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371B1 - 철봉운동용 의자 - Google Patents

철봉운동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371B1
KR101089371B1 KR1020080101342A KR20080101342A KR101089371B1 KR 101089371 B1 KR101089371 B1 KR 101089371B1 KR 1020080101342 A KR1020080101342 A KR 1020080101342A KR 20080101342 A KR20080101342 A KR 20080101342A KR 101089371 B1 KR101089371 B1 KR 101089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exercise
chair
sea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9293A (ko
Inventor
김병오
Original Assignee
김병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오 filed Critical 김병오
Publication of KR20100019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2개의 앞다리와 2개의 뒷다리를 포함하되, 이웃하는 상기 앞다리와 상기 뒷다리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다리부; 상기 앞다리와 동일한 각도로 상기 착석부에 장착된 2개의 파이프;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파이프에 삽입 장착되는 운동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는, 척추질환자나 노인들이 의자에서 일어설 때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으며, 착석상태에서 철봉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정밀하게 맞춰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의자, 운동봉, 높이조절, 팔걸이부

Description

철봉운동용 의자{Chair for exercising on the horizontal bar}
본 발명은 철봉운동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운동봉이 장착되어 앉아서 철봉운동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생활이 점차 서구화됨에 따라 학생이나 사무직 근로자를 비롯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생활 중 상당한 시간을 의자에 앉아 보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착석자가 앉았을 때 둔부를 지지하며 하체를 받치게 되는 착석부와, 상체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 및 착석부와 등받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지지하는 다리부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착석부 양측에 착석자의 팔을 안락하게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걸이부가 구비되어 있다.
의자는 전통의 한국식의 좌식생활에서 벗어나 착석자들의 자세를 편하게 해주며, 작업능률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인체학적으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는 상체의 하중이 척추 및 골반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착석자가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게 되면 척추 및 골반과 그 주위의 근육에 스트레스가 가중되어 허리부분의 피로감이나 통증이 수반된다. 또한, 의자에 앉는 자세가 잘못되거나 의자의 설계가 잘못되어 착석자의 바른 착석자세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척추디스크병이나 척추측만증 등의 척추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척추질환자나 노인, 오십견환자가 의자에 앉았다 일어설 경우는 팔걸이부를 잡고 일어서기는 하나, 통증 유발로 인해 그 사용에 있어 많은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착석자의 바른 자세를 유도하고, 착석상태에서도 운동이 가능하며, 척추질환자나 노인, 오십견환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철봉운동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2개의 앞다리와 2개의 뒷다리를 포함하되, 이웃하는 상기 앞다리와 상기 뒷다리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다리부; 상기 앞다리와 동일 한 각도로 상기 착석부에 장착된 2개의 파이프;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파이프에 삽입 장착되는 운동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운동봉은, 장봉과, 단봉, 상기 장봉과 상기 단봉을 연결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장봉은 상기 파이프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인입 및 인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단봉은 상기 파이프로부터 이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장봉을 수용하는 상기 파이프와 동일한 측의 상기 뒷다리 부위에 마련되는 보관파이프를 더 포함하여, 착석자가 상기 운동봉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봉이 상기 파이프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후 상기 보관파이프에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봉 및 상기 단봉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볼트가 상기 고정홈 및 상기 걸림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운동봉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리부의 사이에는 상기 착석부를 지지하며, 볼트수용부를 갖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착석부는 볼트봉이 상기 볼트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며, 상기 볼트봉에 너트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너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착석부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의 좌우 양측에 상기 등받이의 연장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봉과, 2회이상 절곡된 형상 또는 폐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양단이 상기 슬라이드봉의 상측에 힌지결합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운동봉;
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드봉 또는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상기 등받이의 내부 좌우측에 삽입되는 2개의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봉은 상기 2개의 파이프에 각각 하나씩 인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파이프에는 등받이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봉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볼트가 상기 고정홈 및 상기 걸림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운동봉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팔이 안착되는 팔안착부와, 상향 돌출되는 고정나사가 상면에 구비되어 하측이 상기 착석부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나사와 끝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팔안착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가이드나사와, 상기 고정나사와 가이드나사가 양측에 체결되는 암나사를 구비하는 팔걸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나사와 가이드나사는 나사선이 상호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암나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가이드나사와 상기 고정나사가 상호 이격 및 접근하는 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팔안착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는, 착석자의 바른 자세를 유도하고, 착석상태에서도 철봉운동이 가능하여 척추 및 허리, 골반근육을 풀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척추질환자나 오십견환자, 노인들의 사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착석자의 체형에 꼭 맞게 의자의 높이, 팔걸이 높이, 폭 등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착석부(100)와, 상체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200), 착석부(100)와 등받이(20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지지하는 다리부(400), 착석부(100)의 양측에 형성된 팔걸이부(300), 다리부(400)와 동일한 각도로 착석부(100)에 장착된 파이프(510, 530), 파이프(510, 530)에 장착되어 착석자의 운동을 돕는 운동봉(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도 1의 철봉운동용 의자의 착석부(100)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부(100)는 착석자가 앉았을 때 둔부를 지지하며 하체를 받치게 된다. 착석부(100)는 둔부를 지지하는 착석판(110)과, 착석판(110)의 하부에 다리부(400)와 연결된 착석프레임(120)이 있다. 착석프레임(120)은 사각형태로 마련되어 다리부(400) 및 팔걸이부(300), 등받이(200)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400)의 사이에는 지지프레임(130)이 있다. 지지프레임(130)은 앞다리(410)와 뒷다리(450)를 연결하고, 중앙에 볼트봉(14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볼트수용부(135)를 장착하여 구성된다.
착석판(110)은 볼트봉(140)과 너트(160)에 의해 지지프레임(130)에 장착된다. 볼트봉(140)이 볼트수용부(135)에 수용 결합되어 착석판(110)을 착석프레임(120)의 상부면에 위치하게 한다.
볼트봉(140)은 용수철(150)과 너트(160)가 끼워져 볼트수용부(135)에 장착된다. 너트(160)의 회전에 의해 볼트봉(140)이 상하로 승강하며,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너트(160)와 볼트수용부(135) 사이에 용수철(150)이 있어 착석판(110)의 높낮이 조절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착석프레임(120)은 다리부(400) 및 팔걸이부(300), 등받이(200)와 일체로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고, 착석판(110)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다리부(400)는 2개의 앞다리(410)와, 2개의 뒷다리(450)가 착석프레임(120)에 90도 이상 경사지게 장착되어 마련된다. 운동봉(600)을 장착하여 착석자가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다리부(400)가 착석프레임(120)에 90도 이상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의 철봉운동용 의자의 팔걸이부(300)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부(300)는 팔이 안착되는 팔안착부(310)와, 팔안착부(310)를 착석프레임(120)에 고정지지하는 고정프레임(350)으로 구성된다. 팔걸이부(300)는 허리로 집중되는 몸상체의 하중을 팔걸이부(300)를 통해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착석자가 철봉운동용 의자에 착석하여 팔걸이부(300)에 팔을 안착시켰을 때, 척추를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고정프레임(350)은 ㄷ자 형태로 착석부(10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착석프레임(120)에는 4개의 착석홀(125)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프레임(350)은 착석홀(125)에 일정 깊이로 승강하며 끼워져 팔걸이부(300)의 높이 조절을 한다. 착석프레임(120)의 측면에는 고정프레임(350)의 높이조절을 고정하는 조정나사(351)가 있다.
팔안착부(310)는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높이조절 및 폭조절이 가능하다. 팔 안착부(310)에는 폭방향으로 가이드홈(317)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317)에는 가이드나사(311)가 끼워져 고정프레임(350)에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나사(311)는 가이드홈(317)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팔안착부(310)의 폭을 조절한다. 팔안착부(310)의 일정 폭이 조정되면, 하부의 너트(312)를 돌려 팔안착부(310)를 고정시킨다.
또한, 팔안착부(310)는 가이드나사(311)와, 고정나사(313), 암나사(315)에 의해 고정프레임(350)에 체결된다.
가이드나사(311)는 팔안착부(310)의 가이드홈(317)에 끼워져 있으며, 고정나사(313)는 고정프레임(350)에 체결되어 있다. 가이드나사(311)와 고정나사(313)는 나사선이 상호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나사(311)와 고정나사(313) 사이에는 암나사(315)가 나사결합 되어 암나사(315)의 조절에 의해 가이드나사(311)와 고정나사(313)가 상호 이격 및 접근하는 방향으로 승강하며, 팔안착부(310)의 높이조절을 한다. 높이조정을 많이 할 경우는 고정프레임(350)의 조정나사(351)를 이용하고, 다시 팔안착부(310)의 암나사(315)를 조절하여 보다 세밀하게 높이조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나사(311)와 고정나사(313)와 암나사(315)가 한 쪽의 팔안착부(310)에 각각 두 개씩 장착되어 있지만, 한 쪽 팔안착부(310)에 장착되는 가이드나사(311)와 고정나사(313)와 암나사(315)의 개수는 각각 하나씩 또는 셋 이상씩 장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가이드나사(311)와 고정나사(313)와 암나사(315)의 장착개수는 팔안착부(310)의 크기 및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착석프레임(120)의 하부에는 발을 지지하는 발받침부(700)가 더 결합되어 있다.
발받침부(700)는 발을 지지하는 발받침판(720)과, 착석프레임(120)의 측면에 마련된 프레임수용부(710), 발받침판(720)이 결합된 1단프레임(730), 1단프레임(730)과 고리(740)로 연결된 2단프레임(750)으로 구성된다. 발받침부(700)를 사용할 경우는, 발받침판(720)을 밀어서 2단프레임(750)과, 고리(740)를 프레임수용부(710)에 수용한다. 이 경우, 발받침부(700)가 수평상태로 세워진다. 착석자는 발받침판(720)에 발을 올려 발근육을 풀어줄 수 있다.
발받침부(7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발받침판(720)을 당겨서 2단프레임(750)과 고리(740)를 프레임수용부(710)에서 수용해제한다. 이 경우, 1단프레임(730)은 수직상태가 되고, 발받침판(720)도 수직상태로 착석부(100) 하부에 위치한다.
파이프(510, 530)는 앞다리(410)와 동일한 각도로 마련되어 착석프레임(120)에 장착된다. 파이프(510, 530)는 약 85㎝로 마련된다. 파이프(510, 530)는 장봉(610)을 끼우는 파이프(510)와, 단봉(630)을 끼우는 파이프(530), 단봉(630)을 보관하는 보관파이프(550)로 구성된다. 장봉(610)을 끼우는 파이프(510)와, 단봉(630)을 끼우는 파이프(530)는 앞다리(410) 옆에 장착된다. 단봉(630)을 끼우는 파이프(530)는 장봉(610)을 끼우는 파이프(510)와 균형을 맞추기 위해 하단 10㎝를 메꾼다. 보관파이프(550)는 장봉(610)을 끼우는 파이프(510)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 한 뒷다리(450) 옆에 마련한다.
도 4a는 도 1의 철봉운동용 의자의 운동봉(600)이 사용될 때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1의 철봉운동용 의자의 운동봉(600)이 보관상태에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봉(600)은 장봉(610)과, 단봉(630), 장봉(610)과 단봉(630)을 연결하는 손잡이부(650)로 구성된다. 장봉(610)은 약 90㎝로 마련되고, 단봉(630)은 약 80㎝로 마련된다. 단봉(630)은 장봉(610)에 비해 약 10㎝가 짧다. 장봉(610)은 파이프(510)에 고정 수용되고, 단봉(630)은 파이프(530)에 이탈가능하게 수용된다. 착석자가 착석상태에서 운동을 할 경우는, 장봉(610)과 단봉(630)을 파이프(510, 530)에 끼우고 높이조절을 한다.
파이프(510, 530)에는 고정홈(540)이 형성되어 있고, 장봉(610) 및 단봉(630)에는 일정간격으로 걸림홈(611,631)이 형성되어 있다. 장봉(610)과 단봉(630)을 적절한 길이로 조절하여 파이프(510, 530)에 수용한다. 이 경우, 파이프(510, 530)의 고정홈(540)과, 장봉(610) 및 단봉(630)의 걸림홈(611,631)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게 한다. 그리고, 고정볼트(670)를 고정홈(540)과 걸림홈(611,631)에 끼워서 고정한다.
착석자가 손잡이를 잡고 힘을 가했을 때 앞이나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운동봉(600)을 파이프(510, 530)에 조립하였을 경우는, 손잡이부(650)가 앞다리(410)의 연장선과, 뒷다리(450)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석자가 운동봉(6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운동봉(600)을 파이프(510, 530)로부터 당겨셔 단봉(630)을 파이프(53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 경우, 장봉(610)은 파이프(510)에 고정된 상태로 분리되지 않는다. 그리고, 운동봉(600)을 회전시켜서 단봉(630)을 보관파이프(550)에 끼운다. 그리고, 운동봉(600)을 파이프(510)와, 보관파이프(550)에 밀어 넣어서 보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착석자는 착석상태에서 매달리기, 턱걸이 등의 운동을 하여 척추 및 허리, 골반근육을 풀어줄 수 있고, 노약자 및 척추질환자, 오십견환자는 철봉운동용 의자에서 일어설 경우 손잡이부(650)를 잡고 편하게 일어설 수 있으며, 착석자의 자세를 바르게 교정하고 허리 및 척추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착석자의 체형에 꼭 맞게 높이, 팔걸이부의 폭 및 높이 조절을 정밀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의 제2 실시예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철봉운동을 하기 위한 운동봉(600)이 등받이(200)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운동봉(600)은, 상기 등받이(200)의 좌우 양측에 상기 등받이(200)의 연장방향(즉, 상하 방향으로)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봉(660)과, 상기 슬라이드봉(660)의 상측에 힌지결합되는 손잡이부(6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운동봉(600)이 상기 등받이(200)에 결합되면, 사용자가 운동봉(600)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 운동봉(600)이 팔이나 다리에 간섭되지 아니하므로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를 일반 의자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미관이 개선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봉(600)의 슬라이드봉(660)이 등받이(200)에 장착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는 앞다리(410) 및 뒷다리(450)가 없는 좌식의자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부(650)가 상기 슬라이드봉(660)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가 손을 머리위 뒤쪽으로 뻗어야만 상기 손잡이부(650)를 잡을 수 있으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상기 손잡이부(650)가 착석부(100)에 앉은 사용자의 머리 위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봉(660)에 고정결합되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650)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를 단순한 의자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에 많은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650)는, 상기 슬라이드봉(660)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제작되되, 미사용 시 등받이(200)보다 뒤쪽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봉(660)에 힌지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650)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다각형 형상(더 정확하게는 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ㄷ'자 형상과 같이 2회 이상 절곡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봉(660)은 상기 등받이(200)에 직접 삽입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200)의 내부 좌우측에 삽입되는 2개의 파이프(510,530)에 각각 하나씩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슬라이드봉(660)의 인입 및 인출방향이 일정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봉(660)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510,530)에는 등받이(200)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홈(540)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봉(660)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걸림홈(66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드봉(660)을 적정 높이까지 인출한 후, 고정볼트(670)를 상기 고정홈(540) 및 상기 걸림홈(661)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운동봉(600)의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운동봉(600)의 높이가 조절 및 고정되는 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동일하게 설명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의 제2 실시예 사용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6a는 운동봉이 등받이 내부로 인입된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의 제2 실시예 측면도이고, 도 6b는 손잡이부가 뒤로 회전된 운동봉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7은 운동봉이 등받이 외부로 인출된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의 제2 실시예 측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손잡이부가 앞으로 회전된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의 제2 실시예 측면도 및 운동봉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를 철봉운동용으로 사용하지 아니하고 일반 의자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봉(660)을 파이프(510, 530 : 도 5 참조) 내부로 완전히 인입시킨다. 이때, 손잡이부(65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200) 뒤쪽으로 젖혀짐으로써, 착석부(100)에 앉은 사용자의 신체에 간섭되지 아니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를 철봉운동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봉(660)을 파이프(510, 530) 외측으로 즉, 상향으로 인출시킨다.
사용자는 슬라이드봉(660)을 자신이 원하는 높이까지 인출시키고 높이를 고정한 후,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650)를 등받이(200) 앞쪽으로(도 8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 참조)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봉(660)에는 상기 손잡이부(650)가 앞쪽으로 회전될 때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650)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는 스토퍼(66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65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전방을 향하는 각도까지 회전된 상태에서 더 이상 회전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650)가 등받이(200)의 앞쪽을 향해 회전되면, 사용자는 착석부(100)에 앉아 손잡이부(650)를 손으로 잡고 철봉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662)는 상기 손잡이부(650)의 회전 각도를 한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도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662)가 슬라이드봉(660)에 형성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스토퍼(662)는 손잡이부(65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철봉운동용 의자의 착석부를 나타낸 상세도,
도 3은 도 1의 철봉운동용 의자의 팔걸이부를 나타낸 상세도,
도 4a는 도 1의 철봉운동용 의자의 운동봉이 사용될 때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도 1의 철봉운동용 의자의 운동봉이 보관상태에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의 제2 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6a는 운동봉이 등받이 내부로 인입된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의 제2 실시예 측면도이다.
도 6b는 손잡이부가 뒤로 회전된 운동봉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운동봉이 등받이 외부로 인출된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의 제2 실시예 측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손잡이부가 앞으로 회전된 본 발명에 의한 철봉운동용 의자의 제2 실시예 측면도 및 운동봉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착석부 130 : 지지프레임
135 : 볼트수용부 140 : 볼트봉
300 : 팔걸이부 310 : 팔안착부
311 : 가이드나사 313 : 고정나사
315 : 암나사 317 : 가이드홈
400 : 다리부 510,530 : 파이프
550 : 보관파이프 600 : 운동봉
610 : 장봉 630 : 단봉
700 : 발받침부 720 : 발받침판

Claims (10)

  1.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착석부(100);
    상기 착석부(100)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2개의 앞다리(410)와 2개의 뒷다리(420)를 포함하되, 이웃하는 상기 앞다리(410)와 상기 뒷다리(420)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다리부(400);
    상기 앞다리(410)와 동일한 각도로 상기 착석부(100)에 장착된 2개의 파이프(510,530);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파이프(510,530)에 삽입 장착되는 운동봉(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운동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봉(600)은,
    장봉(610)과, 단봉(630), 상기 장봉(610)과 상기 단봉(630)을 연결하는 손잡이부(650)로 구성되며;
    상기 장봉(610)은 상기 파이프(5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인입 및 인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단봉(630)은 상기 파이프(530)로부터 이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운동용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봉(610)을 수용하는 상기 파이프(510)와 동일한 측의 뒷다리(450) 부위에 마련되는 보관파이프(550)를 더 포함하여,
    착석자가 상기 운동봉(6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상기 단봉(630)이 상기 파이프(530)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후 상기 보관파이프(550)에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운동용 의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510,530)에는 고정홈(540)이 형성되고, 상기 장봉(610) 및 상기 단봉(630)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걸림홈(611,631)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볼트(670)가 상기 고정홈(540) 및 상기 걸림홈(611,63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운동봉(6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운동용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400)의 사이에는 상기 착석부(100)를 지지하며, 볼트수용부(135)를 갖는 지지프레임(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착석부(100)는 볼트봉(140)이 상기 볼트수용부(135)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30)에 체결되며, 상기 볼트봉(140)에 너트(160)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너트(16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착석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운동용 의자 .
  6.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착석부(100);
    상기 착석부(100)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등받이(200);
    상기 등받이(200)의 좌우 양측에 상기 등받이(200)의 연장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봉(660)과, 2회이상 절곡된 형상 또는 폐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양단이 상기 슬라이드봉(660)의 상측에 힌지결합되는 손잡이부(650)를 구비하는 운동봉(600);
    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봉(660) 또는 상기 손잡이부(650)에는, 상기 손잡이부(650)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는 스토퍼(6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운동용 의자.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00)의 내부 좌우측에 삽입되는 2개의 파이프(510,5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봉(660)은 상기 2개의 파이프(510, 530)에 각각 하나씩 인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운동용 의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510,530)에는 등받이(200)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홈(540)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봉(660)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걸림홈(661)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볼트(670)가 상기 고정홈(540) 및 상기 걸림홈(66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운동봉(6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운동용 의자.
  10. 제1항 내지 제6항 또는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팔이 안착되는 팔안착부(310)와, 상향 돌출되는 고정나사(313)가 상면에 구비되어 하측이 상기 착석부(100)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350)과, 상기 고정나사(313)와 끝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팔안착부(31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가이드나사(311)와, 상기 고정나사(313)와 가이드나사(311)가 양측에 체결되는 암나사(315)를 구비하는 팔걸이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나사(313)와 가이드나사(311)는 나사선이 상호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31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가이드나사(311)가 상기 고정나사(313)에 이격 및 접근하는 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팔안착부(31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봉운동용 의자.
KR1020080101342A 2008-08-08 2008-10-15 철봉운동용 의자 KR101089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7822 2008-08-08
KR1020080077822 2008-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293A KR20100019293A (ko) 2010-02-18
KR101089371B1 true KR101089371B1 (ko) 2011-12-02

Family

ID=4208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342A KR101089371B1 (ko) 2008-08-08 2008-10-15 철봉운동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970A (ko) 2019-09-30 2021-04-07 허민 의자를 이용한 척추 측만 운동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093B1 (ko) 2001-10-12 2003-11-28 권승환 다목적 운동 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093B1 (ko) 2001-10-12 2003-11-28 권승환 다목적 운동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970A (ko) 2019-09-30 2021-04-07 허민 의자를 이용한 척추 측만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293A (ko)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38805A (en) Bed-wheelchair
JP5442792B2 (ja) 腰椎支持座布団
EP2204153B1 (en) A tattoo chair
KR101348803B1 (ko) 척추 및 허리 보호를 위한 의자
US8944458B1 (en) Adjustable walker with sitting assembly
KR20200046592A (ko) 노약자 또는 환자용 보행 보조기구
KR101089371B1 (ko) 철봉운동용 의자
KR20090047590A (ko) 척추교정용 가구
US20200179198A1 (en) Portable assistive device for use in sitting and standing
KR20210050341A (ko) 등받이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릴렉스 체어
KR101069902B1 (ko) 분리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KR101775573B1 (ko) 척추 허리 보호 및 하지 정맥류 방지 겨드랑이 지지대
CN208988150U (zh) 一种可调节座椅
KR200377417Y1 (ko) 허리 젖힘 운동 겸용 의자
CN210204062U (zh) 一种可拆卸式的座椅支架
US20080248937A1 (en) Sexerciser
KR101937239B1 (ko) 높이조절 구조를 갖는 의자
CN101601541A (zh) 一种通用的椅子
KR101386314B1 (ko) 기마자세유지 및 자세교정용 의자보조장치
CN219941170U (zh) 一种偏瘫患者活动辅助器
KR200335914Y1 (ko) 골격 교정용 다단식 철봉
JP3237202U (ja) 高さ調整可能な椅子
CN108937284B (zh) 一种利用椅子后腿个性化调节椅面倾斜度的护腰椅
CN219896926U (zh) 一种多功能哑铃凳
KR20120006355A (ko)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