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798B1 -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798B1
KR101088798B1 KR1020100095306A KR20100095306A KR101088798B1 KR 101088798 B1 KR101088798 B1 KR 101088798B1 KR 1020100095306 A KR1020100095306 A KR 1020100095306A KR 20100095306 A KR20100095306 A KR 20100095306A KR 101088798 B1 KR101088798 B1 KR 101088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ssage
charger
bm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7724A (ko
Inventor
임유석
한승호
양승권
박인수
송택호
김상범
최철
소준영
김철우
정문규
정미희
이한별
민병국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ublication of KR20110107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2Protocol perform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충전기 사이에 커넥터가 연결되어 통신이 개시되면, 연결된 전기 자동차의 정보 및 프로토콜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1 ID의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여 충전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제1 ID의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를 송신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ID의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여 충전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ID와 제2 ID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충전기 사이에 커넥터가 연결된 시점부터 커넥터의 연결이 해제되는 시점까지 일정주기로 반복하여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protocol message using CAN communication}
본 발명은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 급속충전기와 전기 자동차 사이에 충전 관련 정보 교환을 위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과 충전기 사이에서 송신되는 프로토콜 메시지의 데이터 포맷을 규정하고, 규정된 포맷에 따라 생성된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송하는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기 자동차 급속충전기 사이에 CAN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기 자동차측의 정보와 급속 충전기의 정보를 표준화한 CAN 데이터 메시지 프로토콜을 제공하지 못했다.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급속충전기와 전기 자동차 사이의 충전관련 정보 교환을 위해 CAN 통신을 함에 있어 필요한 CAN 통신용 데이터 메시지 목록에 관한 것으로, 전기 자동차 내부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충전 관련 정보와 충전기에서 전기 자동차로 충전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을 규정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인프라에서 안전 및 충전관련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CAN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은,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상기 충전기 사이에 커넥터가 연결되어 통신이 개시되면, 연결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정보 및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1 ID의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충전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ID의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를 송신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ID의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충전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ID와 상기 제2 ID는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상기 충전기 사이에 커넥터가 연결된 시점부터 상기 커넥터의 연결이 해제되는 시점까지 일정주기로 반복하여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ID를 갖는 메시지는, 차량 제조회사 및 배터리 제조회사 정보, CAN 메시지 프로토콜 버전, 및 정전력 모드시 전력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ID를 갖는 메시지는,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충전 준비상태 정보, 오류정보, 경고정보, 내부 충전용 스위치 연결 정보, 충전 모드 정보, 충전 상태 정보, 충전 완료 상태 정보, 배터리 충전% 정보, 충전 잔여시간 정보, 정전압 모드시 전압 값, 정전류 모드시 전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ID를 갖는 메시지는, 상기 충전기를 통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동안 상기 충전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충전기의 충전 정보에 근거하여 변경된 값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CAN 통신을 이용한 충전기의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은, 상기 충전기가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상기 충전기 사이에 커넥터가 연결되어 통신이 개시되면, 연결된 상기 충전기의 정보 및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1 ID의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ID의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를 송신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충전기에 대한 충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ID의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ID와 상기 제2 ID는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상기 충전기 사이에 커넥터가 연결된 시점부터 상기 커넥터의 연결이 해제되는 시점까지 일정주기로 반복하여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ID를 갖는 메시지는, 상기 충전기의 제조회사 정보, 및 상기 충전기의 CAN 메시지 프로토콜 버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ID를 갖는 메시지는, 상기 충전기의 충전 준비상태 정보, 오류 및 오류코드 정보, 경고정보, 충전 모드 정보, 충전 종료 요청 정보, 상기 충전기의 최대 전송 가능한 전압값, 전류값, 전력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ID를 갖는 메시지는, 상기 충전기가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안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정보에 근거하여 변경된 값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 충전기 사이에 데이터 통신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충전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배터리 및 충전기에 최적화된 충전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전기관련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전자제어방법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인프라 구현에 있어 전기 자동차와 급속충전기간의 데이터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메시지 프로토콜을 제공하여, 어떤 충전기와 어떤 전기 자동차가 접속하더라도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송신 메시지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이다.
도 4 는 도 3을 구체화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 은 도 3의 송신 메시지 프로토콜에서의 세부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 충전기의 송신 메시지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이다.
도 8 은 도 7을 구체화한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 은 도 7의 송신 메시지 프로토콜에서의 세부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 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급속 충전기에서 시간별 프로토콜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기에서 전기 자동차 내부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전기 자동차 충전기 사이의 정보교환을 위해 데이터 통신을 CAN 인터페이스로 규정함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 목록을 정의하고 그에 따른 메시지 포맷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의 CAN 통신은 CAN 2.0 표준 버전(Standard Format)을 바탕으로 하며, 각 ID 당 전송 주기는 100ms를 기준으로 하여 500 kbp의 전송속도를 갖는다. 이때, ID를 제외한 데이터 목록은 CAN 2.0 A 또는 B 모두 사용가능한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10)는 배터리(11)와 배터리(11)의 충전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이하 'BMS'라 칭한다)(15)을 포함한다. 이때, BMS(15)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Quick Charger, 이하 'QC'라 칭한다)(20)를 통해 배터리(11)가 충전되는 동안, QC(20)와 통신을 하며 배터리(11)의 충전 상태를 관리한다.
이때, BMS(15)와 QC(20)는 CAN 통신을 수행하며, BMS(15)와 QC(20) 간 CAN 통신을 위한 물리적인 링크는 2가닥의 송신선으로 구성되어 충전케이블에 일체로 포함된다.
여기서, CAN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링크는 크게 BMS(15)에서 송신하는 BMS 송신 링크(BMS TX)(1)와, QC(20)에서 송신하는 QC 송신 링크(QC TX)(2)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BMS TX(1)는 실선, QC TX(2)는 점선으로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따라서, BMS(15)는 충전기가 충전되는 동안 충전 정보를 포함하는 BMS 메시지를 생성하여 BMS TX(1)를 통해 QC(20)로 전송하고, 마찬가지로 QC(20)는 충전기가 충전되는 동안 충전 정보를 포함하는 QC 메시지를 생성하여 QC TX(2)를 통해 BMS(15)로 전송한다. 이때, BMS 메시지는 BMS(15)의 ID 정보를 포함하고, QC 메시지는 QC(20)의 ID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BMS 메시지는 차량 제조회사 및 배터리 제조회사 정보, BMS CAN 메시지 프로토콜 버전, Battery SOC(%), 충전 잔여시간(sec), BMS 오류정보, BMS 준비상태, 충전 모드(0: Charger Base 1: CC, 2:CC-CV, 3:CP-CV), 정전압 모드시 전압 값, 정전류 모드시 전류 값, 및 정전력 모드시 전력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BMS 메시지는 추가적으로, 충전기 용량과 비교하여 배터리 충전 예상시간 등의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배터리 최대 용량(kWh), 충전시키는 배터리(11)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배터리 최대 전압(V), 충전시키는 배터리(11)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배터리 최대 전류(A), SOC 와 비교하여 충전기 측에서 비교적 정확한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배터리 잔여 용량(kWh), 현재까지 배터리(11)에 충전된 전력량을 제공함으로써 충전기측에서 충전 효율 및 요금 정산 등에 활용하기 위한 현재 충전 전력량(kWh), 배터리(11) 특성에 따른 최대 충전 전력 값을 충전기에 알림으로써 배터리(11)를 보호하기 위한 충전 전력 상한값, 현재 배터리(11)에 충전되는 전압 값을 충전기 관리자로 하여금 확인하여 충전기의 상태 및 충전 효율 등을 확인하기 위한 배터리 현재 충전 전압, 현재 배터리(11)에 충전되는 전류 값을 충전기 관리자로 하여금 확인하여 충전기의 상태 및 충전 효율 등을 확인하기 위한 배터리 현재 충전 전류, 배터리(11)를 충전하는 동안 과온 등에 의해 배터리(11)에 무리가 가는 경우 BMS(15)의 오동작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배터리 온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QC 메시지는 충전기 제조회사 정보, 충전기 CAN 메시지 프로토콜 버전, 충전기의 최대 전송 가능한 전압(V), 충전기의 최대 전송 가능한 전류(A), 충전 상태 (1:충전대기, 2:충전, 3:일시정지, 4.종료, 5:오류), 충전모드 (0: Charger Base 1: CC, 2:CC-CV, 3:CP-C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QC 메시지는 추가적으로 배터리(11) 상태에 따른 다양한 충전모드로 전송을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충전기의 최소 전송 가능한 전압(V), 배터리(11) 상태에 따른 다양한 충전모드로 전송을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충전기의 최소 전송 가능한 전류(A),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충전기 오류 코드 (0:Normal, 1:인버터 Fault, 2:DC/DC 컨버터 Fault, 3:부하 Fault), 충전 효율 및 충전기 자체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의 오류 등을 확인하기 위한 충전 중 전압 값, 충전 효율 및 충전기 자체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의 오류 등을 확인하기 위한 충전 중 전류 값, 충전 효율 및 충전기 자체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의 오류 등을 확인하기 위한 충전 중 전력 값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들은 BMS 메시지와 QC 메시지에 차량 내부 CAN 네트워크상의 ID로 구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BMS(15)와 QC(20)는 주기적으로 CAN 버스(30)를 통해 BMS 메시지와 QC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QC(20)의 충전 케이블이 전기 자동차(10)의 인렛(Inlet)에 연결되면, BMS(15)와 QC(20) 사이에 CAN 통신이 개시가 되며, BMS(15)와 QC(20)는 각 메시지 프로토콜(Protocol)의 우선순위 ID 정보가 CAN 버스(30)에 실리게 되고, CAN 버스(30)에서 BMS(15)와 QC(20)는 상대측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활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BMS(15)와 QC(20)는 BMS 메시지와 QC 메시지를 송신할 때, 각 메시지가 제1 ID 및 제2 ID를 갖는다. 이때, BMS 메시지의 제1 ID 및 제2 ID는 ID0x638 및 ID0x639이고, QC 메시지의 제1 ID 및 제2 ID는 ID0x630 및 ID0x631인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MS(15)와 QC(20) 사이에 CAN 통신이 개시되면, BMS(15)는 ID 0X638의 BMS 메시지를 CAN 버스(30)로 송신하고(S100), CAN 버스(30)에서 QC(20)로 BMS 메시지(ID 0X638)를 전달하게 된다(S110). 이때, QC(20)는 수신된 BMS 메시지(ID 0X638)에 포함된 정보를 활용한다.
또한, BMS(15)는 ID 0X638의 BMS 메시지를 CAN 버스(30)로 송신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ID 0X639의 BMS 메시지를 CAN 버스(30)로 송신하고(S120), CAN 버스(30)에서 QC(20)로 BMS 메시지(ID 0X639)를 전달하게 된다(S130). 이때, QC(20)는 수신된 BMS 메시지(ID 0X639)에 포함된 정보를 활용한다.
이후, BMS(15)는 'S140' 내지 'S170' 과정에서와 같이, ID 0X638의 BMS 메시지와 ID 0X639의 BMS 메시지를 일정주기로 반복하여 송신한다. 이때, 일정주기는 100ms이고 통신속도는 500kbps를 기준으로 한다.
여기서, 충전 중에는 ID 0X639의 BMS 메시지에서 BMS ID 0X639 내부의 충전 관련 정보(예를 들어, 현재 Battery Soc, 전류값, 전압값 등)에 해당되는 값만 변경된다.
한편, BMS(15)와 QC(20) 사이에 CAN 통신이 개시되면, QC(20)는 ID 0X630의 QC 메시지를 CAN 버스(30)로 송신하고(S200), CAN 버스(30)에서 BMS(15)로 QC 메시지(ID 0X630)를 전달하게 된다(S210). 이때, BMS(15)는 수신된 QC 메시지(ID 0X630)에 포함된 정보를 활용한다.
또한, QC(20)는 ID 0X630의 QC 메시지를 CAN 버스(30)로 송신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ID 0X631의 QC 메시지를 CAN 버스(30)로 송신하고(S220), CAN 버스(30)에서 BMS(15)로 QC 메시지(ID 0X631)를 전달하게 된다(S230). 이때, BMS(15)는 수신된 QC 메시지(ID 0X631)에 포함된 정보를 활용한다.
이후, QC(20)는 'S240' 내지 'S270' 과정에서와 같이, ID 0X630의 QC 메시지와 ID 0X631의 QC 메시지를 일정주기로 반복하여 송신한다. 이때, 일정주기는 100ms이고 통신속도는 500kbps를 기준으로 한다.
여기서, 충전 중에는 ID 0X631의 QC 메시지에서 QC ID 0X631 내부의 충전 관련 정보(예를 들어, 현재 Battery Soc, 전류값, 전압값 등)에 해당되는 값만 변경된다.
한편, 충전기 오류 또는 배터리(11) 오류로 인한 오류정보는 'OFF' 또는 'Normal' 정보만 전송하다가 특정 Event가 발생했을 경우에만 상태값이 변경된다.
BMS(15)와 QC(20)는 배터리(11)의 충전 종료 후에도 충전 케이블이 분리되기 전까지 주기적으로 BMS 메시지와 QC 메시지를 통해 상호 간에 배터리(11)의 상태를 송수신한다.
충전이 완료되어 충전케이블이 분리되었을 경우, BMS(15)와 QC(20) 사이의 CAN 통신은 단절되며, 이로써 통신 프로세스를 종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통신 프로세스에 따라 충전 전부터 충전 완료시까지 BMS(15)와 QC(20)는 배터리(11)의 상태를 상호 모니터링함으로써 충전 중 안전을 유지할 수 있으며, 향후 전기 자동차(10)의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BMS의 송신 메시지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3을 구체화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BMS 메시지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BMS 메시지 프로토콜은 ID 0X638의 BMS 메시지와 ID 0X639의 BMS 메시지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먼저, ID 0X638의 BMS 메시지는 8 Bytes로 구성된다. 이때, ID 0X638의 BMS 메시지는 CR_Bms_VehicleCode, CR_Bms_SwVer, CR_Bms_QcCmdPwr_W 등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여기서, CR_Bms_VehicleCode는 QC(20)에서 어떠한 차량이 충전을 위해 접속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차량코드 정보로, 차량 제조회사 및 차량 인식 코드가 해당된다. 이때, CR_Bms_VehicleCode는 추후 안전사고 등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한 기초적인 사항으로, 향후 사용자에게 고객편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QC(20) 측에서 활용하게 된다.
CR_Bms_SwVer는 차량 내부의 BMS(15)와 QC(20) 간에 CAN 통신을 하기 위한 메시지 프로토콜의 버전 정보이다. 또한, CR_Bms_QcCmdPwr_W는 정전력 모드를 위한 정전력 지령값을 나타낸다.
한편, ID 0X639의 BMS 메시지는 8 Bytes로 구성된다. 이때, ID 0X639의 BMS 메시지는 CF_Bms_RdyForQcs, CF_Bms_WrnForQcs, CF_Bms_FaultForQcs, CF_Bms_QcRlyOnStatForQcs, CF_Bms_ChargerMod, CF_Bms_AbnorChg, CF_Bms_QcChaFinished, CR_Bms_SoForQc_Pc, CR_Bms_ChgRemainedTime_s, CR_Bms_QcCmdCurr_A, CR_Bms_QcCmdVolt_V 등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여기서, CF_Bms_RdyForQcs는 전기 자동차(10) 내부의 CAN 통신 제어장치(BMS 제어장치)의 준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CF_Bms_WrnForQcs는 전기 자동차(10) 내부의 CAN 통신 제어장치의 경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CF_Bms_FaultForQcs 전기 자동차(10) 내부의 CAN 통신 제어장치의 오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CF_Bms_QcRlyOnStatForQcs는 BMS(15) 내부에서 충전을 가능하게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서, 커넥터가 연결되었을 경우 On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CF_Bms_ChargerMod는 충전모드를 충전기에 요구하는 정보로서, 충전모드는 CC(정전류), CC-CV(정전압), CP(정전력)의 3가지 모드가 있다.
CF_Bms_AbnorChg는 배터리(11)의 이상(열 및 기타 이상현상 등)에 의해 충전 전력이 Target 값보다 완화되어 전압이 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배터리(11)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QC(20)는 CF_Bms_AbnorChg를 통해 배터리(11) 쪽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CF_Bms_QcChaFinished는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이다. CR_Bms_SoForQc_Pc는 배터리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SOC 값으로 표현된다. CR_Bms_ChgRemainedTime_s는 배터리(11)의 만 충전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CR_Bms_QcCmdCurr_A는 충전모드 중 CC 모드를 위한 정전류 지령값을 충전기에 알기 위한 정보이다. CR_Bms_QcCmdVolt_V는 충전모드 중 CC-CV 모드를 위한 전전압값으로, 정전류로 충전을 하다 Target Voltage에 도달하면 CV(정전압) 모드로 동작하는데 필요한 Target Voltage 값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송신 메시지 프로토콜에서의 세부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5는 ID 0X638의 BMS 메시지에서, CR_Bms_VehicleCode에 대한 세부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R_Bms_VehicleCode에는 충전 연결된 차량의 세부정보로서, QC(20)는 CR_Bms_VehicleCode의 Raw Data를 코딩하면 해당 차량의 세부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QC(20)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해 연결된 차량이 'HYUNDAI MOTORS'의 'AVANTE HD' 차량임을 인식하게 된다.
도 6은 ID 0X638의 BMS 메시지에서, CR_Bms_SwVer에 대한 세부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R_Bms_SwVer는 차량 내부의 BMS(15)와 QC(20) 간에 CAN 통신을 하기 위한 메시지 프로토콜의 버전 정보로서, QC(20)는 CR_Bms_SwVer를 코딩함으로써, '0010A'와 같은 메시지 프로토콜의 버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QC의 송신 메시지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이고, 도 8 은 도 7을 구체화한 예시도이다. 상세하게는, QC 메시지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QC 메시지 프로토콜은 ID 0X630의 QC 메시지와 ID 0X631의 QC 메시지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먼저, ID 0X630의 QC 메시지는 8 Bytes로 구성된다. 이때, ID 0X630의 QC 메시지는 CR_Bms_QcCmdPwr_W, CR_Qc_SwVer 등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여기서, CR_Bms_QcCmdPwr_W는 전기 자동차(10) 사용자에게 QC(20)의 정보, 즉, 충전기 코드 및 충전기 위치 코드 등을 알려주고,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정보로서, 이후 이력관리 등 다양한 편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R_Qc_SwVer는 전기 자동차(10) 충전용 CAN 통신 메시지 프로토콜의 버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한편, ID 0X631의 QC 메시지는 8 Bytes로 구성된다. 이때, ID 0X631의 QC 메시지는 CF_Qc_Rdy, CF_Qc_Wrn, CF_Qc_Flt, CR_Qc_ChargerMod, CF_Qc_FinishDemand, CF_Qc_ChgFinished, CF_Qc_PowEnaStat, CR_Qc_FltCode, CR_Qc_MaxPwr_W, CR_Qc_MaxCurr_A, CR_Qc_MaxVolt_V 등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여기서, CF_Qc_Rdy는 QC(20) 내부의 CAN 통신 제어장치에 대한 준비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CF_Qc_Wrn는 QC(20) 내부의 CAN 통신제어장치에 대한 경고상태를 타나내는 정보이다. CF_Qc_Flt는 QC(20) 내부의 CAN 통신제어장치의 오류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CR_Qc_ChargerMod는 전기 자동차(10)의 요청을 받아 현재 QC(20)의 충전모드를 차량의 BMS(15)로 알리기 위한 정보이다. CF_Qc_FinishDemand는 충전이 완료되었거나 QC(20)의 이상(Emegency Stop) 등이 발생했을 경우 BMS(15)에 충전 종료를 요청하는 정보이다.
또한, CF_Qc_ChgFinished는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CF_Qc_PowEnaStat는 충전을 위한 전력전송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CR_Qc_FltCode는 충전기에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CR_Qc_MaxPwr_W는 QC(20)에서 최대로 전송할 수 있는 전력량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CR_Qc_MaxCurr_A는 QC(20)에서 최대로 전송할 수 있는 전류값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CR_Qc_MaxVolt_V는 QC(20)에서 최대로 전송할 수 있는 전압값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의 송신 메시지 프로토콜에서의 세부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9는 ID 0X630의 QC 메시지에서, CR_Qc_Code에 대한 세부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CR_Qc_Code에는 전기 자동차(10)와 연결된 충전기의 세부정보로서, BMS(15)는 CR_Qc_Code의 Raw Data를 코딩하면 해당 QC(20)의 세부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BMS(15)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해 전기 자동차(10)와 연결된 QC(20)의 'Station Zip Code_Front=305', 'Station Zip Code_Back=760', 'Charger Serial=0001' 등을 인식하게 된다.
도 10은 ID 0X630의 QC 메시지에서, CR_Qc_SwVer에 대한 세부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CR_Qc_SwVer는 전기 자동차(10) 충전용 CAN 통신 메시지 프로토콜의 버전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BMS(15)는 수신되는 QC 메시지의 CR_Qc_SwVer를 코딩함으로써, '0010A'와 같은 메시지 프로토콜의 버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도 3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메시지 프로토콜에 미반영된 사항들은 현재까지 실제 구현되고 있지 않는 사항들이거나, 중복되는 데이터를 축소한 차량 내부 CAN 통신 제어장치들의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앞에서 메시지 프로토콜에 미반영된 사항들이라 하더라도 향후에 반영될 여지는 있으며, 이러한 사항들을 추가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메시지 프로토콜의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거나 바뀌게 되어도 기존의 버전에서 ID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버전 업그레이드를 진행할 것이므로 BMS(15)와 QC(20) 간 SW 버전을 비교하여 하위 버전의 정보들만 해독하고 업그레이드 된 상위의 버전의 메시지 프로토콜의 콘텐츠는 처리하지 않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유지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BMS와 QC(20)에서 시간별 프로토콜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11은 BMS 메시지를 통해 시간별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ID 0X638의 BMS 메시지에 포함되는 CR_Bms_VehicleCode와, CR_Bms_SwVer는 커넥터가 연결된 후 통신이 시작되는 2 시점부터 계속에서 정보를 전송한다. ID 0X638의 BMS 메시지에 포함되는 CR_Bms_QcCmdPwr_W는 충전준비상태가 시작되는 3 시점부터 계속에서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ID 0X639의 BMS 메시지에 포함되는 CF_Bms_RdyForQcs는 커넥터가 연결된 후 통신이 시작되는 2 시점부터 계속에서 ready 정보를 전송한다. ID 0X639의 BMS 메시지에 포함되는 CF_Bms_QcRlyOnStatForQcs는 커넥터가 연결된 후 통신이 시작되는 2 시점부터 스위치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ID 0X639의 BMS 메시지에 포함되는 CR_Bms_SoForQc_Pc, CR_Bms_ChgRemainedTime_s, CR_Bms_QcCmdCurr_A, CR_Bms_QcCmdVolt_V는 BMS와 QC 간에 통신이 시작되고 충전준비상태가 시작되는 3 시점부터 계속해서 배터리 충전%, 충전 잔여시간, CC모드 정전류값, CV모드 정전압값을 전송한다.
또한, ID 0X639의 BMS 메시지에 포함되는 CF_Bms_QcChaFinished는 충전이 완료되는 6 시점부터 계속해서 충전 완료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물론, CF_Bms_WrnForQcs, CF_Bms_FaultForQcs, CF_Bms_AbnorChg는 전기 자동차(10)의 배터리(11) 상태에 따라서 'OFF' 또는 'Normal' 정보만 전송하다가 경고, 또는 오류 등의 특정 Event가 발생했을 경우에만 상태값을 변경하여 전송한다.
한편, 도 12는 QC 메시지를 통해 시간별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ID 0X630의 QC 메시지에 포함되는 CR_Bms_QcCmdPwr_W와, CR_Qc_SwVer는 커넥터가 연결된 후 통신이 시작되는 2 시점부터 계속에서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ID 0X631의 QC 메시지에 포함되는 CF_Qc_Rdy는 커넥터가 연결된 후 통신이 시작되는 2 시점부터 계속에서 Ready 정보를 전송한다.
ID 0X631의 QC 메시지에 포함되는 CF_Qc_PowEnaStat, CR_Qc_MaxPwr_W, CR_Qc_MaxCurr_A, CR_Qc_MaxVolt_V 또한, 커넥터가 연결된 후 통신이 시작되는 2 시점부터 계속에서 Ready 정보, 최대 충전 가능한 전력값, 전류값, 전압값 등을 전송한다.
물론, CF_Qc_PowEnaStat는 충전 완료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더 이상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한편, ID 0X631의 QC 메시지에 포함되는 CR_Qc_ChargerMod는 충전이 시작되는 4 시점에 CC 모드 정보를 전송하고, 이후 충전중 CV 모드로 변경되면 CV 모드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ID 0X631의 QC 메시지에 포함되는 CF_Qc_ChgFinished는 충전이 완료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계속해서 충전 완료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물론, CF_Qc_Wrn, CF_Qc_Flt, CF_Qc_FinishDemand, CR_Qc_FltCode는 QC(20) 상태에 따라서 'OFF' 또는 'Normal' 정보만 전송하다가 경고, 오류, 또는 충전 강제 종료 등의 특정 Event가 발생했을 경우에만 상태값을 변경하여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1: BMS 송신 링크(BMS TX) 2: QC 송신 링크(QC TX)
10: 전기 자동차 11: 배터리
15: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20: 전기 자동차 충전기(QC)
30: CAN 버스(CAN BUS)

Claims (8)

  1.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충전기 사이에서 배터리 충전 중 CAN 통신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상기 충전기 사이에 커넥터가 연결되어 통신이 개시되면, 연결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정보 및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1 ID의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충전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ID의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를 송신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ID의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충전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ID와 상기 제2 ID는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상기 충전기 사이에 커넥터가 연결된 시점부터 상기 커넥터의 연결이 해제되는 시점까지 일정주기로 반복하여 송신되며,
    상기 커넥터가 연결된 후 통신이 시작되는 통신 시작 시점부터 차량 제조회사 및 배터리 제조회사 정보, CAN 메시지 프로토콜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ID를 갖는 메시지와, 상기 커넥터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내부 충전용 스위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ID를 갖는 메시지가 상기 충전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ID를 갖는 메시지는,
    정전력 모드시 전력 값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ID를 갖는 메시지는,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충전 준비상태 정보, 오류정보, 경고정보, 충전 모드 정보, 충전 상태 정보, 충전 완료 상태 정보, 배터리 충전% 정보, 충전 잔여시간 정보, 정전압 모드시 전압 값, 및 정전류 모드시 전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ID를 갖는 메시지는,
    상기 충전기를 통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동안 상기 충전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충전기의 충전 정보에 근거하여 변경된 값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5.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충전기 사이에서 배터리 충전 중 CAN 통신을 이용한 충전기의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충전기가,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상기 충전기 사이에 커넥터가 연결되어 통신이 개시되면, 연결된 상기 충전기의 정보 및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1 ID의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ID의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를 송신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충전기에 대한 충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ID의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ID와 상기 제2 ID는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상기 충전기 사이에 커넥터가 연결된 시점부터 상기 커넥터의 연결이 해제되는 시점까지 일정주기로 반복하여 송신되며,
    상기 커넥터가 연결된 후 통신이 시작되는 통신 시작 시점부터 충전기의 제조회사 정보, 및 충전기의 CAN 메시지 프로토콜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ID를 갖는 메시지와, 충전기의 충전 준비상태 정보, 충전기의 최대 전송 가능한 전압값, 전류값 및 전력값을 포함하는 상기 제2 ID를 갖는 메시지가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ID를 갖는 메시지는,
    오류 및 오류코드 정보, 경고정보, 충전 모드 정보 및 충전 종료 요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ID를 갖는 메시지는,
    상기 충전기가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안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정보에 근거하여 변경된 값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KR1020100095306A 2010-03-25 2010-09-30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088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6742 2010-03-25
KR1020100026742 2010-03-25
KR20100031903 2010-04-07
KR1020100031903 2010-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724A KR20110107724A (ko) 2011-10-04
KR101088798B1 true KR101088798B1 (ko) 2011-12-01

Family

ID=4502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306A KR101088798B1 (ko) 2010-03-25 2010-09-30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7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4525A (zh) * 2016-08-23 2017-01-04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电动汽车无线充电安全通信方法及系统
KR20240039462A (ko) 2022-09-19 2024-03-26 주식회사 리트빅 Can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차량용 데이터의 분석 및 수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602B1 (ko) * 2011-12-08 201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충전 네트워크장치
KR101792267B1 (ko) * 2012-01-02 2017-11-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Bms와 충전기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차량용 충전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03303B1 (ko) * 2012-06-05 2014-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자동차의 can 버스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can 통신 보안 방법
US9478981B2 (en) 2012-09-26 2016-10-25 Samsung Sdi Co., Ltd. Battery system having identifiers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433478B1 (ko) * 2012-12-17 2014-09-18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슬레이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대한 자동 식별자 설정 방법
KR102464488B1 (ko) * 2013-05-13 2022-11-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배터리의 충전방법, 차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KR102316599B1 (ko) * 2013-05-13 2021-10-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배터리의 충전방법, 차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KR102464489B1 (ko) * 2013-05-13 2022-11-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배터리의 충전방법, 차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KR102464487B1 (ko) * 2013-05-13 2022-11-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배터리의 충전방법, 차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KR101664557B1 (ko) 2014-09-16 2016-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전 차량, 충전 차량의 제어기 동작 방법 및 충전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1706543B1 (ko) * 2016-09-08 2017-02-16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전지용 충전기
KR20180049588A (ko) * 2016-11-03 2018-05-11 칩월드 주식회사 전기이륜차용 배터리 자동 인식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7128204B (zh) * 2017-06-02 2020-07-03 成都雅骏新能源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车充电控制方法及系统
KR102179686B1 (ko) * 2017-11-01 2020-1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Ess 배터리와 파워 관리 장치 사이의 캔 통신 방법
CN114801857A (zh) * 2018-12-14 2022-07-29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换电站内换电电池的工作模式的控制方法及系统
KR20210032616A (ko) 2019-09-16 2021-03-25 (주)아람솔루션 디지털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소형 전기 차량 제어 시스템
KR20210108816A (ko) *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57266B1 (ko) * 2020-02-28 2022-10-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의 정보 공유를 위한 전기 자동차
KR20210156521A (ko) 2020-06-18 2021-12-27 (주)아람솔루션 전장품 정보 통합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기차량 제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4525A (zh) * 2016-08-23 2017-01-04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电动汽车无线充电安全通信方法及系统
KR20240039462A (ko) 2022-09-19 2024-03-26 주식회사 리트빅 Can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차량용 데이터의 분석 및 수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724A (ko) 201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798B1 (ko) Can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방법
CN105391103B (zh) 用于高电压电池充电的非车载充电器
KR101821008B1 (ko)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US100529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deep discharging of auxiliary battery in association with reprogramming of ECU
CN106611970A (zh) 车辆蓄电池充电控制方法及装置
CN105874680A (zh) 用于监视和调节电池组的运行的电池组管理系统和具有这种电池组管理系统的电池组系统
CN109398155B (zh) 一种电池包充电热管理控制方法、相关装置及系统
KR101245540B1 (ko) 주위 전기 자동차를 이용해 방전된 전기 자동차에게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과금 가능 휴대형 장치
KR20130078954A (ko) Bms와 충전기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차량용 충전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102188A (ko) 내장 자동차 통신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972031A1 (en) Charge/discharge device, charge/discharg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200101865A1 (en) Diagnosis device, diagnosis system, diagnosis method, and program
JP2011250617A (ja) 車両用給電ケーブル装置
JP6973263B2 (ja) 車両及び充電システム
JP6469307B2 (ja) 充放電装置
CN106945536B (zh) 用于为电动车辆充电的设备和方法
KR101976818B1 (ko)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1769466B1 (ko) 온도에 따라 충전을 제어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시스템
KR20170052954A (ko) 병렬확장을 위한 배터리 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78066B1 (ko) 배터리 단자 고정 구조의 외부전원이 필요 없는 배터리 관리 장치
JP2023551333A (ja) 電気エネルギー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車両コントローラ、電池管理システム、システム、装置及び媒体
KR102344211B1 (ko) 메인 제어부 이상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320041B1 (ko) 스마트그리드용 전기자동차의 양방향 충방전 방법 및 장치
CN111762058A (zh) 动力电池管理方法、装置和车辆
KR20180016041A (ko) 차량의 충전 과정을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