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224B1 - 베일러 - Google Patents

베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224B1
KR101085224B1 KR1020110033735A KR20110033735A KR101085224B1 KR 101085224 B1 KR101085224 B1 KR 101085224B1 KR 1020110033735 A KR1020110033735 A KR 1020110033735A KR 20110033735 A KR20110033735 A KR 20110033735A KR 101085224 B1 KR101085224 B1 KR 101085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ermentation agent
feed
power
supply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중
김정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죽암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죽암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죽암기계
Priority to KR1020110033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0816Devices for dispensing chemicals in bales during 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베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료작물을 수거하는 픽업부와, 픽업부를 통해 수거되는 사료작물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사료작물을 수집하여 곤포, 압축하여 결속시키는 곤포부와, 픽업부에 의해 수거되는 사료작물의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사료작물에 발효제를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일러는 분사부를 통해 픽업부에 의해 수거되는 사료작물에 발효제를 분사하여 사료작물의 발효를 촉진시켜 발효시간을 단축시키므로 영양분이 풍부하여 품질이 우수한 사료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베일러{Baler}
본 발명은 베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픽업부에 의해 수거된 볏짚 또는 목초 등과 같은 사료작물을 포장시, 사료작물의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발효제를 분사하는 분사수단이 마련된 베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볏짚 또는 목초 등은 최근 들어 가축의 사료용으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수확이 끝난 볏짚을 별도의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수거하고, 수거된 볏짚과 목초를 압축, 결속 및 포장하여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결속 및 포장되어 밀폐된 볏짚 및 목초는 베일의 내부에서 일부의 발효가 이루어지게 되어 사료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상기한 종래의 목초 및 볏짚 수거장치의 일 예로서, 주로 논 및 초지에서 이용하는 트랙터의 후방에 원형 베일러(round baler) 또는 사각 베일러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트랙터를 주행하면서 베일러를 통해 목초나 볏짚 등의 사료작물을 수거하도록 하는데, 상기 원형 베일러는 목초나 볏짚 등의 사료작물을 수거하는 수거부와, 상기 수거부를 통해 수거된 볏짚을 곤포, 압축하여 결속시키도록 하는 곤포부로 구성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55315호에서는 '자립형 목초 수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자립형 목초 수확장치'는 엔진이 탑재되고, 조향장치를 갖는 차량유닛과, 상기 차량유닛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목초를 끌어들이는 인입유닛과, 상기 차량유닛의 전방부에 상기 인입유닛과 근접하게 설치되는 절단유닛, 상기 차량유닛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된 목초로 베일을 형성하는 베일러 유닛과, 상기 절단유닛과 상기 베일러유닛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절단유닛을 통해 절단된 목초를 상기 베일러유닛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유닛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자립형 목초 수확장치는 인입유닛에 의해 인입된 목초를 발효시키기 위한 별도의 발효수단이 개시되어 있지 않아 상기 목초로 이루어진 베일을 발효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어 상기 베일로 제조되는 사료의 질이 떨어지며, 상기 베일을 발효시킬 경우, 상기 베일을 이용해 사료를 제작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픽업부에 의해 수거되는 사료작물에 발효제를 분사하여 사료작물의 발효를 촉진시키는 베일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베일러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료작물을 수거하는 픽업부와, 상기 픽업부를 통해 수거되는 상기 사료작물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사료작물을 수집하여 곤포, 압축하여 결속시키는 곤포부와, 상기 픽업부에 의해 수거되는 상기 사료작물의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사료작물에 발효제를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발효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용용기와, 상기 수용용기에 연통되며, 내부에 상기 발효제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된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픽업부에 의해 수거되는 상기 사료작물에 상기 발효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에 설치된 분사노즐과,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용기 내에 수용된 상기 발효제를 펌핑하여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일러는 외부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시가잭이 마련된 운송수단에 상기 프레임이 연결되어 견인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시가잭에 접속되어 상기 시가잭을 통해 상기 운송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 및 상기 공급펌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을 통해 공급된 전원을 상기 공급펌프에 전달하는 전원선과, 상기 공급펌프로 전달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제어부가 마련된 전원전달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발효제가 주입되는 상기 수용용기의 주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발효제는 통과되되, 상기 발효제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걸림망체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일러는 분사부를 통해 픽업부에 의해 수거되는 사료작물에 발효제를 분사하여 사료작물의 발효를 촉진시켜 발효시간을 단축시키므로 영양분이 풍부하여 품질이 우수한 사료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일러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베일러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베일러의 분사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베일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일러(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베일러(10)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사료작물을 수거하는 픽업부(30)와, 픽업부(30)를 통해 수거된 사료작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40)와, 상기 이송부(40)를 통해 이송되는 사료작물을 수집하여 곤포, 압축하여 결속시키는 곤포부(50)와, 픽업부(30)에 의해 수거되는 사료작물의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사료작물에 발효제(66)를 분사하는 분사유닛(60)을 구비한다.
프레임(20)은 양측 하면에는 복수개의 이동바퀴가 설치되며, 전방측에는 트랙터와 같은 운송수단(15)에 연결되어 견인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20)은 상면에 설치된 픽업부(30) 및 곤포부(5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스틸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는 프레임(20)의 전방측에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형성되며, 전단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이중 굴절 조인트가 설치되어 있다.
픽업부(30)는 프레임(20)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지면에 분포된 볏짚 또는 목초와 같은 사료작물을 수집한다. 픽업부(3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승강실린더에 의해 프레임(2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시 픽업스프링이 인출되며 후면부 및 하면부위에 인입되는 픽업유닛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픽업유닛의 각 픽업스프링들 사이에 설치되는 스트립 상의 단위커버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단위커버는 픽업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봉에 양단부가 지지된 반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송부(40)는 일단이 픽업부(30)의 후방에 설치되며,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벨트컨베이어로 구성된다. 이송부(40)는 픽업부(30)보다 상방에 위치한 곤포부(50)로 사료작물을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타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곤포부(50)는 이송부(40)의 후방측 상기 프레임(20) 상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사료작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베일챔버(51)와, 상기 베일챔버(51) 내에 수용된 상기 사료작물을 곤포, 압축하여 결속시키는 결속부재(52)를 구비한다.
베일챔버(51)는 육각단면을 갖고, 좌우측으로 연장형성되며, 하측 전방면에는 이송부(40)의 타단이 인입되게 설치되어 이송부(40)를 통해 이송되는 사료작물이 수용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53)가 형성되어 있다.
베일챔버(51)는 결속부재(52)에 의해 수용공간 내에 제조된 베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측이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분리본체(54,55)를 구비한다. 제1분리본체(54)는 하면이 프레임(20)의 상면에 고정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분리본체(55)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에 의해 회동된다. 베일챔버(51) 내에서 사료작물을 이용하여 베일 형성이 완료되면, 베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2분리본체(55)는 실린더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된다.
결속부재(52)는 베일챔버(51)의 좌우측 연장방향 나란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형 궤적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결속롤러(56)와, 상기 결속롤러(56)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결속롤러(56)는 베일챔버(51)의 좌우 내측면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에 의해 결속롤러(56)들은 각각 회전되고, 결속로럴의 회전력에 의해 베일챔버(51) 내에 유입된 사료작물은 압축되어 베일을 형성한다.
분사유닛(60)은 픽업부(30)에 의해 수거된 사료작물의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이송부(40)를 통해 이송되는 사료작물에 발효제(66)를 분사한다. 분사유닛(60)은 발효제(66)가 수용된 수용용기(61)와, 수용용기(61)에 연통되게 연결된 공급관(62)과, 공급관(62)의 단부에 설치된 분사노즐(63)과, 공급관(62)에 설치되어 발효제(66)를 펌핑하는 공급펌프(64)와, 운송수단(15)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공급펌프(64)에 전달하는 전원전달부(70)를 구비한다.
수용용기(61)는 베일챔버(51)의 제1분리본체(54) 상면에 설치되며, 베일챔버(51)의 폭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된다. 수용용기(61)는 내부에 다량의 발효제(66)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발효제(66)를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수용용기(61)는 상면에 주입구를 덮을 수 있도록 덮개가 설치되고, 외측면에는 수용공간 내의 발효제(66) 양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유량계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용기(61)의 하측면에는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발효제(66)를 교환하거나 수용용기(61) 내를 청소시 발효제(66)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드레인관(6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관(65)은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조절밸브가 설치된다.
한편, 수용용기(61)의 내부에는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발효제(66)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걸림망체가 설치된다. 걸림망체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걸림망체는 발효제(66)는 통과되되, 발효제(66)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질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메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관(62)은 수용용기(61)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용기(61) 내에 수용된 발효제(66)가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관(62)의 단부는 브라켓(67)에 의해 이송부(40)의 상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프레임(20)에 고정된다. 공급관(62)의 단부 외주면에는 분사노즐(63)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공급관(62)은 내부에 유동하는 발효제(66)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텐일레스 강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노즐(63)은 공급관(62)의 단부에 연결되어 공급관(62)을 통해 유동하는 발효제(66)를 이송부(40)에 의해 이송되는 사료작물에 분사한다. 분사노즐(63)은 내부에 공급관(62)을 통해 유동된 발효제(66)가 유동하는 유로가 마련되며, 일단면에는 유로를 통해 이송되는 발효제(66)가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분사노즐(63)의 유로는 분사공으로 통해 분사되는 발효제(66)의 유속이 증가할 수 있도록 타단에서 일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분사노즐(63)은 공급관(62)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타단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분사노즐(63)을 공급관(62)의 타단에 나사결합하여 설치한 다음, 공급관(62)의 외주면과 노즐의 내주면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본딩처리한다. 분사노즐(63)과 공급관(62) 사이에 본딩처리되므로 기밀이 유지되어 발효제(66)가 분사노즐(63) 및 공급관(62)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분사노즐(63)은 공급관(62)을 통해 공급되는 발효제(66)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식성이 우수한 크롬 도금처리한다.
공급펌프(64)는 수용용기(61)와 공급관(62) 사이에 설치되며, 수용용기(61) 내에 수용된 발효제(66)를 펌핑하여 공급관(62)에 공급된다. 공급펌프(64)는 수용용기(61)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전원전달부(70)를 통해 트랙터와 같은 운송수단(15)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기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전달부(70)는 운송수단(15)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펌프(64)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커넥터(71)와, 커넥터(71) 및 공급펌프(64) 사이에 설치되어 커넥터(71)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펌프(64)에 전달하는 전원선(72)과, 공급펌프(64)로 전달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분사노즐(63)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제어부(73)를 구비한다.
커넥터(71)는 트랙터와 같은 운송수단(15)에 마련된 시가잭(16)에 삽입되어 접속될 수 있도록 시가잭(16) 소켓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커넥터(71)는 시가잭(16)에 삽입되어 시가잭(16)에 의해 운송수단(15)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전원선(72)은 일단은 커넥터(71)에, 타단은 공급펌프(64)에 설치되어 커넥터(71)에 공급된 전원을 공급펌프(64)에 전달한다. 전원선(72)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전기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전력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73)는 전원선(72)에 연결되어 공급펌프(64)로 전달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공급펌프(64)를 제어한다. 제어부(73)는 운송수단(15)에 탑승한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운송수단(15)의 탑승석 인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73)는 공급펌프(64)로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74)와, 전원선(72)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조절하여 공급펌프(64)의 발효제(66) 펌핑 양을 조절하는 분사량 조절휠(75)과, 작업자가 설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발효제(66)의 분사시기를 조절하는 타이머(76)를 구비한다.
작업자는 제어부(73)를 통해 발효제(66)의 분사량 또는 분사 간격을 조절하여 공급펌프(64)에 전원을 공급한다. 공급펌프(64)는 전원선(72)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따라 작동하여 수용용기(61)에 수용된 발효제(66)를 펌핑하여 공급관(62)에 공급한다. 공급펌프(64)에 의해 펌핑되어 공급관(62) 내에 주입된 발효제(66)는 공급관(62)을 따라 유동하며 분사노즐(63)로 공급되며, 분사노즐(63)에 의해 이송부(40)에 이송되는 사료작물에 분사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베일러(1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송수단(15)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픽업부(30)는 지면에 산포된 다수의 볏짚 또는 목초와 같은 사료작물을 수거한다. 이때, 픽업부(30)는 운송수단(15)에 의해 견인되어 이동되며, 다량의 사료작물을 수거한다.
픽업부(30)에 의해 수거된 사료작물은 픽업부(30)의 후방에 설치된 이송부(40)에 의해 베일챔버(51)로 이송된다. 베일챔버(51) 내로 이송된 사료작물은 결속부재(52)에 의해 곤포, 압축되어 결속된다. 사료작물이 결속되어 베일의 형성이 완료되면 제2분리본체(55)가 회동되어 베일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분사유닛(60)은 이송부(40)의 상측에 위치한 분사노즐(63)을 통해 사료작물에 발효제(66)를 분사한다. 분사유닛(60)에 의해 분사된 발효제(66)에 의해 사료작물로 이루어진 베일은 발효가 촉진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일러(10)는 분사부를 통해 픽업부(30)에 의해 수거되는 사료작물에 발효제(66)를 분사하여 사료작물의 발효를 촉진시켜 발효시간을 단축시키므로 영양분이 풍부하여 품질이 우수한 사료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베일러
20: 프레임
30: 픽업부
40: 이송부
50: 곤포부
60: 분사유닛
61: 수용용기
62: 공급관
63: 분사노즐
64: 공급펌프
70: 전원전달부
71: 커넥터
72: 전원선
73: 제어부

Claims (4)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료작물을 수거하는 픽업부와;
    상기 픽업부를 통해 수거되는 상기 사료작물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사료작물을 수집하여 곤포, 압축하여 결속시키는 곤포부와;
    상기 픽업부에 의해 수거되는 상기 사료작물의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사료작물에 발효제를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발효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용용기와,
    상기 수용용기에 연통되며, 내부에 상기 발효제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된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픽업부에 의해 수거되는 상기 사료작물에 상기 발효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되, 상기 발효제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크롬도금된 분사노즐과,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용기 내에 수용된 상기 발효제를 펌핑하여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운송수단에 상기 프레임이 연결되어 견인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연결부와,
    상기 운송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운송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 및 상기 공급펌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상기 공급펌프에 전달하는 전원선과,
    상기 공급펌프로 전달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제어부가 마련된 전원전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펌프로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공급펌프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공급펌프의 발효제 펌핑 양을 조절하는 분사량 조절휠과,
    설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발효제의 분사시기를 조절하는 타이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발효제가 주입되는 상기 수용용기의 주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발효제는 통과되되, 상기 발효제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걸림망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
KR1020110033735A 2011-04-12 2011-04-12 베일러 KR101085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735A KR101085224B1 (ko) 2011-04-12 2011-04-12 베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735A KR101085224B1 (ko) 2011-04-12 2011-04-12 베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224B1 true KR101085224B1 (ko) 2011-11-21

Family

ID=45397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735A KR101085224B1 (ko) 2011-04-12 2011-04-12 베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2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935B1 (ko) 2012-02-09 2014-02-12 허우영 첨가제 정량 투입 장치가 구비된 원형 곤포 결속기
KR101364181B1 (ko) 2011-12-15 2014-02-19 주식회사 죽암기계 베일러
KR101954598B1 (ko) 2017-08-29 2019-03-06 주식회사 명성 베일 밀도 조정이 가능한 원형베일 성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181B1 (ko) 2011-12-15 2014-02-19 주식회사 죽암기계 베일러
KR101359935B1 (ko) 2012-02-09 2014-02-12 허우영 첨가제 정량 투입 장치가 구비된 원형 곤포 결속기
KR101954598B1 (ko) 2017-08-29 2019-03-06 주식회사 명성 베일 밀도 조정이 가능한 원형베일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85392A (zh) 钢辊式圆捆捡拾打捆机
US20100326037A1 (en) Crop Residue Baler Integrated with Harvester, Method for Baling Crop Residue, and Resulting Trapezoidal Crop Residue Bale
KR101085224B1 (ko) 베일러
US7370575B2 (en) Crop re-hydration system carried by a large square baler
US20100330337A1 (en) Crop Residue Baler Integrated With Harvester, Method for Baling Crop Residue, and Resulting Trapezoidal Crop Residue Bale
CN201294760Y (zh) 秸秆粉碎还田型自走式玉米联合收获机
US9510513B2 (en) After-threshing arrangement for a combine harvester
CN205694298U (zh) 一种青饲料收割打捆收获机
US20230087530A1 (en) Separator for a grape collection unit
US4550556A (en) System for injection of liquid or granular material into a round hay bale
KR101359935B1 (ko) 첨가제 정량 투입 장치가 구비된 원형 곤포 결속기
CN201541495U (zh) 一种纵向轴流联合收割机卸粮粮箱
US8844251B2 (en) Cotton accumulator system with paddles and upper inlet vane
US7275359B2 (en) Cleaning arrangement for a fruit harvesting machine
CN109699289A (zh) 一种青贮玉米收获打捆裹膜机
US20140290198A1 (en) Crop Residue Baler Integrated with Harvester, Method for Baling Crop Residue, and Resulting Trapezoidal Crop Residue Bale
CN205912876U (zh) 新型青贮秸秆打捆罩网包膜一体机
KR101364181B1 (ko) 베일러
CN109121742A (zh) 一种具有预打捆的全自动捡拾圆捆打捆机
CN209030638U (zh) 一种具有预打捆的全自动捡拾圆捆打捆机
KR101083826B1 (ko) 베일러
CN205336923U (zh) 一种自走式玉米脱粒机
CN200953761Y (zh) 配装喷液系统的圆捆捡拾打捆机
CN108243711A (zh) 一种将秸秆压制成颗粒物料的谷物联合收割机
CN217069869U (zh) 一种用于水稻种植的便携式洗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