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590B1 -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590B1
KR101085590B1 KR1020110084384A KR20110084384A KR101085590B1 KR 101085590 B1 KR101085590 B1 KR 101085590B1 KR 1020110084384 A KR1020110084384 A KR 1020110084384A KR 20110084384 A KR20110084384 A KR 20110084384A KR 101085590 B1 KR101085590 B1 KR 101085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user
power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종신
Original Assignee
현대공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공영(주) filed Critical 현대공영(주)
Priority to KR1020110084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물 묻은 손으로 플러그를 꽂거나 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저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내설형 전선단자함은 사용자가 커버(30)를 열기 위해 잠금장치(60)의 푸쉬버튼(63)을 누르면, 사용자 손의 전기저항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손이 물에 젖어있을 경우, 설정된 시간동안 전원을 off시킴과 동시에 팬(130)과 히터(120)를 작동시켜 열풍을 불어내어 물기를 건조시키므로, 사용자가 손에 물이 묻은 상태에서 플러그(1)를 꽂거나 빼내어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Outlet structure}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물 묻은 손으로 플러그를 꽂거나 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물기에 의한 감전사고는 물론 누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경우 가공전선이나 지중전선을 통해 공급된 전원을 배전반을 통해 각 수용가로 분기하여 공급하며, 각 수용가는 이와같이 공급된 전원을 재차 분기하여 각 콘센트나 기타 조명용 전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욕실에 설치되는 전원 콘센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전원선(21)이 연결되는 전극(20)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본체(10)에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30)가 구비된 박스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30)를 연 상태에서, 본체(10)에 콘센트를 끼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플러그(1)를 꽂은 후 커버(30)를 덮어 물이 튀어 합선이나 감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이 욕실에 설치되어 헤어드라이기 등의 가전제품의 플러그(1)를 꽂을 수 있도록 된 전선단자함은 물이 튀어 합선이 발생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손이 물에 젖은 상태에서 플러그(1)를 꽂거나 뺄 때 손에 묻은 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은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내부에 퓨즈가 구비된 전선단자함이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전선단자함의 퓨즈는 감전이 발생하면 끊어져 전기를 차단하는 것으로, 감전에 의해 발생한 사고가 확대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물 묻은 손으로 플러그를 꽂거나 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플러그(1)가 결합되는 결합부(11)가 오목하게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선(21)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11)에 결합된 플러그(1)의 레그(1a)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플러그(1)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20)과, 상단이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시 본체(10)의 결합부(11)를 덮도록 설치되어 결합부(11)에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30)와, 상기 전원선(2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감전 또는 합선의 발생시 단선되어 전원을 차단하는 퓨즈(4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상기 커버(30)에 의해 가려지는 환기공(12)이 형성되고;
공기가 채워지는 탄성 재질로 되고, 상기 커버(30)의 전면에 부착되는 쿠션튜브(32);
상기 쿠션튜브(32) 전면에 부착되며,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섬유재질로 된 흡수부재(33);
상기 커버(30)에 연결되어 커버(30)가 개방되도록 가압하는 제1 스프링(50);
상기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버(30)와 맞물려 커버(30)가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바(61)와, 상기 고정바(61)에 연결되어 고정바(61)가 커버(30)와 맞물리도록 가압하는 제2 스프링(62)과, 상기 고정바(61)의 일측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전면을 누르면 상기 고정바(61)를 회동시켜 고정바(61)와 커버(3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푸쉬버튼(63)을 포함하는 잠금장치(60);
상기 푸쉬버튼(63)의 전면에 구비된 전기접점(70);
상기 전극(2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이 푸쉬버튼(63)을 누르기 위해 상기 전기접점(70)에 접촉되었을 때 사용자의 손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전기저항 측정수단(80);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30)가 닫힌 것을 감지하는 감지스위치(90);
상기 전원선(21)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제어유닛(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선(21)을 통해 전극(20)에 인가되는 전원을 on-off시키는 전자제어스위치(110);
상기 전극(20)의 근처에 위치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히터(120) 및 팬(130);
스피커(140);
상기 결합부(11)에 삽입되는 플러그(1)의 압력을 감지해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결합감지센서(150);
상기 결합부(11)의 개수에 상응하는 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30)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160); 및
상기 전기저항 측정수단(80)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손이 물에 젖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자제어스위치(110)를 작동시켜 전극(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감지스위치(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커버(30)를 닫은 것이 감지되면, 설정된 전원 재인가 시간을 카운팅하면서 상기 스피커(140)를 통해 상기 전원 재인가까지의 잔여 시간을 출력하고, 상기 팬(130)과 히터(120)를 작동시킨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하면 상기 팬(130)과 히터(1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전자제어스위치(110)를 작동시켜 전극(2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전기저항 측정수단(80)과 감지스위치(90)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해당 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00);
을 더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내설형 전선단자함은 사용자가 커버(30)를 열기 위해 잠금장치(60)의 푸쉬버튼(63)을 누르면, 사용자 손의 전기저항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손이 물에 젖어있을 경우, 설정된 시간동안 전원을 off시킴과 동시에 팬(130)과 히터(120)를 작동시켜 열풍을 불어내어 물기를 건조시키므로, 사용자가 손에 물이 묻은 상태에서 플러그(1)를 꽂거나 빼내어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전선단자함에 물기가 묻으면서 이를 통해 누전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퓨즈 내설형 전선단자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내설형 전선단자함을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내설형 전선단자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퓨즈 내설형 전선단자함을 도시한 것으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플러그(1)가 결합되는 결합부(11)가 오목하게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선(21)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11)에 결합된 플러그(1)의 레그(1a)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플러그(1)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20)과, 상단이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시 본체(10)의 결합부(11)를 덮도록 설치되어 결합부(11)에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30)와, 상기 전원선(2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감전 또는 합선의 발생시 단선되어 전원을 차단하는 퓨즈(40)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상기 커버(30)가 욕실 벽면(2)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욕실의 벽면(2)에 매입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상기 커버(30)에 의해 가려지는 환기공(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선단자함은, 상기 커버(30)에 연결되어 커버(30)가 개방되도록 가압하는 제1 스프링(50)과, 상기 커버(30)가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장치(60)와, 상기 잠금장치(60)에 구비된 전기접점(70)과, 상기 전기접점(7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에 물이 묻어있는 지를 확인하는 전기저항 측정수단(80)과, 상기 전기저항 측정수단(80)에 연결된 제어유닛(100)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30)가 닫힌 것을 감지하는 감지스위치(90)와, 상기 전기저항 측정수단(80)과 감지스위치(90)에 연결된 제어유닛(100)과, 상기 전원선(21)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유닛(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선(21)을 통해 전극(20)에 인가되는 전원을 on-off시키는 전자제어스위치(1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히터(120), 팬(130) 및 스피커(14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단자함은 플러그(11)가 결합부(11)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결합감지센서(150)와, 결합부(11)에 대한 플러그(11)의 삽입 여부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스프링(50)은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커버(30)와 본체(1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커버(30)가 열리도록 커버(30)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열리도록 한다.
상기 잠금장치(60)는 상기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버(30)에 구비된 걸림돌기(31)와 맞물려 커버(30)가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바(61)와, 상기 고정바(61)에 연결되어 고정바(61)가 커버(30)와 맞물리도록 가압하는 제2 스프링(62)과, 상기 고정바(61)의 일측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전면을 누르면 상기 고정바(61)를 회동시켜 고정바(61)와 커버(3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푸쉬버튼(63)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61)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힌지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커버(30)의 걸림돌기(31)가 걸리는 걸림턱(61a)이 형성된다. 상기 푸쉬버튼(63)은 상기 고정바(61)의 기단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며 사용자가 전면을 누르면 상기 고정바(61)가 회동되어 고정바(61)와 커버(30)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상기 잠금장치(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종래의 전선단자함의 본체(10)에 비해 하측으로 길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30)를 닫으면 상기 제2 스프링(62)에 의해 고정바(61)의 선단부가 커버(30)의 걸림돌기(31)에 걸려 커버(30)가 열리지 않도록 하고, 도 3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푸쉬버튼(63)의 전면을 누르면 고정바(61)와 커버(30)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1 스프링(50)에 의해 커버(30)가 열리게 된다.
상기 전기접점(70)은 전기저항이 낮은 구리 등의 금속판으로 구성된 것으로,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푸쉬버튼(63)의 전면 중앙부에 상호 물리적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커버(30)를 열기 위해 푸쉬버튼(63)의 전면을 누르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한쌍의 전기접점(70)에 동시에 접촉되어 전기접점(70)이 상호 전기가 통하도록 연결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푸쉬버튼(63)을 누를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전기접점(70)을 상호 연결하는 도전체의 기능을 하여 전기접점(70)의 사이에 상호 전기가 통하게 된다.
상기 전기저항 측정수단(80)은 상기 전기접점(70)에 연결되며 전기접점(70)에 미세한 전류를 흘러보내 전기접점(70) 사이의 전기도전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푸쉬버튼(63)을 누를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전기접점(70)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손가락의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손에 물이 묻었는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즉, 사람의 인체는 일정한 수준의 전기저항을 갖고 있는데 물이 묻을 경우 전기저항이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접점(70)은 물리적으로 상호 이격되어 별도의 도전체가 양쪽의 전기접점(70)을 연결하지 않는 이상 전기가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푸쉬버튼(63)을 누르기 위해 손가락을 푸쉬버튼(63)의 전면에 손가락을 대면, 손가락이 상기 전기접점(70)에 접촉되어 전기접점(70)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이때, 상기 전기저항 측정수단(80)이 사용자의 손가락의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측정된 전기저항값이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에 물이 묻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전기저항 측정수단(80)은 전기회로의 저항을 측정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서킷테스터와 동일한 구성으로, 반도체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감지스위치(90)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매입설치되는 것으로, 전면에 상기 커버(30)에 구비된 걸림돌기(31)에 의해 눌리는 푸쉬버튼(91)이 구비되어, 커버(30)를 닫으면 상기 걸림돌기(31)에 의해 푸쉬버튼(91)이 눌려 on되고, 커버(30)가 열리면 off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스위치(90)의 on-off상태를 감시하여 커버(30)의 개폐상태를 알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전기저항 측정수단(80)과 감지스위치(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손에 물이 묻어 있는지의 여부와, 상기 커버(30)가 닫히는 것을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전자제어스위치(110)가 전원을 차단하는 시간을 카운팅하여 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결합감지센서(150)의 감지신호를 수신해서 해당 결합부(11) 내 플러그(1)의 삽입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스피커(14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출력내용을 제어한다.
상기 전자제어스위치(110)는 상기 제어유닛(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릴레이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전자제어스위치(110)는 상기 퓨즈(40)와 접점의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히터(120)와 팬(130)은 상기 전극(20)의 근처에 위치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유닛(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본체(10) 내부의 공기와 전극(20)을 가열하고, 본체(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환기공(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스피커(140)는 제어유닛(100)이 카운팅하는 시간정보를 출력해서 사용자가 전원차단 시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어유닛(100)이 강제로 전원을 차단했음을 인지하지 못한 사용자가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젖은 손으로 전선단자함을 재차 조작하는 불상사를 방지한다.
상기 결합감지센서(150)는 다수의 결합부(11)에 각각 설치되어서, 해당 결합부(11)에 플러그(1)가 삽입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결합감지센서(150)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가 적용되어서, 결합부(11)에 삽입되는 플러그(1)의 압력을 감지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감지신호를 제어유닛(100)으로 전송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는 결합부(11)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의 램프로 구성되고, 그 점멸은 제어유닛(100)의 제어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두운 상황에서도 디스플레이부(160)의 점멸 상태를 확인해서 해당 전선단자함에 꽂힌 플러그(1)의 수를 인지할 수 있고, 더불어 해당 전산단자함의 사용 가능 여부를 커버(30)를 들추지 않아도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60)는 커버(30)의 전면 또는 벽면 등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30)의 전면에는 쿠션튜브(32)가 부착되고, 쿠션튜브(32)의 전면에는 흡수부재(33)가 부착된다. 쿠선튜브(32)는 제1스프링(50)에 의해 탄발해 회동하는 커버(30)가 사용자에게 타격해 외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완충을 위한 충분한 쿠션 기능을 갖도록 내측에는 공기로 채워진 튜브형태로 제작되며, 재질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흡수부재(33)는 쿠션튜브(32) 전면에 부착되어서 손가락에 묻은 물을 닫아낼 수 있도록 섬유재질로 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미처 손을 닦지 못한 상태에서 전선단자함을 조작하기 전 흡수부재(33)에 손을 닦아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흡수부재(33)는 쿠션튜브(32) 전면에 부착되므로, 손가락을 흡수부재(33)에 밀착시키면 손가락이 쿠션튜브(32)를 파고 안쪽으로 삽입되므로 흡수부재(33)가 손가락을 감쌀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손가락에 묻은 물을 효과적으로 닦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손가락을 흡수부재(33)로부터 떼면 흡수부재(33)는 쿠션튜브(32)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고, 자체 건조된다. 참고로, 흡수부재(33)는 쿠션튜브(32)와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탈착부재를 매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해서, 흡수부재(33)의 세탁 및 건조가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전선단자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상기 전기저항 측정수단(80)은 상기 전기접점(70) 사이의 저항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전기저항 측정수단(80)의 신호를 감시한다. 이때, 상기 전기접점(70)은 상호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지 않았으므로, 전기접점(70) 사이에는 전기가 흐르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커버(30)를 열기 위해 푸쉬버튼(63)을 누르면, 상기 전기접점(70)이 손가락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저항 측정수단(80)이 손가락의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상기 제어유닛(100)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전기저항 측정수단(80)에서 출력되는 손가락의 전기저항값을 수신하여 수신된 손가락의 전기저항값이 기준값보다 낮을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에 물이 묻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자제어스위치(110)를 off시켜 전극(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자제품의 플러그(1)를 상기 본체(10)의 결합부(11)에 끼우거나 결합부(11)에 끼워진 플러그(1)를 뺀 후 커버(30)를 닫으면,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감지스위치(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커버(30)를 닫은 것이 감지되고, 상기 팬(130)과 히터(120)를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시켜 본체(10) 내부의 습기를 가열하여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본체(10) 내부를 건조시키며, 이 시점부터 재인가 시까지의 시간을 카운팅하면서 스피커(140)를 통해 일정 시간마다 재인가 시까지의 잔여 시간을 안내한다. 스피커(140)를 통한 안내는 1초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5초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들을 혼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시간이 아닌 단순 안내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일 예로, "잠시 후 전원이 공급됩니다"와 같은 멘트를 출력시켜서 사용자로 하여금 전선단자함을 재조작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팬(130)과 히터(120)는 그 동작시간이 30초 또는 1분 등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므로, 제어유닛(100)은 커버(30)를 닫으면서 감지스위치(90)가 조작되는 때를 시점으로 상기 동작시간인 30초 또는 1분을 카운팅하고, 스피커(140)를 통해 카운팅한 내용을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유닛(100)이 결합감지센서(150)의 감지신호를 미수신한 경우 스피커(140)를 통한 전술한 안내를 생략할 수 있다. 이는 결합부(11)에 플러그(1)가 꽂혀있지 않았다는 것은 사용자가 별다른 전기기구의 사용을 고려하지 않음을 방증하는 것이므로, 불필요하게 안내를 진행해서 소음을 일으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설정된 시간인 동작시간이 경과 하면,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팬(130)과 히터(1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전자제어스위치(110)를 on시켜 전극(2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전선단자함은 사용자가 플러그(1)를 꽂거나 빼기 위해 커버(30)를 열기 위해서는 상기 잠금장치(60)의 푸쉬버튼(63)을 눌러야 하며, 이때,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전기저항 측정수단(80)의 신호를 감시하여 사용자의 손에 물이 묻어있는 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손에 물이 묻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제어스위치(110)를 off시켜 전극(2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에 묻은 물에 의해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극(20)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 후, 사용자가 커버(30)를 닫으면 히터(120)와 팬(130)을 작동시키므로,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있을 경우, 열과 바람을 이용하여 물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히터(120)와 팬(130)은 커버(30)가 닫힌 상태에서 작동되므로, 상기 환기공(12)을 통해 배출된 뜨거운 바람이 커버(30)에 의해 갇히게 되며, 따라서, 본체(10)의 전면에 묻어있는 수분까지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전원선(21)에는 퓨즈(40)가 연결되어, 상기 전기저항 측정수단(80)이나 제어유닛(100) 또는 전자제어스위치(110) 등에 이상이 발생되어 작동불량이 발생될 경우, 감전사고가 발생되면 퓨즈(40)가 끊어져 감전사고가 커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본체 12. 환기공
20. 전극 30. 커버
40. 퓨즈 50. 제1 스프링
60. 잠금장치 70. 전기접점
80. 전기저항 측정수단 90. 감지스위치
100. 제어유닛 110. 전자제어스위치
120. 히터 130. 팬
150; 결합감지센서 160; 디스플레이부

Claims (1)

  1.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플러그(1)가 결합되는 결합부(11)가 오목하게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선(21)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11)에 결합된 플러그(1)의 레그(1a)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플러그(1)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20)과, 상단이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시 본체(10)의 결합부(11)를 덮도록 설치되어 결합부(11)에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30)와, 상기 전원선(2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감전 또는 합선의 발생시 단선되어 전원을 차단하는 퓨즈(4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상기 커버(30)에 의해 가려지는 환기공(12)이 형성되고;
    공기가 채워지는 탄성 재질로 되고, 상기 커버(30)의 전면에 부착되는 쿠션튜브(32);
    상기 쿠션튜브(32) 전면에 부착되며,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섬유재질로 된 흡수부재(33);
    상기 커버(30)에 연결되어 커버(30)가 개방되도록 가압하는 제1 스프링(50);
    상기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버(30)와 맞물려 커버(30)가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바(61)와, 상기 고정바(61)에 연결되어 고정바(61)가 커버(30)와 맞물리도록 가압하는 제2 스프링(62)과, 상기 고정바(61)의 일측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전면을 누르면 상기 고정바(61)를 회동시켜 고정바(61)와 커버(3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푸쉬버튼(63)을 포함하는 잠금장치(60);
    상기 푸쉬버튼(63)의 전면에 구비된 전기접점(70);
    상기 전극(2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이 푸쉬버튼(63)을 누르기 위해 상기 전기접점(70)에 접촉되었을 때 사용자의 손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전기저항 측정수단(80);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30)가 닫힌 것을 감지하는 감지스위치(90);
    상기 전원선(21)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제어유닛(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선(21)을 통해 전극(20)에 인가되는 전원을 on-off시키는 전자제어스위치(110);
    상기 전극(20)의 근처에 위치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히터(120) 및 팬(130);
    스피커(140);
    상기 결합부(11)에 삽입되는 플러그(1)의 압력을 감지해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결합감지센서(150);
    상기 결합부(11)의 개수에 상응하는 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30)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160); 및
    상기 전기저항 측정수단(80)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손이 물에 젖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자제어스위치(110)를 작동시켜 전극(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감지스위치(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커버(30)를 닫은 것이 감지되면, 설정된 전원 재인가 시간을 카운팅하면서 상기 스피커(140)를 통해 상기 전원 재인가까지의 잔여 시간을 출력하고, 상기 팬(130)과 히터(120)를 작동시킨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하면 상기 팬(130)과 히터(1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전자제어스위치(110)를 작동시켜 전극(2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전기저항 측정수단(80)과 감지스위치(90)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해당 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0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KR1020110084384A 2011-08-24 2011-08-24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KR101085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384A KR101085590B1 (ko) 2011-08-24 2011-08-24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384A KR101085590B1 (ko) 2011-08-24 2011-08-24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590B1 true KR101085590B1 (ko) 2011-11-25

Family

ID=4539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384A KR101085590B1 (ko) 2011-08-24 2011-08-24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5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404B1 (ko) 2012-04-26 2012-11-09 (주)신명전력산업 결로방지 및 제습 기능을 갖춘 수배전반
CN108808332A (zh) * 2018-06-19 2018-11-13 陈重 一种智能控电的安全插座
KR102194129B1 (ko) * 2020-06-15 2020-12-22 (주)신영전력기술단 공동주택 실내전기의 누전차단시스템
KR102247373B1 (ko) * 2020-06-26 2021-05-03 (주)화봉전기 결로방지 기능을 갖춘 콘센트 커버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67B1 (ko) 2009-10-15 2010-04-28 (주)삼우전기컨설턴트 공동주택의 절전형 스위치 배전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67B1 (ko) 2009-10-15 2010-04-28 (주)삼우전기컨설턴트 공동주택의 절전형 스위치 배전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404B1 (ko) 2012-04-26 2012-11-09 (주)신명전력산업 결로방지 및 제습 기능을 갖춘 수배전반
CN108808332A (zh) * 2018-06-19 2018-11-13 陈重 一种智能控电的安全插座
CN108808332B (zh) * 2018-06-19 2024-02-27 陈重 一种智能控电的安全插座
KR102194129B1 (ko) * 2020-06-15 2020-12-22 (주)신영전력기술단 공동주택 실내전기의 누전차단시스템
KR102247373B1 (ko) * 2020-06-26 2021-05-03 (주)화봉전기 결로방지 기능을 갖춘 콘센트 커버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902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의 퓨즈 내설형 전원박스
KR101085590B1 (ko)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CA2441463C (en) Safety electrical outlet with logic control circuit
WO2017044947A4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ensing temperature to prevent electrical fires
US7116191B2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protection
KR101104825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
AU2002251799A1 (en) Safety electrical outlet with logic control circuit
MXPA05006763A (es) Interruptor de deteccion de corriente de fuga con modulo sensor para detectar condiciones no electricas anormales.
US5013891A (en) Personal appliance having shock protection circuitry
KR101066903B1 (ko)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기능을 갖춘 배전함
CN202434818U (zh) 一种具有漏电报警功能的电源插座
CN110890675A (zh) 一种防漏电开关
CA2576382A1 (en) Leakage current detector interrupter with reset lockout
WO2018002577A1 (en) Heat alarm integrated into a mains power plug
CN201149977Y (zh) 即热式电热水器专用的带漏电保护器接线盒
DE50010256D1 (de) Überwachungseinrichtung für elektrische Verbraucher
KR101227658B1 (ko) 누설전류 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KR102194129B1 (ko) 공동주택 실내전기의 누전차단시스템
CN206947595U (zh) 漏电保护插头、漏电保护电源线及电器设备
CN211017632U (zh) 一种漏电保护插头的过热保护装置
KR200442250Y1 (ko) 전기 스파크감지장치를 갖는 누전차단기
JP7126201B2 (ja) 開閉器システム、分電盤、開閉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05045A (ko) 화재예방 전선 알림기
KR200406279Y1 (ko) 꽂임형 누전, 과부하 차단콘센트.
TW201207405A (en) Electrical leakage and overcurrent de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