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144B1 - 제거식 소일네일의 정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제거식 소일네일의 정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144B1
KR101086144B1 KR1020100080117A KR20100080117A KR101086144B1 KR 101086144 B1 KR101086144 B1 KR 101086144B1 KR 1020100080117 A KR1020100080117 A KR 1020100080117A KR 20100080117 A KR20100080117 A KR 20100080117A KR 101086144 B1 KR101086144 B1 KR 101086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deformed
fixing unit
fixing
anch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석
박시삼
서정식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0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착구와 정착구의 확대 공간부에 보호파이프를 삽입함으로써 보호파이프의 내부 공간, 즉 정착구와 정착구사이의 길이전체를 체결 분할편 이동공간부가 되게 하고, 또 엇갈림방지 유도링을 정착구와 정착구사이의 이형철근에 삽입함으로써 계속된 이형철근의 인발에도 불구하고 2개의 체결 분할편이 서로 엇갈리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어 느슨하게 감싸고 있는 2개의 체결 분할편 사이를 이형철근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빠져나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체결 분할편 이동공간부의 직경이 정착구의 체결 나선부에 체결되었던 2개의 체결 분할편의 체결시의 형태와 같은 모양이 느슨한 상태에서도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 크기이므로 2개의 체결 분할편이 서로 엇갈리지 않게 되어 이형철근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이형철근의 인발에 의하여 이동된 체결 분할편(120)(120)은 엇갈림방지 유도링에 가로막혀 더 이상 이동을 멈추게 되면서도 이형철근위에 느슨하게 감싸여있는 형태그대로 유지되므로 이형철근의 인발로 인하여 2개의 체결 분할편이 서로 엇갈리지 않게 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제거식 소일네일의 정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시공방법{Structure fixing and recovering a deformed bar of the soil nail and method constructing the soil nail therewith}
본 발명은 제거식 소일네일의 정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장철근의 제거가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반분된 분할편을 이용하여 이형철근의 회전에 의해 인장철근을 회수하는 제거식 소일네일 방식은 많이 공지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방식은 인장철근을 잡아당기게 되면 당겨지는 인장철근으로 인하여 2개의 반분된 분할편이 서로 엇갈리게 된다. 서로 엇갈린 분할편은 인장철근에 걸려 인장철근을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인장철근이 엇갈린 분할편에 의하여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면 인장철근이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분할편이 엇갈리게 되는 것이 종래방식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본 발명도 반분된 체결 분할편을 이용하여 이형철근을 회수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정착구의 확대 공간부에 삽입된 보호파이프의 내부공간을 체결 분할편의 이동공간부가 되게 하면서 엇갈림방지 유도링을 이형철근에 삽입함으로써 이형철근이 느슨한 상태의 체결 분할편을 통과하여 계속해서 빠져나오는 동안에도 체결 분할편이 서로 엇갈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2개의 체결 분할편이 서로 엇갈리지 않음으로써 이형철근의 빠져나옴이 용이하고 원활하다. 이형철근의 제거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효율적이고 경제적이어서 향후 소일네일 제거ㆍ기술분야에 유용한 발명이다.
소일네일 구조에서 반분된 분할편을 이용하여 이형철근의 회전에 의해 이형철근을 회수하는 제거식 소일네일 구조방식은 종래기술로서 이미 많이 공지되어있다.
그 중에서도 등록특허 제10-0375714호가 이형철근의 회전과, 회전에 대응되는 반분된 분할편과의 일반적인 상관관계가 가장 잘 나타나있다.
등록특허 제10-0375714호를 중심으로 이형철근과, 이에 대응되는 반분된 분할편과의 관계 및 그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 도2, 도3에 특허 제10-0375714호가 도시되어있다.
특허 제10-0375714호에서 반분된 2개의 분할편이 2개의 어댑터편(51)(52)으로 정의되어있다.
도1에는 인장철근(10)의 정착체인 소켓(30)(31)(32)(33)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있고, 소켓(30)(31)(32)(33)사이에는 설치된 튜브(40)(41)(42)에 의하여 그라우팅으로부터 인장철근(10)이 보호되고 있음이 도시되어있다.
도2는 2개의 어댑터편(51)(52)이 인장철근(10)의 횡방향 리브(11)를 감싼 상태로 도1의 소켓(30)에 삽입되어 나선 결합되어있음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소켓(30)과 인장철근(10)사이에 반분된 2개의 어댑터편(51)(52)이 개재되어 나선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결합상태도이다.
도4는 인장철근(10)의 회전에 의하여 2개의 어댑터편(51)(52)이 소켓(30)으로부터 분리되어 확경부(30b)에 상하 2중으로 놓이면서 인장철근(10)이 제거 회수되는 과정을 보인 상태도이다.
먼저 인장철근(10)의 회전 시 어댑터편(51)(52)이 회전되는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분된 2개의 어댑터편(51)(52)에는 고정홈(51a)이 3개 형성되어있다. 3개의 고정홈(51a)은 인장철근(10)의 3개의 횡방향 리브(11)에 삽입되어 인장철근(10)의 종방향 리브(15)와 종방향 리브(15)사이에 위치되어있다.
인장철근(10)의 제거시점은 반분된 어댑터편(51)(52)이 소켓(30)내에 나선 고정되어있는 상태에서부터 시작된다.
반분된 어댑터편(51)(52)이 소켓(30)내에 나선 고정되어있는 상태는 반분된 어댑터편(51)(52)이 인장철근(10)의 종방향 리브(15)사이의 원주면에 밀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인장철근(10)이 회전하게 되면 어댑터편(51)(52)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인장철근(10)의 종방향 리브(15)가 어댑터편(51)(52)을 꽉 물고 있기 때문이다.
반분된 어댑터편(51)(52)은 계속되는 인장철근(10)의 회전에 의하여 소켓(30)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확경부(30b)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반분된 2개의 어댑터편(51)(52)이 확경부(30b)에 이른다 해도 도4에서와 같이 상하 2중으로 적층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아무리 확경부(30b)의 깊이가 깊다하더라도 인장철근(10)은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되게 되므로 그 위에 얹혀있는 반분된 어댑터편(51)(52)역시 인장철근(10)의 회전과 함께 전진하게 되기 때문이다.
설령 반분된 어댑터편(51)(52)가 상하 2중으로 적층되었다하더라도 그 상태에서는 상하 적층의 높이가 인장철근(10)의 회전공간까지 침투하여 인장철근(10)의 회전을 방해하게 되므로 인장철근(10)이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런데 확경부(30b)의 깊이를 무한정으로 깊게 할 수 없는 경제적인 한계가 있다.
확경부(30b)를 깊게 하면 확경부(30b)와 소켓(30)의 직경이 모두 커지게 되고 이는 지반에 뚫는 보링홀의 직경을 크게 하는 요인이므로 이는 소일네일링의 비경제적인 시공의 주범이다.
통상적인 보링장비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보링홀의 직경을 갖게 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제적인 보링홀의 직경이 통상적인 보링홀이라고 한다면 소켓(30)의 직경도 이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확경부(30b)의 직경도 소켓(30)의 직경에 비례하므로 확경부(30b)의 깊이역시 깊게 할 수 없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1에서와 같이 소켓(30)은 인장철근(10)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있다.
소켓(30)은 보링홀의 그라우팅에 부착되어 이형철근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저항하는 역할을 하는 정착체이다. 소켓(30)의 간격은 이형철근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크기를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간격이다. 그 간격이 좁으면 설치개수가 많아서 비경제적이 되고, 그 간격이 넓으면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이 작아져서 인장철근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다.
이때 이형철근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설계시 사용되는 가상 파괴면에 의한 인장력이다.
종래기술의 소일레일구조는 인장철근(10)의 회전에 의하여 반분된 어댑터편(51)(52)이 소켓(30)의 나사부(30a)로부터 고정이 해제된다하더라도 확경부(30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분된 어댑터편(51)(52)이 인장철근(10)의 회전에 의해 서로 엇갈리게 된다. 소켓(30)을 빠져나온 반분된 2개의 어댑터편(51)(52)의 결합상태는 아주 느슨하기 때문이다. 서로 엇갈린 어댑터편(51)(52)이 서로 엇갈리게 되면 인장철근(10)의 통로를 막게 되고 이는 인장철근(10)의 회전을 방해하게 되는 주원인이므로 인장철근(10)이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에다 반분된 2개의 어댑터편(51)(52)에 형성된 인장철근(10)의 횡방향 리브(11)를 감싸는 고정홈(51a)의 개수가 많을수록 확경부(30b)의 길이가 길지 않으면 반분된 어댑터편(51)(52)의 엇갈림이 확경부(30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은 정착구의 확대 공간부에 삽입된 보호파이프의 내부공간이 인장철근의 회전에 의해 체결이 해제된 체결 분할편의 이동공간부가 되게 함에 첫 번째 목적이 있고,
인장철근의 회전에 의하여 체결 분할편이 체결 분할편 이동공간부를 통과하는 동안 체결 분할편이 느슨한 상태라는 것만 다를 뿐, 이형철근위에 체결당시의 모양그대로 얹혀져있고, 이 상태에서 인발을 위해 인장철근을 천천히 잡아당기게 되면 이형철근에 삽입되어있는 엇갈림방지 유도링과 체결 분할편도 함께 이동되면서 엇갈림방지 유도링이 다른 정착구에 걸려 정지되는 순간 체결 분할편도 정지하게 되는데 정지된 체결 분할편은 처음상태그대로 유지된 채, 서로 엇갈리지 않은 상태에서 인장철근이 느슨한 체결 분할편을 통과하여 그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에 두 번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 제거식 소일네일의 정착구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형철근(130)의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소켓이 정착되어있으면서 소켓의 공간부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어있고, 이에 나선 결합되는 반분된 분할편의 외주면 나선부와 그 내주면에 횡방향 리브 삽입홈이 형성되어있으며, 반분된 분할편이 이형철근을 감싸고 있고, 소켓과 소켓사이에는 튜브가 설치된 제거식 소일네일 구조에 있어서
정착구(110)에는 내경이 동일하게 형성된 이형철근 체결공간부(112)와, 그리고 확대 공간부(114)가 형성되어있되 보호파이프(140)가 확대 공간부(114)에 삽입되어 체결 분할편 이동공간부(142)가 되게 하는 한편, 정착구(110)와 정착구(110)사이에는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이 이형철근(130)에 삽입되어있되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의 외경은 확대 공간부(114)의 내경보다는 약간 작으면서 이형철근 체결공간부(112) 직경보다는 크고, 그 내경은 이형철근 체결공간부(112)의 직경보다 작으며, 또 이형철근(130)이 인발되는 과정에서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이 먼저 정착구(110)에 접면되고, 그 다음에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에 체결 분할편(120)(120)이 연이어 접면되도록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이 체결 분할편(120)(120) 앞에 설치되어있는 구성이다.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은 이형철근(130)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된 체결 분할편(120)(120)이 정착구(110)의 이형철근 체결공간부(112)내로 삽입되지 않게 하면서 서로 엇갈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제1의 정착구(110)의 체결 나선부(112a)에 체결되었던 체결 분할편(120)(120)은 이형철근(130)의 회전에 의하여 해제되어 확대 공간부(114)와 체결 분할편 이동공간부(142)를 거치는 동안 이형철근(130)위에 느슨한 상태로 얹혀져서 체결되었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체결 분할편(120)(120)이 느슨한 상태 그대로 유지된 채 이형철근(130)과 함께 이동되어 제2의 정착구(110)에 이르게 된다. 이렇게 이동된 체결 분할편(120)(120)은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에 가로막혀 더 이상 이동을 멈출 뿐 아니라 이형철근 체결공간부(112)내로 삽입될 수도 없는 한편, 얹혀져있는 그대로 서로 엇갈리지 않은 상태로 된다. 이때 이형철근(130)은 체결 분할편(120)(120)에 의하여 느슨하게 감싸여있기 때문에 이형철근(130)을 천천히 잡아당기게(인발되게) 되면 이형철근(130)이 잘 빠져나오게 된다. 체결 분할편(120)(120)이 엇갈리지 않기 때문이다.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의 외경은 확대 공간부(114)의 내경보다는 약간 작고,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의 내경은 이형철근(130)에 삽입되어 이형철근(130)의 전후이동이 원활할 정도의 크기이면서 이형철근(130)에 느슨하게 얹혀져있는 체결 분할편(120)(120)이 이형철근 체결공간부(112)내로 삽입되지 못할 정도의 크기이다. 즉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의 내경은 이형철근 체결공간부(112)의 직경보다 작으면 된다.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의 길이는 통상적인 보링홀에 사용될 경우 3~5cm이면 족하다.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은 정착구(110)와 정착구(110)사이마다 1개씩 이형철근(130)에 삽입된다.
이형철근(130)이 인발되는 과정에서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이 먼저 정착구(110)에 접면되고, 그 다음에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에 체결 분할편(120)(120)이 연이어 접면되도록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은 체결 분할편(120)(120) 앞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이 먼저 정착구(110)에 접면되고, 그 다음에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에 체결 분할편(120)(120)이 연이어 접면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은 이형철근(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든 정착구(110)의 확대 공간부(114)에 고정되든 체결 분할편(120)(120)을 엇갈리지 않게 유지하는 것은 동일한 개념이다.
체결 분할편(120)(120)이 느슨한 상태에서 이형철근(130)을 천천히 잡아당기면 느슨한 상태의 체결 분할편(120)(120)은 엇갈림방지 유도링(150)과 만나는 순간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의 내경 속으로 파고들어가지 않고 내경 밖으로 뜨게 되므로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의 내경은 이형철근 체결공간부(112)의 직경보다 작으면 된다. 만약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의 내경이 이형철근 체결공간부(112)의 직경보다 크게 되면 이형철근(130)이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에 물려있는 상태가 되어 이형철근(130)이 원활하게 이동되지 않을 뿐 아니라 체결 분할편(120)(120)이 서로 엇갈리게 될 우려가 있다.
여기에다 정착구(110)의 확대 공간부(114)에는 입구측이 넓고 점차로 들어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부(114a)가 형성되어있다.
보호파이프(140)가 입구가 넓고 점차로 들어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부(114a)에 삽입되면 테이퍼부(114a)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보호파이프(14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이기 때문이다.
또한 정착구(110)와, 그리고 반분된 체결 분할편(120)은 스틸재질뿐 아니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재질로 그 제작이 가능하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재질은 스틸재질만큼 그 강도가 강하기 때문이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재질로 제작하면 사출방식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다.
본 발명은 정착구와 정착구의 확대 공간부에 보호파이프를 삽입함으로써 보호파이프의 내부 공간, 즉 정착구와 정착구사이의 길이전체를 체결 분할편 이동공간부가 되게 한 구성인데다 엇갈림방지 유도링이 정착구와 정착구사이의 이형철근에 삽입되어있는 구성이므로 계속된 이형철근의 인발에도 불구하고 2개의 체결 분할편이 서로 엇갈리지 않은 상태에서 이형철근만 빠져나가게 되어 이형철근의 제거가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체결 분할편 이동공간부의 직경이 정착구의 체결 나선부에 체결되었던 2개의 체결 분할편의 체결시의 형태와 같은 모양이 느슨한 상태에서도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 크기이므로 2개의 체결 분할편이 서로 엇갈리지 않게 된다.
이형철근의 인발에 의하여 이동된 체결 분할편(120)(120)은 엇갈림방지 유도링에 가로막혀 더 이상 이동을 멈추게 되면서도 이형철근위에 느슨하게 감싸여있는 형태그대로 유지되므로 이형철근의 인발로 인하여 2개의 체결 분할편이 서로 엇갈리지 않게 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 인장철근에 삽입된 소켓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2] 도1의 소켓내부에 삽입된 2개의 어댑터편과 인장철근 및 튜브의 분해사시도
[도3] 소켓과 인장철근사이에 반분된 2개의 어댑터편이 개재되어 소켓과 인장철근이 나선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결합상태도
[도4] 인장철근의 회전에 의하여 2개의 어댑터편이 소켓으로부터 분리되어 확경부에 상하 2중으로 놓이면서 인장철근이 제거 회수되는 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5a] 본 발명 정착구에 조립ㆍ결합되는 이형철근과 2개의 체결 분할편과 엇갈림방지 유도링과 그리고 보호파이프의 분해사시도
[도5b] 도5a의 A-A단면도
[도5c] 도5a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
[도6a] 본 발명 정착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배치상태도
[도6b] 도6a의 “B”의 확대도
[도7a] 본 발명 정착구에 이형철근이 2개의 체결 분할편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7b] 이형철근의 회전에 의하여 체결 분할편이 정착구로부터 빠져나와 체결 분할편 이동공간부에 이르게 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7c] 이형철근을 계속해서 천천히 잡아당기는 동안 엇갈림방지 유도링과 체결 분할편이 정착구에 걸려 정지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6a와 같이 정착구(110)를 이형철근(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한다.
정착구(110)를 이형철근(130)에 설치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이형철근(130)에 설치될 소정개수의 정착구(110)를 삽입한다.
정착구(110)와 정착구 사이에는 보호파이프(140)가 설치되고, 이형철근(130)에 삽입된 1개의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이 보호파이프(140)내에 설치된다.
가) 이형철근(130)에 정착구(110)의 체결에 대하여 설명한다.
① 먼저 이형철근(130)의 횡방향 리브(132)에 체결 분할편(120)의 횡방향 리브 삽입홈(124)을 삽입한다. 이때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은 체결 분할편(120)보다 이형철근(130)이 인발되는 방향의 앞쪽에 설치된다.
② 체결 분할편(120)의 횡방향 리브 삽입홈(124)에 이형철근(130)의 횡방향 리브(132)를 감싼 형태로 외주면 체결 나선부(122)가 정착구(110)의 체결 나선부(112a)에 맞닿게 한 후, 이형철근(130)은 그대로 둔 채, 정착구(110)만을 회전[회전손잡이(118)를 회전]시켜 외주면 체결 나선부(122)와 체결 나선부(112a)의 체결에 의하여 제1의 정착구(110)를 이형철근(13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③ 제1의 정착구(110)에 대응되는 제2의 정착구(110)를 이형철근(130)에 고정하기 전에 보호파이프(140)를 제1의 정착구(110)의 확대 공간부(114)의 테이퍼부(114a)에 견고하게 삽입시킨 다음 상기②의 고정방식에 의하여 체결 분할편(120)의 횡방향 리브 삽입홈(124)에 이형철근(130)의 횡방향 리브(132)를 감싼 형태로 외주면 체결 나선부(122)가 제2의 정착구(110)의 체결 나선부(112a)에 맞닿게 한 후, 이형철근(130)은 그대로 둔 채, 제2의 정착구(110)만을 회전[회전손잡이(118)를 회전]시켜 외주면 체결 나선부(122)와 체결 나선부(112a)의 체결에 의하여 제2의 정착구(110)를 이형철근(13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면서 동시에 일단이 제1의 정착구(110)의 확대 공간부(114)의 테이퍼부(114a)에 삽입된 보호파이프(140)의 타단을 제2의 정착구(110)의 확대 공간부(114)의 테이퍼부(114a)에 견고하게 삽입ㆍ고정시킨다.
④ 그 나머지 제3, 4, 5,ㆍㆍㆍㆍ의 정착구(110)도 위와 똑같은 체결방식으로 이형철근(13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나) 도7에 의하여 이형철근(130)에 체결된 정착구(110)가 해제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① 도7a에서와 같이 체결 분할편(120)(120)이 정착구(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해제방향으로 이형철근(130)을 회전시키면 체결 분할편(120)의 외주면 체결 나선부(122)가 정착구(110)의 체결 나선부(112a)를 타고 전진하게 된다. 외주면 체결 나선부(122)의 전진방향은 이형철근(130)이 빠져나오는 방향이다.
② 이형철근(130)의 회전에 의하여 전진된 이형철근(130)과 함께 체결 분할편(120)도 이형철근(130)을 감싼 형태로 회전되면서 전진하게 된다.
체결 분할편(120)의 외주면 체결 나선부(122)가 정착구(110)의 체결 나선부(112a)와의 결합상태가 풀리게 되면서 바로 도7b와 같이 체결 분할편 이동공간부(142)에 이르게 된다.
③ 체결 분할편 이동공간부(142)내에 이른 체결 분할편(120)은 그 체결이 해제되었으므로 느슨한 상태가 된다.
체결 분할편(120)이 느슨한 상태가 되었다하더라도 체결상태와 같이 이형철근(130)을 감싼 형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④ 체결 분할편(120)이 체결 분할편 이동공간부(142)에 이른 상태에서 이형철근(130)을 천천히 잡아당긴다.
이형철근(130)을 천천히 잡아당기게 되면 이형철근(130)과 함께 엇갈림방지 유도링(150)과 체결 분할편(120)도 끌려오게 된다.
⑤ 이형철근(130)을 계속해서 제거될 때까지 천천히 잡아당긴다.
이때 엇갈림방지 유도링(150)과 체결 분할편(120)은 도7c에서와 같이 정착구(110)에 걸려 더 이상 끌려나오지 않는다.
이형철근(130)은 엇갈림방지 유도링(150)과 느슨한 상태의 체결 분할편(120)을 통과하여 계속해서 쉽게 빠져나오게 된다.
체결 분할편(120)이 서로 엇갈리지 않고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요약한 본 발명의 정착구조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형철근(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편에 의해 소켓을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하고 이를 보링홀에 삽입하여 그라우팅하는 제거식 소일네일 시공방법에 있어서
⒜ 체결 분할편(120)의 횡방향 리브 삽입홈(124)에 이형철근(130)의 횡방향 리브(132)를 감싼 형태로 외주면 체결 나선부(122)가 정착구(110)의 체결 나선부(112a)에 맞닿게 한 후, 이형철근(130)은 그대로 둔 채, 정착구(110)만을 회전시켜 외주면 체결 나선부(122)와 체결 나선부(112a)의 체결에 의하여 제1의 정착구(110)를 이형철근(130)에 체결하는 단계;
⒝ 엇갈림방지 유도링(150)과 보호파이프(140)를 이형철근(130)에 삽입하는 단계:
⒞ 제1의 정착구(110)에 대응되는 제2의 정착구(110)를 이형철근(130)에 고정하기 전에 보호파이프(140)를 제1의 정착구(110)의 확대 공간부(114)의 테이퍼부(114a)에 견고하게 삽입시킨 다음 상기 ⒜단계에서의 고정방식에 의하여 제2의 정착구(110)를 이형철근(13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면서 동시에 일단이 제1의 정착구(110)의 확대 공간부(114)의 테이퍼부(114a)에 삽입된 보호파이프(140)의 타단을 제2의 정착구(110)의 확대 공간부(114)의 테이퍼부(114a)에 견고하게 삽입ㆍ고정하는 단계;
⒟ 제2, 3, 4, 5,ㆍㆍㆍㆍ의 정착구(110)에 각각 대응되는 제3, 4, 5,ㆍㆍㆍㆍ의 정착구(110)를 이형철근(130)에 고정하기 전에 엇갈림방지 유도링(150)과 보호파이프(140)를 정착구(110)와 정착구(110)사이의 이형철근(130)에 삽입하고, 상기 ⒞단계에서의 고정방식에 의하여 제3, 4, 5,ㆍㆍㆍㆍ의 정착구(110)를 이형철근(130)에 체결하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정착구(110)에 대응되는 보호파이프(140)를 확대 공간부(114)의 테이퍼부(114a)에 견고하게 삽입ㆍ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구조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시공방법이다.
여기에다 정착구(110)의 확대 공간부(114)에 형성된 테이퍼부(114a)는 입구측이 넓고 점차로 들어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이다. 보호파이프(140)가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서다.
정착구(110)와 반분된 체결 분할편(120)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된다.
110; 정착구
112; 이형철근 체결공간부, 112a; 체결 나선부, 114; 확대 공간부, 114a; 테이퍼부, 114b; 단턱, 118; 회전손잡이
120; 체결 분할편
122; 외주면 체결 나선부, 124; 횡방향 리브 삽입홈
130; 이형철근
132; 이형철근의 횡방향 리브, 134; 이형철근의 종방향 리브
140; 보호파이프
142; 체결 분할편 이동공간부
150; 엇갈림방지 유도링

Claims (5)

  1. 이형철근(130)의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소켓이 정착되어있으면서 소켓의 공간부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어있고, 이에 나선 결합되는 반분된 분할편의 외주면 나선부와 그 내주면에 횡방향 리브 삽입홈이 형성되어있으며, 반분된 분할편이 이형철근을 감싸고 있고, 소켓과 소켓사이에는 튜브가 설치된 제거식 소일네일 구조에 있어서

    정착구(110)에는 내경이 동일하게 형성된 이형철근 체결공간부(112)와, 그리고 확대 공간부(114)가 형성되어있되 보호파이프(140)가 확대 공간부(114)에 삽입되어 체결 분할편 이동공간부(142)가 되게 하는 한편, 정착구(110)와 정착구(110)사이에는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이 이형철근(130)에 삽입되어있되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의 외경은 확대 공간부(114)의 내경보다는 약간 작으면서 이형철근 체결공간부(112) 직경보다는 크고, 그 내경은 이형철근 체결공간부(112)의 직경보다 작으며, 또 이형철근(130)이 인발되는 과정에서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이 먼저 정착구(110)에 접면되고, 그 다음에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에 체결 분할편(120)(120)이 연이어 접면되도록 엇갈림방지 유도링(150)이 체결 분할편(120)(120) 앞에 설치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소일네일의 정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정착구(110)의 확대 공간부(114)에는 입구측이 넓고 안으로 들어갈수록 점차로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부(114a)가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소일네일의 정착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착구(110)와 반분된 체결 분할편(120)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재질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소일네일의 정착구조
  4. 이형철근(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편에 의해 소켓을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하고 이를 보링홀에 삽입하여 그라우팅하는 제거식 소일네일 시공방법에 있어서

    ⒜ 체결 분할편(120)의 횡방향 리브 삽입홈(124)에 이형철근(130)의 횡방향 리브(132)를 감싼 형태로 외주면 체결 나선부(122)가 정착구(110)의 체결 나선부(112a)에 맞닿게 한 후, 이형철근(130)은 그대로 둔 채, 정착구(110)만을 회전시켜 외주면 체결 나선부(122)와 체결 나선부(112a)의 체결에 의하여 제1의 정착구(110)를 이형철근(130)에 체결하는 단계;
    ⒝ 엇갈림방지 유도링(150)과 보호파이프(140)를 이형철근(130)에 삽입하는 단계:
    ⒞ 제1의 정착구(110)에 대응되는 제2의 정착구(110)를 이형철근(130)에 고정하기 전에 보호파이프(140)를 제1의 정착구(110)(110)의 확대 공간부(114)의 테이퍼부(114a)에 견고하게 삽입시킨 다음 상기 ⒜단계에서의 고정방식에 의하여 제2의 정착구(110)를 이형철근(13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면서 동시에 일단이 제1의 정착구(110)의 확대 공간부(114)의 테이퍼부(114a)에 삽입된 보호파이프(140)의 타단을 제2의 정착구(110)의 확대 공간부(114)의 테이퍼부(114a)에 견고하게 삽입ㆍ고정하는 단계;
    ⒟ 제2, 3, 4, 5,ㆍㆍㆍㆍ의 정착구(110)에 각각 대응되는 제3, 4, 5,ㆍㆍㆍㆍ의 정착구(110)를 이형철근(130)에 고정하기 전에 엇갈림방지 유도링(150)과 보호파이프(140)를 정착구(110)와 정착구(110)사이의 이형철근(130)에 삽입하고, 상기 ⒞단계에서의 고정방식에 의하여 제3, 4, 5,ㆍㆍㆍㆍ의 정착구(110)를 이형철근(130)에 체결하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정착구(110)에 대응되는 보호파이프(140)를 확대 공간부(114)의 테이퍼부(114a)에 견고하게 삽입ㆍ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구조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의 테이퍼부(114a)는 정착구(110)의 확대 공간부(114)의 입구측이 넓고 안으로 들어갈수록 점차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구조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시공방법
KR1020100080117A 2010-08-19 2010-08-19 제거식 소일네일의 정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시공방법 KR101086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117A KR101086144B1 (ko) 2010-08-19 2010-08-19 제거식 소일네일의 정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117A KR101086144B1 (ko) 2010-08-19 2010-08-19 제거식 소일네일의 정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144B1 true KR101086144B1 (ko) 2011-11-25

Family

ID=4539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117A KR101086144B1 (ko) 2010-08-19 2010-08-19 제거식 소일네일의 정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511A (ko) 2021-06-23 2022-12-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철근부착력 증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134Y1 (ko) 2000-02-03 2000-06-15 이상섭 소일 네일의 철근 설치 구조
KR200311872Y1 (ko) 2003-01-16 2003-05-09 박태영 개량된 소일 네일
KR100799328B1 (ko) 2006-12-27 2008-01-30 주식회사 알지오기술 제거식 네일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강철근 회수공법
KR100951927B1 (ko) * 2009-11-09 2010-04-09 (주) 효창이엔지 반회전 제거식 네일구조 및 보강철근 회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134Y1 (ko) 2000-02-03 2000-06-15 이상섭 소일 네일의 철근 설치 구조
KR200311872Y1 (ko) 2003-01-16 2003-05-09 박태영 개량된 소일 네일
KR100799328B1 (ko) 2006-12-27 2008-01-30 주식회사 알지오기술 제거식 네일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강철근 회수공법
KR100951927B1 (ko) * 2009-11-09 2010-04-09 (주) 효창이엔지 반회전 제거식 네일구조 및 보강철근 회수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511A (ko) 2021-06-23 2022-12-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철근부착력 증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2587B2 (ja) 補強土擁壁用帯形纎維補強材の施工方法
SE535627C2 (sv) Bergbult
KR101201829B1 (ko) 마이크로파일
KR100457406B1 (ko) 그라운드 앵커
KR101086144B1 (ko) 제거식 소일네일의 정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시공방법
KR101052728B1 (ko) 쐐기웨지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조립구조 및 이에 의해 소일네일을 조립ㆍ제거하는 방법
KR200352267Y1 (ko) 배수와 보강기능을 동시에 갖는 소일네일링 사면보강구조
KR101683451B1 (ko) 중앙분리부가 구비된 앵커체
KR101299432B1 (ko) 톱니형 쐐기를 구비한 스팅식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100447996B1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방법
KR100729661B1 (ko) 지반개량앵커 시공방법
KR100799328B1 (ko) 제거식 네일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강철근 회수공법
AU2008241376A1 (en) Reinforcing of formations
KR200491199Y1 (ko) 외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KR100873738B1 (ko) 연약지반 보강 앵커
KR100998622B1 (ko) 확공형 비트 앵커
KR101783439B1 (ko) 프리스트레스 보강재를 이용한 지반보강장치
JP2017066836A (ja) 土留め壁用の芯材、及び、上側芯材の撤去方法
KR102560757B1 (ko) 토목용 옹벽의 그리드 연결구조
KR100494011B1 (ko) 인장부재 해체장치용 앵커
KR200386863Y1 (ko) 네일 제거형 쏘일네일
KR20130014874A (ko) 그라운드 앵커
KR20190002026A (ko) 수평 내하력이 강화된 제거식 네일 조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네일 회수공법
KR101244992B1 (ko) 그라운드 앵커 및 그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앵커 시공 방법
KR101041443B1 (ko) 아스팔트 도로용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