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166B1 -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166B1
KR101087166B1 KR1020100129157A KR20100129157A KR101087166B1 KR 101087166 B1 KR101087166 B1 KR 101087166B1 KR 1020100129157 A KR1020100129157 A KR 1020100129157A KR 20100129157 A KR20100129157 A KR 20100129157A KR 101087166 B1 KR101087166 B1 KR 101087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server
app
authoring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봉
손용식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웍스 filed Critical (주)케이엠웍스
Priority to KR1020100129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mobile advertising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관리자(administrator)가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를 통해 스마트폰 앱(app)을 직접 구현하고 업데이트함으로써, 다양한 변화를 수용하며 위치기반 지역정보를 표출할 수 있는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smart app platform) 시스템은 관리자(administrator)로부터 맵(map) 상의 임의의 지역이 지정된 존(zone)을 생성하도록 요청받는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와,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부터 발생된 존(zone) 생성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존(zone)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와 연동하여 존(zone) 정보를 제공하는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부터 상기 존(zone) 정보를 포함하는 다중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는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의 존(zone) 생성 신호에 의해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존(zone)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SMART APP PLATFORM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존(zone) 및 타임(time) 기반의 정보를 구현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는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를 위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플랫폼을 제공하는 운영체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휴대전화로, 전자 우편, 인터넷, 전자책 읽기 기능, 내장형 키보드나 외장 USB 키보드, VGA 단자를 갖춘 고급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전화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은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 있으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 활용의 핵심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있는데,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는 게임, e북, 음악, 동영상 등 사용자들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콘텐츠를 쉽게 다운로드받게 해주는 서비스로 애플의 '앱스토어' 출시 이후 활성화되었고, 노키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에 이어 통신사업자, 인터넷 포털과 모바일 소프트웨어 개발기업들도 사업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에서 볼 수 있는 운영 체제는 단말기별로 개별적으로 개발되었는데, 심비안 OS, 구글 안드로이드, iOS, 블랙베리 OS, 윈도 폰 7, 팜 웹OS, 삼성 바다, 미고, 리모 등이 그 구체적인 예이다.
이처럼, 종래에는 운영 체제가 단말 OS별로 개별적으로 개발됨으로써, 개별 개발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고, 개발 기간에 장시간이 걸리며, 경쟁대응이 어려워 확장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도, 대상 찾기 위주의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다양한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고, 이벤트 연계가 부족하여 다양성 부재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관리자(administrator)가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를 통해 스마트폰 앱(app)을 직접 구현하고 업데이트함으로써, 다양한 변화를 수용하며 위치기반 지역정보를 표출할 수 있는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smart app platform) 시스템은 관리자(administrator)로부터 맵(map) 상의 임의의 지역이 지정된 존(zone)을 생성하도록 요청받는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와,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부터 발생된 존(zone) 생성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존(zone)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와 연동하여 존(zone) 정보를 제공하는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부터 상기 존(zone) 정보를 포함하는 다중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는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의 존(zone) 생성 신호에 의해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존(zone)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가 상기 관리자(administrator)로부터 기 생성된 존(zone)을 수정하도록 요청받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는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부터 발생된 존(zone) 수정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존(zone)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존(zone)은 맵(map) 상의 임의의 지역이 폴리곤(polygon) 형태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존(zone)과 연관된 특정 지역의 광고(advertisement)인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를 생성하는 광고 서버(advertisement ser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가 상기 관리자(administrator)로부터 상기 존(zone)과 연관된 광고(advertisement)를 생성하도록 요청받는 경우, 상기 광고 서버(advertisement server)는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부터 발생된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 생성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를 경유하여 전달받아 상기 존(zone)과 연관된 광고(advertisement)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는 특정 위치의 특정 시간과 관련된 광고(advertisement)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존(zone)과 연관된 특정 지역의 토픽(topic)인 브로드토픽(broadtopic)을 생성하는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가 상기 관리자(administrator)로부터 상기 존(zone)과 연관된 브로드토픽(broadtopic)을 생성하도록 요청받는 경우, 상기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는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부터 발생된 브로드토픽(broadtopic) 생성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를 경유하여 전달받아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검색된 존(zone)과 연관된 브로드토픽(broadtopic)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는 기 생성된 브로드토픽(broadtopic)과 관련된 메시지인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가 상기 관리자(administrator)로부터 상기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등록하도록 요청받는 경우, 상기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는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부터 발생된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 등록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를 경유하여 전달받아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검색된 존(zone)과 연관된 신규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생성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기 다운로드된 앱(app) 내에서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앱(app)을 변경시키는 앱 인 앱(app in app) 구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 인 앱(app in app) 구성 모듈은 하나의 앱(app) 내에 복수의 앱을 구성시키거나, 시간, 장소 또는 이벤트 시점에 따라 상기 앱(app)을 전혀 다르게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에 의하면, 관리자(administrator)가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를 통해 스마트폰 앱(app)을 직접 구현하고 업데이트함으로써, 다양한 변화를 수용하며 위치기반 지역정보를 표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제 1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존(zone) 생성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제 2구성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 생성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5는 도 3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 디스플레이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제 3구성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브로드토픽(broadtopic) 생성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8은 도 6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 등록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9는 도 6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 디스플레이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존(zone)을 나타내는 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를 나타내는 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제 1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100)와,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200)와,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300) 및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100)는 관리자(administrator)가 컴퓨터(PC)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는 어쏘링 웹으로, 관리자(administrator)로부터 맵(map) 상의 임의의 지역을 지정한 존(zone)을 생성하도록 요청받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존(zone)을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서, 상기 존(zone)은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에서 폴리곤(polygon), 즉, 세 개 이상의 좌표점으로 구성된 닫힌 평면도형 데이터모델을 이용한 지역 또는 위치를 정확히 지정 및 지칭하는 Geo-Referencing 체계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맵 상의 임의의 지역을 지정 및 명명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n개의 좌표노드 평면도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200)는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100)로부터 발생된 존(zone) 생성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존(zone)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3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200)와 연동하여 존(zone)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200)는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100)의 존(zone) 생성 신호에 의해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하여 상기 존(zone)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존(zone) 생성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administrator)가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 상에서 존(zone)의 생성을 요청(1)하는 경우,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로 상기 존(zone)의 생성을 요청(2)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가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3,4)하여 존(zone)을 생성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에서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 생성된 존(zone)을 리턴(5)한 후,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 상에서 관리자(administrator)에게 생성된 존(zone)을 디스플레이(6)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100)가 상기 관리자(administrator)로부터 기 생성된 존(zone)을 수정하도록 요청받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200)는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100)로부터 발생된 존(zone) 수정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하여 상기 존(zone)을 수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administrator)가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 상에서 기 생성된 존(zone)의 수정을 요청(1)하는 경우,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로 상기 존(zone)의 수정을 요청(2)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가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3,4)하여 상기 존(zone)을 수정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에서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 수정된 존(zone)을 리턴(5)한 후,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 상에서 관리자(administrator)에게 수정된 존(zone)을 디스플레이(6)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40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100)로부터 상기 존(zone) 정보를 포함하는 다중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제 2구성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서버(advertisement server,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서버(advertisement server,500)는 상기 존(zone)과 연관된 특정 지역의 광고(advertisement)인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존(zone)과 광고(advertisement)를 결합한 특정 지역의 광고(advertisement)로, 상기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는 특정 위치의 특정 시간과 관련된 광고(advertisement)일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는 Zone 개념과 Time 개념을 결합하여 위치 및 시간에 결부하여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에 의해, 예를 들면, 00백화점 홍보팀의 A대리는 신규 브랜드 입점과 입점기념 세일을 알리는 광고를 Smart App Platform을 사용하여 00백화점 반경 3km에 광고를 등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00백화점 앞을 지나던 B양은 무심코 스마트폰을 사용하던 중 평소 좋아하던 브랜드의 입점기념 세일 광고를 확인하고 00백화점으로 향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의 생성 과정과 관련하여,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100)가 상기 관리자(administrator)로부터 상기 존(zone)과 연관된 광고(advertisement)를 생성하도록 요청받는 경우, 상기 광고 서버(advertisement server,500)는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100)로부터 발생된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 생성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200)를 경유하여 전달받아 상기 존(zone)과 연관된 광고(advertisement)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 생성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administrator)가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 상에서 상기 존(zone)과 연관된 광고(advertisement)의 생성을 요청(1)하는 경우,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로 상기 존(zone)과 연관된 광고(advertisement)의 생성을 요청(2)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가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3,4)하여 존(zone)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에서 광고 서버(advertisement server)로 검색된 존(zone) 정보와 연관된 광고(advertisement)의 생성을 요청(5)한 후, 상기 광고 서버(advertisement server)에서 상기 존(zone)과 연관된 광고(advertisement)인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광고 서버(advertisement server)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로 상기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를 리턴(6)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에서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 상기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를 리턴(7)한 후,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 상에서 관리자(administrator)에게 상기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를 디스플레이(8)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 디스플레이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한편, 상기 단말기(400)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를 하기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GPS 수신기에 의해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검색(1)한 후, 상기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로 상기 위치 기반 광고(advertisement)를 요청(2)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는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3,4)하여 존(zone)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에서 광고 서버(advertisement server)로 검색된 존(zone)과 연관된 광고(advertisement)를 요청(5)하는 경우, 상기 광고 서버(advertisement server)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로 광고(advertisement) 리스트를 리턴(6)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에서 단말기로 상기 위치 기반 광고(advertisement)를 리턴(7)하여, 상기 단말기 상에서 상기 위치 기반 광고(advertisement)를 디스플레이(8)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제 3구성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600)는 상기 존(zone)과 연관된 특정 지역의 토픽(topic)인 브로드토픽(broadtopic)을 생성할 수 있고, 기 생성된 브로드토픽(broadtopic)과 관련된 메시지인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등록할 수 있다.
즉, 상기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600)는 상기 존(zone)과 토픽(topic)을 결합하여 특정 지역의 토픽(topic)을 형성한 후, 상기 특정 지역의 토픽(topic)과 관련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중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지역의 주요 관심거리에 관한 메시지를 중계함으로써, 예를 들면, 00대형마트 00팀의 A는 무작의 일별 시간별로 진행되는 할인행사 정보를 Smart App Platform을 이용하여 행사 시작 전에 마트 반경 10km 내에 실시간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00동에 사는 주부 B는 매시간 업데이트되는 00대형마트 실시간 중계 메시지를 확인하여 마침 구매하려던 물건이 행사중임을 알고 00마트로 향할 수 있다.
상기 브로드토픽(broadtopic)의 생성 과정과 관련하여,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100)가 상기 관리자(administrator)로부터 상기 존(zone)과 연관된 브로드토픽(broadtopic)을 생성하도록 요청받는 경우, 상기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600)는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100)로부터 발생된 브로드토픽(broadtopic) 생성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200)를 경유하여 전달받아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하여 검색된 존(zone)과 연관된 브로드토픽(broadtopic)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브로드토픽(broadtopic) 생성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administrator)가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 상에서 상기 존(zone)과 연관된 브로드토픽(broadtopic)의 생성을 요청(1)하는 경우,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로 상기 존(zone)과 연관된 브로드토픽(broadtopic)의 생성을 요청(2)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에서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로 상기 존(zone)과 연관된 브로드토픽(broadtopic)의 생성을 요청(3)하고, 상기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가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4,5)하여 상기 존(zone) 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된 존(zone)과 연관된 브로드토픽(broadtopic)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로 상기 브로드토픽(broadtopic)를 리턴(6)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에서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 상기 브로드토픽(broadtopic)을 리턴(7)하여,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 상에서 관리자(administrator)에게 상기 브로드토픽(broadtopic)를 디스플레이(8)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100)가 상기 관리자(administrator)로부터 상기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등록하도록 요청받는 경우, 상기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600)는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100)로부터 발생된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 등록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200)를 경유하여 전달받아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하여 검색된 존(zone)과 연관된 신규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생성하여 등록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 등록 공정의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administrator)가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 상에서 상기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의 등록을 요청(1)하는 경우,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로 상기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의 등록을 요청(2)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에서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로 상기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의 등록을 요청(3)하고, 상기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가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4,5)하여 상기 존(zone) 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된 존(zone)과 연관된 신규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생성하여 등록(6)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로 상기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리턴(7)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에서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 상기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리턴(8)하여,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 상에서 관리자(administrator)에게 상기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디스플레이(9)할 수 있다.
도 9는 도 6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의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 디스플레이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한편, 상기 단말기(400)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실시간 메시지 중계(real-time message broadcasting)를 하기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GPS 수신기에 의해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검색(1)한 후, 상기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로 상기 존(zone)과 연관된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요청(2)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는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3,4)하여 존(zone)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에서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로 검색된 존(zone)과 연관된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요청(5)하는 경우, 상기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로 상기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리턴(6)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에서 단말기로 상기 위치 기반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리턴(7)하여, 상기 단말기 상에서 상기 위치 기반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400)는 기 다운로드된 앱(app) 내에서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앱(app)을 변경시키는 앱 인 앱(app in app) 구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앱 인 앱(app in app) 구성 모듈은 하나의 앱(app) 내에 복수의 앱을 구성시키거나, 시간, 장소 또는 이벤트 시점에 따라 상기 앱(app)을 전혀 다르게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앱 인 앱(app in app) 구성 모듈은 사용자가 초기에 다운로드받은 하나의 앱(app) 속에서 사용자 및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서 앱(app)을 변경하되, 시간, 장소 및 이벤트 시점에 따라서 언제든지 전혀 다른 앱(app)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smart app platform)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에 기 다운로드된 앱(app)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이벤트를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이벤트 맵(event map) 구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벤트 맵(event map) 구성 모듈은 단말기의 메인 메뉴에서 사용자가 이벤트 맵 메뉴를 클릭하는 경우 이벤트 맵과 연결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이벤트 제목 및 이벤트 기간이 명시되되 현재 시간에서만 유효한 이벤트가 상기 리스트로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의 이벤트 선택에 따라 이벤트 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맵(event map) 구성 모듈은 상기 이벤트 존의 해당 이벤트 팝업창에서 사용자가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벤트 존의 쿠폰 이벤트 팝업창에서 쿠폰을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벤트 존의 해당 이벤트 팝업창에서 해당 URL로 연결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맵(event map) 구성 모듈은 멀티존 기능이 가능한데, 멀티존 기능은 예를 들어, 동일 상호를 쓰는 같은 영업점(예, 전국적 또는 지역적으로 여러 영업점을 가진 특정 마트, 특정 대리점, 특정 백화점 등)이나 일정 지역(예, 한옥촌, 우범지대, 쇼핑가 등)을 모두 특정하려고 하는 경우 이와 관련된 위치 DB상에서 특정하려는 지역 모두 지정이 가능토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더불어, 상기 이벤트 맵(event map) 구성 모듈은 존 설정을 하지 않은 이벤트 선택시 이벤트 제목과 함께 현재 위치가 나타난 맵 화면 위에 경고창을 띄운 후 현 위치가 나타난 맵 화면 위에 해당 이벤트의 팝업창을 띄울 수 있고, 복수의 존에서 실시하는 이벤트 선택시 이벤트 제목과 함께 현재 위치가 나타난 맵 화면 위에 경고창을 띄운 후 해당 존이 모두 디스플레이되도록 자동으로 맵 줌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smart app platform) 시스템은 복수의 앱(app)끼리 연결되어 기 다운로드된 앱(app)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타 앱(app)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타 앱(app)을 호출하여 해당 앱(app)을 디스플레이하는 앱(app) 네트워크 구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앱(app) 네트워크 구성 모듈은 단말기 앱(app) 간의 상호 마케팅 채널을 제휴하거나 공유하도록 제반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일 단말기의 앱(app)과 타 단말기의 앱(app)을 마케팅 쉐어링(Marketing Sharing)하여 광역 마케팅 채널을 형성하여 공유된 이벤트/광고를 클릭하는 경우 연결된 앱(app)으로 이동하여 앱(app)간 연계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앱(app) 네트워크 구성 모듈은 앱(app) 내의 광고, 실시간 메시지 중계, 앱(app) 호출 등 마케팅 기능을 타 앱(app)들이 설정한 내용을 표출하여 공여할 수 있고, 타 앱(app)에 공여하는 경우 제공 앱(app)에 공덕 포인트가 쌓이며, 상기 공덕 포인트는 이후 타 앱(app)의 마케팅 기능의 사용권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에 의하면 관리자(administrator)가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를 통해 스마트폰 앱(app)을 직접 구현하고 업데이트함으로써, 다양한 변화를 수용하며 위치기반 지역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
200: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300: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
400:단말기
500:광고 서버(advertisement server)
600: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

Claims (12)

  1. 관리자(administrator)로부터 맵(map) 상의 임의의 지역이 지정된 존(zone)을 생성하도록 요청받는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부터 발생된 존(zone) 생성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존(zone)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와 연동하여 존(zone) 정보를 제공하는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부터 상기 존(zone) 정보를 포함하는 다중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
    상기 존(zone)과 연관된 특정 지역 및 상기 특정 지역 내의 특정 위치의 특정 시간과 관련된 광고(advertisement)로서, 상기 존(zone) 개념과 시간(Time) 개념을 결합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서 시간대에 따라 연관된 광고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를 생성하는 광고 서버(advertisement server); 및
    상기 존(zone)과 상기 존(zone)에 연관된 특정 지역의 토픽(topic)을 결합하여 브로드토픽(broadtopic)을 생성하고, 기 생성된 브로드토픽(broadtopic)과 관련된 메시지인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등록하는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는,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의 존(zone) 생성 신호에 의해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존(zone)을 생성하며,
    상기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는, 상기 특정 지역의 토픽(topic)과 관련된 메시지인 상기 브로드토픽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중계하고,
    상기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는, 상기 브로드토픽 메시지를 매시간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앱 플랫폼(smart app platform)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가 상기 관리자(administrator)로부터 기 생성된 존(zone)을 수정하도록 요청받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는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부터 발생된 존(zone) 수정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존(zone)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앱 플랫폼(smart app platform)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존(zone)은 맵(map) 상의 임의의 지역이 폴리곤(polygon) 형태로 지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앱 플랫폼(smart app platform)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가 상기 관리자(administrator)로부터 상기 존(zone)과 연관된 광고(advertisement)를 생성하도록 요청받는 경우,
    상기 광고 서버(advertisement server)는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부터 발생된 위치 기반 광고(location based advertisement) 생성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를 경유하여 전달받아 상기 존(zone)과 연관된 광고(advertisement)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앱 플랫폼(smart app platform)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가 상기 관리자(administrator)로부터 상기 존(zone)과 연관된 브로드토픽(broadtopic)을 생성하도록 요청받는 경우,
    상기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는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부터 발생된 브로드토픽(broadtopic) 생성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를 경유하여 전달받아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검색된 존(zone)과 연관된 브로드토픽(broadtopic)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앱 플랫폼(smart app platform) 시스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가 상기 관리자(administrator)로부터 상기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등록하도록 요청받는 경우,
    상기 브로드토픽 서버(broadtopic server)는 상기 어쏘링 서버(authoring server)로부터 발생된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 등록 신호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를 경유하여 전달받아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검색된 존(zone)과 연관된 신규 브로드토픽 메시지(broadtopic message)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앱 플랫폼(smart app platform)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기 다운로드된 앱(app) 내에서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앱(app)을 변경시키는 앱 인 앱(app in app) 구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앱 플랫폼(smart app platform)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앱 인 앱(app in app) 구성 모듈은 하나의 앱(app) 내에 복수의 앱을 구성시키거나, 시간, 장소 또는 이벤트 시점에 따라 상기 앱(app)을 전혀 다르게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앱 플랫폼(smart app platform) 시스템.
KR1020100129157A 2010-12-16 2010-12-16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 KR101087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157A KR101087166B1 (ko) 2010-12-16 2010-12-16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157A KR101087166B1 (ko) 2010-12-16 2010-12-16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7166B1 true KR101087166B1 (ko) 2011-11-25

Family

ID=45398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157A KR101087166B1 (ko) 2010-12-16 2010-12-16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1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104B1 (ko) * 2012-06-01 2014-07-08 (주) 엠티콤 멀티광고 플랫폼을 이용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홍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5112B1 (ko) * 2012-09-06 2015-01-23 안정희 추천 보상 방법 및 추천 보상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9609A1 (en) 2008-08-25 2010-02-25 Microsoft Corporation Geographically targeted advertising
US20100281475A1 (en) * 2009-05-04 2010-11-04 Mobile On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smartphone application development and deliv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9609A1 (en) 2008-08-25 2010-02-25 Microsoft Corporation Geographically targeted advertising
US20100281475A1 (en) * 2009-05-04 2010-11-04 Mobile On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smartphone application development and delive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104B1 (ko) * 2012-06-01 2014-07-08 (주) 엠티콤 멀티광고 플랫폼을 이용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홍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5112B1 (ko) * 2012-09-06 2015-01-23 안정희 추천 보상 방법 및 추천 보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72780B (zh) 域间通信
CN101755282B (zh) 用于提供地图的域间通信的方法和系统
US84576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etching location-based data while maintaining user privacy
US9702706B2 (en) Facility wayfinding system
CN101809980B (zh) 内容发布系统和方法
US201203107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erspective display of advertisements using sensor data
US201303322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based advertisements for dynamic points of interest
CN104221403A (zh) 基于位置的应用推荐
US9813861B2 (en) Media device that uses geolocated hotspots to deliver content data on a hyper-local basis
CN103425655A (zh) 基于位置服务的场馆信息搜索方法和装置
JP2012018457A (ja) サイネージディスプレイ表示情報提供装置、サイネージディスプレイ表示情報提供方法、およびサイネージディスプレイ表示情報提供用プログラム
CN111372192B (zh) 信息推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13021691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端末の情報取得方法および装置
KR101564700B1 (ko) 부동산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80041862A (ko) 위치정보에 기반한 정보제공시스템
KR101087166B1 (ko) 스마트 앱 플랫폼 시스템
JP6127581B2 (ja) 情報管理サーバ、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方法
GB2358497A (en) Personalised shopping and information portal
KR101126627B1 (ko) 스마트 앱 플랫폼 구성 방법
Fatema et al. A privacy protected platform to aggrandize micro-business
Hsiao et al. Intelligent bus information service with the support of mobile social community on the Internet
KR20140021122A (ko) 메시징 서비스 앱과 연동된 모바일 광고 시스템 및 방법
JP2015184776A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プログラ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配信システム
JP2011192180A (ja) 情報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20190004389A (ko) 위치기반 광고를 통한 무료 와이파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