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369B1 - 위생 좌욕기 - Google Patents

위생 좌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369B1
KR101088369B1 KR1020090070390A KR20090070390A KR101088369B1 KR 101088369 B1 KR101088369 B1 KR 101088369B1 KR 1020090070390 A KR1020090070390 A KR 1020090070390A KR 20090070390 A KR20090070390 A KR 20090070390A KR 101088369 B1 KR101088369 B1 KR 101088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
left bath
vulva
contaminated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606A (ko
Inventor
강현석
Original Assignee
강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석 filed Critical 강현석
Priority to KR1020090070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36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7Genit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욕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 통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좌욕기는 여성 인체 구조 특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의학적인 문제점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 제작된 것이라서, 좌욕을 할 때 많은 여성들이 대장균 등에 오염된 좌욕수(坐浴水)에 외음부가 노출되어 결과적으로 질염과 요도염 그리고 방광염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좌욕 중에는 좌욕수가 이완된 항문을 통해 직장 안으로 들어가거나 직장 안에 있던 변이 항문 밖으로 배출되어서 좌욕수는 항상 대장균을 비롯한 각종 세균에 오염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성의 외음부가 오염된 좌욕수에 잠기지 않도록 좌욕기의 구조를 설계하도록 함으로써, 좌욕 중에도 여성의 비뇨생식기가 오염된 좌욕수 속의 세균에 의해 감염이 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하기 위한 좌욕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좌욕기, 여성좌욕기, 좌욕

Description

위생 좌욕기{health sitz bath bowl}
본 발명은 좌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여성의 외음부 구조를 감안하여 좌욕기에 앉았을 때, 여성의 외음부가 대변으로 오염된 좌욕수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여성의 비뇨생식기 감염의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배제될 수 있게 한 위생 좌욕기에 관한 것이다.
좌욕이란 치질 등으로 인한 항문통증과 출혈을 개선시키거나, 항문이나 회음부 수술 후에 통증을 경감시키고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항문을 비롯한 엉덩이 부위를 따뜻한 물에 일정시간 담그고 앉아 있는, 변형된 형태의 목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좌욕은 항문괄약근을 이완시킴으로써, 근육 경련으로 인한 통증을 경감시키며 항문 부위를 청결히 세척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항문 부위의 질병의 예방 및 (상처의) 치유를 촉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좌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세수 대야 형태의 좌욕기를 좌변기에 얹어 놓고 이 좌욕기 내에 온수를 담은 후 사용하고 있는데, 최근엔 마사지 기능이나 훈증 기능 등 여러 가지 추가 기능을 첨가한 고기능의 특수 좌욕기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 통용되고 있는 좌욕기는 좌욕수를 담는 용기의 구조가 거의 대동소이하게 여성 인체 구조 특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의학적인 문제점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 제작된 것이라서, 좌욕을 할 때 많은 여성들이 대장균 등에 오염된 좌욕수(坐浴水)에 외음부가 노출되어 결과적으로 질염과 요도염 그리고 방광염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좌욕 중에는 좌욕수가 이완된 항문을 통해 직장 안으로 들어가거나 직장 안에 있던 변이 항문 밖으로 배출되어서 좌욕수는 항상 대장균을 비롯한 각종 세균에 오염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좌욕을 하는 여성들이 대장균 등의 세균감염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는 문제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여성의 외음부가 오염된 좌욕수에 접촉되지 않도록 좌욕기의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좌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여성의 비뇨생식기 감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욕기의 전단면을 U자 형태 또는 V 자 형태에 가까운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내측으로 굴곡시킨 형태의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좌욕기에 앉는 자세에서 외음부가 좌욕 영역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동시에 인체 구조의 특징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내측으로 굴곡시킨 부분의 최 내측부의 높이가 좌우측면과 후면의 착석부의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전면의 내측 굴곡부에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좌욕기에, 항문과 외음부가 서로 격리될 수 있도록 좌욕기에 탈 착가능한 차단벽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여성의 외음부가 욕조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외음부와 항문 사이에 차단벽을 형성함에 따라 오랜 좌욕 또는 잦은 좌욕을 하더라도 여성의 비뇨생식기에 대장균이나 기타 세균으로 인해 감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 위생 좌욕조의 구조 및 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담기는 욕조(10)와, 여성의 외음부가 상기 욕조(10) 외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욕조(10)의 상부로 엉덩이면이 접촉되는 좌석부(20)와,
상기 좌석부(20)의 전단부(31)가 내측으로 밀려들어오고, 외측으로 엉덩이면을 좌우 외부에서 감싸는 전단공간부(30)를 형성한 굴곡부(32)와, 상기 욕조(10)의 일 측면에 수위조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위조절공(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좌욕조의 형상을 여성의 신체구조에 적합하게 맞추어주게 됨에 따 라서 좌욕시 여성 외음부가 좌욕조에서 벗어나서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세균 감염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함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전단공간부(30)는 욕조(10)의 상부형상에서 전단부(31)가 굴곡되어, 좌석부(20)에 사용자가 앉았을 때, 여성의 생식기 부분이 욕조(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굴곡부(32)가 좌우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단부(31)의 최 내측(P1) 높이는 인체 구조의 특징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굴곡부(32)의 좌우측면과 좌석부(20)의 후면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즉 전면의 굴곡부(32)로부터 전단부(31)이 최 내측(P1)의 위치로 완만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감지수단(40)은 욕조(10)내의 수온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는 재질로 구성되며, 이때에는 온도에 따라 변화되었다가 온도가 원래의 온도로 돌아가면 색상 또한 원래대로 돌아갈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름형태로 욕조(10) 바닥면에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좌욕기의 욕조(10)에 온수를 담은 후 좌석부(20)에 앉으면 여성의 생식기 부분이 전단부(31)외측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외음부가 욕조(10)에서 벗어나 외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좌욕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좌욕시 여성의 외음부가 대변으로 오염된 좌욕수에 접촉됨 으로써 발생하는 비뇨생식기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외음부와 항문사이를 대해 좌욕수를 분리하기 위하여 욕조내에 차단벽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이 담기는 욕조(100)와, 욕조(100)의 상부로 엉덩이면이 접촉되는 좌석부(200)와, 욕조(100)내에 삽입되어 외음부가 위치하는 좌욕수와 항문 쪽의 좌욕수 양측이 서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욕조(100)내에 삽입 착탈 가능한 태의 착탈식 차단벽(300)과, 차단벽(300)을 욕조(100)내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욕조(100)의 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10)과, 욕조(100)내의 수온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는 온도감지수단(400)과, 욕조(100)내의 수위조절을 위한 수위조절공(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외음부와 항문 사이에 차단벽을 만들어 여성의 외음부가 위치하는 좌욕수가 항문 쪽의 좌욕수에 오염되지 않도록 여성의 비뇨생식기가 대장균 등의 세균 오염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욕조(10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부(200)를 상측으로 구성하며, 내벽으로는 차단벽(300)을 착탈 시킬 수 있는 착탈수단을 구성한다.
착탈수단은 차단벽(300)을 상측으로부터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1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홈(110)의 위치는 사용자가 좌석부(200)에 앉았을 때 외음부위치와 항문의 위치를 감안한 위치로 욕조(100) 내벽에 형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드홈(110)은 욕조(100)의 좌우측 내벽에 형성되며, 더욱 확실한 기능을 위하여 욕조(100)의 바닥면에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차단벽(300)을 욕조(100)내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벽(300)의 형상을 'U'형태로 구성하여, 차단벽의 본연의 기능 외에도 사용자의 사용에 있어서도 편리를 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단벽(300)의 형상을 'U' 형태외에도 'V'형태에 가까운 또는 이에 유사한 형태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욕조(100)내의 좌욕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는 온도감지수단(400)은 욕조(100) 바닥면에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서 차단벽(300)에 의해 좌욕수가 구분될 때 각각의 수온을 확인할 수 있도록 차단벽(300)에 의해 구분되는 전, 후 양측에 각각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의 본 발명 실시 예에서 밝힌 바와 같이, 온수를 욕조(100)에 담고 좌석부(200)에 앉아 좌욕을 하게 된다.
이때, 차단벽(300)을 욕조(100) 내벽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10)에 끼워 밀 착시킨 후 분할된 욕조(100)내에 온수를 담은 후 차단벽(300)이 외음부와 항문 사이에 위치하도록 자세를 조정하여 좌석부(200)에 앉은 후 좌욕을 하게 된다.
여성의 외음부에 생긴 상처 치유를 위해서 좌욕을 하게 되는 경우엔 외음부가 위치할 차단벽(300) 앞쪽에만 좌욕수를 채운 후 좌욕을 할 수도 있으며, 이와 반대로 뒤쪽에만 좌욕수를 채워 좌욕을 할 수 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서 차단벽(300)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서, 욕조(100)의 사용이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위생 좌욕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위생 좌욕기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위생 좌욕기의 다른 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위생 좌욕기의 다른 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벽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

Claims (5)

  1. 욕조(10)와,
    여성의 외음부가 상기 욕조(10) 외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욕조(10)의 상부로 엉덩이면이 접촉되는 좌석부(20)와,
    상기 좌석부(20)의 전단부(31)가 내측으로 밀려들어오고, 외측으로 엉덩이면을 좌우 외부에서 감싸는 전단공간부(30)를 형성한 굴곡부(32)와,
    상기 욕조(10)의 일 측면에 수위조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위조절공(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좌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전면의 상기 굴곡부(32)로부터 전단부(31)의 최 내측(P1)으로 완만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밀려들어오는 상기 전단부(31)의 최 내측(P1) 높이가 상기 굴곡부(32)의 좌우측면과 좌석부(20)의 후면 높이보다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좌욕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70390A 2009-07-31 2009-07-31 위생 좌욕기 KR101088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390A KR101088369B1 (ko) 2009-07-31 2009-07-31 위생 좌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390A KR101088369B1 (ko) 2009-07-31 2009-07-31 위생 좌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606A KR20110012606A (ko) 2011-02-09
KR101088369B1 true KR101088369B1 (ko) 2011-12-02

Family

ID=4377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390A KR101088369B1 (ko) 2009-07-31 2009-07-31 위생 좌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1342A (zh) * 2016-12-07 2017-03-15 杨春蕾 产妇清洗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135B1 (ko) * 2005-10-06 2007-08-14 강윤식 좌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135B1 (ko) * 2005-10-06 2007-08-14 강윤식 좌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606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7700A (en) Lavatory hospital bed
JP2024504343A (ja) 小便器、和式便器および洋式便器
KR101088369B1 (ko) 위생 좌욕기
US2427807A (en) Sitz bath
US3484872A (en) Portable bath unit
JP3670352B2 (ja) 浴用椅子
US3102273A (en) Sitz bath
GB2039565A (en) Lavatory pan and seat
US5960481A (en) Lavatory seat with a hygiene safety guard
KR200431508Y1 (ko) 위생 의자
CN213553645U (zh) 一种预防肛周感染的坐浴盆
CN213250568U (zh) 用于具有排便功能生活用床的托框上的便桶
RU2555691C1 (ru)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ая вставка
JP2006348716A (ja) 大便等も流せるシャワーユニット
CN209847807U (zh) 多功能可移动坐浴椅
KR200220267Y1 (ko) 양변기용 좌판
CN104863235A (zh) 一种卫生间防污水溅射座便器
JPS6132678Y2 (ko)
JP3927588B2 (ja) 浴室汚物処理設備
KR200390319Y1 (ko) 좌욕기
JP3005931U (ja) 洗面槽と下水槽とを単一体に形成した洗面器
KR200175195Y1 (ko) 변기시트 구조
KR200320368Y1 (ko) 좌변기
KR20140001083U (ko) 좌욕기
KR200351199Y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욕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