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365B1 -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보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365B1
KR101084365B1 KR1020110072942A KR20110072942A KR101084365B1 KR 101084365 B1 KR101084365 B1 KR 101084365B1 KR 1020110072942 A KR1020110072942 A KR 1020110072942A KR 20110072942 A KR20110072942 A KR 20110072942A KR 101084365 B1 KR101084365 B1 KR 101084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pressing
main body
rib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김정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심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심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심원테크
Priority to KR1020110072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means for keeping contents in position, e.g. resili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45Internal membrane, floating cover or the like isolating the contents from the ambient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65D2251/205Ins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 용기의 본체 내면을 따라 밀폐부재의 이동시, 실링부재가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밀폐부재의 이동후, 밀폐부재에 체결되는 개폐부재의 체결력으로 가압부재가 실링부재를 가압하여 본체의 내면을 견고하게 밀폐시켜 용기 내부에 보관중인 내용물이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내용물이 급속하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관 용기{A container}
본 발명은,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 용기의 본체 내면을 따라 밀폐부재의 이동시, 실링부재가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밀폐부재의 이동후, 밀폐부재에 체결되는 개폐부재의 체결력으로 가압부재가 실링부재를 가압하여 본체의 내면을 견고하게 밀폐시켜 용기 내부에 보관중인 내용물이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내용물이 급속하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고추장, 된장, 김치 및 야채, 마요네즈, 쨈, 김치, 절임음식, 꿀 등과 같은 각종 식품을 담아 냉장고 등에 보관하거나 페인트의 변질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보관 용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보관 용기는, 일정 용적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단을 개폐하기 위한 덮개로 형성되는데, 상기 본체에 내용물을 담은 후, 상기 본체의 상단을 덮개로 폐쇄하여 보관하였다.
그러나 상기 덮개의 폐쇄로 인하여 본체 내부에 위치한 공기가 본체에 담겨 보관된 내용물과 반응을 일으켜 내용물이 변질되어 산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내용물이 본체에서 이탈되면서 본체에 담겨 보관중인 내용물이 적을수록 덮개와 내용물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많은 공기가 유입되어 내용물의 변질을 촉진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건 출원인은, 2008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7019호로 출원하여 제20-0445308호로 식품 보관 용기를 등록받은 바 있다.
선 등록된 실용신안은, 본체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냄과 동시에 꺼내어진 내용물의 부피만큼 본체에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은 가압밀폐부재를 본체의 내부로 이동시켜 공간을 최소화하거나 폐쇄시킨다.
이때, 상기 가압밀폐부재의 긁어내림부재가 본체의 내면을 긁어내림과 동시에 실링부재가 본체의 내면을 견고하게 밀착되며, 이 상태에서 배출안내공을 개폐부재로 폐쇄시킨 후, 덮개를 본체에 장착하면 된다.
그러나 선 등록된 실용신안은, 가압밀폐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실링부재가 본체의 내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실링부재가 본체의 내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면, 실링부재와 본체 내면과의 마찰저항이 늘어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음으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실링부재의 마모로 인해 실링부재와 본체 내면과의 마찰저항이 감소되면, 가압밀폐부재의 이동은 원활하나, 밀폐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내면을 따라 밀폐부재의 이동시, 실링부재가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밀폐부재의 이동후, 밀폐부재에 체결되는 개폐부재의 체결력으로 가압부재가 실링부재를 가압하여 본체의 내면을 견고하게 밀폐시키도록 하는 보관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폐부재의 이동시, 실링부재가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밀폐부재의 이동이 원활함은 물론 밀폐부재가 본체의 내면을 따라 이동된 상태에서 실링부재가 본체의 내면에 밀착되므로 실링부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보관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보관 용기는,
내용물을 보관하도록 일정 용적을 갖는 본체의 내면에 긁어내림부재가 밀착되어 내용물을 긁어내리면서 본체의 내면을 따라 하강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의 긁어내림부재 상면에 위치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하도록 밀폐부재에 안착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의 리브에 체결되면서 가압하는 가압부재에 의해 실링부재가 변형되어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내면을 따라 밀폐부재의 이동시, 실링부재가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밀폐부재의 이동후, 밀폐부재에 체결되는 개폐부재의 체결력으로 가압부재가 실링부재를 가압하여 본체의 내면을 견고하게 밀폐시키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부재의 이동시, 실링부재가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밀폐부재의 이동이 원활함은 물론 밀폐부재가 본체의 내면을 따라 이동된 상태에서 실링부재가 본체의 내면에 밀착되므로 실링부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설치상태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단면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보관 용기(100)는, 내용물을 보관하도록 일정 용적을 갖는 본체(10)의 내면에 긁어내림부재(113)가 밀착되어 내용물을 긁어내리면서 본체(10)의 내면을 따라 하강하는 밀폐부재(110)가 구성되고, 상기 밀폐부재(110)의 긁어내림부재(113) 상면에 위치하는 실링부재(120)가 구성되며, 상기 실링부재(120)를 가압하도록 밀폐부재(110)에 안착되는 가압부재(130)가 구성되고, 상기 밀폐부재(110)의 리브(112)에 체결되면서 가압하는 가압부재(130)에 의해 실링부재(120)가 변형되어 본체(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개폐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밀폐부재(110)는, 상기 본체(10)의 내면에 장착되는 밀폐몸체(111)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몸체(111)에 공기 및 내용물의 이탈을 안내하도록 통공이 관통되어 돌출되면서 개폐부재(140)가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112')이 형성되는 리브(112)가 구비되며, 상기 밀폐몸체(111)의 하단부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본체(10)의 내면에 위치하는 내용물을 긁어내리도록 하는 긁어내림부재(11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리브(112)의 상면에 실링재(115)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장착홈(114)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홈(114)에 장착되어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재(115)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재(130)는, 상기 밀폐부재(110)의 리브(112) 외주면을 따라 승,하강하는 가압몸체(131)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몸체(131)의 하단부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실링부재(120)를 가압하는 가압돌기(13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140)는, 상기 밀폐부재(110)의 리브(112)를 수용하도록 수용공간(142)이 형성된 개폐몸체(141)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몸체(141)의 수용공간(142) 내주면에 형성되어 리브(112)의 나사산(112')에 체결되는 나사산(143)이 구비되며, 상기 개폐몸체(141) 하부에 돌출되어 가압부재(130)를 가압하는 가압리브(14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보관 용기(100)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재(110)의 긁어내림부재(113) 상부에 형성된 설치홈(113')에 실링부재(12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내용물을 담고 있는 본체(10) 내부로 밀폐부재(110)의 밀폐몸체(111)를 이동시키면, 상기 밀폐몸체(111)의 하단부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긁어내림부재(113)가 본체(10)의 내면을 긁어내리면서 본체(10) 내측으로 이동하여 밀폐부재(110)와 내용물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한다.
이때, 본체(10) 내부의 공기는 밀폐몸체(111)의 리브(112)에 관통된 통공을 통하여 보관 용기(100)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밀폐부재(110)의 리브(112)에 가압부재(130)의 가압몸체(131)를 결합하면, 상기 가압부재(130)의 가압돌기(132)는 실링부재(120)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가압부재(130)가 밀폐부재(110)의 리브(112)에 결합되면, 상기 리브(112)에 개폐부재(140)의 수용공간(142)을 결합한 후, 개폐부재(140)의 개폐몸체(141)를 나사산이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개폐몸체(141)의 회전에 따라 개폐몸체(141)의 수용공간(142)에 형성된 나사산(143)이 리브(112)의 나사산(112')에 체결되어 하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하향으로 이동하는 개폐몸체(141)의 하부에 돌출된 가압리브(144)가 가압몸체(131)의 상면을 가압한다.
상기 가압리브(144)가 가압몸체(131) 상면을 가압하면, 상기 가압몸체(131)는 본체(10)의 내측 하부로 이동하면서 가압몸체(131)의 하단부에 돌출된 가압돌기(132)가 밀폐부재(110)의 설치홈(113')에 위치한 실링부재(120)를 가압하여 변형시키고, 상기 변형되는 실링부재(120)가 본체(10)의 내면을 견고하게 폐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돌기(132)의 가압으로 변형되는 실링부재(120)는, 밀폐부재(110)의 긁어내림부재(113)가 지지하고 있으므로 설치홈(113') 내부에서 변형되는 것이다.
상기 실링부재(120)의 변형으로 본체(10)의 내면을 견고하게 폐쇄시키므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리브(112)의 나사산(112')에 개폐부재(140)의 나사산(143)이 체결되면, 상기 개폐부재(140)의 개폐몸체(141) 내면이 리브(112)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장착홈(114)에 장착된 실링재(115)를 가압하므로 개폐몸체(141)와 리브(112) 사이를 견고하게 폐쇄시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본체(10) 내의 내용물과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낼 경우, 개폐부재(140)의 개폐몸체(141)를 나사산이 체결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브(112)의 나사산(112')을 따라 나사산(143)이 회전되면서 개폐몸체(141)가 리브(112)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실링재(115)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가압리브(144)의 가압부재(130) 가압력이 해제된다.
상기 가압부재(13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가압돌기(132)가 가압하는 실링부재(120)의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실링부재(120)는 자체탄력으로 복원되면서 본체(10)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탈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리브(112) 내부의 통공으로 본체(10)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낼 수 있으며, 내용물을 꺼내면, 꺼내어진 내용물의 부피만큼 본체(1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공간을 최소화하거나 밀폐시키려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재(110)의 밀폐몸체(111)를 본체(10) 내부로 이동시키는데, 상기 밀폐부재(110)의 긁어내림부재(113)가 본체(10)의 내면에 밀착된 내용물을 긁어내리면서 이동한 후,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본체(10) 내부를 폐쇄시키면서 내용물과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에 뚜껑(20)을 안착시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보관 용기(100')의 다른 실시예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을 보관하도록 일정 용적을 갖는 본체(10)의 내면에 긁어내림부재(154)가 밀착되어 내용물을 긁어내리면서 본체(10)의 내면을 따라 하강하는 밀폐부재(150)가 구성되고, 상기 밀폐부재(150)의 긁어내림부재(154) 상면에 위치하는 실링부재(160)가 구성되며, 상기 실링부재(160)를 가압하도록 밀폐부재(150)에 안착되는 가압부재(170)가 구성되고, 상기 밀폐부재(150)의 리브(152)에 형성된 회전홈(153)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면서 가압하는 가압부재(170)에 의해 실링부재(160)가 변형되어 본체(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회전가압부재(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밀폐부재(150)는, 상기 본체(10)의 내면에 장착되는 밀폐몸체(151)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몸체(151)에 돌출되어 회전가압부재(180)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대향하게 회전홈(153)이 형성된 리브(152)가 구비되며, 상기 밀폐몸체(151)의 하단부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본체(10)의 내면에 위치하는 내용물을 긁어내리도록 하는 긁어내림부재(15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재(170)는, 상기 밀폐부재(150)의 리브(152) 외주면을 따라 승,하강하는 가압몸체(171)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몸체(171)의 하단부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실링부재(160)를 가압하는 가압돌기(17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회전가압부재(180)는, 상기 밀폐부재(150)의 리브(152)에 대향하게 형성된 회전홈(153)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돌기(181)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돌기(181)가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돌기(182)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182)를 연결하는 회전가압편(18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보관 용기(100')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재(150)의 긁어내림부재(154) 상부에 형성된 설치홈(154')에 실링부재(160)를 안착시키고, 상기 밀폐부재(150)의 리브(152)에 대향하게 형성된 회전홈(153)에 회전가압부재(180)의 한 쌍의 회전돌기(181)를 결합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담고 있는 본체(10) 내부로 밀폐부재(150)의 밀폐몸체(151)를 이동시키면, 상기 밀폐몸체(151)의 하단부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긁어내림부재(154)가 본체(10)의 내면을 긁어내리면서 본체(10) 내측으로 이동하여 밀폐부재(150)와 내용물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한다.
이때, 본체(10) 내부의 공기는 본체(10) 내면과 긁어내림부재(154) 사이의 미세한 공간을 통하여 보관 용기(100')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밀폐부재(150)의 리브(152)에 가압부재(130)의 가압몸체(131)를 결합하면, 상기 가압부재(130)의 가압돌기(132)는 실링부재(160) 상부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회전가압부재(180)의 회전가압편(183)을 가압부재(170)의 가압몸체(171) 상면에 근접되도록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가압편(183)은 리브(152)에 대향하게 형성된 회전홈(153)에 결합된 한 쌍의 회전돌기(181)를 중심으로 가압몸체(171) 상면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돌기(181)가 편심된 한 쌍의 가압돌기(182)는 가압부재(170)의 가압몸체(171) 상면을 가압한다.
상기 회전돌기(181)가 가압몸체(171) 상면을 가압하면, 상기 가압몸체(171)는 본체(10)의 내측 하부로 이동하면서 가압몸체(171)의 하단부에 돌출된 가압돌기(172)가 밀폐부재(150)의 설치홈(153')에 위치한 실링부재(160)를 가압하여 변형시키고, 상기 변형되는 실링부재(160)가 본체(10)의 내면을 견고하게 폐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돌기(172)의 가압으로 변형되는 실링부재(160)는, 밀폐부재(150)의 긁어내림부재(154)가 지지하고 있으므로 설치홈(153') 내부에서 변형되면서 본체(10)의 내면을 견고하게 폐쇄시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낼 경우, 회전가압부재(180)의 회전가압편(183)을 가압부재(170)의 가압몸체(171) 상면에 근접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가압편(183)은 리브(152)에 대향하게 형성된 회전홈(153)에 결합된 한 쌍의 회전돌기(181)를 중심으로 가압몸체(171) 상면의 반대반향으로 회전하여 가압몸체(171) 상면으로부터 이탈되면서 가압부재(170)의 가압력이 해제된다.
상기 가압부재(13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가압돌기(172)가 가압하는 실링부재(160)의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실링부재(160)는 자체탄력으로 복원되면서 본체(10)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탈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가압부재(180)의 회전가압편(183)을 잡고 본체(10)의 상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회전가압부재(180)의 상향 이동에 따라 회전가압부재(180)의 회전돌기(181)가 결합홈(153)에 결합된 밀폐부재(150)와 상기 밀폐부재(150)의 긁어내림부재(153) 상부에 안착된 실링부재(160) 및 밀폐몸체(151)에 안착된 가압부재(170)는 회전가압부재(180)의 상항이동에 따라 이동하여 본체(10)의 내면으로부터 이탈되어 본체(10) 내부가 개방된다.
내부가 개방된 본체(10)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낸 후,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본체(10) 내부를 폐쇄시키면서 내용물과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에 뚜껑(20)을 안착시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보관 용기 110: 밀폐부재
120: 실링부재 130: 가압부재
140: 개폐부재

Claims (9)

  1. 내용물을 보관하도록 일정 용적을 갖는 본체의 내면에 긁어내림부재가 밀착되어 내용물을 긁어내리면서 본체의 내면을 따라 하강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의 긁어내림부재 상면에 위치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하도록 밀폐부재에 안착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의 리브에 체결되면서 가압하는 가압부재에 의해 실링부재가 변형되어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면에 장착되는 밀폐몸체와;
    상기 밀폐몸체에 공기 및 내용물의 이탈을 안내하도록 통공이 관통되어 돌출되면서 개폐부재가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리브와;
    상기 밀폐몸체의 하단부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본체의 내면에 위치하는 내용물을 긁어내리도록 하는 긁어내림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상면에 실링재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어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재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압부재는,
    상기 밀폐부재의 리브 외주면을 따라 승,하강하는 가압몸체와;
    상기 가압몸체의 하단부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실링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개폐부재는,
    상기 밀폐부재의 리브를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개폐몸체와;
    상기 개폐몸체의 수용공간 내주면에 형성되어 리브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나사산과;
    상기 개폐몸체 하단부에 돌출되어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리브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용기.
  6. 내용물을 보관하도록 일정 용적을 갖는 본체의 내면에 긁어내림부재가 밀착되어 내용물을 긁어내리면서 본체의 내면을 따라 하강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의 긁어내림부재 상면에 위치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하도록 밀폐부재에 안착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의 리브에 형성된 회전홈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면서 가압하는 가압부재에 의해 실링부재가 변형되어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회전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밀폐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면에 장착되는 밀폐몸체와;
    상기 밀폐몸체에 돌출되어 회전가압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대향하게 회전홈이 형성된 리브와;
    상기 밀폐몸체의 하단부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본체의 내면에 위치하는 내용물을 긁어내리도록 하는 긁어내림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용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가압부재는,
    상기 밀폐부재의 리브 외주면을 따라 승,하강하는 가압몸체와;
    상기 가압몸체의 하단부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실링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용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회전가압부재는,
    상기 밀폐부재의 리브에 대향하게 형성된 회전홈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돌기와;
    상기 한 쌍의 회전돌기가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돌기와;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를 연결하는 회전가압편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용기.
KR1020110072942A 2011-07-22 2011-07-22 보관 용기 KR101084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942A KR101084365B1 (ko) 2011-07-22 2011-07-22 보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942A KR101084365B1 (ko) 2011-07-22 2011-07-22 보관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4365B1 true KR101084365B1 (ko) 2011-11-16

Family

ID=4539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942A KR101084365B1 (ko) 2011-07-22 2011-07-22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3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7011A (ja) 1999-05-14 2000-11-28 Kumikawa Tekkosho:Kk 容 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7011A (ja) 1999-05-14 2000-11-28 Kumikawa Tekkosho:Kk 容 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84333A1 (en) Detachable Sealable Li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nd Sealing Ring For Use with the Lid
US20180002075A1 (en) Sealed container
EP3081510A1 (en) Bottle vacuum sealing device
CN106185047A (zh) 真空保鲜果汁杯
KR101261813B1 (ko) 불소고무밸브가 구비된 펌프식 화장품용기
HK1098442A1 (en) Beverage containers
US20150210439A1 (en) Cosmetics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WO2017000148A1 (zh) 真空密封水杯
JP6529363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480441Y1 (ko) 자동 스포이드 용기
KR102072308B1 (ko) 토출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84365B1 (ko) 보관 용기
CA3020109C (en) Open end container with improved seal
TWI705925B (zh) 可密封蓋及包含其之容器
KR101923180B1 (ko) 화장품 용기
CN103754493B (zh) 一种可排气食品保鲜容器与方法
EP3184461B1 (en) Bottle cover and bottle with the bottle cover
KR101863201B1 (ko) 진공 텀블러
KR20110011677U (ko) 화장품용기
KR200445308Y1 (ko) 식품 보관 용기
KR20140011901A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KR101063259B1 (ko) 액상 식품용 용기 캡
KR200485890Y1 (ko) 고무링이 삽입된 스크류 타입 에어리스 펌프 용기
CN207461675U (zh) 杯盖和随身杯
CN106419643B (zh) 卫生搅拌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