 복구 및 작동 장치와 그 방법
US20170205598A1 (en) Intelligent control apparatus and intelligent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device and system
JP4660576B2 (ja) 可動対象物の亀裂検知システム
CN215495805U (zh) 一种显示屏
CN107544116A (zh) 光接口保护装置、光接口设备以及光纤设备
KR20160019657A (ko) 서지 보호기 일체형 누전 차단기
KR101557691B1 (ko) 전력 케이블 단선 방지 장치
KR101017946B1 (ko)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
CN107749668A (zh) 一种作业现场接地线管理装置
KR101564272B1 (ko) 온실 개폐시스템의 셧다운 해제방법 및 해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8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11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8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6081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2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