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081B1 -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081B1
KR101087081B1 KR1020040008013A KR20040008013A KR101087081B1 KR 101087081 B1 KR101087081 B1 KR 101087081B1 KR 1020040008013 A KR1020040008013 A KR 1020040008013A KR 20040008013 A KR20040008013 A KR 20040008013A KR 101087081 B1 KR101087081 B1 KR 101087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location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527A (ko
Inventor
정준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8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08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GPS 칩셋에 의한 위치 측위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전송 받아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유선 네트워크를 위한 유선 통신 프로토콜간의 상호 변경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게이트웨이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측위 데이터를 전달받아 GPS 위치 측위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장비와,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행된 위치 측정 장비의 위치 측위 결과가 가입자 및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위치 이력 데이터베이스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위치 이력 요청에 따라 위치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가입자의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를 추출하는 가입자 위치 관리 서버와, 전달받은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를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위를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행하여 위치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요청된 시간 범위의 위치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IN MOBILE NETWORK, AND STORAGE MEDIA HAVING PROGRAM THEREF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위를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행하여 위치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요청된 시간 범위의 위치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이동통신 기지국이나 GPS를 통해 개인이나 차량 등의 위치를 파악하여 긴급구조, 교통정보 등을 서비스하는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s; LBS)는 모바일 서비스 산업의 성장을 위한 주요한 킬러 애플리케이션(Killer Application)으로 급부상 중에 있다.
이러한 LBS는 다양한 모바일 환경 하에서 위치 정보의 획득·관리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데, 위치값 획득에 따라 Cell-ID, E-OTD(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A-GPS 방식으로 구분된다. 미국에서는 E-OTD와 A-GPS 방법을 병행 사용중이며, 국내 이동통신 사업자는 Cell-ID와 A-GPS 기술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A-GPS 기반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의 블록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Station; MS)(11),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BTS)(13),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 BSC)(15),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acket Data Serving Node; PDSN)(17), WAP 게이트웨이(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Gateway; WAP G/W)(19),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Location Based Services Platform; LBSP)(21), 모바일 측위 센터(Mobile Positioning Center; MPC)(23), 위치 측정 장비(Position Determination Equipment; PDE)(25),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A-GPS 기반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의한 위치 정보 서비스 과정을 신호 전송 흐름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1)가 WAP 브라우저를 통해 자신의 위치 조회 서비스를 요청하면 이 요청은 기존의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경로가 아닌 WAP용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기지국(13)과 제어국(15) 및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17)를 거쳐 WAP 게이트웨이(19)로 전달된다.
WAP 게이트웨이(19)는 WAP 프로토콜로 된 위치 조회 요청을 해석하여 TCP/IP 기반의 HTTP 요청으로 변경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1)으로 전송한다.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1)은 이동통신 단말기(11)의 위치 조회 요청에 따라 모바일 측위 센터(23)에 위치 측위를 요청하며, 모바일 측위 센터(23)는 이동통신 단말기(11)를 서비스 영역 내에 포함하고 있는 기지국(15)을 조회한다.
모바일 측위 센터(23)는 기지국 조회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기지국에 연결된 교환국 정보를 위치 측정 장비(25)로 전송한다.
위치 측정 장비(25)는 상기 교환국 정보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로 위치 측위를 위한 데이터 교환의 시작을 요청하며,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1)와 위치 측정 장비(25)간에는 위치 측위 데이터가 교환된다. 이러한 위치 측위 데이터의 교환은 A-GPS 메시지 정의(IS-801-1)에 따르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27)에 의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가 이용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1)로부터 A-GPS 위치 측위 데이터를 전달받은 위치 측정 장비(25)는 A-GPS 위치 측위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의 현재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며, 그 측정 결과를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1)으로 전송한다.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1)은 이동통신 단말기(11)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전자지도를 생성하는 등 위치 측위 결과물을 생성하며, 생성된 위치 측위 결과물을 이동통신 단말기(11)로 전송하기 위하여 WAP 게이트웨이(19)로 전달한다.
WAP 게이트웨이(19)는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1)으로부터 위치 측위 결과물이 전달되면 WAP 프로토콜로 변경하여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17)로 전송하며, WAP 프로토콜로 변경된 위치 측위 결과물은 제어국(15)과 기지국(13)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1)로 전송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방식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위치 조회 요청이 발생할 경우에만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그 정보를 제공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과거 시간대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측위 정보와 과거의 특정 시간대 이동 경로 등의 과거 위치 정보는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위를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행하여 위치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요청된 시간 범위의 위치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견지로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GPS 칩셋에 의한 위치 측위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전송 받아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상기 유선 네트워크를 위한 유선 통신 프로토콜간의 상호 변경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측위 데이터를 전달받아 GPS 위치 측위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장비와,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행된 상기 위치 측정 장비의 위치 측위 결과가 가입자 및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위치 이력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위치 이력 요청에 따라 상기 위치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가입자의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를 추출하는 가입자 위치 관리 서버와, 상기 가입자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방법은,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GPS 위치 측위 데이터를 전달받아서 GPS 위치 측위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및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이력 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위치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가입자의 위치 이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위치 이력 정보를 소정의 출력 형태로 데이터 가공한 위치 이력 결과물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 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도 2의 블록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MS)(101), 기지국(BTS)(103), 제어국(BSC)(105),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107), WAP 게이트웨이(WAP G/W)(109),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201), 모바일 측위 센터(MPC)(203), 위치 측정 장비(PDE)(205),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207), 가입자 위치 관리 서버(Subscriber Position Management Server; SPMS)(209), 위치 이력 데이터베이스(Position History DB)(2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1)에는 GPS 인공위성과의 정보 교환을 위한 GPS 칩셋과 WAP용 브라우저가 내장되며, 임의의 기지국(103)의 범위 내에 있고, GPS 칩셋에 의한 위치 측위 데이터를 기지국(103)과 제어국(105)을 거쳐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107)에 전송하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107)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제어국(105) 및 기지국(103)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01)로 전송된다.
기지국(103)은 이동통신 단말기(101)와는 이동통신 규격에 따른 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하여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어국(105)은 교환국(도시 생략됨)과 기지국(103) 사이에 위치하여 패킷 데 이터 서빙 노드(107)를 통해 인터넷망 정합기능을 수행하며, 음성에 대한 보코딩(Vocoding) 기능을 수행한다.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107)는 기지국(103)과 제어국(105) 등으로 이루어지는 RAN(Radio Access Network)과 DCN(Data Core Network)간 상호연동을 통해 무선 신호를 IP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PPP 및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WAP 게이트웨이(109)는 WAP 프로토콜로 된 요청을 해석하여 TCP/IP 기반의 HTTP 요청으로 변경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1)으로 전송하며,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으로부터 전송되는 HTTP 메시지를 WAP 프로토콜로 변경하여 전송한다. WAP 프로토콜은 WAP 포럼에서 제정된 무선 인터넷을 위한 공통 규격이며, WAP 게이트웨이(109)는 무선 인터넷과 유선 인터넷의 연동을 위한 프로토콜 게이트웨이의 일 실시 예이다.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은 위치 측위 기술을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101)에게 독립적으로 다양한 위치 기반 응용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사용자 인증과 전자지도 생성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가입자 위치 관리 서버(209)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를 전달받아 위치 정보가 포함된 전자지도를 생성하는 등 위치 측위 결과물을 제공한다.
모바일 측위 센터(203)는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 조회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1)를 서비스 영역 내에 포함하고 있는 기지국(105)을 조회하며, 기지국 조회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기지국에 연결된 교환국 정보를 위치 측정 장비(205)로 전송한다.
위치 측정 장비(205)는 A-GPS 메시지 정의(IS-801-1)에 따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207)에 의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1)로부터 A-GPS 위치 측위 데이터를 전달받아 A-GPS 위치 측위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현재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그 측정 결과를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으로 전송한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207)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위치 측정 장비(205)간 A-GPS 위치 측위 데이터의 교환을 지원한다.
가입자 위치 관리 서버(209)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에게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 측위 결과를 요청하며,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을 통해 위치 측정 장비(205)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 측정 결과를 전달받는다.
위치 이력 데이터베이스(211)는 가입자 위치 관리 서버(209)가 위치 측정 장비(205)로부터 전달받은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구축한 가입자 및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신호 전송 흐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입자 위치 관리 서버(209)는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의해 위치 조회 서비스가 요청되지 않은 경우에도 위치 이력 데이터베이스(211)의 구축을 위하여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에게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 측위를 요청한다.
그러면,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은 가입자 위치 관리 서버(209)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 조회 요청에 따라 모바일 측위 센터(203)에 위치 측위를 요청하며, 모바일 측위 센터(203)는 이동통신 단말기(101)를 서비스 영역 내에 포함하고 있는 기지국(105)을 조회한다.
모바일 측위 센터(203)는 기지국 조회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기지국에 연결된 교환국 정보를 위치 측정 장비(205)로 전송한다.
위치 측정 장비(205)는 상기 교환국 정보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1)로 위치 측위를 위한 데이터 교환의 시작을 요청하며,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위치 측정 장비(205)간에는 위치 측위 데이터가 교환된다. 이러한 위치 측위 데이터의 교환은 A-GPS 메시지 정의(IS-801-1)에 따르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207)에 의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가 이용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1)로부터 A-GPS 위치 측위 데이터를 전달받은 위치 측정 장비(205)는 A-GPS 위치 측위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현재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며, 그 측정 결과를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으로 전송한다.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은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현재 위치 측정 결과를 가입자 위치 관리 서버(209)로 전달하며, 가입자 위치 관리 서버(209)는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으로부터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전달되는 위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가입자 및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위치 이력 데 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위치 이력 데이터베이스(211)가 구축된 상태에서 비로소 본 발명의 요지 기술인 단말기의 위치 이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그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이 초기화 상태에서 서비스 대기 상태로 천이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1)가 WAP 브라우저를 통해 자신의 위치 이력 서비스를 요청하면 이 요청은 WAP용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기지국(103)과 제어국(105) 및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107)를 거쳐 WAP 게이트웨이(109)로 전달된다(S302∼S304).
WAP 게이트웨이(109)는 WAP 프로토콜로 된 위치 이력 서비스 요청을 해석하여 TCP/IP 기반의 HTTP 요청으로 변경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으로 전송한다.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은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 이력 서비스 요청에 따라 위치 이력 서비스를 요망하는 시간 범위와 위치 이력 결과물의 출력 형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요망 시간 범위는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의 설정 상태에 따라 그 시간 범위 및 시간 간격이 제한될 수 있으며, 결과물 출력 형태는 텍스트 형태와 LBS 형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306∼S310).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를 측위하는 방식이 본 실시 예와 같이 A-GPS 기술에 기반을 둔 경우라면 전자지도와 함께 위치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LBS 형태의 결과물과 텍스트 형태의 결과물을 모두 제공할 수 있으며, Cell-ID 기술에 기반을 두고 위치를 측위하는 경우에는 텍스트 형태의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의한 메뉴 선택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메뉴를 통해 시간 범위와 출력 형태가 지정되면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은 최종적인 위치 이력 조회 요청으로 인식하며, 가입자 위치 관리 서버(209)에게 해당 시간 범위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 이력 정보를 요청한다(S312∼S314).
그러면, 가입자 위치 관리 서버(209)는 위치 이력 데이터베이스(211)를 검색하여 먼저 해당 가입자의 위치 이력 정보를 추출한 후에 추출된 정보에서 다시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에서 요청된 해당 시간대의 위치 이력 정보만을 추출한다(S316).
가입자 위치 관리 서버(209)에서 추출된 위치 이력 정보는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으로 전달되며,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은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 이력 정보를 단계 S308에서 선택된 출력 형태로 데이터 가공한다. 즉 텍스트 형태 결과물 또는 LBS 형태 결과물로 가공하는 것이다(S318).
이후,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은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 이력 결과물을 이동통신 단말기(101)로 전송하기 위하여 WAP 게이트웨이(109)로 전달하며, WAP 게이트웨이(109)는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으로부터 위치 이력 결과물이 전달되면 WAP 프로토콜로 변경하여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107)로 전송하고, WAP 프로토콜로 변경된 위치 이력 결과물은 제어국(105)과 기지국(103)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01)로 전송된다(S320).
한편, 위치 이력 결과물 중에서 텍스트 형태 결과물은 시간과 함께 위치 정보를 주소 등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LBS 형태 결과물은 가입자가 지나간 위치의 전자지도를 보여주고 먼 거리를 이동했을 경우에는 그에 따른 축척에 맞게 표시하는 형식, 소정 시간 단위의 슬라이드 형식, 전자지도 상에 특정한 시간 범위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형식 등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일예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GPS 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에 주안점을 두어 설명하였으나 이동통신 단말기가 GPS 수신 지역을 벗어난 경우에 Cell-ID 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보조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은 단말기의 위치 이력 결과물을 가공함에 있어서 텍스트 형태로 가공할 수도 있으며 전자지도 상에 해당 셀 영역을 식별 가능하게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위를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행하여 위치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요청된 시간 범위의 위치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입자가 본인의 위치 이력을 열람할 수 있으며, 허가된 타인의 위치 이력 또한 열람할 수 있고, 단말기 분실 등의 문제 발생시 단말 기의 위치 추적, 자녀들에 대한 스케줄 관리, 범죄자들의 위치 추적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파생적 효과를 갖는다.

Claims (13)

  1. 이동통신 단말기의 GPS 칩셋에 의한 위치 측위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전송 받아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상기 유선 네트워크를 위한 유선 통신 프로토콜간의 상호 변경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측위 데이터를 전달받아 GPS 위치 측위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GPS 수신 지역을 벗어난 경우에는 Cell-ID 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보조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장비와,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행된 상기 위치 측정 장비의 위치 측위 결과가 가입자 및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위치 이력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위치 이력 요청에 따라 상기 위치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가입자의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를 추출하는 가입자 위치 관리 서버와,
    상기 가입자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프로토콜 게이트웨이와 호환되는 WAP용 브라우저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는 상기 무선 신호를 IP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PPP 및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게이트웨이는 상기 무선 통신 프로토콜인 WAP 프로토콜을 해석하여 TCP/IP 기반의 HTTP 메시지로 변경하여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하며,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으로부터 전송되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인 HTTP 메시지를 WAP 프로토콜로 변경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위치 측정 장비와의 위치 측위 데이터의 교환은 GPS 메시지 정의에 따르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를 전달받아서 전자지도와 함께 상기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LBS 형태의 결과물과 텍스트 형태의 결과물 중에서 어느 하나의 결과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
  7. 삭제
  8.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GPS 위치 측위 데이터를 전달받아서 GPS 위치 측위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GPS 수신 지역을 벗어난 경우에는 Cell-ID 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보조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및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이력 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위치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가입자의 위치 이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위치 이력 정보를 소정의 출력 형태로 데이터 가공한 위치 이력 결과물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이력 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위치 이력을 요망하는 시간 범위와 위치 이력 결과물의 출력 형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요망 시간 범위는 기 설정 상태에 따라 시간 범위 또는 시간 간격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물 출력 형태는 전자지도와 함께 상기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LBS 형태의 결과물과 텍스트 형태의 결과물 중에서 어느 하나의 결과물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LBS 형태의 결과물은 상기 전자지도 상에 특정한 시간 범위의 이동 경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방법.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040008013A 2004-02-06 2004-02-06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087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013A KR101087081B1 (ko) 2004-02-06 2004-02-06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013A KR101087081B1 (ko) 2004-02-06 2004-02-06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527A KR20050079527A (ko) 2005-08-10
KR101087081B1 true KR101087081B1 (ko) 2011-11-25

Family

ID=3726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013A KR101087081B1 (ko) 2004-02-06 2004-02-06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0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490B1 (ko) * 2007-03-08 2008-06-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 기반 기억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70556B1 (ko) * 2007-05-30 2008-11-27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이동 경로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872071B1 (ko) * 2007-06-04 2008-1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 및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방법, 이를 사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위치기반 서버
KR100957034B1 (ko) * 2008-03-13 2010-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위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가입자 위치정보 관리를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 및사용이력 데이터 수집 서버
US20150094090A1 (en) * 2013-09-30 2015-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ching of locations on a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527A (ko)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2332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location-based message, a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732969B1 (ko)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사람 찾기 장치 및 방법
CA2538041A1 (en) Introduc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mobile communicators
KR20020059968A (ko) 위치 정합형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87081B1 (ko)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183681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크인 방법
KR2002008164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26075B1 (ko)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47941B1 (ko) 이동통신망과 차량 네비게이션을 연동한 주차장안내서비스 방법
KR101272073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게시판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1136145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크인 방법
WO2010127589A1 (zh) 信息发送方法、装置及系统
KR100541992B1 (ko) 가입자 식별자 및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0936531B1 (ko) 웹 브라우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 검증 방법 및시스템
KR20150124057A (ko)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 방법
CN100414973C (zh) 物体感知方法和相关的感知设备
KR100652974B1 (ko)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과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EP1315133B1 (en) Mobile transmitting device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a beamed way
KR100416430B1 (ko) 위치추적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JP2003061123A (ja) 移動局、サービス提供装置
KR100579996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관광지별 혼잡도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WO2003083722A2 (en) An information server with a database of information about particular locations and a telephone for remotely accessing and querying the same
KR1006053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KR101014334B1 (ko) 이동 속도에 연동하는 위치 알림 방법, 시스템 및 이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2002008164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