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907B1 -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 - Google Patents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907B1
KR101088907B1 KR1020090078924A KR20090078924A KR101088907B1 KR 101088907 B1 KR101088907 B1 KR 101088907B1 KR 1020090078924 A KR1020090078924 A KR 1020090078924A KR 20090078924 A KR20090078924 A KR 20090078924A KR 101088907 B1 KR101088907 B1 KR 101088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jeolcho
main body
cushion
filled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246A (ko
Inventor
황순애
Original Assignee
황순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순애 filed Critical 황순애
Priority to KR102009007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907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하여 상, 하부면을 구성하도록 재봉한 내피 내부에 쿠션재 등이 충진되어 있는 베개에 있어서,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하여 상, 하부면을 구성하도록 두 장의 내피를 재봉한 것으로, 중심부에는 상, 하부면의 일부가 접합하여 구획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소정의 크기로 절삭한 구절초가 충진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같은 소재의 내피를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하여 재봉한 것으로, 본체의 상부면의 배면부 일측에 구성되어 그 내부에 경추부를 지지하면서 쿠션감을 주며 본체에 충진되는 구절초의 파쇄를 줄이도록 쿠션부재가 충진되는 쿠션부, 상기 본체와 같은 소재의 내피를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하여 재봉한 것으로 쿠션부의 상부 중심에 구성되되 본체 상부면과 쿠션부의 사이에 구성되어 있으며, 경추부의 지압할 수 있도록 구절초 환이 충진되어 구절초 본체 상부면의 외측을 향하여에 돌출되어 형성된 지압부로 구성된 것으로 목의 경추부를 바르게 지지하여 올바른 수면자세를 유지하며, 경추부를 지압하여 경추부의 혈액순환을 도우며 뭉친 근육을 이완하는 동시에 구절초의 방향작용으로 인한 신경이 안정되어 숙면을 취할 수 있는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에 관한 것이다.
구절초, 베개, 경추부, 충진부, 쿠션부, 지압부, 구절초 환

Description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CERVICAL PILLOW WITH CHRYSANTHEMUM}
본 발명은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하여 상, 하부면을 구성하도록 두 장의 내피를 재봉한 내부에 쿠션재 등이 충진되어 있는 경추 베개에 있어서,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하여 상, 하부면을 구성하는 두 장의 내피를 재봉한 것으로, 내부 중심에는 상, 하부면의 일부가 접합하여 구획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소정의 크기로 절삭한 구절초가 충진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같은 소재의 내피를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하여 재봉한 것으로, 본체의 상부면의 배면부 일측에 구성되어 그 내부에 경추부를 지지하면서 쿠션감을 주며 본체에 충진되는 구절초의 파쇄를 줄이도록 쿠션부재가 충진되는 쿠션부, 상기 본체와 같은 소재의 내피를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하여 재봉한 것으로 쿠션부의 상부 중심에 구성되되 본체 상부면과 쿠션부의 사이에 구성되어 있으며, 경추부의 지압할 수 있도록 구절초 환이 충진되어 구절초 본체 상부면의 외측을 향하여에 돌출되어 형성된 지압부로 구성된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상생활에서 매일 접하는 침구류 중의 베개는 건강에 있어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특히 머리와 목선을 받쳐주는 베개는 목의 경추부를 바르게 지지함으로써 경추에 집중하는 신경계통 및 근육에 대한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등 올바른 수면자세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베개는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경추를 경유하는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자연스러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쿠션감 있는 소재인 솜이나 라텍스 등을 이용한 베개는 보온재 역할을 하게 되어 수면시에 머리를 차게해야 건강에 이로움에도 불구하고 머리부분의 체온을 상승시키게 되며, 장기간 동안 사용할 경우 솜이 한쪽으로 밀려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락텍스의 경우 복원력이 떨어져 높이가 낮은 상태로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절초 고유의 향의 방향작용으로 인하여 두통과 신경안정 등에 효과적인 구절초와 베개의 쿠션감과 지압을 위한 메밀 등의 쿠션부재와 구절초 환이 충진되어, 머리와 목의 경추부를 자연스럽게 지지하여 올바른 수면자세를 유지하며 목의 경추부를 지압함으로써 경추부의 뭉친 근육을 이완시키며 혈액순환을 도와 숙면을 취할 수 있으며 수면 후 쾌적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는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피를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한 상, 하부면을 재봉, 그 내부에 쿠션재가 충진되어 있는 베개에 있어서, 내피를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한 상, 하부면을 재봉하되, 중심에는 상, 하부면의 일부가 접합하여 구획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소정의 크기로 절삭한 구절초가 충진되는 본체; 상기 본체와 같은 소재의 내피를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하여 본체 상부면의 배면부 일측부에 재봉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경추부를 지지하고 쿠션감을 주며 본체에 충진되는 구절초의 파쇄됨을 줄일 수 있도록 쿠션부재가 충진되는 쿠션부; 상기 본체와 같은 소재의 내피를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하여 본체 상부면의 배면부와 쿠션부의 사이에 재봉하여 구성어 있으며, 경추부의 지압할 수 있도록 구절초 환이 충진되어 본체 상부면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지압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쿠션부에 충진되는 쿠션부재는 메밀, 귀리, 조, 결명자, 구절초 씨앗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 모서리부에 베개의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건조한 구절초가 파쇄되어 그 부피가 줄어 사용자가 안락함을 느끼지 못할 경우 이를 교체할 수 있도록 지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쿠션부에 충진된 쿠션부재와 지압부에 충진된 구절초 환의 교체 또는 쿠션부재와 구절초 환을 꺼내어 베개를 세탁할 수 있도록 본체 지퍼에 인접한 쿠션부와 지압부의 모서리부에는 각각 밸크로와 파스너가 형성되어 밸크로와 파스너의 개폐를 통하여 쿠션부재와 구절초 환의 교체 또는 세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향작용으로 두통과 신경안정 등에 효과적인 구절초와 베개의 쿠션감과 지압을 위한 메밀 등의 쿠션부재와 구절초 환이 충진되어, 머리와 목의 경추부를 자연스럽게 지지하여 올바른 수면자세를 유지하며 목의 경추부를 지압함으로써 경추부의 뭉친 근육을 이완시키며 혈액순환을 도와 숙면을 취할 수 있으며 수면 후 쾌적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는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이하, 경추 베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베개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는 경추 베개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베개는 내피를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한 상, 하부면(10,20)을 재봉하되, 중심에는 상, 하부면(10,20)의 일부가 접합하여 구획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소정의 크기로 절삭한 구절초(11)가 충진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와 같은 소재의 내피를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하여 본체 상부면(10)의 배면부 일측부에 재봉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경추부를 지지하고 쿠션감을 주며 본체에 충진되는 구절초(11)의 파쇄를 줄일 수 있도록 쿠션부재(31)가 충진되는 쿠션부(30)와, 상기 본체(1)와 같은 소재의 내피를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하여 본체 상부면(10)의 배면부와 쿠션부(30)의 사이에 재봉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경추부의 지압할 수 있도록 구절초 환(41)이 충진되어 본체 상부면(1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지압부(40)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체(1)의 상부면의 배면부의 일측부에 쿠션부(30)와 지압부(40)의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1)의 상부면(10)의 배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체(1)의 하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는 내피를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된 상부면(10)과 하부면(20)의 모서리부를 재봉하되 일측 모서리부에는 지퍼(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부에는 상, 하부면의 일부가 접합하여 구획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소정의 크기로 절삭한 구절초가 충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구절초(구일초, 선모초, 들국화 라고도 함)는 쌍떡잎 식물로 초롱꽃 목 국화 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의 산기슭 풀밭에 주로 자생한다. 9월에서 11월에 줄기 끝에 지름이 4~6cm의 흰색, 홍색, 황색 등의 두상화가 한 송이씩 개화하여 상기 개화된 꽃은 주로 차로 많이 이용되며 줄기나 뿌리는 한약재 등에 사용되고 있다.
구절초는 단맛과 쓴맛이 있으며, 한방에서는 몸을 따뜻하게 보호하며, 월경불순, 냉증, 불임 등의 부인병에 효과가 있으며, 소화불량 등의 위장질환, 두통, 치통 등의 진통 소염작용의 효과 등이 있다.
또한 구절초의 고유의 향의 방향작용으로 두통 및 신경안정에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절초의 줄기, 뿌리, 꽃을 모두 사용하였으며, 경추 베개의 위생을 고려하여 수확한 구절초(11)의 표면에 묻어있을 미세먼지 또는 오물 등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절초(11)를 건조함에 있어서 열풍을 건조하는 건조기에서 건조할 수 있으며, 황토 가마 또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원적외선 건조기에 구절초를 건조함으로써 구절초의 향을 풍부하게 하며, 건조된 구절초(11)에서도 원적외선이 방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쿠션감만을 고수했던 방석에서 건강에도 효과가 있는 기능성 방석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구절초(11)의 줄기는 그 길이가 길고, 뿌리는 부피가 크며 딱딱하기 때문에 경추 베개의 쿠션감과 안락함을 고려하여 줄기와 뿌리는 소정의 크기로 절삭한 것을 사용한다.
경추 베개의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구절초(11)가 파쇄될 경우 그 부피 및 높이 낮아져 경추부를 바르게 지지할 수 없으며 수면자세가 올바르지 않아 숙면을 취할 수 없으며, 땀이나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하여 본체(1)에 오염이 발생할 경우 세탁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면(10)과 하부면(20)의 재봉에 있어서, 상, 하부면(10,20)이 맞닿는 일측 모서리부에 지퍼(50)를 형성하여 구절초(11)의 교환 또는 본체(1)의 세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1)의 상부면(10)의 배면부 일측부에는 경추부를 자연스럽게 지지하면서 쿠션감을 주기 위하여 쿠션부재(31)가 충진된 쿠션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쿠션부(30)는 본체(1)와 같은 소재의 내피를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여 상부면(10)의 배면부 일측부에 재봉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가로의 길이는 본체(1)의 가로의 길이보다 약간 작게 재단하며 세로의 길이는 본체(1)의 세로의 길이의 3분의 2 이하로 재단하여 상부면(10)의 배면부 일측부에 재봉하여 구성된다.
이는 쿠션부(30)의 주된 목적이 경추부를 바르게 지지하여 올바른 수면자세를 유지하며, 경추부의 쿠션감을 주는 동시에 본체 내부에 충진된 구절초의 파쇄를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쿠션부재(31)는 메밀, 구절초 씨앗, 귀리, 조, 결명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메밀, 구절초 씨앗, 귀리, 조, 결명자는 그 형태가 다이아몬드형 또는 환형 등의 다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경추 베개의 쿠션감을 주어 경추부를 바르게 지지하는 동시에 안락함을 느낄 수 있으며, 본체(1)에 충진된 구절초(11)의 파쇄의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이중 메밀은 예로부터 베갯속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던 것으로 그 소재가 부드러우면서도 목의 경추부와 머리를 바르게 지지하면서 장기간 사용을 해도 쿠션감이 변하지 않고 움직일 때마다 베개의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거의 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또한 열이 많거나 땀이 많이 흐르는 사람의 경우 통기가 잘 이루어져 머리의 열이 베개로의 전달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수면 후 쾌적함과 개운함을 느낄 수 있어 숙면을 쉬할 수 있다.
지압부(40)는 본체 상부면(10)의 배면부와 쿠션부(30)의 사이에 구성되어 있으며, 지압부(40)에는 다수의 구절초 환(41)이 충진되어 본체(1) 상부면(1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압부(40) 또한 본체(1)와 같은 소재의 내피로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되어 본체 상부면(10)의 배면부와 쿠션부(30)의 사이에 재봉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가로의 길이는 쿠션부(30)와 같은 길이로 재단하며 세로의 길이는 쿠션부(30)의 3분의 2 이하로 재단하여 재봉함으로써 지압부(40)에 충진된 구절초 환(41)이 상부면(1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경추부를 지압할 수 이TEk.
상기 지압부(40)에 충진된 구절초 환(41)은 경추부를 지압함으로써 경추부의 뭉친 근육을 이완시키며 혈액순환을 도와줌으로써 목의 피로를 풀게 하며, 구절초(11)의 고유의 향으로 인한 방향작용으로 신경이 안정되어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상부면(10)의 배면부의 일측부에 지압부(40), 쿠션부(30)를 차례로 적층하여 재봉하되 상부면(10)의 배면부와 쿠션부(30)의 사이에 지압부(40)가 구성되도록, 먼저 지압부(40)와 상부면(10)을 재봉한 후 상부면(10)과 쿠션부(30)를 재봉함으로써 본체(1)에 쿠션부(30)와 지압부(4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쿠션부(30)와 지압부(40)에 충진되는 쿠션부재(31)와 구절초 환(41)이 경추 베개의 장기간 동안의 사용 등에 의하여 구절초 환(41) 또는 쿠션부재(31)가 파쇄되어 쿠션감 또는 지압감이 떨어질 수 있으며, 구절초 환(41) 또는 쿠션부재(31)가 천연소재로 구성된 것으로 여름철의 장마로 인한 습기로 인하여 베개 내부에 벌레 등이 생길 수 있어 이를 교체 또는 건조가 필요하게 되며, 땀으로 인하여 본체(1)의 상, 하부면(10,20)에 오염이 발생될 경우 세탁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쿠션부재(31)와 구절초 환(41)의 교체 또는 쿠션부재(31)의 건조 또는 세탁을 위하여 본체(1)에 형성된 지퍼(50)에 인접한 쿠션부(30)와 지압부(40)의 일측 모서리부를 본체(1)의 상부면(10)에 재봉하여 밀봉하지 않고 밸크로(51)와 파스너(52)를 대응하도록 쿠션부(30)와 지압부(40)에 형성함으로써 쿠션부재(31)와 구절초 환(41)의 교체나 건조, 세탁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1)의 지퍼(50) 및 쿠션부(30)와 지압부(40)에 맞물려 있는 밸크로(51)과 파스너(52)를 개방하여 쿠션부재(31)와 구절초 환(41)을 외부로 빼놓은 후 각각의 구절초(11), 쿠션부재(31), 구절초 환(41)을 건조 또는 교체를 용이할 수 있으며, 오염된 본체(1)를 세탁할 수 있어 경추 베개의 수명을 연장하며 사용자가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1) 및 쿠션부(30)와 지압부(40)의 내피를 경추 베개의 기능을 더욱 높이도록 면에 황토염색 등의 천연염색을 직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황토는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는 물질로서 황토염색을 한 직물을 방석의 외피로 사용함으로써 원적외선의 방사로 구절초 환의 약리 성분이 사용자의 신체에 고루 흡수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충분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베개의 사용상태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본체(1)의 내측 중심 일부의 상, 하부면(20)이 접합하여 구획됨으로써 경추부가 닿는 부분, 즉, 쿠션부(30)와 지압부(40)가 형성된 부분보다 머리가 닿는 부분의 높이를 낮게 형성함으로써 목의 경추부를 지압하면서 바르게 지지하도록 하며,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목의 경추부를 바르게 하여 올바른 수면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숙면을 취할 수 있겠다.
또한, 본체(1)의 내부에 충진된 구절초(11)와 지압부(40)에 충진된 구절초 환(41)의 방향작용으로 인한 신경안정 및 경추부의 지압하여 목의 피로를 풀게 함으로써 숙면을 취할 수 있으며 수면 후의 쾌적함과 안락함 및 개운함 등을 느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치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의 개략적인 사사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의 상부면의 배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의 하부면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의 사용상태도.
*주요부호설명*
1:본체
10:상부면
11:구절초
20:하부면
30:쿠션부
31:쿠션부재
40:지압부
41:구절초 환

Claims (4)

  1. 내피를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한 상, 하부면을 재봉, 그 내부에 쿠션재가 충진되어 있는 베개에 있어서,
    내피를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한 상, 하부면을 재봉하되, 중심에는 상, 하부면의 일부가 접합하여 구획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소정의 크기로 절삭한 구절초가 충진되는 본체(1);
    상기 본체와 같은 소재의 내피를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하여 본체 상부면의 배면부 일측부에 재봉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경추부를 지지하고 쿠션감을 주며 본체에 충진되는 구절초의 파쇄됨을 줄일 수 있도록 쿠션부재가 충진되는 쿠션부(30);
    상기 본체와 같은 소재의 내피를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하여 본체 상부면의 배면부와 쿠션부의 사이에 재봉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경추부의 지압할 수 있도록 구절초 환이 충진되어 본체 상부면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지압부(40);
    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에 충진되는 쿠션부재는 메밀, 귀리, 조, 결명자, 구절초 씨앗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 모서리부에 베개의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건조한 구절초가 파쇄되어 그 부피가 줄어 사용자가 안락함을 느끼지 못할 경우 이를 교체할 수 있도록 지퍼(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
  4. 제1항에 있어서, 쿠션부에 충진된 쿠션부재와 지압부에 충진된 구절초 환의 교체 또는 쿠션부재와 구절초 환을 꺼내어 베개를 세탁할 수 있도록 본체 지퍼에 인접한 쿠션부와 지압부의 모서리부에는 각각 밸크로와 파스너가 형성되어 밸크로와 파스너의 개폐를 통하여 쿠션부재와 구절초 환의 교체 또는 세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절초가 내장되어 있는 경추 베개.
KR1020090078924A 2009-08-25 2009-08-25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 KR101088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924A KR101088907B1 (ko) 2009-08-25 2009-08-25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924A KR101088907B1 (ko) 2009-08-25 2009-08-25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246A KR20110021246A (ko) 2011-03-04
KR101088907B1 true KR101088907B1 (ko) 2011-12-07

Family

ID=4393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924A KR101088907B1 (ko) 2009-08-25 2009-08-25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0223A (zh) * 2017-04-28 2017-08-18 向佳楠 一种用于保健枕的中药配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7319A (zh) * 2014-11-18 2016-08-24 贵州紫日茶业科技有限公司 苗药颈椎茶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261Y1 (ko) 2001-01-09 2001-12-28 김재철 숙면 베개
KR200270177Y1 (ko) 2001-12-26 2002-03-28 신승대 목받이낭이 형성된 베개 커버
KR200321358Y1 (ko) 2003-03-31 2003-07-28 전종국 건강베개
KR100736125B1 (ko) 2006-04-13 2007-07-06 박희연 구절초-황토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261Y1 (ko) 2001-01-09 2001-12-28 김재철 숙면 베개
KR200270177Y1 (ko) 2001-12-26 2002-03-28 신승대 목받이낭이 형성된 베개 커버
KR200321358Y1 (ko) 2003-03-31 2003-07-28 전종국 건강베개
KR100736125B1 (ko) 2006-04-13 2007-07-06 박희연 구절초-황토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0223A (zh) * 2017-04-28 2017-08-18 向佳楠 一种用于保健枕的中药配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246A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182529U (zh) 一种高度可调防治颈椎病的健康枕
CN202760809U (zh) 中药保健枕
CN104274006B (zh) 一种婴幼儿多功能保健枕
CN105029981A (zh) 枕头
KR100887718B1 (ko) 다층구조로 분획 격실을 갖는 기능성 베개 및 그 제조방법
CN106333574A (zh) 一种多功能枕头
KR101088907B1 (ko) 구절초가 내장된 경추 베개
CN101991317B (zh) 一种调整型水气头颈枕
CN202950408U (zh) 一种保健枕头
KR20180002727U (ko) 탈착식 유아용 침구세트
CN206777156U (zh) 一种新型枕头
CN2904836Y (zh) 护颈保健枕
KR20160004194U (ko) 베개
CN106333573A (zh) 一种趴枕
KR20110116730A (ko) 약재내장쿠션
CN201375300Y (zh) 平衡护颈保健枕
CN201370363Y (zh) 改进的多功能保健枕
KR100808022B1 (ko) 기능성 베개
CN206182896U (zh) 一种按摩头部的天然乳胶枕
CN219762945U (zh) 一种便于拆卸的床垫结构
CN211795679U (zh) 一种气凝胶加热枕
CN201528912U (zh) 多功能枕头
KR200205354Y1 (ko) 침구세트
CN209300677U (zh) 中药材当归黄芪枕垫
CN215382942U (zh) 一种儿童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