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755B1 -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 - Google Patents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755B1
KR101084755B1 KR1020080091285A KR20080091285A KR101084755B1 KR 101084755 B1 KR101084755 B1 KR 101084755B1 KR 1020080091285 A KR1020080091285 A KR 1020080091285A KR 20080091285 A KR20080091285 A KR 20080091285A KR 101084755 B1 KR101084755 B1 KR 101084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uxiliary
front door
open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2229A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김영호
준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준이앤씨(주)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2008009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7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2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0Peep-holes; Devices for speaking through; Doors having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관문에 있어서, 상기 현관문의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도어와; 상기 현관문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보조도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보조도어의 구동으로 상기 개구부가 개구될 때, 상기 현관문을 잠그는 보조잠금부와; 상기 보조도어의 구동시, 상기 보조도어에 가해지는 인위적인 외력을 감지하여 상기 보조도어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보조도어 정지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보조도어의 개폐시 현관문을 자동으로 잠금상태에 있게 하고, 인위적인 외력이 보조도어에 가해졌을 경우에는 보조도어의 개폐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현관문, 보조도어, 자동잠금, 정지, 외력, 감지

Description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ENTRANCE DOOR WITH AID-DOOR}
본 발명은 현관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도어가 설치된 현관문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와서는 아파트 생활이 보편화됨에 따라 방문자의 신분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관문을 열어주게 되면, 범죄로부터의 위험이 초래될 가능성이 많았다. 이에, 현관문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방문자를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점차 요구되고 있다.
방문자를 확인하기 위해, 종래에는 현관문에 소정의 렌즈(또는 투시경)가 설치되어, 현관문을 열기 전에 방문자를 먼저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현관문의 렌즈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항상 같은 높이만 보이므로, 어린이나 키가 큰 방문자의 경우에는 얼굴을 정확히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렌즈는 가시범위가 제한되어 있어, 방문자가 가시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방문자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현관문에 보조도어를 구비하여, 방문자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보조도어 기능을 갖는 현관문이 개발되었다.
보조도어 기능을 갖는 현관문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16822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보조도어 기능을 갖는 현관문은 현관문의 상측에 소정의 면적으로 개구시키고, 이를 보조도어에 의해 개폐토록 하였다.
그러나, 보조도어에 의해 개구되는 개구부가 방문자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가시범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일반인의 눈높이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보조도어는 소정의 면적이라 할지라도 개구부가 외부와 연통되게 개구되고, 일반인의 눈높이에 위치되므로 침입자로부터의 위험에 여전히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침입자로부터의 위험을 예방하며, 방문자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보조도어의 안전성 및 기능성이 강화된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관문에 있어서, 상기 현관문의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도어와; 상기 현관문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보조도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보조도어의 구동으로 상기 개구부가 개구될 때, 상기 현관문을 잠그는 보조잠금부와; 상기 보조도어의 구동시, 상기 보조도어에 가해지는 인위적인 외력을 감지하여 상기 보조도어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보조도어 정지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보조도어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힌지축에 의해 힌지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힌지축에 설치된 제1웜기어와; 상기 제1웜기어에 맞물리는 제1웜과; 상기 제1웜을 정역회전시키는 제1정역회전모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보조도어가 여닫이식일 경우의 상기 보조잠금부는 상기 힌지축에 설치된 제1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에 맞물리는 래크기어를 일측에 구비하고, 상기 제1피니언의 구동시 상기 현관문 외부로 진퇴되는 제1보조잠금바와; 상기 현관문의 문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보조잠금바가 인입되는 인입홀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보조도어가 여닫이식일 경우의 상기 보조잠금부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힌지축에 설치된 제1캠과; 상기 제1캠에 일단이 접촉되어 상기 제1캠의 회전시 상기 현관문 외부로 진퇴되는 제2보조잠금바와; 상기 현관문의 문틀에 형성되어 상기 제2보조잠금바가 인입되는 인입홀과; 상기 인입홀에 인입된 상기 제2보조잠금바를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보조도어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조도어의 테두리에 상기 보조도어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구동래크바와; 상기 구동래크바의 기어치에 맞물리는 제2웜기어와; 상기 제2웜기어에 맞물리는 제2웜과; 상기 제2웜을 정역회전시키는 제2정역회전모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보조도어가 미닫이식일 경우의 상기 보조잠금부는 상기 구동래크바의 기어치에 맞물리는 제1구동기어와; 상기 제1구동기어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2피니언과; 상기 제2피니언에 맞물리는 래크기어를 일측에 구비하고, 상기 제2피니언의 구동시 상기 현관문 외부로 진퇴되는 제3보조잠금바와; 상기 현관문의 문틀에 형성되어 상기 제3보조잠금바가 인입되는 인입홀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보조도어가 미닫이식일 경우의 상기 보조잠금부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구동래크바의 기어치에 맞물리는 제2구동기어와; 상기 제2구동기어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2캠과; 상기 제2캠에 일단이 접촉되어 상기 제2캠의 회전시 상기 현관문 외부로 진퇴되는 제4보조잠금바와; 상기 현관문의 문틀에 형성되어 상기 제4보조잠금바가 인입되는 인입홀과; 상기 인입홀에 인입된 상기 제4보조잠금바를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보조도어의 개폐시 현관문을 자동으로 잠금상태에 있게 하고, 인위적인 외력이 보조도어에 가해졌을 경우에는 보조도어의 개폐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현관문(10)의 상측에 개구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도어(20)와, 개구부가 개폐되게 보조도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0)와, 개구부가 개구될 때 현관문(10)을 잠그는 보조잠금부(40)와, 보조도어의 구동시 보조도어에 인위적인 외력이 가해지면 보조도어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보조도어 정지부(50)로 이루어져 있다.
보조도어(20)는 내부에서는 외부를 볼 수 있지만, 외부에서는 내부를 볼 수가 없는 반투명의 투시창(21)이 형성되어 1차적으로 방문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투시창(21)의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강화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60은 개구부가 차폐된 상태로 보조도어를 개구부에 고정시키는 보조도어 고정수단이다. 보조도어 고정수단은 개구부의 테두리에 탄성력에 의해 진퇴되게 설치된 걸림돌기(미도시)가 닫혀진 보조도어의 테두리에 걸림으로써 보조도어를 개구부에 고정시키게 된다.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도어는 개구부에 힌지연결되어 회동되는 여닫이식과, 개구부 일측 테두리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닫이식이 있는데, 위의 두가지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보조도어가 여닫이식인 경우, 보조도어(20)는 일측 양측에 돌출된 힌지축(22)이 개구부의 일측에 힌지연결된다.(도 2, 도 3참조)
도 2를 참조하면, 구동부(30)는 개구부의 일측에 연결된 힌지축의 선단에 설치되는 제1웜기어(31a)와, 제1웜기어에 맞물리는 제1웜(31b)과, 제1웜을 정역회전시키는 제1정역회전모터(31c)로 이루어져 있다.
제1정역회전모터(31c)는 현관문(10)의 내부에 고정된 프레임(31d)에 설치되어 위치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조잠금부(40)는 현관문(10)에 기설치된 잠금장치이외에 보조도어의 개폐시 별도로 구동되는 잠금장치이다.
이러한 보조잠금부(40)는 제1웜기어가 설치되지 않은 반대측 힌지축(22)의 선단에 설치되는 제1피니언(41a)과, 제1피니언에 맞물리는 래크기어를 일측에 구비하고 제1피니언의 구동시 현관문의 외부로 진퇴되는 제1보조잠금바(41b)와, 현관문의 문틀(11)에 형성되어 제1보조잠금바가 인입되는 인입홀(80)로 이루어져 있다.
제1보조잠금바(41b)는 현관문(10)의 내부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브라켓(70)에 의해 진퇴가 가이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인 보조잠금부(40)는 힌지축의 선단에 설치된 제1캠(42a)과, 제1캠에 일단이 접촉되어 제1캠의 회전시 현관문 외부로 진퇴되는 제2보조잠금바(42b)와, 현관문 문틀에 형성되어 제2보조잠금바가 인입되는 인입홀(80)과, 인입홀에 인입된 제2보조잠금바를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제1탄성부재(42c)로 이루어져 있다.
제2보조잠금바(42b)도 브라켓(70)에 의해 진퇴가 가이드되고, 제1탄성부재(42c)는 브라켓(70)에 지지되어 제2보조잠금바(42b)를 인입홀(80)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보조잠금부(40)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실시 예에서 언급한 제1,2보조잠금바(41b,42b)를 구동시키는 제1피니언(41a)과, 제1캠(42a)을 별도의 제1구동모터(43a)에 의해 회전시킬 수도 있도록 구성하고, 제1구동모터(43a)의 구동은 보조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하는 보조도어 개폐센서(9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은 제어부(100)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도 5참조)
보조도어 개폐센서(90)는, 리미트스위치, 적외선센서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도어 정지부(50)는 보조도어(20)에 가해지는 인위적인 외력을 감지하는 비틀림센서(51) 및 충격센서(52)와, 비틀림센서 및 충격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비교분석하여 보조도어의 구동부(30)인 제1정역회전모터(31c)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보조도어(20)의 구동은 제1정역회전모터(31c)의 온/오프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정역회전모터(31c)의 온/오프는 스위칭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리 모콘(110)에 의해 원거리 제어될 수도 있다.
제1정역회전모터(31c)의 구동으로 제1웜(31b)이 정역회전되면 제1웜기어(31a) 정역회전되고, 보조도어(20)는 회동되어 개구부를 개폐하게 된다.
보조잠금부(40)는 상기에서 언급한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해 보조도어의 회동시 현관문을 기설치된 잠금장치가 열림상태에 있어도 현관문을 자동으로 잠금상태에 있게 한다. 따라서, 침입자로부터의 침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보조잠금부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과정은 아래와 같다.
보조도어(20)의 회동시 회전되는 힌지축(22)에 의해 제1피니언(41a) 및 제1캠(42a)이 회전된다. 제1피니언(41a)이 회전되면, 제1피니언(41a)에 맞물린 제1보조잠금바(41b)가 진퇴되고, 제1보조잠금바(41b)는 인입홀(80)에 인입 또는 인출된다. 또한, 제1캠(42a)이 회전되면, 이에 접하는 제2보조잠금바(42b)가 전진되고 제1탄성부재(42c)에 의해 후퇴된다. 이때 제2보조잠금바(42b)가 인입홀에 인입 또는 인출되고, 현관문(10)은 잠금 또는 열림상태가 된다.
그리고, 보조도어(20)의 회동시 보조도어 개폐센서(90)에 의해 개구부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고, 보조도어 개폐센서(9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은 제어부(100)는 제1피니언(41a) 및 제1캠(42a)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43a)에 온/오프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제1구동모터(43a)의 구동으로 제1피니언(41a) 및 제1캠(42a)이 회전되면 상기에서 언급한 동작과정을 거쳐 현관문(10)이 잠금 또는 열림상태가 된다.
보조도어 정지부(50)는 보조도어(20)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침입자로부터의 외력(보조도어의 충격 및 비틀림)이 가해지면 보조도어(20)의 회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에, 침입자로부터의 위험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보조도어(20)의 구동부(30)가 회전축이 교차되는 웜, 웜기어에 의해 이루어져 있어, 외력에 의해 보조도어를 강제적으로 회동시켜도 보조도어가 회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보조도어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한편, 보조도어(20)가 미닫이식인 경우, 구동부(30)는 보조도어의 테두리에 보조도어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구동래크바(32a)와, 구동래크바의 기어치에 맞물리는 제2웜기어(32b)와, 제2웜기어에 맞물리는 제2웜(32c)과, 제2웜을 정역회전시키는 제2정역회전모터(32d)로 이루어져 있다.(도 6, 도 7참조)
도 6을 참조하면, 보조잠금부(40)는 구동래크바(32a)의 기어치에 맞물리는 제1구동기어(44a)와, 제1구동기어에 동축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2피니언(44b)과, 제2피니언에 맞물리는 래크기어를 일측에 구비하고 제2피니언의 구동시 현관문 외부로 진퇴되는 제3보조잠금바(44c)와, 현관문(10)의 문틀(11)에 형성되어 제3보조잠금바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인입홀(80)로 이루어져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인 보조잠금부(40)는 구동래크바(32a)의 기어치에 맞물리는 제2구동기어(45a)와, 제2구동기어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2캠(45b)과, 제2캠에 일단이 접촉되어 제2캠의 회전시 현관문 외부로 진퇴되는 제4보조잠금바(45c)와, 현관문(10)의 문틀(11)에 형성되어 제4보조잠금바(45c)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인입홀(80)과, 인입홀에 인입된 제4보조잠금바를 탄성력에 의해 원 위치시키는 제2탄성부재(45d)로 이루어져 있다.
제4보조잠금바(45c)도 브라켓(70)에 의해 진퇴가 가이드되고, 제2탄성부재(45d)는 브라켓(70)에 지지되어 제4보조잠금바(45c)를 인입홀(80)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보조도어가 미닫이식일 때의 보조잠금부는 슬라이딩되는 보조도어(20)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고, 제2피니언(44b) 및 제2캠(45b)을 회전시켜 제3,4보조잠금부(44c,45c)가 진퇴되게 한 것이다.
또한, 보조잠금부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2피니언(44b) 및 제2캠(45b)을 제2구동모터(46a)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제2구동모터(46a)의 제어는 보조도어 개폐센서(90)로부터 보조도어(20)의 개폐감지신호를 수신받은 제어부(100)에 이루어지도록 한다.(도 8참조)
도 8을 참조하면, 보조도어 정지부(50)는 보조도어(20)에 설치된 비틀림센서(51) 및 충격센서(52)에 의해 인위적인 외력이 가해지면, 제어부(100)는 제2정역회전모터(32d)를 제어하여 보조도어(20)의 구동이 정지되게 한다.
한편, 보조도어가 미닫이식인 경우에도, 상기 여닫이식 보조도어와 마찬가지로 보조도어에 슬라이딩구동을 전달하는 구조가 회전축이 교차되는 웜,웜기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조도어의 구동이 구동부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게 되어 보조도어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에서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에서 보조잠금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에서 보조잠금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의 제어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에서 보조잠금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의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의 제어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현관문 11 : 문틀
20 : 보조도어 30 : 구동부
40 : 보조잠금부 50 : 보조도어 정지부
80 : 인입홀 90 : 보조도어 개폐센서
100 : 제어부 110 : 리모콘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현관문에 있어서,
    상기 현관문의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도어와;
    상기 현관문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보조도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보조도어의 구동으로 상기 개구부가 개구될 때, 상기 현관문을 잠그는 보조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도어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힌지축에 의해 힌지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힌지축에 설치된 제1웜기어와;
    상기 제1웜기어에 맞물리는 제1웜과;
    상기 제1웜을 정역회전시키는 제1정역회전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잠금부는
    상기 힌지축에 설치된 제1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에 맞물리는 래크기어를 일측에 구비하고, 상기 제1피니언의 구동시 상기 현관문 외부로 진퇴되는 제1보조잠금바와;
    상기 현관문의 문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보조잠금바가 인입되는 인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
  6. 현관문에 있어서,
    상기 현관문의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도어와;
    상기 현관문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보조도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보조도어의 구동으로 상기 개구부가 개구될 때, 상기 현관문을 잠그는 보조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도어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힌지축에 의해 힌지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힌지축에 설치된 제1웜기어와;
    상기 제1웜기어에 맞물리는 제1웜과;
    상기 제1웜을 정역회전시키는 제1정역회전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잠금부는
    상기 힌지축에 설치된 제1캠과;
    상기 제1캠에 일단이 접촉되어 상기 제1캠의 회전시 상기 현관문 외부로 진퇴되는 제2보조잠금바와;
    상기 현관문의 문틀에 형성되어 상기 제2보조잠금바가 인입되는 인입홀과;
    상기 인입홀에 인입된 상기 제2보조잠금바를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
  7. 현관문에 있어서,
    상기 현관문의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도어와;
    상기 현관문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보조도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보조도어의 구동으로 상기 개구부가 개구될 때, 상기 현관문을 잠그는 보조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도어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조도어의 테두리에 상기 보조도어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구동래크바와;
    상기 구동래크바의 기어치에 맞물리는 제2웜기어와;
    상기 제2웜기어에 맞물리는 제2웜과;
    상기 제2웜을 정역회전시키는 제2정역회전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잠금부는
    상기 구동래크바의 기어치에 맞물리는 제1구동기어와;
    상기 제1구동기어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2피니언과;
    상기 제2피니언에 맞물리는 래크기어를 일측에 구비하고, 상기 제2피니언의 구동시 상기 현관문 외부로 진퇴되는 제3보조잠금바와;
    상기 현관문의 문틀에 형성되어 상기 제3보조잠금바가 인입되는 인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
  8. 현관문에 있어서,
    상기 현관문의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도어와;
    상기 현관문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보조도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보조도어의 구동으로 상기 개구부가 개구될 때, 상기 현관문을 잠그는 보조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도어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조도어의 테두리에 상기 보조도어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구동래크바와;
    상기 구동래크바의 기어치에 맞물리는 제2웜기어와;
    상기 제2웜기어에 맞물리는 제2웜과;
    상기 제2웜을 정역회전시키는 제2정역회전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잠금부는
    상기 구동래크바의 기어치에 맞물리는 제2구동기어와;
    상기 제2구동기어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2캠과;
    상기 제2캠에 일단이 접촉되어 상기 제2캠의 회전시 상기 현관문 외부로 진퇴되는 제4보조잠금바와;
    상기 현관문의 문틀에 형성되어 상기 제4보조잠금바가 인입되는 인입홀과;
    상기 인입홀에 인입된 상기 제4보조잠금바를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
KR1020080091285A 2008-09-17 2008-09-17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 KR101084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285A KR101084755B1 (ko) 2008-09-17 2008-09-17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285A KR101084755B1 (ko) 2008-09-17 2008-09-17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229A KR20100032229A (ko) 2010-03-25
KR101084755B1 true KR101084755B1 (ko) 2011-11-22

Family

ID=4218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285A KR101084755B1 (ko) 2008-09-17 2008-09-17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7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469B1 (ko) 2012-09-06 2014-04-10 박동수 안전 방화문
KR101890917B1 (ko) * 2017-02-16 2018-08-24 주식회사 케이엠테크윈 욕실용 수납함의 살균장치
KR102053119B1 (ko) 2019-09-24 2020-01-07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냉난방 효율과 방범기능을 증대시켜 줄 수 있는 공동주택용 현관 보조 도어
KR102231994B1 (ko) * 2020-09-24 2021-03-25 주식회사 지나테크 소독 분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7713A (zh) * 2013-12-19 2015-06-24 肖作鹏 一种防盗门
CN104847237A (zh) * 2015-05-12 2015-08-19 赵百华 一种防窥通风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685Y1 (ko) * 2001-12-28 2002-03-22 송두인 배달물 수취용 보조문의 안전장치
JP2005336876A (ja) * 2004-05-27 2005-12-08 Nabtesco Corp 回転ドアの安全装置
KR100801806B1 (ko) * 2007-03-27 2008-02-11 (주) 인디고텍 기밀문용 전동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685Y1 (ko) * 2001-12-28 2002-03-22 송두인 배달물 수취용 보조문의 안전장치
JP2005336876A (ja) * 2004-05-27 2005-12-08 Nabtesco Corp 回転ドアの安全装置
KR100801806B1 (ko) * 2007-03-27 2008-02-11 (주) 인디고텍 기밀문용 전동 개폐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469B1 (ko) 2012-09-06 2014-04-10 박동수 안전 방화문
KR101890917B1 (ko) * 2017-02-16 2018-08-24 주식회사 케이엠테크윈 욕실용 수납함의 살균장치
KR102053119B1 (ko) 2019-09-24 2020-01-07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냉난방 효율과 방범기능을 증대시켜 줄 수 있는 공동주택용 현관 보조 도어
KR102231994B1 (ko) * 2020-09-24 2021-03-25 주식회사 지나테크 소독 분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229A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755B1 (ko) 보조도어가 구비된 현관문
EP1091062B1 (en) Anti-Pinch door lock
US20060150520A1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by automatically locking and/or unlocking a lock section of a window and by using a sensor
RU232680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доступа в шахту лифта
US20100242368A1 (en) Electrical door operator
CA2449805A1 (en) Improve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opening doors
WO2002086273A2 (en) Movable barrier operation having cable tension sensor and door lock mechanism
WO2009116843A3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KR20090070016A (ko) 보안기능이 강화된 개폐식 소통창이 구비된 방범도어
KR20190061623A (ko)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EP2019378A2 (en) Coded security sensor for a door
DK2009210T3 (en) Automatic swing door system
KR20130057643A (ko) 수평밀착형 창호의 오동작 방지 핸들
JP2006125149A (ja) 引き違いサッシ
JP3847621B2 (ja) 自動ドア
CN208518477U (zh) 一种具有检测门扇与门框重合的智能锁
CN207568445U (zh) 一种防猫眼开锁的防盗门
KR100854283B1 (ko) 전자파 차폐룸용 차폐도어
KR100731999B1 (ko) 리모컨을 이용한 셔터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
KR100340671B1 (ko) 미닫이식 도어와 창문의 자동해정장치
FI105846B (fi) Sisäänpäin aukeavan pystypuitteettoman parvekeliukulasin lukituksen ulkopuolinen avauslaite
CN218647461U (zh) 指纹门禁控制器
KR200397350Y1 (ko) 자동문의 자동잠금 제어장치
EP1014322B1 (en) Burglary prevention apparatus particularly for protecting apartments and the like
JP3607082B2 (ja) 自動ドアの解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