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998B1 - 포인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포인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998B1
KR101087998B1 KR1020100018498A KR20100018498A KR101087998B1 KR 101087998 B1 KR101087998 B1 KR 101087998B1 KR 1020100018498 A KR1020100018498 A KR 1020100018498A KR 20100018498 A KR20100018498 A KR 20100018498A KR 101087998 B1 KR101087998 B1 KR 101087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screen
point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9461A (ko
Inventor
이병수
신희찬
Original Assignee
(주)실리콘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실리콘화일 filed Critical (주)실리콘화일
Priority to KR1020100018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998B1/ko
Priority to PCT/KR2011/000997 priority patent/WO2011108815A2/ko
Publication of KR20110099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포인팅 제어 장치는, 화면(display)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부(110); 상기 표시 장치부(110)와 신호를 송수신 하고, 상기 화면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 촬영부(120); 상기 영상 촬영부(120)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수신 받아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130); 및 상기 이미지 처리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화면상의 포인터의 위치좌표를 산출하는 포인터 위치 산출부(140)를 제공 함에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포인팅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표시 장치부의 화면 가까이에서 화면 상태를 변경하는 불편함 없이 신속하게 표시 장치부의 화면 상태를 원격 제어 및 원격 포인팅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포인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OINTING CONTROL}
본 발명은 포인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부착한 원격제어 장치를 구비하여 표시 장치부를 원격 제어할 뿐 아니라, 카메라를 통해 화면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변위 벡터량을 산출하여 화면의 포인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포인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해 컴퓨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을 텔레비전, 셋탑 박스, 디스플레이, 게임기 등의 기기에 접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를 테면, 일정 거리를 두고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시청자가 스크린 조작을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텔레비전 화면상에서 커서(cursor)의 움직임을 통해텔레비전 모니터와 상호작용이 가능케 하는 기술이 요청되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사용자가 텔레비전 화면상의 메뉴들을 선택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의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사용자가 스크린에 가까이 가서 스크린을 직접 접촉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포인팅(pointing) 장치는 컴퓨터 입력수단의 하나로서 그래픽 이용자 인터페이스(GUI) 환경에서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마우스와 같이 컴퓨터 모니터의 화면상에서 포인터(pointer)를 움직이면서 포인터의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그에 해당하는 선택메뉴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를 총칭한다.
한편 종래 기술은 화면상의 포인터의 위치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 포인팅 제어 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은 TV, 프로젝터(projector) 등의 기기가 컴퓨터와 통합된 형태를 갖는 경우 사용자가 상당히 먼 거리와 넓은 방위를 갖는 위치에 있더라도 이에 구애됨이 없이 원격에서 작동할 수 있는 마우스 기능을 갖는 리모콘(remote control)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표시 장치부의 화면 상태에 대하여 원격제어 및 원격 포인팅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포인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제어 장치는, 화면(display)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부(110); 상기 표시 장치부(110)와 신호를 송수신 하고, 상기 화면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 촬영부(120); 상기 영상 촬영부(120)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수신 받아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130); 및 상기 이미지 처리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화면상의 포인터의 위치좌표를 산출하는 포인터 위치 산출부(140)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제어 방법은,
(a) 영상 촬영부(120)에 의해 표시 장치부(110)의 화면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영상 처리부(130)에서 수신 받아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 (c) 포인터 위치 산출부(140)에 의해 상기 보정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컬러패턴의 중심점이 이동된 변위량을 산출하는 단계; (d) 산출된 변위량에 대한 데이터를 본체의 제어부에 송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본체의 제어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변위량에 대한 데이터 정보에 따라 화면상의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표시 장치부의 화면 가까이에서 화면 상태를 변경하는 불편함 없이 신속하게 표시 장치부의 화면 상태를 원격 제어 및 원격 포인팅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메라를 구비한 원격제어 장치에 의한 포인팅 제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된 표시 장치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된 영상 촬영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컬러패턴을 이용하여 포인터의 변위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컬러패턴을 이용하여 얻은 포인터의 변위량을 평면 좌표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카메라를 구비한 원격제어 장치에 의한 포인팅 제어 방법을 순서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메라를 구비한 원격제어 장치에 의한 포인팅 제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메라를 구비한 원격제어 장치에 의한 포인팅 제어 장치(100)는 표시 장치부(110), 영상 촬영부(120), 영상 처리부(130) 및 포인터 위치 산출부(140)를 포함한다.
이하 도2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포인팅 제어 장치(100)를 구성하는 상기 각각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된 표시 장치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 장치부(110)는 화면(display)에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컴퓨터의 모니터 뿐 아니라 프로젝터, TV, 비디오 등의 화면(display)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부(110)는 적외선 수신부(Infrared receiver, 111) 및 화면의 사각 테두리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의 컬러패턴(113, 114, 115, 116)을 구비한다.
적외선 수신부(111)는 화면(display)의 아랫부분에 위치하며, 리모콘(remote control)을 이용한 원격제어 장치에서 발송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내지 제4의 컬러패턴(113, 114, 115, 116)은 각각 화면의 상하좌우에 대칭의 형상으로 형성하며, 촬영된 이미지 영상이 기준 중심으로부터 얼마나 변위(displacement) 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컬러패턴은 기역자(ㄱ) 형상에 대해 실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변형실시 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기준 중심점의 이탈된 변위를 용이하게 처리하기 위해 흑백의 패턴보다는 색깔(color)을 갖는 패턴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의 주변 경계에 어떤 모양을 형성하지 않고, 화면 자체 이를 테면, 화면의 네 모서리의 꼭지점을 이용하여 패턴 인식하고, 인식된 패턴을 통해 상대적인 위치 계산을 하도록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된 영상 촬영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사용된 영상 촬영부(120)는 원격제어장치(120a)에 카메라(120b)를 부착한 구조를 가지므로 표시장치의 화면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이미지를 원격으로 송신할 수 있다.
카메라(120b)는 CMOS(Compli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s)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며, 표시 장치부(110)의 제1 내지 제4의 컬러패턴(113, 114, 115, 116)이 포함된 화면(display)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부(130)에게 송신 한다.
원격제어장치(120a)는 TV, 비디오 등에 사용되는 리모콘(remote controller) 처럼 적외선 LED(121)를 구비하여 적외선 신호를 표시 장치부(110)에게 송신하며, 다수의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 버튼부(123)를 구비하여 표시장치부(110)에 표시되는 화면의 상태를 제어한다.
영상 처리부(130)는 영상 촬영부(120)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수신 받아 이미지 처리 기법을 사용하여 목표물의 외형적 상태, 변위, 색, 크기 등의 유효한 영상정보를 추출해 내는 이미지 보정을 행한다.
본 발명의 이미지 보정 방법은 각각의 화소에 대하여 히스토그램(histogram)을 생성하고 생성된 히스토그램(histogram) 분포를 이용하여 이진 영상을 처리하는 히스토그램(histogram) 기법을 사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기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포인터 위치 산출부(140)는 영상 처리부(130)에서 보정한 이미지를 수신하여 표시장치의 포인터 위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하기 도 4a,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컬러패턴을 이용하여 포인터의 변위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중심(C)은 제1 내지 제4의 컬러패턴(113, 114, 115, 116)이 형성하는 사각형에서의 기준 중심점을 나타낸 것이며, 제2 중심(C')은 영상 촬영부(120)에서 화면까지의 거리 및 촬영 당시 영상 촬영부(120)의 위치 변동으로 인해 변위된 이미지의 중심점을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컬러패턴을 이용하여 얻은 포인터의 변위량을 평면 좌표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2차원 평면 좌표의 중심(O)을 기준으로 제1 중심(C)에서 제2 중심(C')으로 이탈된 변위 벡터(D)는 아래의 [수학식1]로 표기 된다.
[수학식1]
D = OC' - OC
도 5는 본 발명의 카메라를 구비한 원격제어 장치에 의한 포인팅 제어 방법을 순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메라를 구비한 원격제어 장치에 의한 포인팅 제어 방법은 하기의 제1단계(S10) 내지 제5단계(S50)를 수행한다.
제1단계(S10)는 영상 촬영부(120)에 의해 표시 장치부(110)의 화면을 촬영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즉, 영상 촬영부(120)에 부착된 카메라(120b)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부(110)의 제1 내지 제4의 컬러패턴(113, 114, 115, 116)이 포함된 화면(display)을 촬영한다.
제2단계(S20)는 촬영된 이미지를 영상 처리부(130)에서 수신 받아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를 갖는다.
즉, 영상 처리부(130)는 영상 촬영부(120)에서 촬영한 표시 장치부(110)의 화면에 대한 이미지를 통상의 히스토그램(histogram) 기법 등의 이미지 처리 기법을 사용하여 이미지 보정을 행한다.
제3단계(S30)는 포인터 위치 산출부(140)에 의해 상기 보정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컬러패턴의 중심점이 이동된 변위량을 산출한다.
즉, 제1 내지 제4의 컬러패턴(113, 114, 115, 116)에 대하여 변위 이탈이 없는 상태에서 촬영한 기준 이미지에 대한 제1 중심(C) 및 영상 촬영부(120)에서 화면까지의 거리 및 촬영 당시 영상 촬영부(120)의 위치 변동으로 인해 변위된 이미지에 대한 제2 중심(C')에 대한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제1 중심(C)과 제2 중심(C') 사이의 변위량을 계산한다.
제4단계(S40)는 산출된 변위량에 대한 데이터를 본체의 제어부에 송신한다.
즉, 원격제어장치(120a)는 저렴한 가격의 적외선 LED(121) 또는 고속전송, 동영상 전송을 위한 Bluetooth, IEEE802.11g를 구비하여 상기 제3단계(S30)에서 산출된 변위량에 대한 데이터를 본체의 제어부에 송신한다.
본체의 제어부는 이를 테면 컴퓨터에서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rcoprocessor)를 사용한다.
제5단계(S50)는 본체의 제어부에 의해 수신된 변위량에 대한 데이터 정보에 따라 화면상의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한다.
포인터의 위치 제어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및 프로그램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포인터를 클릭(click) 하는 동작이 포함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표시 장치부(110)
영상 촬영부(120)
영상 처리부(130)
포인터 위치 산출부(140)

Claims (15)

  1.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부;
    상기 표시 장치부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화면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 촬영부;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수신 받아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이미지 처리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화면상의 포인터(pointer)의 위치좌표를 산출하는 포인터 위치 산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표시 장치부는,
    외부에서 발송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Infrared receiver)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기준 중심으로부터 변위된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복수의 컬러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컬러패턴은,
    상기 화면의 사각 테두리에 기역자(ㄱ)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카메라가 부착된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제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CMOS(Compli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s)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제어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부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적외선 LED 및 상기 화면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 버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제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를 히스토그램(histogram) 기법을 사용하여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제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위치 산출부는,
    상기 화면의 사각 테두리에 각각 형성된 제1 내지 제4의 컬러패턴의 기준 중심점인 제1 중심 및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화면까지의 거리와 촬영 당시 상기 영상 촬영부의 위치 변동으로 인해 변위된 이미지의 중심점인 제2 중심에 대한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중심과 상기 제2 중심 사이의 변위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제어 장치.
  10. (a) 영상 촬영부에 의해 표시 장치부의 화면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영상 처리부에서 수신 받아 히스토그램 기법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
    (c) 포인터 위치 산출부에 의해 상기 보정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기역자(ㄱ) 형상으로 상기 화면의 사각 테두리에 각각 형성된 컬러패턴의 중심점이 이동된 변위량을 산출하는 단계;
    (d) 산출된 변위량에 대한 데이터를 본체의 제어부에 송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본체의 제어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변위량에 대한 데이터 정보에 따라 화면상의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본체의 제어부와의 송신은,
    원격제어장치에 적외선 LED, Bluetooth 또는 IEEE802.11g를 구비하여 원격 무선 송신을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제어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d) 단계의 본체의 제어부는,
    컴퓨터에서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rco processor)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제어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포인터의 위치 제어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및 프로그램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포인터를 클릭(click)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제어 방법.
KR1020100018498A 2010-03-02 2010-03-02 포인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087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498A KR101087998B1 (ko) 2010-03-02 2010-03-02 포인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PCT/KR2011/000997 WO2011108815A2 (ko) 2010-03-02 2011-02-16 포인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498A KR101087998B1 (ko) 2010-03-02 2010-03-02 포인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461A KR20110099461A (ko) 2011-09-08
KR101087998B1 true KR101087998B1 (ko) 2011-12-01

Family

ID=4454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498A KR101087998B1 (ko) 2010-03-02 2010-03-02 포인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87998B1 (ko)
WO (1) WO201110881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925B1 (ko) * 2012-02-28 2013-10-16 주식회사 케이쓰리아이 증강화면에서의 사용자 손끝 인식을 이용한 서버기반 원본 객체 추출시스템
KR101856255B1 (ko) * 2012-12-10 2018-05-09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80840B1 (ko) * 2013-04-23 2013-07-02 (주)유한프리젠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스크린상에서 레이저 포인트 위치 좌표 인식 방법
US9910507B2 (en) 2013-10-02 2018-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pointing method for same
WO2015050380A1 (ko) * 2013-10-02 2015-04-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 표시 장치 및 그의 포인팅 방법
KR101515986B1 (ko) * 2014-02-21 2015-05-04 주식회사 아이에스엘코리아 적외선 광원을 이용한 모바일 장치에서의 가상 좌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05B1 (ko) * 2004-11-10 2007-11-09 주식회사 포인칩스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원격 포인팅 장치 및 방법
KR100856573B1 (ko) * 2006-12-27 2008-09-04 주식회사 엠씨넥스 원격 포인팅 장치와 그 장치에서의 포인터 이동량 산출방법
KR100858138B1 (ko) * 2007-02-05 2008-09-1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KR20100082171A (ko) * 2009-01-08 2010-07-16 (주)유플로우 스크린 원격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08815A3 (ko) 2012-01-12
WO2011108815A2 (ko) 2011-09-09
KR20110099461A (ko) 201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887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087998B1 (ko) 포인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US92187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4725383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外部情報処理装置、指示位置特定装置、及び指示位置特定方法
JP556072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TW200829007A (en) Cursor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N110456829B (zh) 定位跟踪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201305854A (zh) 無線遙控影像顯示系統與用於其中的控制器及處理方法
CN101472095A (zh) 光标控制方法及使用该方法的装置
US1063812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stereoscopic image calibration
CN112351325B (zh) 基于手势的显示终端控制方法、终端和可读存储介质
US9459695B2 (en) Gestur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KR101888681B1 (ko) 모바일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20178248A (ja) 投影制御装置、投影制御方法、投影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憶媒体
CN104519387A (zh) 一种实现电视遥控的方法、遥控器以及系统
JP2007193403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ポインタ指示位置制御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24029047A (ja) ディスプレイ検出装置、そのため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媒体
JP644752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271371A1 (en) Accurate extended poin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500225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in portable terminal
WO2018195973A1 (zh) 利用手持终端进行光标定位的方法、手持终端和电子设备
KR101805922B1 (ko) 포인터 이동 값 보정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3d 포인팅 디바이스
TW201346650A (zh) 游標控制系統
CN102289328A (zh) 一种基于手持摄像头的人机交互方法及装置
KR101056388B1 (ko) 포인팅/인터페이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