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946B1 -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 - Google Patents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946B1
KR101017946B1 KR1020080091783A KR20080091783A KR101017946B1 KR 101017946 B1 KR101017946 B1 KR 101017946B1 KR 1020080091783 A KR1020080091783 A KR 1020080091783A KR 20080091783 A KR20080091783 A KR 20080091783A KR 101017946 B1 KR101017946 B1 KR 101017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leakage
breaker
voltage
motor
leakage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2762A (ko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주) 한국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전자 filed Critical (주) 한국전자
Priority to KR1020080091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946B1/ko
Publication of KR20100032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6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current falling below a predetermined valu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1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voltage, e.g. for lightning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에 의해 360°회동하는 회동암에 의해 누전차단기의 레버의 전방 또는 후방을 일단부가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작동시에 누전차단기의 레버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360°회전하는 하나의 회동암만을 구비하여 레버를 확실하게 온/오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누전차단기, 모터, 회동암, 레버

Description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 { Intelligent Recovery Device of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락이나 누전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누전차단기가 트립되면 정상상태유무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복귀시키는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전차단기는 단상 및 3상 220V의 전압이 공급되는 분전반 내에 설치되어 인체의 감전사고와 누전 등에 의한 화재, 과전류 및 단락에 의한 안전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스위치이며, 최근 인명 및 재산존중의 입장에서 감전 재해에 대한 의식이 고조되고 법적인 측면에서도 설치의무 장소가 증가될 정도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이동통신 기지국(중계기)은 무인(無人)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소형기지국(중계기)의 경우 험준한 산악지형에 위치하고 있어 중앙관리소와 시간, 거 리상으로 떨어져 있어 기지국 전원고장의 경우 순간적인 쇼크로 인하여 누전차단기가 트립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의 누전차단기가 차단되는 경우에는 운용요원이 직접 해당 기지국(중계기)으로 출동하여 누전차단기를 인위적으로 조치해야 하므로 복구시간의 지연으로 인한 서비스 중단시간의 증가와 인력 및 시간상 비효율적인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누전차단기가 트립되는 경우, 운용요원이 직접 기지국(중계기)으로 출동하여 누전차단기를 인위적 또는 중앙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조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구시간의 지연으로 인한 서비스 중단시간의 증가와 인력 및 시간상 비효율적인 부분이 발생하며, 장비의 고가로 인하여 보급률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0382085호 '지능형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귀장치'를 선출원한 바 있다.
이는 누전차단기가 단락 또는 누전으로 인해 트립되는 경우 축전지의 전원을 공급받고 작동되는 제어부에 의해 액추에이터가 소정각도내에서 회전하여 트립상태인 누전차단기의 레버를 회동암으로 복귀시키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누전차단기가 낙뢰나 서지 또는 일시적인 누전으로 인한 트립인 경우 액츄에이터의 구동으로 회동암이 일정각도범위 내에서 회동하여 트립상태의 레버를 가압하여 복귀시켜 주어 복구시간을 단축시켜 주게 되어 무인운영 통신장비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누전차단기는 단락이나 누전 등의 이상상태가 발생되는 경우 자동으로 복귀하도록 일방향으로만 누전차단기의 레버를 가압하는 구성으로 인해, 예를 들어 일시적인 누전 또는 낙뢰 등이 발생되는 경우 누전차단기의 레버가 온(복귀) 상태와 오프(트립)상태의 중간에 걸쳐지게 되는 불확실한 상태가 발생되는 경우 누전차단기가 구비되는 계통 전체의 고장 등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상 상태의 발생으로 인해 누전차단기의 트립시에 그 누전차단기를 확실히 차단한 후 정상으로 판정되는 경우 복귀시키는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귀 장치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360°회동하는 회동암에 의해 누전차단기의 레버의 전방 또는 후방을 일단부가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누전차단기의 부하측 전압의 출력여부를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누전차단기의 부하측에 과전류가 흐르는 지를 검출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과부하검출부와;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비전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회동암을 정회전시켜 레버의 전방을 가압하여 상기 누전차단기를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과부하검출부에서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정상이면 상기 회동암을 역회전시켜 레버의 후방을 가압하여 상기 누전차단기를 복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부하검출부는 상기 제어부가 역회전되도록 모터의 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에 출력하여 줌으로서 회동암을 역회전시켜 회동암이 누전차단기의 레버 후방을 가압하여 "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부하의 과부하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회동암은 상기 모터 구동으로 인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에 영점위치로 복귀여부를 감시하는 위치검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검출수단은 발광다이오드와 수광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누전차단기의 부하측 교류전압을 분배하는 전원분배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키는 충전회로부와, 상기 충전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충전되었다가 누전차단기의 트립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축전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제어부 사이에는 전원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암의 테스트 및 제어부의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작동시에 누전차단기의 레버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360°회전하는 하나의 회동암만을 구비하여 레버를 확실하게 온/오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회동암을 모터 구동방식으로 간단하게 구성함으로 인해 제작 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회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암의 정회전으로 인한 누전차단기의 차단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암의 역회전으로 인한 누전차단기의 복귀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귀 장치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는 부하단에 공급되는 부하(20)측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누전차단기(10)가 트립되어 부하(20)측으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이를 감지하여 누전차단기(10)의 레버(12)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귀 장치(100)는 일정 사각 형상을 갖는 본체(110)의 내부에 회동암(112)이 모터축(114a)상에 일체로 설치되는 모터(114)와, 그 모터(114)를 제어하는 제어부(116) 등이 구비되어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동암(112)은 360°회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축(114a)에 직결시키지 않고 다수의 기어(미도시됨)를 치합하여 구성함으로서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기어 수에 상관없이 모두 동일한 기술적 원리를 채용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귀 장치(100)는 누전차단기(10)의 일측면에 누전차단기(10)의 레버(12)를 향해 회동암(112)의 일측부가 위치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낙뢰, 서지 혹은 누전 등 여러가지 다른 요인으로 인해 누전차단기(10)가 트립되었을 때 부하(20)의 상태를 확인하여 부하(20)가 정상적이면 누전의 원인이 해소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114)를 작동시켜 누전차단기(10)를 자동 복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자동 복귀 장치(100)는 평상시에는 전원공급수단(120)의 축전지(122)에 전원을 충전하고 트립이 발생되는 경우 낙뢰나 서지 또는 일시적인 누전으로 인한 트립인 경우 누전차단기(10)의 레버(12)를 신속하게 복귀시키는 기능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귀 장치(100)는 누전차단기(10)의 레버(12)의 전방(12a) 또는 후방(12b)을 일단부가 가압할 수 있도록 모터(114)의 회전축(114a)에 일체로 구비되어 360°회동하는 회동암(112)과, 상기 누전차단기(10)의 부하(20)측 전압의 출력여부를 검출하는 전압검출부(123)와, 상기 전압검출부(123)에서 비전압(非電壓)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모터구동부(127)에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116)와, 상기 회동암(112)이 레버(12)의 전방(12a) 또는 후방(12b)을 가압하여 상기 누전차단기(10)를 온/오프시키도록 상기 제어부(116)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114)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127)와, 상기 제어부(116)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1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누전차단기(10)의 부하(20)측에는 과부하 검출부(126)가 더 구비되어 부하(20)측에 과전류가 흐르는 지를 검출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114)의 회전축(114a)에 구비되는 회동암(112)은 누전차단기(10)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구동부(127)의 출력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었다가 영점위치(P)로 복귀된다.
이와 같은 영점위치(P)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위치검출수단(128)을 더 구비하게 된다.
상기 위치검출수단(128)은 마이크로 스위치나 자성센서를 이용함도 가능하나, 발광다이오드와 수광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포토인터럽터(photo interrupter)를 구비하여 모터(114)가 회전시에 발광다이오드의 발광신호를 수광트랜지스터에서 수신하여 펄스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이용하여 모터(114)의 회전각도 를 판정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다시 모터(114) 구동으로 인해 회동하는 회동암(112)의 영점위치(P)를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포토인터럽터의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116)에서 모터구동부(127)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줌으로써 영점위치(P) 및 정회전 각도 또는 역회전 각도 등을 제어함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수단(120)은 상기 누전차단기(10)의 부하(20)측 교류전압을 분배하는 전원분배부(124)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켜 축전지(122)를 충전시켜 주는 충전회로부(125)와, 통상시 상기 충전회로부(125)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충전되었다가 누전차단기(10)의 트립시 각부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축전지(122)로 구성된다.
즉, 정상상태에서는 전원분배부(124)의 전원을 공급받고 작동하지만, 누전차단기(10)의 트립으로 인한 비상시에는 축전지(122)의 전원으로 제어부(116)가 구동된다.
이때, 상기 충전회로부(125)는 정류회로와 충전회로를 모두 구비한 것을 기본으로 하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충전회로만 구비시키고 입력단자부(155)에는 정류용 어뎁터(125a)의 출력단자(125b)를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잭(155a)을 설치하여도 그 효과가 동일하므로 어떠한 형태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측부에는 모터(114)가 고정되는 프레임(113)이 고정되고, 회동암(112)이 회동시 출몰되는 출입공(111a)이 일측에 형성되는 케이스(111)로 마감된다.
한편, 상기 축전지(122)와 제어부(116) 사이에는 전원 스위치(130)가 더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귀 장치(100)의 설치 전 축전지(122)의 전원이 각부에 공급됨으로 인한 축전지(122)의 전원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6)의 입력단자에는 테스트 스위치(132)를 더 구비하여 테스트 스위치(132)의 "온"신호 입력시 제어부(116)의 제어프로그램이 구동되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귀 장치(100)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6)의 출력단자에 누전차단기(10)의 트립으로 인해 누전차단기(10)를 자동으로 "온"시켜 주도록 모터(114)가 구동될 때마다 그 횟수를 계속 누적 계수하는 카운터(134)와, 상기 카운터(134)에서 계수된 횟수를 숫자로 표시해 주는 표시부(136)가 더 구비되어 통상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운용요원이 점검기간 내에 누전차단기(10)가 몇회 트립되었다가 복귀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표시부(136)는 녹색LED와 적색LED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색상에 따라 정상, 누전, 복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점소등 제어하게 되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7세그먼트엘이디로 구성되거나 또는 LCD로 구성하는 경우 좀 더 구체적인 트립횟수 및 복귀횟수 등도 함께 표시하여 줌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16)는 전압검출부(123)에서 비전압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부하(20)에 정해진 시간동안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모터구동부(127)를 통해 모터(114)를 정해진 시간동안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구동시켜 회동암(112)을 360°방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주는 동작을 통해 부하(20)의 단락 또는 지락으로 인한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누전차단기(10)를 완전하게 차단시킨 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먼저 정회전시켜 회동암(112)이 누전차단기(10)의 레버(12) 전방(12a)을 가압하여 잠시 "오프"시켰다가, 다시 반대방향으로 360°역회전시켜 누전차단기(10)의 레버(12) 후방(12b)를 가압하여 잠시 동안 "온"시키며 과부하검출부(126)를 통해 부하(20)의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귀 장치는 건물의 옥상이나 산간 오지 등에 설치되는 이동통신용 중계기 등과 같은 무인운용 통신장비에 적용하거나 무인 전기기기 또는 가로등과 같이 원거리에 분산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전기기기에 설치된 누전차단기에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귀 장치는 운용요원이 정상작동 유무 등을 확인하거나 회동암(112)의 제어 및 제어부(116)의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38)가 더 구비되어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인터페이스부(138)를 통해 연동되는 외부 장치를 통해 누전차단기(10)의 복귀 또는 트립 횟수 등의 데이터 및 테스트 등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누전차단기(10)는 평상시에 "온"상태를 유지하도록 레버(12)가 온(ON)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부하(20)로 전원이 공급되며, 전원분배부(124)를 통해 전압검출부(123)와 충전회로부(125)로 전압이 공급된다.
이때, 전원스위치(130)를 온시키게 되면 상기 전원분배부(124)를 통해 분배된 전원은 충전회로부(125)를 거쳐 교류전압이 직류전압으로 정류되며 축전지(122)에 전원이 충전되며 제어부(116)에 구동전원이 공급되어 초기화되어 작동시작하게 되며(S100), 그에 따라 위치검출수단(128)인 포토인터럽터의 작동으로 영점위치(P)를 판별하여 제어부(116)는 모터구동부(127)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모터(114)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줌으로써 회동암(112)을 회동시켜 영점위치(P)를 찾게 된다.(S102)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116)는 전압검출부(123)가 부하(20)측의 출력상태를 계속 감시하여 전압이 지속적으로 출력되는지의 여부를 계속해서 검출하여 누전차단기(20)의 트립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S104)
이때, 전압검출부(123)에서 전압신호가 검출되면 누전차단기(10)가 정상작동되는 것으로 판단(S106)하고, 계속적으로 전압검출부(123)는 통상시 부하(20) 입력단의 출력상태를 계속 감시하여 전압이 지속적으로 출력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누전차단기(10)의 트립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S108)
한편, 상기 단계(S104)에서 전압검출부(123)에서 비전압신호가 검출되어 누전차단기(10)가 트립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6)는 모터(114)의 정회전을 위한 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127)에 출력하여 줌으로서 회동암(112)을 정회전시켜 누전차단기(10)의 레버(12) 전방(12a)을 가압하여 누전차단기(10)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주전원을 완전 차단해 주게 된다.(S110)
상기 단계(S110)를 수행하고, 후 상기 제어부(116)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360°역회전되도록 모터(114)의 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127)에 출력하여 줌으로서 회동암(112)을 역회전시켜 회동암(112)이 누전차단기(10)의 레버(12) 후방(12b)을 가압하여 잠시 동안 "온"시키며 그와 같은 "온"상태 동안에 과부하검출부(126)를 통해 부하(20)의 과부하 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S112)
상기 단계(S112)에서 과부하검출부(126)를 통해 부하(20)측의 단락/누전으로 인한 트립인지, 아니면 낙뢰나 서지 또는 일시적인 누전으로 인한 트립인지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S114)
상기 단계(S114)를 통해 낙뢰나 서지 또는 일시적인 누전으로 인한 트립인 경우에는 누전차단기(10)의 신속한 복귀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16)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360°역회전되도록 모터(114)의 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127)에 출력하여 줌으로서 회동암(112)을 역회전시켜 주게 된다.(S116)
이때, 상기 단계(S116)를 통해 회동암(112)이 누전차단기(10)의 레버(12) 후방(12b)을 가압하여 "온"시켜 줌으로서 누전차단기(10)가 정상작동되도록 복구시켜 주게 되면 부하(20)측에 전원이 공급되고, 전압검출부(123)는 전압신호를 감지하게 되어 전압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른 누전차단기(10)가 정상작동여부를 판정하게 된다.(S118)
상기 단계(S118)를 통해 전압검출부(123)에 전압신호가 감지되면 누전차단기(10)가 정상작동됨으로 인해 단계(S106)로 분기되며, 전압검출부(123)에 비전압신호가 감지되면 대기상태(S120)로 전환되고, 대기상태 후 일정시간(예를 들어, 10분)이 경과한 후 전압검출부(123)에서 전압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정(S122)하여 정상유무를 판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S114)를 부하(20)측의 단락/누전으로 인한 트립으로 판정되는 경우, 제어부는 내장메모리(미도시됨)에 단락/누전으로 인한 차단임을 기록(S124)하고, 인터페이스부(138)를 연결된 외부 장비 등으로 전송하게 된다.(S126)
그리고, 상기 제어부(116)는 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127)에 출력하여 줌으로서 회동암(112)을 회전시켜 영점위치(P)로 복귀시키고(S128), 상기 단계(S120)로 분기하여 대기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은 제어 흐름에 따라 일단 누전차단기(10)가 트립된 경우 일단 전원 공급을 확실하게 차단시키는 동작을 수행하여 계통의 2차적인 고장 등을 차단한 후, 부하(20)의 이상유무를 판정하는 과정을 통해 낙뢰나 서지 또는 일시적인 누전으로 판정되는 경우 누전차단기(10)를 단시간내에 복귀시키고, 부하(20)측의 단락이나 누전으로 인한 트립인 경우에는 운용요원이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무인운용 통신장비의 운용 자체가 차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회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암의 정회전으로 인한 누전차단기의 차단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암의 역회전으로 인한 누전차단기의 복귀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복귀 장치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누전차단기 12: 레버
20: 부하 100: 자동 복귀 장치
110: 본체 112: 회동암
114: 모터 116: 제어부
120: 전원공급수단 122: 축전지
123: 전압검출부 124: 전원분배부
125: 충전회로부 127: 모터구동부
128: 위치검출수단 138: 인터페이스부

Claims (8)

  1.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귀 장치에 있어서,
    누전차단기의 레버의 전방 또는 후방을 일단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모터에 의해 360°회동하는 회동암과;
    상기 누전차단기의 부하측 전압의 출력여부를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누전차단기의 부하측에 과전류가 흐르는 지를 검출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과부하검출부와;
    상기 전압검출부에서 비전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회동암을 정회전시켜 레버의 전방을 가압하여 상기 누전차단기를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과부하검출부에서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정상이면 상기 회동암을 역회전시켜 레버의 후방을 가압하여 상기 누전차단기를 복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검출부는 상기 제어부가 역회전되도록 모터의 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에 출력하여 줌으로서 회동암을 역회전시켜 회동암이 누전차단기의 레버 후방을 가압하여 "온"시킨 상태에서 상기 부하의 과부하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암은 상기 모터 구동으로 인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에 영점위치로 복귀여부를 감시하는 위치검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수단은 발광다이오드와 수광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누전차단기의 부하측 교류전압을 분배하는 전원분배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키는 충전회로부와, 상기 충전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충전되었다가 누전차단기의 트립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축전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제어부 사이에는 전원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암의 테스트 및 제어부의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
KR1020080091783A 2008-09-18 2008-09-18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 KR101017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783A KR101017946B1 (ko) 2008-09-18 2008-09-18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783A KR101017946B1 (ko) 2008-09-18 2008-09-18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762A KR20100032762A (ko) 2010-03-26
KR101017946B1 true KR101017946B1 (ko) 2011-03-02

Family

ID=4218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783A KR101017946B1 (ko) 2008-09-18 2008-09-18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9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313B1 (ko) * 2011-03-17 2011-09-14 주식회사 티팩토리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KR102065374B1 (ko) * 2019-04-22 2020-01-13 설진길 전원 자동 복구시스템의 자동전원 복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1980A (ja) 2001-11-06 2003-05-16 Furukawa Battery Co Ltd:The ブレーカーの復旧装置
KR100490825B1 (ko) 2003-08-29 2005-05-24 하이테콤시스템(주) 군집형 누전 차단기 복구 및 작동 장치와 그 방법
KR100694639B1 (ko) 2005-07-20 2007-03-13 주식회사 이씨플랫폼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시스템
KR100806773B1 (ko) * 2006-04-03 2008-02-27 김형수 지능형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1980A (ja) 2001-11-06 2003-05-16 Furukawa Battery Co Ltd:The ブレーカーの復旧装置
KR100490825B1 (ko) 2003-08-29 2005-05-24 하이테콤시스템(주) 군집형 누전 차단기 복구 및 작동 장치와 그 방법
KR100694639B1 (ko) 2005-07-20 2007-03-13 주식회사 이씨플랫폼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시스템
KR100806773B1 (ko) * 2006-04-03 2008-02-27 김형수 지능형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313B1 (ko) * 2011-03-17 2011-09-14 주식회사 티팩토리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KR102065374B1 (ko) * 2019-04-22 2020-01-13 설진길 전원 자동 복구시스템의 자동전원 복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762A (ko) 201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1063B2 (en) System for monitoring electrical circuit operation
US20140137920A1 (en) Photovoltaic module
KR101350231B1 (ko) 범용 누전차단기 조합형 지능형 아크차단장치
AU2014224084A1 (en) Electrical control and protection device
KR101511061B1 (ko) 전원 상태 자동 기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록 방법
KR100766744B1 (ko) 실시간 원격 전력 관리 기능을 갖춘 무인 재해 음성 경보장치
KR101017946B1 (ko)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장치
KR100490825B1 (ko) 군집형 누전 차단기 복구 및 작동 장치와 그 방법
US7795756B2 (en) Portable generator interconnection device for traffic signal
KR101017953B1 (ko)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 시스템
KR20180096357A (ko) IoT 기반 이동통신용 스마트 분전반 제어 장치
KR100806773B1 (ko) 지능형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장치
KR101422420B1 (ko)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귀장치를 포함하는 리셋형 전원 스위치
KR102155203B1 (ko) 다중 입력 개폐가 가능한 고전압 dc 스위치
KR102065374B1 (ko) 전원 자동 복구시스템의 자동전원 복구 방법
KR100756011B1 (ko) 일체식 2단 접점 개폐구조를 갖는 자동복귀형 누전차단기.
KR200382085Y1 (ko) 지능형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장치
KR102076105B1 (ko) 자동복구 누전차단기
KR101700579B1 (ko) 휴전 중인 저압 지중선로의 실시간 누전경보시스템 및 그 방법
CN201352703Y (zh) 三相单相多功能智能电源保护器
KR101163165B1 (ko) 간이형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KR101062313B1 (ko)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CN206865127U (zh) 一种新型漏电保护装置
KR101758100B1 (ko) 그린에너지를 이용한 원클릭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CN102237714A (zh) 一种带无线或载波传输模块的多路剩余电流监控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