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974B1 -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과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과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974B1
KR100652974B1 KR20040039713A KR20040039713A KR100652974B1 KR 100652974 B1 KR100652974 B1 KR 100652974B1 KR 20040039713 A KR20040039713 A KR 20040039713A KR 20040039713 A KR20040039713 A KR 20040039713A KR 100652974 B1 KR100652974 B1 KR 100652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lo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39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485A (ko
Inventor
전은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39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974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97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과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위치정보 전송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메뉴 화면을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가 요청되면 기 등록된 서비스 제공 단말을 선택할 수 있는 단말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단말 선택 화면을 통해 서비스 제공 단말이 선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GPS 위치 측위 데이터를 전달받아서 GPS 위치 측위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전자지도를 생성하는 단계와, 전자지도가 포함된 위치 측위 결과물을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동통신망의 LBS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전자지도를 위치 측위 결과물로 생성하여 기 등록된 서비스 제공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단말측에서는 위치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각종 오프라인 서비스를 전자지도에 의거하여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과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METHOD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NETWORK, AND STORAGE MEDIA HAVING PROGRAM THEREF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102 : 이동통신 단말기 103 : 기지국
105 : 제어국 107 :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109 : WAP 게이트웨이 201 :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
203 : 모바일 측위 센터 205 : 위치 측정 장비
301 : 부가 서비스 서버 303 :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망의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s; LBS)에 기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방법과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의 LBS 관련 기술은 모바일 서비스 산업의 성장을 위한 주요한 킬러 애플리케이션(Killer Application)으로 급부상 중에 있다.
도 1은 LBS를 제공할 수 있는 일반적인 위치정보 전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정보 전송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Station; MS)(11),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BTS)(13),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 BSC)(15),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acket Data Serving Node; PDSN)(17), WAP 게이트웨이(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Gateway; WAP G/W)(19),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Location Based Services Platform; LBSP)(21), 모바일 측위 센터(Mobile Positioning Center; MPC)(23), 위치 측정 장비(Position Determination Equipment; PDE)(25),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시스템에 의한 위치정보 서비스 과정을 신호 전송 흐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1)가 WAP 브라우저를 통해 자신의 위치 조회 서비스를 요청하면 이 요청은 기존의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경로가 아닌 WAP용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기지국(13)과 제어국(15) 및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17)를 거쳐 WAP 게이트웨이(19)로 전달된다.
WAP 게이트웨이(19)는 WAP 프로토콜로 된 위치 조회 요청을 해석하여 TCP/IP 기반의 HTTP 요청으로 변경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1)으로 전송한다.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1)은 이동통신 단말기(11)의 위치 조회 요청에 따라 모바일 측위 센터(23)에 위치 측위를 요청하며, 모바일 측위 센터(23)는 이동통신 단말기(11)를 서비스 영역 내에 포함하고 있는 기지국(15)을 조회한다.
모바일 측위 센터(23)는 기지국 조회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기지국에 연결된 교환국 정보를 위치 측정 장비(25)로 전송한다.
위치 측정 장비(25)는 교환국 정보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로 위치 측위를 위한 데이터 교환의 시작을 요청하며,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1)와 위치 측정 장비(25)간에는 위치 측위 데이터가 교환된다. 예로서 위치 측위 데이터의 교환은 A-GPS 메시지 정의(IS-801-1)에 따르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27)에 의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가 이용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1)로부터 위치 측위 데이터를 전달받은 위치 측정 장비(25)는 위치 측위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의 현재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며, 그 측정 결과를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1)으로 전송한다.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1)은 이동통신 단말기(11)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전자지도를 생성하는 등 위치 측위 결과물을 생성하며, 생성된 위치 측위 결과물을 이동통신 단말기(11)로 전송하기 위하여 WAP 게이트웨이(19)로 전달한다.
WAP 게이트웨이(19)는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1)으로부터 위치 측위 결과물이 전달되면 WAP 프로토콜로 변경하여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17)로 전송하며, WAP 프로토콜로 변경된 위치 측위 결과물은 제어국(15)과 기지국(13)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1)로 전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정보 전송 기술은 이동통신 기지국이나 GPS를 통해 개인이나 차량 등의 위치를 파악하여 긴급구조, 교통정보 등을 서비스하는 것 등과 같이 여러 가지의 부가 서비스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데, 문서 배달 서비스, 음식 배달 서비스, 택시의 고객 연결 서비스 등과 같이 서비스를 위해서는 고객의 위치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각종 서비스에 접목시킬 경우에는 그 활용도가 배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LBS에 기반하는 새로운 부가 서비스의 한 형태로서 제안하는 것으로서,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전자지도를 위치 측위 결과물로 생성하여 기 등록된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는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비스 제공 단말의 등록 절차와 위치 측위 결과물의 전송 절차가 포함된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메뉴 화면을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가 요청되면 기 등록된 서비스 제공 단말을 선택할 수 있는 단말 선택 화면을 제공 하는 단계와, 단말 선택 화면을 통해 서비스 제공 단말이 선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GPS 위치 측위 데이터를 전달받아서 GPS 위치 측위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전자지도를 생성하는 단계와, 전자지도가 포함된 위치 측위 결과물을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시스템은 도 2의 블록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MS1, MS2)(101, 102), 기지국(BTS)(103), 제어국(BSC)(105),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107), WAP 게이트웨이(WAP G/W)(109),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201), 모바일 측위 센터(MPC)(203), 위치 측정 장비(PDE)(205),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207), 부가 서비스 서버(Supplementary Service Server; SSS)(301),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Service Information DB)(3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1)에는 GPS 인공위성과의 정보 교환을 위한 GPS 칩셋과 WAP용 브라우저가 내장되며, 자신의 위치정보를 요망하는 곳으로 전송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1)는 임의의 기지국(103)의 범위 내에 있고, GPS 칩셋에 의한 위치 측위 데이터를 기지국(103)과 제어국(105)을 거 쳐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107)에 전송하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107)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제어국(105) 및 기지국(103)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01)로 전송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WAP용 브라우저가 내장되며, 임의의 사용자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임의의 기지국(103)의 범위 내에 있고,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107)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제어국(105) 및 기지국(103)을 통해 수신한다.
기지국(103)은 이동통신 단말기(101)와는 이동통신 규격에 따른 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하여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어국(105)은 교환국(도시 생략됨)과 기지국(103) 사이에 위치하여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107)를 통해 인터넷망 정합기능을 수행하며, 음성에 대한 보코딩 기능을 수행한다.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107)는 기지국(103)과 제어국(105) 등으로 이루어지는 RAN(Radio Access Network)과 DCN(Data Core Network)간 상호연동을 통해 무선 신호를 IP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PPP 및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WAP 게이트웨이(109)는 WAP 프로토콜로 된 요청을 해석하여 TCP/IP 기반의 HTTP 요청으로 변경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으로 전송하며,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으로부터 전송되는 HTTP 메시지를 WAP 프로토콜로 변경하여 전송한다. WAP 프로토콜은 WAP 포럼에서 제정된 무선 인터넷을 위한 공통 규격이며, WAP 게이트웨이(109)는 무선 인터넷과 유선 인터넷의 연동을 위한 프로토콜 게이트웨이의 일 실시 예이다.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은 위치 측위 기술을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101)에게 독립적으로 다양한 위치 기반 응용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사용자 인증과 전자지도 생성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가입자 위치 관리 서버(209)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시간대별 위치 이력 정보를 전달받아 위치정보가 포함된 전자지도를 생성하는 등 위치 측위 결과물을 제공한다.
모바일 측위 센터(203)는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 조회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1)를 서비스 영역 내에 포함하고 있는 기지국(105)을 조회하며, 기지국 조회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기지국에 연결된 교환국 정보를 위치 측정 장비(205)로 전송한다.
위치 측정 장비(205)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207)에 의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1)로부터 위치 측위 데이터를 전달받아 위치 측위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현재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그 측정 결과를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으로 전송한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207)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위치 측정 장비(205)간 위치 측위 데이터의 교환을 지원한다.
부가 서비스 서버(301)는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등록 절차와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 측위 결과물 전송 절차를 관장한다. 부가 서비스 서버(301)는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에게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 측위 결과를 요청하며,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을 통해 위치 측정 장비(205)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 측정 결과를 전달받아서 이동통신 단말기(102)로 전송한다.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303)는 부가 서비스 서버(301)에 의해 획득된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등록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의해 요청된 오프라인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문서 배달 서비스, 음식 배달 서비스, 택시의 고객 연결 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를 위해서는 고객의 위치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각종 오프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업체(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WAP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해 부가 서비스 서버(301)에 접속한다(S401).
부가 서비스 서버(301)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 단말을 등록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제공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2)에 의해 등록 메뉴가 선택되면 업체의 위치와 오프라인 서비스 형태 등을 등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S403∼S407).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2)를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 업체의 위치와 그 서비스 형태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가 등록되면 부가 서비스 서버(301)는 해당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303)에 저장하며, 이러한 등록 및 저장 절차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면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303)를 갱신하여 다수 의 오프라인 서비스 업체가 등록된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303)를 구축한다(S409∼S411).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102)와 부가 서비스 서버(301)와의 통신 경로는 공지의 WAP용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전송 데이터는 기지국(103)과 제어국(105) 및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107)를 거쳐 WAP 게이트웨이(109)로 전달되며, WAP 게이트웨이(109)는 WAP 프로토콜로 된 전송 데이터를 해석하여 TCP/IP 기반의 HTTP 요청으로 변경하여 부가 서비스 서버(301)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303)가 구축된 상태에서 비로소 본 발명의 요지 기술인 위치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그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문서 배달 서비스, 음식 배달 서비스, 택시의 고객 연결 서비스 등과 같은 각종 오프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WAP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해 부가 서비스 서버(301)에 접속한다(S501).
부가 서비스 서버(301)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제공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의해 특정 오프라인 서비스가 요청되면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303)를 검색하여 단계 S409에서 해당하는 특정 오프라인 서비스 형태를 제공하겠다고 등록한 서비스 제공 단말, 즉 서비스 제공 단말을 검색한다(S503∼S507).
이때,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303)의 검색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단말이 적어도 하나 이상 검색될 경우에 부가 서비스 서버(301)는 어느 하나의 서비스 제공 단말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단말 선택 화면을 제공한다. 단말 선택 화면에는 단계 S409에서 획득된 업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업체 소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S509).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의해 단말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서비스 제공 단말이 선택되고, 사용자가 요망하는 오프라인 서비스 정보(통상의 오프라인 서비스 요청시와 동일한 정보, 예로서 음식 배달 서비스의 경우에는 음식명, 인분수 등)를 입력하면 해당하는 오프라인 서비스 정보는 부가 서비스 서버(301)에 의해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303)에 저장된다(S511).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부가 서비스 서버(301)와의 통신 경로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2)에 의한 등록 절차와 마찬가지로 공지의 WAP용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부가 서비스 서버(301)는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에게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며,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은 모바일 측위 센터(203)에게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 조회를 요청한다.
모바일 측위 센터(203)는 이동통신 단말기(101)를 서비스 영역 내에 포함하고 있는 기지국(105)을 조회하며, 기지국 조회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기지국에 연결된 교환국 정보를 위치 측정 장비(205)로 전송한다.
위치 측정 장비(205)는 교환국 정보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1)로 위치 측위를 위한 데이터 교환의 시작을 요청하며,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위치 측정 장비(205)간에는 위치 측위 데이터가 교환된다. 이러한 위치 측위 데이터의 교환은 일예로 A-GPS 메시지 정의(IS-801-1)에 따르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207)에 의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가 이용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1)로부터 위치 측위 데이터를 전달받은 위치 측정 장비(205)는 일예로 A-GPS 위치 측위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현재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며, 그 측정 결과를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으로 전송한다.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201)은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현재 위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전자지도를 생성하는 등 위치 측위 결과물을 생성하며, 생성된 위치 측위 결과물을 부가 서비스 서버(301)로 전달한다(S513).
부가 서비스 서버(301)는 전자지도 등의 위치 측위 결과물과 단계 S511에서 서비스 정보 데이터베이스(303)에 저장한 오프라인 서비스 정보(예로서 음식 배달 서비스의 경우에는 음식명, 인분수 등)를 취합하여 하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가공하며, 가공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02)로 전송하기 위하여 WAP 게이트웨이(109)로 전달한다.
WAP 게이트웨이(109)는 부가 서비스 서버(301)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전달되면 WAP 프로토콜로 변경하여 패 킷 데이터 서빙 노드(107)로 전송하고, WAP 프로토콜로 변경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제어국(105)과 기지국(103)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02)로 전송된다(S515).
이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2)를 휴대한 오프라인 서비스 업체에서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위치와 요청 사항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서비스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오프라인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앞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일예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오프라인 서비스 업체가 서비스 제공 단말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등록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웹 서버나 메일 서버 등과 같이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각종의 정보 단말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LBS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전자지도를 위치 측위 결과물로 생성하여 기 등록된 서비스 제공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단말측에서는 위치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각종 오프라인 서비스를 전자지도에 의거하여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부가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 화면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가 요청되면 기 등록된 서비스 제공 단말을 선택할 수 있는 단말 선택 화면을 상기 부가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선택 화면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이 선택되면 위치 측정 장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GPS 위치 측위 데이터를 전달받아서 GPS 위치 측위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전자지도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에서 생성한 상기 전자지도를 포함한 위치 측위 결과물을 상기 부가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서버가 상기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 형태를 알 수 있는 오프라인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서버가 상기 단말 선택 화면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 정보와 소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위 결과물은 상기 전자지도와 함께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 요청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20040039713A 2004-06-01 2004-06-01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과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KR100652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9713A KR100652974B1 (ko) 2004-06-01 2004-06-01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과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9713A KR100652974B1 (ko) 2004-06-01 2004-06-01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과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485A KR20050114485A (ko) 2005-12-06
KR100652974B1 true KR100652974B1 (ko) 2006-12-01

Family

ID=37288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39713A KR100652974B1 (ko) 2004-06-01 2004-06-01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과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9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711B1 (ko) * 2006-04-20 2008-01-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기반 시설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101652026B1 (ko) * 2015-05-08 2016-08-30 주식회사 품 네트워크 상에서의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자 중개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중개 서버
CN113759405A (zh) * 2020-06-04 2021-12-07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Gps定位加速系统、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485A (ko) 200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22913B (zh) 提供位置信息的方法、系统和装置
EP1518432B1 (en) Communica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provisioning of a service, over a user plane connection
KR101085633B1 (ko) 로밍 중인 이동단말기의 위치 서버 선택방법 및 그 장치와그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KR100748513B1 (ko) 위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EP1491062B1 (en) Provision of location information
EP1588523B1 (en) Provision of location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085700B1 (ko) Lbs제공자에서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요청자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JP2005510912A (ja)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ライバシー管理方法
EP1527637B1 (en) Method for enabling a location service client to contact a user of a mobile device
CN100479605C (zh) 一种定位其他终端的方法
KR100797759B1 (ko) 이동 단말에서의 자동 위치 등록방법
KR100775536B1 (ko) 로밍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52974B1 (ko) 이동통신망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과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KR100766605B1 (ko) 로밍된 서비스 플랫폼 간의 연동 시스템을 통한 위치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75538B1 (ko) 로밍 가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87081B1 (ko)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및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090035806A (ko) 이동 통신 단말의 측위 방법
KR100560233B1 (ko) 어시스트 지피에스 기반의 위치 측위 시스템과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0802081B1 (ko) 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0121563A1 (zh) 移动定位的方法、装置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