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293B1 - 화면입력 실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면입력 실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293B1
KR101084293B1 KR1020070093898A KR20070093898A KR101084293B1 KR 101084293 B1 KR101084293 B1 KR 101084293B1 KR 1020070093898 A KR1020070093898 A KR 1020070093898A KR 20070093898 A KR20070093898 A KR 20070093898A KR 101084293 B1 KR101084293 B1 KR 10108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creen
training
employe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364A (ko
Inventor
배시형
권오선
민복기
강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to KR102007009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293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입력 실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은, 화면입력 실습을 요청하는 직원단말 접속시, 실습 업무의 종류-고객, 수신, 여신, 외국환, 신용카드, 전자금융 등-와, 상기 실습 업무 종류에 따른 업무 상세내용-실습 업무 종류가 수신인 경우, 신규, 입금, 지급/이자지급, 자기앞수표, 기장, 정정/취소, 해지/이수관, 타행환, 조회, 등록/해제, 제증명서발급, 별단예금, 계리입지, 내국환, 현수송, 일일마감, 퇴직연금, 대외기관업무, 본부관리업무-를 포함하는 화면실습 종류 선택을 위한 선택화면(또는 선택창)을 출력하는 화면입력 실습 종류 선택용 인터페이스 운용수단과, 상기 직원단말에서 상기 입력화면(또는 입력창창) 상에 화면입력 실습을 위한 종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한 종류에 대응하는 화면입력 실습 문제를 포함하는 화면입력 실습 내역 입력을 위한 입력화면을 출력하는 정보 수신용 인터페이스 운용수단과, 상기 직원단말에서 상기 입력화면(또는 입력창) 상에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정보 수신용 인터페이스 운용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들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정답문제 정보와 오답문제 정보로 분류하고, 분류된 정답문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실습내역 저장수단을 포함한다.
화면입력실습, 실습인터페이스

Description

화면입력 실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Practicing Display Input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해 직원이 로그인시 권한을 부여하는 로그인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한 문제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입력 실습에 따른 결과분석을 위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입력 실습에 따른 결과분석을 위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는 실습종류 선택(또는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 는 문제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는 제공된 실습문제 출력 및 실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는 프린터로 출력될 전표 미리 확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는 화면입력 실습을 통해 정상 처리시 확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는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한 오답 리스트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400 : 실습문제 처리 서버 405 : 웹 인터페이스부
410 : 웹서비스 제어부 415 : 웹페이지 운용부
420 : 디지털 컨텐츠 운용부 425 : 인증 처리부
430 : 실습문제 확인부 435 : 실습문제 출력 처리부
440 : 정보 수신부 445 : 승인 처리부
450 : 정보 분석부 455 : 직원 평가부
460 : 정보 저장부 465 : 직원관리D/B
470 : 전문관리D/B 475 : 시나리오D/B
480 : 저장매체 485 : 직원단말
본 발명은 화면입력 실습을 요청하는 직원단말 접속시, 실습 업무의 종류-고객, 수신, 여신, 외국환, 신용카드, 전자금융 등-와, 상기 실습 업무 종류에 따른 업무 상세내용-실습 업무 종류가 수신인 경우, 신규, 입금, 지급/이자지급, 자기앞수표, 기장, 정정/취소, 해지/이수관, 타행환, 조회, 등록/해제, 제증명서발급, 별단예금, 계리입지, 내국환, 현수송, 일일마감, 퇴직연금, 대외기관업무, 본부관리업무-를 포함하는 화면실습 종류 선택을 위한 선택화면(또는 선택창)을 출력하는 화면입력 실습 종류 선택용 인터페이스 운용수단과, 상기 직원단말에서 상기 입력화면(또는 입력창창) 상에 화면입력 실습을 위한 종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한 종류에 대응하는 화면입력 실습 문제를 포함하는 화면입력 실습 내역 입력을 위한 입력화면을 출력하는 정보 수신용 인터페이스 운용수단과, 상기 직원단말에서 상기 입력화면(또는 입력창) 상에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정보 수신용 인터페이스 운용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들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각종 정보를 이용 하여 정답문제 정보와 오답문제 정보로 분류하고, 분류된 정답문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실습내역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현대사회의 발전은,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하는 방법들이 수많이 존재하고 있고, 그로 인해 다양한 많은 프로그램의 이용보다는 자신에게 편리한 프로그램만을 이용하게 되었다.
특히, 개인의 경우는 자신의 편리에 의해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기업의 경우는 개인의 편의에 따라 모두 다른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는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업에서는 개인의 편의에 따라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보다는, 개인이 실습을 통해 이러한 기능 들을 습득하고 익혀야한다.
하지만, 이러한 화면입력 실습 등을 통해 익히는 경우, 이를 평가하는 기준과 방법이 난해한 문제와, 화면입력 방법이 다양하며, 이를 통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입력 실습을 요청하는 직원단말 접속시, 소정의 화면입력 실습 종류 선택용 인터페이스 운용수단에서 실습 업무의 종류-고객, 수신, 여신, 외국환, 신용카드, 전자금융 등-와, 상기 실습 업무 종류에 따른 업무 상세내용-실습 업무 종류가 수신인 경우, 신규, 입금, 지급/이자지급, 자기앞수표, 기장, 정정/취소, 해지/이수관, 타행환, 조회, 등록/해제, 제증명서발급, 별단예금, 계리입지, 내국환, 현수송, 일일마감, 퇴직연금, 대외기관업무, 본부관리업무-를 포함하는 화면실습 종류 선택을 위한 선택화면(또는 선택창)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직원단말에서 상기 입력화면(또는 입력창창) 상에 화면입력 실습을 위한 종류를 선택하면, 소정의 정보 수신용 인터페이스 운용수단에서 상기 선택한 종류에 대응하는 화면입력 실습 문제를 포함하는 화면입력 실습 내역 입력을 위한 입력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직원단말에서 상기 입력화면(또는 입력창) 상에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정보 수신용 인터페이스 운용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들이 수신되면, 소정의 실습내역 저장수단에서 상기 수신된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정답문제 정보와 오답문제 정보로 분류하고, 분류된 정답문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입력 실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은, 화면입력 실습을 요청하는 직원단말 접속시, 실습 업무의 종류-고객, 수신, 여신, 외국환, 신용카드, 전자금융 등- 와, 상기 실습 업무 종류에 따른 업무 상세내용-실습 업무 종류가 수신인 경우, 신규, 입금, 지급/이자지급, 자기앞수표, 기장, 정정/취소, 해지/이수관, 타행환, 조회, 등록/해제, 제증명서발급, 별단예금, 계리입지, 내국환, 현수송, 일일마감, 퇴직연금, 대외기관업무, 본부관리업무-를 포함하는 화면실습 종류 선택을 위한 선택화면(또는 선택창)을 출력하는 화면입력 실습 종류 선택용 인터페이스 운용수단과, 상기 직원단말에서 상기 입력화면(또는 입력창창) 상에 화면입력 실습을 위한 종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한 종류에 대응하는 화면입력 실습 문제를 포함하는 화면입력 실습 내역 입력을 위한 입력화면을 출력하는 정보 수신용 인터페이스 운용수단과, 상기 직원단말에서 상기 입력화면(또는 입력창) 상에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정보 수신용 인터페이스 운용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들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정답문제 정보와 오답문제 정보로 분류하고, 분류된 정답문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실습내역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은, 상기 화면입력 실습을 요청하는 직원단말 접속시, 상기 직원단말을 통해 접속한 직원 인증을 처리하는 직원인증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면입력 실습방법은, 화면입력 실습을 요청하는 직원단말 접속시, 소정의 화면입력 실습 종류 선택용 인터페이스 운용수단에서 실습 업 무의 종류-고객, 수신, 여신, 외국환, 신용카드, 전자금융 등-와, 상기 실습 업무 종류에 따른 업무 상세내용-실습 업무 종류가 수신인 경우, 신규, 입금, 지급/이자지급, 자기앞수표, 기장, 정정/취소, 해지/이수관, 타행환, 조회, 등록/해제, 제증명서발급, 별단예금, 계리입지, 내국환, 현수송, 일일마감, 퇴직연금, 대외기관업무, 본부관리업무-를 포함하는 화면실습 종류 선택을 위한 선택화면(또는 선택창)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직원단말에서 상기 입력화면(또는 입력창창) 상에 화면입력 실습을 위한 종류를 선택하면, 소정의 정보 수신용 인터페이스 운용수단에서 상기 선택한 종류에 대응하는 화면입력 실습 문제를 포함하는 화면입력 실습 내역 입력을 위한 입력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직원단말에서 상기 입력화면(또는 입력창) 상에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정보 수신용 인터페이스 운용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들이 수신되면, 소정의 실습내역 저장수단에서 상기 수신된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정답문제 정보와 오답문제 정보로 분류하고, 분류된 정답문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술한 화면입력 실습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 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상기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해 소정의 직원단말(150)이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상의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접속한 직원단말(150)을 통해 입력된 직원 정보에 대응하는 권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권한 정보에 대응하는 직원이 문제작성 담당 직원인 경우, 상기 직원이 시나리오 등록모드 설정시, 상기 시나리오 등록모드에 따른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정보를 상기 서버에서 상기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상에 구비된 시나리오D/B(145)에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서버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로 분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에 도시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상에서 상기 직원단말(150)로부터 제공되는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정보를 상기 시나리오D/B(145)에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 및/또는 기능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편의상 "문제등록 서버(100)"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은, 소정의 통신망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원단말(150)과, 상기 직원단말(150)에서 전송하는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 하는 문제등록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시나리오D/B(145)와, 상기 직원단말(150)에서 전송하는 문제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출력전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문관리D/B(140)와, 상기 직원단말(150)을 통해 수신되는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여, 직원에 대한 인증 처리를 위한 인증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직원에 대한 직원 정보와, 상기 직원의 권한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직원관리D/B(135) 및 상기 직원단말(150)과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시나리오D/B(145)에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문제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출력전문 데이터를 전문관리D/B(140)에 저장하는 문제등록 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원단말(150)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유선 통신망(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및/또는 케이블 통신망)를 통해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와 통신 연결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기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x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단말, 및/또는 IEEE 802.11x 기반의 무선랜 통신망에 연결되는 무선랜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직원단말(150)은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여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 구성(예컨대,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직원단말(150)의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직원단말(150)이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통신망은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통신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직원단말(150)이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통신망은 상기 CDMA 기반(또는 HSDPA 기반)의 이동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x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또는 IEEE 802.11x 기반의 무선랜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상에 구비되는 상기 시나리오D/B(145) 는 상기 직원단말(150)로부터 전송되는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제 기본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를 관리(또는 문제를 실습하는 직원이 해당 문제를 선택)하기 위한 문제 번호, 상기 문제 내용에 대응하는 명칭을 포함하는 문제명, 상기 문제를 실습하는 대상 화면(또는 업무 처리시, 상기 문제와 동일한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번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문제 번호는 숫자(또는 문자 코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문제 번호는 문제 유형별 번호, 상기 유형에 포함되는 내부 분류번호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한 순차적으로 부여되는 번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제명은 상기 문제 번호에 대응하는 분류 명칭인 것이 바람직하며, ‘유동성지급’, ‘계좌정보조회’, ‘유동성계좌이체’, ‘정기성입금’, ‘여신이자수입’, ‘여신실행내역조회’, ‘환전-실행’, ‘외환면담보고서조회’, ‘수수료영수증출력’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제 내용정보는 상기 문제 기본정보에 대한 상세 내용 즉, 문제에 대한 상세 설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문제 내용정보는 상기 유동성지급 문제의 경우 ‘당행 유동성 계좌 ***-***-******에 대체금액 1,000원을 창구CC로 지급한다.’의 형태로 문제 내용을 상세하게 풀이한 설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션 정보는 상기 문제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하나의 문제에 대한 구성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문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서브문제에 대응하는 액션 번호, 액션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액션 번호는 상기 문제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하나의 문제가 N(N>=1)개의 문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액션 번호는 1, 2, …, N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션명은, 상기 액션 번호에 대응하는 명칭인 것이 바람직하며, 하나의 문제인 경우 상기 문제명과 동일(또는 유사)하고, N(N>1)인 경우 각각에 대한 명칭이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션 내용정보는 상기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항목과, 상기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문제명과 액션명이 동일한 ‘유동성지급’이고, 하나의 액션이 포함된 경우, 액션명에 대응하는 액션 내용 중 입력항목은 ‘계좌번호’, ‘은행구분’, ‘대체’, ‘거래구분’, ‘적요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은, ‘계좌번호 ***-***-******’, ‘은행구분 1(신한은행)’, ‘대체 1000(또는 1,000)’, ‘거래구분 16(창구 CC지급)’, ‘적요코드 26(창구C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문제명이 ‘여신실행내역조회’인 경우, 액션번호 4개(예컨대, 01, 02, 03, 04)와, 상기 제1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명은 ‘계좌상세조회’, 제2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명은 ‘이수관내역조회’, 제3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명은 ‘여신이율변경내역조회’, 제4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명은 ‘여신실행내역조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 내용은 ‘계좌번호 ***-***-******’, ‘약정기본정보’ 또는 ‘계좌기본정보’ 또는 ‘참조출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 내용은 ‘이수관-이율내역 중 이수관내역 출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 내용은 ‘이수관-이율내역 중 이율변경내역 출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 내용은 ‘실행내역 출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업무 정보는 상기 문제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문제의 업무 분류를 위해 상기 문제를 등록하는 문제작성 담당자 권한을 가진 직원이 소속된 기업(또는 기관)에서 분류하는 분류 명칭을 포함하는 업무구분과, 상기 업무를 처리하는 영업점(또는 지점)에 대한 구분을 포함하는 영업점 구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업무구분는 금융기관의 경우 ‘수신’, 여신’, ‘외국환’, ‘수수료’ 등으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업점 구분은 상기 업무구분에 대응하여 ‘개인’, ‘기업’ 등 으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상에 구비되는 상기 전문관리D/B(140)는 상기 직원단말(150)로부터 전송되는 문제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출력전문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전문 데이터는 상기 문제등록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문제 실습 결과 화면(또는 출력될 전문)상에 출력할 데이터에 대한 항목과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내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출력전문 데이터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항목 등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상에 구비되는 상기 직원관리D/B(135)는 상기 직원단말(150)을 통해 수신되는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여, 직원에 대한 인증 처리를 위한 인증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직원에 대한 직원 정보와, 상기 직원의 권한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원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 소스코드를 포함하는 테스트 요청 정보를 상기 직원단말(150)을 통해 입력하는 직원의 개인정보(예컨대, 직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등)와, 상기 직원의 사원정보(예컨대, 상기 직원이 상기 프로그램 소스코드를 개발한 대상 기업의 직원으로 입사함에 의해 상기 직원에게 부여되는 사원번호, 직원ID 정보, 사내 메일주소, 사내 전화번호 등))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직원이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에 접속을 위한 로그인 정보 제공시, 상기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직원 인증을 위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직원에 대한 인증 정보는 상기 직원에 대응하는 직원ID(또는 사원번호) 정보와 매칭되는 비밀번호, 보안카드 정보, 생체 정보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한 정보는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에 접속한 직원이 문제 작성이 가능한 경우에 부여되는 문제작성 담당자 권한, 상기 문제작성 서버를 포함하는 문제작성 시스템을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자 권한, 상기 문제작성 시스템을 통해 작성된 문제를 실습하는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만 이용 가능한 직원에 대응하는 일반 직원 권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권한과, 상기 권한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 메뉴(또는 사용 가능 모드) 등을 포함하는 사용가능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는 상기 직원단말(150)과 통신망에 대응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직원단말(150)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부(105)(또는 인터페이스 수단)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는 상기 직원단말(150)과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되는 웹서버의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직원단말(150)이 TCP/IP 기반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는 상기 직원단말(150)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직원단말(150)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직원단말(150)로부터 상기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직원단말(150)이 CDMA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는 상기 직원단말(150)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 해 상기 직원단말(150)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직원단말(150)로부터 상기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직원단말(150)이 IEEE 802.16x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는 상기 직원단말(150)과 상기 IEEE 802.16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직원단말(150)로 소정의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직원단말(150)로부터 상기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직원단말(150)이 IEEE 802.11x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는 상기 직원단말(150)과 상기 IEEE 802.11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직원단말(150)로 소정의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직원단말(150)로부터 상기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직원단말(150)이 TCP/IP 기반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는 상기 직원단말(150)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직원단말(150)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직원단말(150)로부터 상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직원단말(150)이 CDMA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는 상기 직원단말(150)과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직원단말(150)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직원단말(150)로부터 상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직원단말(150)이 IEEE 802.16x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 스부(105)는 상기 직원단말(150)과 상기 IEEE 802.16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직원단말(150)로 소정의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직원단말(150)로부터 상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직원단말(150)이 IEEE 802.11x 기반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는 상기 직원단말(150)과 상기 IEEE 802.11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직원단말(150)로 소정의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직원단말(150)로부터 상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는 소정의 직원단말(150)이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에 접속시, 상기 인터페이스부(105)와 연동하여 상기 직원단말(150)에서 소정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소정의 문제등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10)(또는 인터페이스 제공수단)와, 상기 인터페이스부(105)와 연동하여 상기 직원단말(150)에서 상기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는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는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정보와, 상기 문제등록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에서 모드 구분을 위한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전문 헤더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전문을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15)(또는 정보 수신수단)와, 상기 수신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여 직원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처리부(120)(또는 인증 처리수단)와, 상기 문제등록 전문 상의 전문 헤더를 분석하고, 상기 전문 헤더 분석 결과 시나리오 등록모드인 경우, 상기 문제등록 정보와, 상기 문제등록 정보와 연계된 출력전문 데이터를 정보 저장부(130)로 제공하여 시나리오D/B(145) 또는 전문관리D/B(140)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전문헤더 처리부(125)(또는 전문헤더 처리수단)와, 상기 전문헤더 처리부(125)에서 제공하는 문제등록 정보를 시나리오D/B(145)에 저장하고, 상기 문제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전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30)(또는 정보 저장수단)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110)는 소정의 직원단말(150)이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에 접속시, 상기 직원단말(150)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직원단말(150)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 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도시생략)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05)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직원단말(15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110)는 소정의 직원단말(150)이 상기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에 접속시, 상기 직원단말(150)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직원단말(150)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도시생략)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05)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직원단말(15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직원단말(150)은 상기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소정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로그인 정보가 입력(또는 선택)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직원단말(150)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로그인 정보를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직원단말(150)은 상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소정의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정보와, 상기 문제등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문제등록 정보가 입력(또는 선택)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직원단말(150)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문제등록 정보를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직원단말(150)에서 상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폼(Form) 양식을 통해 상기 로그인 정보 또는 문제등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는 기술적 특징과, 상기 통신망이 제공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로그인 정보 또는 문제등록 정보를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로 전송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115)는 상기 직원단말(150)에서 상기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소정의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시, 상기 인터페이스부(105)와 연동하여 상기 문제등록 정보와, 상기 문제등록 정보를 전송하는 직원단말(150)에서 모드 구분을 위한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전문 헤더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전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그인 정보는 상기 직원단말(150)에서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시, 상기 직원단말(150)을 통해 입력하는 직원ID 정보, 비밀번호 등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그인 정보는 상기 직원단말(150)에서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로 전송시 소정의 암호화 과정에 의한 암호화된 정보일 수도 있으며, 상기 직원단말(150)에서 암호화된 로그인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 상에 상기 암호화된 로그인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기능 구성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문제등록 전문은 전문 헤더, 전문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문 헤더부에는 상기 모드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문 데이터부에는 상기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정보 수신부(115)에서 수신하는 문제등록 전문의 구조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또한, 상기 문제등록 전문은 상기 전문 헤더에 상기 모드 정보 이외에 상기 문제등록 전문을 전송하는 직원단말(150)이 구비된 지점번호, 직원단말(150) 정보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드 정보 이외의 정보는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인증 처리부(120)는 상기 수신된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여 직원 인증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는, 상기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직원ID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직원관리D/B(135)에 저장된 직원 정보와 매칭되는 직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직원에 대응하는 직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된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직원 인증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기 직원에 대한 인증 처리 과정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전문헤더 처리부(125)는 상기 문제등록 전문 상의 전문 헤더를 분석하고, 상기 전문 헤더 분석 결과 시나리오 등록모드인 경우, 상기 문제등록 정보와, 상기 문제등록 정보와 연계된 출력전문 데이터를 상기 정보 저장부(130)로 제공하여 시나리오D/B(145) 또는 전문관리D/B(140)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직원단말(150)로부터 전송되는 문제등록 전문 처리는, 상기 문제등록 전문을 구성하는 전문 헤더 상의 모드 정보를 우선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직원단말(150)로부터 전송되는 문제등록 전문 상의 모드 정보가 시나리오 등록모드인 경우, 상기 직원단말(150)로부터 제공되는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130)와 연계하여 시나리오D/B(145)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제등록 전문 상의 모드 정보가 시나리오 등록모드인 경우, 상기 문제등록 정보가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와 연계된 소정의 시스템(도시생략) 상의 데이터베이스(도시생략)에 저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시스템이 금융시스템인 경우, 상기 시나리오 등록모드로 동작 중인 직원단말(150)로부터 제공되는 문제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거래 처리시, 상기 금융거래 처리 결과 생성되는 정보를 상기 금융시스템 상의 원장D/B에 저장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해 직원이 로그인시 권한을 부여하는 로그인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상의 직원단말(150)이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로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한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입력하기 위해,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에 로그인하고, 상기 로그인한 직원에 대한 직원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에 로그인하고, 상기 로그인한 직원에 대한 직원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 변형하여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에 로그인하고, 상기 로그인한 직원에 대한 직원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의 동작 흐름의 순서를 변형하여 다른 실시 방법에 의한 로그인 처리 및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2에서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문제등록 서버(100)를 편의상 “서버”라 하고,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직원단말(150)을 편의상 “단말”이라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상의 단말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한다(2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채널 연결 과정은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로그인하는 과정, 및/또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회원 가입하는 과정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과정에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고객정보가 추출(또는 획득)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망에 대응하는 소정의 브라우져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통신망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단말과 서버 사이에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한 통신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서버로 상기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해 상기 통신채널 연결을 요청한 직원의 로그인을 위한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요청하고(205),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로그인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을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또는 추출)하고(210),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215).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로그인 정보 입력(또는 선택)을 위해 상기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로그인 정보가 입력(또는 선택)하도록 처리한다(220).
만약 상기 단말에서 상기 로그인 정보가 입력(또는 선택)되면(225),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서버로 상기 로그인 정보를 전송하고(23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에서 수신한 로그인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직원관리D/B(135)와 연계하여 확인한다(23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그인 정보는 상기 직원단말(150)에서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시, 상기 직원단말(150)을 통해 입력하는 직원ID 정보, 비밀번호 등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그인 정보는 상기 직원단말(150)에서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로 전송시 소정의 암호화 과정에 의한 암호화된 정보일 수도 있으며, 상기 직원단말(150)에서 암호화된 로그인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 상에 상기 암호화된 로그인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기능 구성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는, 상기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직원ID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직원관리D/B(135)에 저장된 직원 정보와 매칭되는 직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직원에 대응하는 직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된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직원 인증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기 직원에 대한 인증 처리 과정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만약, 상기 직원에 대한 인증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240), 상기 서버는 상기 직원 인증 오류에 따른 오류 정보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245), 상기 단말과 연결된 통신채널을 종료하여 이후 과정이 진행되지 않도록 처리한다..
반면, 상기 직원에 대한 인증이 확인되는 경우(240), 상기 서버는 상기 직원 인증이 완료된 직원에 대한 권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권한을 부여하고(250), 상기 단말로 상기 부여된 권한에 따라 상기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255)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한 문제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상의 직원단말(150)이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로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한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정보와, 상기 문제등록 정보를 전송하 는 단말에서 모드 구분을 위한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전문 헤더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전문를 전송하면,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에서 상기 문제등록 전문 상의 전문 헤더에 포함된 모드 정보에 대응하여 시나리오 등록모드인 경우, 상기 문제등록 전문에 포함된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시나리오D/B(145)에 저장하고, 상기 문제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출력전문 데이터를 전문관리D/B(140)에 저장하는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한 문제등록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한 문제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3에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상의 문제등록 서버(100)를 편의상 "서버"라고 하고,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상의 직원단말(150)을 편의상 "단말"이라고 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과정 등에 의한 직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직원인증이 완료된 직원에 대한 권한 정보를 상기 직원에 대응하는 권한 정보가 저장된 직원관리D/B(135)와 연계하여 상기 직원의 권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권한 정보를 상기 직원에게 부여한다(300).
만약, 문제작성 담당자 권한을 가지지 않은 직원이라면(305), 문제작성을 위한 이하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직원 권한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면, 문제작성 담당자 권한을 가진 직원이라면(305), 상기 서버는 상기 문제작성 담당자 권한에 따른 모드 입력(또는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단말로 전송하여 출력하고(310), 상기 단말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드선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315).
만약, 시나리오 등록모드가 아닌 경우(320),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하 문제작성을 위한 과정을 실행하지 않는다.
반면, 시나리오 등록모드인 경우(320), 상기 서버는 상기 문제등록 정보 입력(또는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또는 추출)하고(325),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과 연결된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로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한다(330).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문제작성 담당자 권한을 가진 직원이 시나리오 등록 을 위한 문제등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문제등록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고(335), 상기 서버와 연결된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서버로 문제등록 정보와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전문 데이터를 전송한다(340).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문데이터에 포함된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전문 헤더를 처리한다(34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문제등록 전문은 전문 헤더, 전문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문 헤더부에는 상기 모드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문 데이터부에는 상기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서버에서 수신하는 문제등록 전문의 구조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또한, 상기 문제등록 전문은 상기 전문 헤더에 상기 모드 정보 이외에 상기 문제등록 전문을 전송하는 직원단말(150)이 구비된 지점번호, 직원단말(150) 정보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드 정보 이 외의 정보는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직원단말(150)로부터 전송되는 문제등록 전문 처리는, 상기 문제등록 전문을 구성하는 전문 헤더 상의 모드 정보를 우선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직원단말(150)로부터 전송되는 문제등록 전문 상의 모드 정보가 시나리오 등록모드인 경우, 상기 직원단말(150)로부터 제공되는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130)와 연계하여 시나리오D/B(145)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제등록 전문 상의 모드 정보가 시나리오 등록모드인 경우, 상기 문제등록 정보가 상기 문제등록 서버(100)와 연계된 소정의 시스템(도시생략) 상의 데이터베이스(도시생략)에 저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시스템이 금융시스템인 경우, 상기 시나리오 등록모드로 동작 중인 직원단말(150)로부터 제공되는 문제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거래 처리시, 상기 금융거래 처리 결과 생성되는 정보를 상기 금융시스템 상의 원장D/B에 저장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시나리오 등록모드가 아닌 경우(350),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문제등록 전문 상의 정보를 이용한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서비스 이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시나리오 등록모드인 경우(350),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전문 데이터에 포함된 문제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출력전문 데이터를 확인하고(355), 상기 출력전문 데이터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전문관리D/B(140)에 저장하고, 상기 문제등록 정보를 시나리오D/B(145)에 저장한다(360).
상기 문제 기본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를 관리(또는 문제를 실습하는 직원이 해당 문제를 선택)하기 위한 문제 번호, 상기 문제 내용에 대응하는 명칭을 포함하는 문제명, 상기 문제를 실습하는 대상 화면(또는 업무 처리시, 상기 문제와 동일한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번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문제 번호는 숫자(또는 문자 코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문제 번호는 문제 유형별 번호, 상기 유형에 포함되는 내부 분류번호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한 순차적으로 부여되는 번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제명은 상기 문제 번호에 대응하는 분류 명칭인 것이 바람직하며, ‘유동성지급’, ‘계좌정보조회’, ‘유동성계좌이체’, ‘정기성입금’, ‘여신이자수입’, ‘여신실행내역조회’, ‘환전-실행’, ‘외환면담보고서조회’, ‘수수료영수증출력’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제 내용정보는 상기 문제 기본정보에 대한 상세 내용 즉, 문제에 대한 상세 설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문제 내용정보는 상기 유동성지급 문제의 경우 ‘당행 유동성 계좌 ***-***-*****에 대체금액 1,000원을 창구CC로 지급한다.’의 형태로 문제 내용을 상세하게 풀이한 설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션 정보는 상기 문제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하나의 문제에 대한 구성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문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서브문제에 대응하는 액션 번호, 액션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액션 번호는 상기 문제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하나의 문제가 N(N>=1)개의 문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액션 번호는 1, 2, …, N인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액션명은, 상기 액션 번호에 대응하는 명칭인 것이 바람직하며, 하나의 문제인 경우 상기 문제명과 동일(또는 유사)하고, N(N>1)인 경우 각각에 대한 명칭이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션 내용정보는 상기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항목과, 상기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문제명과 액션명이 동일한 ‘유동성지급’이고, 하나의 액션이 포함된 경우, 액션명에 대응하는 액션 내용 중 입력항목은 ‘계좌번호’, ‘은행구분’, ‘대체’, ‘거래구분’, ‘적요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은, ‘계좌번호 ***-***-******’, ‘은행구분 1(신한은행)’, ‘대체 1000(또는 1,000)’, ‘거래구분 16(창구 CC지급)’, ‘적요코드 26(창구C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문제명이 ‘여신실행내역조회’인 경우, 액션번호 4개(예컨대, 01, 02, 03, 04)와, 상기 제1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명은 ‘계좌상세조회’, 제2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명은 ‘이수관내역조회’, 제3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명은 ‘여신이율변경내역조회’, 제4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명은 ‘여신실행내역조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 내용은 ‘계좌번호 ***-***-******’, ‘약정기본정보’ 또는 ‘계좌기본정보’ 또는 ‘참조출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 내용은 ‘이수관-이율내역 중 이수관내역 출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 내용은 ‘이수관-이율내역 중 이율변경내역 출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 내용은 ‘실행내역 출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업무 정보는 상기 문제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문제의 업무 분류를 위해 상기 문제를 등록하는 문제작성 담당자 권한을 가진 직원이 소속된 기업(또는 기관)에서 분류하는 분류 명칭을 포함하는 업무구분과, 상기 업무를 처리하는 영업점(또는 지점)에 대한 구분을 포함하는 영업점 구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업무구분는 금융기관의 경우 ‘수신’, 여신’, ‘외국환’, ‘수수료’ 등으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업점 구분은 상기 업무구분에 대응하여 ‘개인’, ‘기업’ 등으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전문 데이터는 상기 문제등록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문제 실습 결과 화면(또는 출력될 전문)상에 출력할 데이터에 대한 항목과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내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출력전문 데이터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항목 등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입력 실습에 따른 결과분석을 위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소정의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원단말(485)로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입력 실습에 따른 결과분석을 위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화면입력 실습에 따른 결과분석을 위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화면입력 실습에 따른 결과분석을 위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은, 소정의 웹브라우져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원단말(485)과,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직원단말(485)로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사이트를 운용하는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원단말(485)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총칭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직원단말(485)은 소정의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통신 기능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브라우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네트워크 통신 기능과 웹브라우져를 구비한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고정 단말, 또는 노트북과 같은 준고정 단말, 또는 휴대/이동이 가능한 휴대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직원단말(485)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 유선 통신망에 연결된 유선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신망에 구비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호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와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직원단말(485)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WCDMA(Wide-CDMA) 기반 무선 통신망, 또는 IEEE 802.11x 기반 무선 통신망, 또는 IEEE 802.16x 기반 무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무선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신망에 구비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호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와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와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한 통신채널이 연결된 후, 상기 직원단말(485)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로부터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웹문서(예컨대, *.html, *.htm, *.asp. *.jsp, *.xml, *.wml 등)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신된 웹문서는 상기 직원단말(485)에 구비된 웹브라우져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직원단말(485)이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와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로부터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한 웹문서를 수신하여 상기 웹브라우져를 통해 출력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직원단말(485)로 수신되는 웹문서는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한 소정의 로그인 정보 또는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로그인 정보 또는 화면입력 실습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직원단말(485)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그인 정보 또는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는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문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문서 소스와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웹 운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웹 운용 D/B를 구비한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웹 운용 데이터 중 상기 웹문서 소스는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원단말(485)로 제공하는 웹문서를 생성하기 위한 HTML 호환 태그와 각종 스크립트(Script) 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데이터 컨텐츠는 상기 웹문서에 포함될 이미지 컨텐츠, 사운드 컨텐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운 운용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웹문서 소스와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여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문서가 생성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는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해 상기 직원이 화면입력 실습한 문제에 대한 정답문제, 오답문제를 분류하여 상기 직원에 대한 직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4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원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 소스코드를 포함하는 테스트 요청 정보를 상기 직원단말(485)을 통해 입력하는 직원의 개인정보(예컨대, 직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등)와, 상기 직원의 사원정보(예컨대, 상기 직원이 상기 프로그램 소스코드를 개발한 대상 기업의 직원으로 입사함에 의해 상기 직원에게 부여되는 사원번호, 직원ID 정보, 사내 메일주소, 사내 전화번호 등))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답문제 정보와 오답문제 정보는 상기 직원을 대상으로 제공된 화면입력 실습 문제에 대해, 상기 직원이 상기 문제를 풀이한 결과 정답과 동일한 경우, 정답문제로 분류하고, 상기 정답문제 이외의 나머지 문제를 풀이한 결과를 오답문제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480)는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 구비된 DBMS 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480)는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와 제휴된 소정의 제휴사 측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접근 가능한 별도의 DB서버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상에 구비되는 상기 시나리오D/B(475)는 상기 직원단말(485)로부터 전송되는 문제 기본정보, 문제 내용정보, 액션정보, 액션 내용정보, 업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제등록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제 기본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를 관리(또는 문제를 실습하는 직원이 해당 문제를 선택)하기 위한 문제 번호, 상기 문제 내용에 대응하는 명칭을 포함하는 문제명, 상기 문제를 실습하는 대상 화면(또는 업무 처리시, 상기 문제와 동일한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번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문제 번호는 숫자(또는 문자 코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문제 번호는 문제 유형별 번호, 상기 유형에 포함되는 내부 분류번호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한 순차적으로 부여되는 번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제명은 상기 문제 번호에 대응하는 분류 명칭인 것이 바람직하며, ‘유동성지급’, ‘계좌정보조회’, ‘유동성계좌이체’, ‘정기성입금’, ‘여신이자수입’, ‘여신실행내역조회’, ‘환전-실행’, ‘외환면담보고서조회’, ‘수수료영수증출력’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제 내용정보는 상기 문제 기본정보에 대한 상세 내용 즉, 문제에 대한 상세 설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문제 내용정보는 상기 유동성지급 문제의 경우 ‘당행 유동성 계좌 ***-***-******에 대체금액 1,000원을 창구CC로 지급한다.’의 형태로 문제 내용을 상세하게 풀이한 설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션 정보는 상기 문제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하나의 문제에 대한 구성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문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서브문제에 대응하는 액션 번호, 액션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액션 번호는 상기 문제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하나의 문제가 N(N>=1)개의 문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액션 번호는 1, 2, …, N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션명은, 상기 액션 번호에 대응하는 명칭인 것이 바람직하며, 하나의 문제인 경우 상기 문제명과 동일(또는 유사)하고, N(N>1)인 경우 각각에 대 한 명칭이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션 내용정보는 상기 액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항목과, 상기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문제명과 액션명이 동일한 ‘유동성지급’이고, 하나의 액션이 포함된 경우, 액션명에 대응하는 액션 내용 중 입력항목은 ‘계좌번호’, ‘은행구분’, ‘대체’, ‘거래구분’, ‘적요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은, ‘계좌번호 ***-***-******’, ‘은행구분 1(신한은행)’, ‘대체 1000(또는 1,000)’, ‘거래구분 16(창구 CC지급)’, ‘적요코드 26(창구C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문제명이 ‘여신실행내역조회’인 경우, 액션번호 4개(예컨대, 01, 02, 03, 04)와, 상기 제1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명은 ‘계좌상세조회’, 제2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명은 ‘이수관내역조회’, 제3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명은 ‘여신이율변경내역조회’, 제4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명은 ‘여신실행내역조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 내용은 ‘계좌번호 ***-***-******’, ‘약정기본정보’ 또는 ‘계좌기본정보’ 또는 ‘참조출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 내용은 ‘이수관-이율내역 중 이수관내역 출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 내용은 ‘이수관-이율내역 중 이율변경내역 출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 액션에 대응하는 액션 내용은 ‘실행내역 출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업무 정보는 상기 문제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문제의 업무 분류를 위해 상기 문제를 등록하는 문제작성 담당자 권한을 가진 직원이 소속된 기업(또는 기관)에서 분류하는 분류 명칭을 포함하는 업무구분과, 상기 업무를 처리하는 영업점(또는 지점)에 대한 구분을 포함하는 영업점 구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업무구분는 금융기관의 경우 ‘수신’, 여신’, ‘외국환’, ‘수수료’ 등으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업점 구분은 상기 업무구분에 대응하여 ‘개인’, ‘기업’ 등으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상에 구비되는 상기 전문관리D/B(470)는 상기 직원단말(485)로부터 전송되는 문제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출력전문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전문 데이터는 상기 문제등록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문제 실습 결과 화면(또는 출력될 전문)상에 출력할 데이터에 대한 항목과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내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출력전문 데이터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항목 등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상에 구비되는 상기 직원관리D/B(465)는 상기 직원단말(485)을 통해 수신되는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여, 직원에 대한 인증 처리를 위한 인증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직원에 대한 직원 정보와, 상기 직원의 권한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원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 소스코드를 포함하는 테스트 요청 정보를 상기 직원단말(485)을 통해 입력하는 직원의 개인정보(예컨대, 직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등)와, 상기 직원의 사원정보(예컨대, 상기 직원이 상기 프로그램 소스코드를 개발한 대상 기업의 직원으로 입사함에 의해 상기 직원에게 부여되는 사원번호, 직원ID 정보, 사내 메일주소, 사내 전화번호 등))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직원이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 접속을 위한 로그인 정보 제공시, 상기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직원 인증을 위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직원에 대한 인증 정보는 상기 직원에 대응하는 직원ID(또는 사원번호) 정보와 매칭되는 비밀번호, 보안카드 정보, 생체 정보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한 정보는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 접속한 직원이 문제 작성이 가능한 경우에 부여되는 문제작성 담당자 권한, 상기 문제작성 서버를 포함하는 문제작성 시스템을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자 권한, 상기 문제작성 시스템을 통해 작성된 문제를 실습하는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만 이용 가능한 직원에 대응하는 일반 직원 권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권한과, 상기 권한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 메뉴(또는 사용 가능 모드) 등을 포함하는 사용가능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원단말(485)로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한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문서를 상기 직원단말(485)로 제공하는 웹 인터페이스부(405)(또는 웹 인터페이스부(40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405)는 상기 직원단말(485)에서 소정의 로그인 정보 또는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그인 정보 또는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405)는 상기 직원단말(485)과 연결된 통신망에 구비된 HTTP 호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해 상기 직원단말(485)로 제공할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HTML 호환 웹문서(예컨대, *.html, *.htm, *.asp. *.jsp, *.xml, *.wml 등)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 및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원단말(485)과 상기 통신채널이 연결된 후,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상기 상기 직원단말(485)로 제공할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문서가 생성되면,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405)는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 기 웹문서를 상기 직원단말(485)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직원단말(485)에 구비된 웹브라우져를 통해 상기 웹문서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웹문서에 소정의 로그인 정보 또는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직원단말(485)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로그인 정보 또는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405)는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그인 정보 또는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는 상기 웹 운용 D/B와 연계하여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해 상기 직원단말(485)로 제공할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HTML 호환 웹문서(예컨대, *.html, *.htm, *.asp. *.jsp, *.xml, *.wml 등)를 생성하는 웹페이지 운용부(415)(또는 웹페이지 운용수단)와, 상기 웹 운용 D/B와 연계하여 상기 웹문서에 포함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생성된 웹문서가 기 전송된 상기 직원단말(485)로 전송하는 디지털 컨텐츠 운용부(420)(또는 디지털 컨텐츠 운용수단)와,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운용 절차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415)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문서를 생성하는 것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 운용부(420)에서 상기 생성된 웹문서에 포함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웹문서가 전송된 직원단말(485)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제어하는 웹서비스 제어부(410)(또는 웹서비스 제어부(4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405)는 상기 웹서비스 제어부(410)와 연계하여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415)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문서를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직원단말(485)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웹서비스 제어부(410)는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운용 절차(또는 직원단말(485)로부터의 웹페이지 요청)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415)가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한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문서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415)는 상기 웹서비스 제어부(410)와 연계하여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한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문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한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문서는,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로 접속하여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한 로그인 정보에 대한 인증 이후,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415)에 의해 생성된 웹문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컨텐츠 링크가 포함되는데, 상기 웹문서를 수신한 직원단말(485)에서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 링크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 출력을 요청하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 운용부(420)는 상기 웹 운용 D/B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 링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405)를 통해 상기 직원단말(485)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직원단말(485)로 전송된 상기 웹문서에 포함되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는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해, 상기 직원이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로 접속시, 상기 직원관리D/B(465)와 연계하여 로그인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처리부(425)(또는 인증 처리수단)와, 상기 직원에 대한 로그인 인증이 확인된 이후, 상기 직원에게 제공할 실습문제를 확인하는 실습문제 확인부(430)(또는 실습문제 확인수단)와, 상기 확인된 실습문제를 상기 직원단말(485)로 제공하여 상기 직원단말(485) 상의 화면에 출력하는 실습문제 출력 처리부(435)(또는 실습문제 처리수단)와, 상기 직원단말(485)로부터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제공한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로그인 정보와,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화면입력 실습 문제 상에 책임자 승인이 필요한 경우 승인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440)(또는 정보 수신수단)와, 상기 수신된 승인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모의 승인 처리하는 승인 처리부(445)(또는 승인 처리수단)와, 상기 수신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와 액션 내용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정답문제 정보와 오답문제 정보로 분류하고, 정답문제 정보에 대해서는 업무처리 시간 단축 가능 유무를 분석하는 정보 분석부(450)(또는 정보 분석수단)와, 상기 수신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응하는 정답문제 정보와 오답문제 정보에 대해, 상기 실습한 직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직원 평가부(455)(또는 직원 평가수단)와, 상기 직원 정보와,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한 정답문제 정보, 오답문제 정보와, 상기 직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매체(480)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460)(또는 정보 저장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증 처리부(425)는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위해, 상기 직원이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로 접속시, 상기 직원관리D/B(465)와 연계하여 로그인 인증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는, 상기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직원ID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직원관리D/B(465)에 저장된 직원 정보와 매칭되는 직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직원에 대응하는 직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된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직원 인증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기 직원에 대한 인증 처리 과정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실습문제 확인부(430)는 상기 직원에 대한 로그인 인증이 확인된 이후, 상기 직원에게 제공할 실습문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 확인된 직원에 대한 실습문제 확인은, 상기 직원에게 제공할 화면입력 실습 문제 유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직원의 업무에 맞는 화면입력 실습 문제 유무를 상기 시나리오D/B(475)와 연계하여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 확인된 직원에 대한 실습문제 확인은, 상기 직원이 요청한 화면입력 실습 문제를 상기 시나리오D/B(475)와 연계하여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 확인된 직원에 대한 실습문제 확인은,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를 운영하는 기관에서 상기 직원에게 제공할 기 지정된 문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기 지정된 문제를 이용한 경진대회 등의 이벤트 등에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실습문제 출력 처리부(435)는 상기 확인된 실습문제를 상기 직원단말(485)로 제공하여 상기 직원단말(485) 상의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실습문제 출력 처리는 상기 확인된 실습문제를 상기 직원단말(485)로 제공하여 출력하기 위해, 상기 실습문제를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웹페이지 상의 일정 영역에 상기 확인된 실습문제를 포함하는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를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습문제 출력 처리는,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운용 절차에 따라 상기 실습문제 출력 처리부(435)에서 상기 확인된 실습문제를 포함하는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문서를 생성하는 것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실습문제 출력 처리부(435)에서 상기 생성된 웹문서에 포함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습 문제를 추출하여 상기 웹문서가 전송된 직원단말(485)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제어하는 웹서비스 제어부(410)와 연계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웹서 비스 제어부(410)와 연계하여 실습문제를 상기 직원단말(485)로 제공하여 출력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440)는 상기 직원단말(485)로부터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제공한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로그인 정보와,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화면입력 실습 문제 상에 책임자 승인이 필요한 경우 승인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그인 정보는 상기 직원단말(485)에서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시, 상기 직원단말(485)을 통해 입력하는 직원ID 정보, 비밀번호 등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그인 정보는 상기 직원단말(485)에서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로 전송시 소정의 암호화 과정에 의한 암호화된 정보일 수도 있으며, 상기 직원단말(485)에서 암호화된 로그인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 상에 상기 암호화된 로그인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기능 구성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승인요청 정보는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실습문제를 실습하는 과정에, 실습문제상에 책임자 승인 과정이 포함된 경우, 승인이 필요한 실습문제 상의 승인요청 내역과, 승인을 요청하는 책임자 정보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인요청 정보는 상기 직원단말(485)에서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로 전송시 소정의 암호화 과정에 의한 암호화된 정보일 수도 있으며, 상기 직원단말(485)에서 암호화된 승인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 상에 상기 암호화된 승인요청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기능 구성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는 상기 직원단말(485)로부터 수신하는 실습문제에 따른 단말조작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말조작 정보는 상기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항목과, 상기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는 상기 직원단말(485)에서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로 전송시 소정의 암호화 과정에 의한 암호화된 정보일 수도 있으며, 상기 직원단말(485)에서 암호화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 상에 상기 암호화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기능 구성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인 처리부(445)는 상기 수신된 승인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모의 승인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승인 처리는 상기 직원단말(485)에서 직접 모의 승인 처리를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직원단말(485)에서 상기 승인요청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승인요청이 아닌 승인요청을 했는지 유무를 확인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직원단말(485)로부터 수신되는 승인요청 정보에 대한 승인은, 상기 직원단말(485)에서 상기 직원이 선택(또는 입력)하여 전송하는 책임자를 대신하여, 상기 서버에서 가상의 승인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분석부(450)는 상기 수신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와 액션 내용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정답문제 정보와 오답문제 정보로 분류하고, 정답문제 정보에 대해서는 업무처리 시간 단축 가능 유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답 문제 정보와 오답문제 정보는 상기 정보 저장부(460)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48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한 분석은, 상기 수신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와,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응하는 액션 내용정보를 상기 시나리오D/B(475)로부터 추출하여 매칭 유무를 확인하여 정답문제 또는 오답문제인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와 액션 내용정보를 상호 매칭한 결과 과정은 다르지만, 입력하는 값이 같고,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액션 내용정보를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등을 상호 비교하거나, 입력되는 키의 수 등을 비교하여 업무처리 시간 단축 가능 유무를 더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존의 처리 업무처리 과정보다 시간이 단축되는 경우 상기 문제를 등록한 문제등록 권한을 가진 직원(또는 상기 시스템 관리자) 등을 통해 승인 과정을 거쳐 업무처리 프로세스를 변경하는 등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한 분석은, 상기 수신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이용한 실습 이후 출력될 결과 정보와, 상기 실습문제에 대응하는 출력전문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답문제 또는 오답문제인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원 평가부(455)는 상기 수신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응하는 정답문제 정보와 오답문제 정보에 대해, 상기 실습한 직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생성되는 평가 정보는 상기 정보 저장부(460)를 통해 상기 직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48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직원 평가는 상기 직원이 소속된 소속점별 문제(또는 상기 직원이 요청하는 문제)에 대응하여 정답문제와 오답문제에 대한 배점 등을 이용한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점수를 분류하여 점수별 순위를 포함하는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생성된 평가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직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등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도면5a와 도면5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입력 실습에 따른 결과분석을 위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a와 도면5b는 소정의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원단말(485)로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입력 실습에 따른 결과분석을 위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a와 도면5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화면입력 실습에 따른 결과분석을 위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a와 도면5b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a와 도면5b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4에 도시된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상의 단말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한다(500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채널 연결 과정은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로그인하는 과정, 및/또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회원 가입하는 과정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과정에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고객정보가 추출(또는 획득)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망에 대응하는 소정의 브라우져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통신망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단말과 서버 사이에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한 통신채널 이 연결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서버로 상기 화면입력 실습 문제 등록을 위해 상기 통신채널 연결을 요청한 직원의 로그인을 위한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요청하고(505a),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로그인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을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또는 추출)하고(510a),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515a).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로그인 정보 입력(또는 선택)을 위해 상기 로그인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로그인 정보가 입력(또는 선택)하도록 처리한다(520a).
만약 상기 단말에서 상기 로그인 정보가 입력(또는 선택)되면(525a),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서버로 상기 로그인 정보를 전송하고(530a),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에서 수신한 로그인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직원관리D/B(465)와 연계하여 확인한다(535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그인 정보는 상기 직원단말(485)에서 상기 문제등록 서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시, 상기 직원단말(485)을 통해 입력하는 직원ID 정보, 비밀번호 등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로그인 정보는 상기 직원단말(485)에서 상기 문제등록 서버로 전송시 소정의 암호화 과정에 의한 암호화된 정보일 수도 있으며, 상기 직원단말(485)에서 암호화된 로그인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문제등록 서버 상에 상기 암호화된 로그인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기능 구성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는, 상기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직원ID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직원관리D/B(465)에 저장된 직원 정보와 매칭되는 직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직원에 대응하는 직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된 인증 정보와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직원 인증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기 직원에 대한 인증 처리 과정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만약, 상기 직원에 대한 인증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540a), 상기 서버는 상기 직원 인증 오류에 따른 오류 정보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545a), 상기 단말과 연결된 통신채널을 종료하여 이후 과정이 진행되지 않도록 처리한다..
반면, 상기 직원에 대한 인증이 확인되는 경우(540a), 상기 서버는 상기 화면입력 실습을 위한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여 출력하고(550a), 상기 제공된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할 실습문제를 확인한다(500b).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 확인된 직원에 대한 실습문제 확인은, 상기 직원에게 제공할 화면입력 실습 문제 유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직원의 업무에 맞는 화면입력 실습 문제 유무를 상기 시나리오D/B(475)와 연계하여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 확인된 직원에 대한 실습문제 확인은, 상기 직원이 요청한 화면입력 실습 문제를 상기 시나리오D/B(475)와 연계하여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 확인된 직원에 대한 실습문제 확인은,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를 운영하는 기관에서 상기 직원에게 제공할 기 지정된 문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기 지정된 문제를 이용한 경진대회 등의 이벤트 등에 이용될 수도 있다.
만약, 실습문제가 없는 경우(505b), 상기 서버는 실습문제 없음을 알리는 정보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510b), 이후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실습문제가 있는 경우(505b), 상기 서버는 상기 확인된 실습 문제를 상기 단말에 출력된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출력한다(515b).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실습문제 출력 처리는 상기 확인된 실습문제를 상기 직원단말(485)로 제공하여 출력하기 위해, 상기 실습문제를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웹페이지 상의 일정 영역에 상기 확인된 실습문제를 포함하는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를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습문제 출력 처리는, 상기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운용 절차에 따라 상기 실습문제 출력 처리부(435)에서 상기 확인된 실습문제를 포함하는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문서를 생성하는 것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실습문제 출력 처리부(435)에서 상기 생성된 웹문서에 포함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습 문제를 추출하여 상기 웹문서가 전송된 직원단말(485)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서버에서 실습문제를 상기 직원단말(485)로 제공하여 출력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출력된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된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을 포함하는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520b).
만약, 화면입력 실습 정보가 입력(또는 선택)되면(525b),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서버로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전송하고(530b),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분석한다(535b).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는 상기 직원단말(485)로부터 수신하는 실습문제에 따른 단말조작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말조작 정보는 상기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항목과, 상기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는 상기 직원단말(485)에서 상기 실습문제 처 리 서버(400)로 전송시 소정의 암호화 과정에 의한 암호화된 정보일 수도 있으며, 상기 직원단말(485)에서 암호화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 상에 상기 암호화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기능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한 분석은, 상기 수신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와,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응하는 액션 내용정보를 상기 시나리오D/B(475)로부터 추출하여 매칭 유무를 확인하여 정답문제 또는 오답문제인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와 액션 내용정보를 상호 매칭한 결과 과정은 다르지만, 입력하는 값이 같고,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액션 내용정보를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등을 상호 비교하거나, 입력되는 키의 수 등을 비교하여 업무처리 시간 단축 가능 유무를 더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존의 처리 업무처리 과정보다 시간이 단축되는 경우 상기 문제를 등록한 문제등록 권한을 가진 직원(또는 상기 시스템 관리자) 등을 통해 승인 과정을 거쳐 업무처리 프로세스를 변경하는 등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한 분석은, 상기 수신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 보를 이용한 실습 이후 출력될 결과 정보와, 상기 실습문제에 대응하는 출력전문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답문제 또는 오답문제인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 생성되는 정답문제 정보(또는 오답문제 정보)를 직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저장매체(480)에 저장한다(540b).
이후,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정답문제 정보와 오답문제 정보에 대응하여 직원 평가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직원 평가에 대응하는 평가 정보는 상기 직원 정보와 연계 처리하여 상기 저장매체(48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직원 평가는 상기 직원이 소속된 소속점별 문제(또는 상기 직원이 요청하는 문제)에 대응하여 정답문제와 오답문제에 대한 배점 등을 이용한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점수를 분류하여 점수별 순위를 포함하는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생성된 평가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직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등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는 실습종류 선택(또는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 상에 구비되는 웹페이지 운용부(415)에서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직원단말(485)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실습 업무 종류를 선택하는 실습종류 선택을 위한 팝업 메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 변형하여 상기 직원단말(485)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실습 업무 종류를 선택하는 실습종류 선택을 위한 팝업 메뉴의 예시 화면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 변형하여, 상기 팝업 메뉴의 형태가 아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거나, 또는 별도의 팝업 창으로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 변형하여, 실습종류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에 입력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는 실습종류 선택(또는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위에 업무구분을 선택할 수 있는 업무 구분 입력(또는 선택) 영역과, 상기 업무 구분 선택 영역의 하위 영역인 업무 종류를 선택하는 업무 종류 입력(또는 선택) 영역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업무 구분 입력(또는 선택) 영역은, 고객에 대한 일반적인 업무(예컨대, 고객정보 변경 등) 실습을 위한 ‘고객’ 메뉴와, 신규, 입금, 지급/이자지급 등을 실습하기 위한 ‘수신’ 메뉴와, 여신 업무 실습을 위한 ‘여신’ 메뉴와, 외국환(예컨대, 외국 화폐에 대한 환전 등)을 실습을 위한 ‘외국환’ 메뉴와, 신용카드 업무를 실습하기 위한 ‘신용카드’ 메뉴와, 인터넷 뱅킹 등의 전자금융에 대한 실습을 위한 ‘전자금융’ 메뉴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업무 구분 입력(또는 선택) 영역에 출력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구성에 대한 기술적 특징과, 상기 메뉴를 구성하는 상세 항목에 대한 내역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업무 종류 입력(또는 선택) 영역은, 상기 업무 구분 입력(또는 선택) 영역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를 포함하는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며, ‘신규’, ‘입금’, ‘지급/이자지급’, ‘자기앞수표’, ‘기장’, ‘정정/취소’, ‘해지/이수관’, ‘타행환’, ‘조회’, ‘등록/해제’, ‘제증명서발급’, ‘별단예금’, ‘계리입지’, ‘내국환’, ‘현수송’, ‘일일마감’, ‘퇴직연금’, ‘대외기관업무’, ‘본부관리업무’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업무 종류 입력(또는 선택) 영역에 출력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구성에 대한 기술적 특징과, 상기 메뉴를 구성하는 상세 항목에 대한 내역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는 문제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 상에 구비되는 웹페이지 운용부(415)에서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직원단말(485)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 이지 중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화면번호, 문제번호, 액션 번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입력항목과, 상기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 입력(또는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 변형하여 상기 직원단말(485)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화면번호, 문제번호, 액션 번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입력항목과, 상기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 입력(또는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 변형하여, 상기 팝업 메뉴의 형태가 아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거나, 또는 별도의 팝업 창으로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 변형하여,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에 입력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 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는 문제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화면의 명칭을 출력하는 제목 영역과, 상기 제목 영역에 대응하는 내용을 출력하는 내용 영역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목 영역은, 문제 번호 입력 등의 본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명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용 영역은, ‘문제번호와 Action 번호를 입력하세요.’가 출력된 설명출력 영역과, 화면번호 정보 제공을 위해 ‘화면번호’와, 상기 ‘화면번호’에 대응하는 ‘001001’과 같이 입력값(또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화면번호 출력(또는 입력) 영역과, 문제번호 정보 제공을 위해 ‘문제번호’와, 상기 ‘문제번호’에 대응하는 ‘2’과 같이 입력값(또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문제번호 출력(또는 입력) 영역과, Action 번호 정보 제공을 위해 ‘Action 번호’와, 상기 ‘Action 번호’에 대응하는 ‘1’과 같이 입력값(또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Action 번호 출력(또는 입력) 영역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 는 제공된 실습문제 출력 및 실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 상에 구비되는 웹페이지 운용부(415)에서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직원단말(485)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상기 직원단말(485)을 통해 실습문제에 대한 실습을 위한 실습종류 입력(또는 선택) 영역과, 상기 도면6에 도시된 업무 구분 입력(또는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메뉴영역과, 상기 실습종류 선택에 대응하는 실습문제를 출력하는 문제 출력 및 입력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 변형하여 상기 직원단말(485)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상기 직원단말(485)을 통해 실습문제에 대한 실습을 위한 실습종류 입력(또는 선택) 영역과, 상기 도면6에 도시된 업무 구분 입력(또는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메뉴영역과, 상기 실습종류 선택에 대응하는 실습문제를 출력하는 문제 출력 및 입력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 변형하여, 상기 팝업 메뉴의 형태가 아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거나, 또는 별도의 팝업 창으로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 변형하여,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에 입력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는 제공된 실습문제 출력 및 실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직원단말(485)을 통해 실습문제에 대한 실습을 위한 실습종류 입력(또는 선택) 영역과, 상기 도면6에 도시된 업무 구분 입력(또는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메뉴영역과, 상기 실습종류 선택에 대응하는 실습문제를 출력하는 문제 출력 및 입력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영역 에 출력되는 상세한 내역에 대한 기술적 특징과, 명칭에 대한 상세한 내용 등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는 프린터로 출력될 전표 미리 확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 상에 구비되는 웹페이지 운용부(415)에서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직원단말(485)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출력될 전표의 미리보기 기능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 변형하여 상기 직원단말(485)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출력될 전표의 미리보기 기능의 예시 화면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 변형하여, 상기 팝업 메뉴의 형태가 아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거나, 또는 별도의 팝업 창으로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 변형하여,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에 입력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는 프린터로 출력될 전표 미리 확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전표상에 인자될 내용이 출력되는 내용출력 영역과, 상기 출력된 내용에 대한 선택(또는 입력) 버튼 등이 출력되는 동작 영역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용출력 영역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직원단말(485)로부터 제공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한 처리 결과 출력이 전표 등의 종이로 출력되는 경우, 종이에 출력하기 이전에 미리 확인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종이에 출력될 내용을 미리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 영역은, 상기 내용출력 영역 상에 출력된 내용을 확인하여 문제가 없을 경우, 프린터기(또는 전표 인자 장치 등)을 통해 종이에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면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는 화면입력 실습을 통해 정상 처리시 확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 상에 구비되는 웹페이지 운용부(415)에서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직원단말(485)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화면입력 실습을 통해 정상 처리시 확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 변형하여 상기 직원단말(485)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화면입력 실습을 통해 정상 처리시 확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 변형하여, 상기 팝업 메뉴의 형태가 아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거나, 또는 별도의 팝업 창으로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 변형하여,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에 입력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는 화면입력 실습을 통해 정상 처리시 확인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도면4를 통해 입력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응하는 정상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결과출력 영역과, 상기 출력된 내용에 대한 선택(또는 입력) 버튼 등이 출력되는 동작 영역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과출력 영역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직원단말(485)로부터 제공된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한 처리 결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 영역은, 상기 결과출력 영역 상에 출력된 정상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처리 결과를 통장 또는 전표상에 출력하기 위해 직원의 선택에 따라 동작하는 버튼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는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한 오답 리스트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 상에 구비되는 웹페이지 운용부(415)에서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직원단말(485)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화면입력 실습 오답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 변형하여 상기 직원단말(485)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 상기 실습문제 처리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화면입력 실습 오답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 화면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 변형하여, 상기 팝업 메뉴의 형태가 아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거나, 또는 별도의 팝업 창으로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 변형하여,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에 입력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1을 참조하면, 상기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는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한 오답 리스트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정답 데이터와 입력 데이터를 비교 출력하는 내용출력 영역과, 상기 내용 출력 영역에 대응하여 초기화, 완료, 닫기 버튼을 포함하는 선택버튼 영역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용출력 영역은 오답문제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오답문제 정보에 포함된 입력 항목과, 오답문제 정보에 대응하는 입력값(또는 입력 데이터)와, 상기 오답문제에 대응하는 정답 데이터를 비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버튼 영역은 상기 내용출력 영역에 출력된 오답 항목에 대응하여, 상기 오답문제 정보 초기화를 위한 초기화 버튼과, 상기 오답문제 정보 확인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닫기 위한 닫기 버튼과, 오답항목 상세 내역 확인 이후 선택하는 완료 버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입력 실습 서비스를 제공하여 쉽게 화면입력 실습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를 업무에 실제 적용하는 과정에 효율적인 업무 처리 방안을 제시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면입력 실습에 대해 오답인 경우 비교 확인할 수 있는 장점으로, 더 편리한 실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화면입력 실습을 요청하는 직원단말 접속시, 상기 직원단말을 통해 접속한 직원을 인증 처리하는 직원인증 수단;
    화면입력 실습을 위한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직원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인증 처리된 직원의 업무에 맞는 화면입력 실습 문제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는 수단;
    상기 화면입력 실습 문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항목과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D/B에 저장된 액션 내용정보와 비교하는 수단;
    상기 비교한 결과,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와 상기 액션 내용정보가 동일하고 상기 입력값 정보의 입력 과정이 다른 경우,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입력하는데 소요된 시간과 상기 액션 내용정보를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업무처리 시간 단축 가능 유무를 분석하는 수단; 및
    상기 분석 결과, 업무처리 시간이 단축 가능하다고 분석되는 경우,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의 입력 과정에 따라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응하는 업무처리 프로세스를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입력 실습 시스템.
  2. 삭제
  3. 금융사에 구비된 실습문제 처리 서버에서 직원단말을 통해 화면입력 실습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직원단말이 접속하여 화면입력 실습을 요청하면, 상기 직원단말을 통해 접속한 직원을 인증 처리하는 단계;
    화면입력 실습을 위한 화면입력 실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직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처리된 직원의 업무에 맞는 화면입력 실습 문제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화면입력 실습 문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항목과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입력값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D/B에 저장된 액션 내용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한 결과,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와 상기 액션 내용정보가 동일하고 상기 입력값 정보의 입력 과정이 다른 경우,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를 입력하는데 소요된 시간과 상기 액션 내용정보를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업무처리 시간 단축 가능 유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 업무처리 시간이 단축 가능하다고 분석되는 경우,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의 입력 과정에 따라 상기 화면입력 실습 정보에 대응하는 업무처리 프로세스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입력 실습방법.
  4. 제 3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70093898A 2007-09-14 2007-09-14 화면입력 실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101084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898A KR101084293B1 (ko) 2007-09-14 2007-09-14 화면입력 실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898A KR101084293B1 (ko) 2007-09-14 2007-09-14 화면입력 실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364A KR20090028364A (ko) 2009-03-18
KR101084293B1 true KR101084293B1 (ko) 2011-11-16

Family

ID=4069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898A KR101084293B1 (ko) 2007-09-14 2007-09-14 화면입력 실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086B1 (ko) * 2015-04-14 2017-01-11 농협은행(주) 은행업무 체험 교육용 카드 발급 장치
KR101695084B1 (ko) * 2015-04-14 2017-01-11 농협은행(주) 은행업무 체험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95085B1 (ko) * 2015-04-14 2017-01-24 농협은행(주) 은행업무 체험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767B1 (ko) * 2003-12-26 2006-06-15 (주)비투엘 소프트 기업경영 시뮬레이션게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767B1 (ko) * 2003-12-26 2006-06-15 (주)비투엘 소프트 기업경영 시뮬레이션게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364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501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trusted form processing
US11468196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validating authorization for personal data collection, storage, and processing
US8010674B2 (en) Learning and community-based web aggregation techniques
CN109377189B (zh) 一种不动产电子权证系统
CA28953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user identities in networked computer systems
US119225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on, management and peer review based transfer of electronic tokens
CN115600230A (zh) 一种人事管理系统
KR101084293B1 (ko) 화면입력 실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20090000740A (ko) 증명서 발급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Adam et al. Backend server system design based on rest api for cashless payment system on retail community
KR20010044544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금융 대출서비스 방법
KR100963930B1 (ko) 스캐닝 데이터 보험 상품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10129735A (ko) 빠른 대출이 가능한 인터넷 대출 방법
WO2009042113A2 (en) Document acquisition &amp; authentication system
KR102140708B1 (ko)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090076859A (ko) 화면입력 실습 제공 시스템
Kimani et al. Multi-Factor Authentication for Improved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s Security
KR20090028365A (ko) 화면입력 실습결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20090028363A (ko) 화면입력 실습 문제 생성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90092745A (ko) 화면입력 실습 문제 생성 시스템
KR100976515B1 (ko) 기업 임직원의 지출계획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100993283B1 (ko) 지로 납부 검색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CN109272302A (zh) 基于区块链技术的管理方法、终端及可读存储介质
KR101041113B1 (ko) 금융교육과 연계되는 금융상품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00029366A (ko) 무형자산 활용에 따른 인센티브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