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937B1 - 경량건축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량건축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937B1
KR101083937B1 KR1020090071544A KR20090071544A KR101083937B1 KR 101083937 B1 KR101083937 B1 KR 101083937B1 KR 1020090071544 A KR1020090071544 A KR 1020090071544A KR 20090071544 A KR20090071544 A KR 20090071544A KR 101083937 B1 KR101083937 B1 KR 101083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weight
weight
concrete
mixe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864A (ko
Inventor
정광복
Original Assignee
정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복 filed Critical 정광복
Priority to KR1020090071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93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8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adding porous subst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블록 또는 경량복합패널 등과 같은 경량건축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물성 또는 식물성 기포제로 제조한 경량기포콘크리트에 비중 0.50 ∼ 0.60, 폐기공율 20 ∼ 30%, 개기공율 50 ∼ 60%, 흡수율 3 ∼ 6%, 열전도율 0.065 ∼ 0.070kcal/m.hr.℃, 강도 45 ∼ 50kgf/㎠의 발포유리가 첨가되거나 필요에 따라 단섬유가 부가적으로 첨가된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를 금형에 타설한 후 상온에서 3 ∼ 4시간 동안 1차 자연 양생하고, 65℃ 이상의 온도에서 4 ∼ 5시간 동안 2차 습윤 양생하고 공지의 블록 크기 또는 패널 제조용으로 절단하여 경량블록을 제조하거나, 패널 제조용으로 절단된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 양생체를 수지접착제를 대향되는 면에 도포한 2개의 셀룰로즈화이버시멘트 보드 사이에 적층하고 압축 결합시켜 건축물의 내외장 벽재로 간편히 사용될 수 있도록 경량복합패널을 제조함으로써 방음, 단열 및 건축 공정의 단축과 편리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켰고 우수한 강도를 갖도록 하였다.
경량건축재, 경량블록, 경량복합패널, 발포유리,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 단섬유

Description

경량건축재 및 이의 제조방법{Lightweight building material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경량블록 또는 경량복합패널 등과 같은 경량건축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동물성 또는 식물성 기포제로 제조한 경량기포콘크리트에 비중 0.50 ∼ 0.60, 폐기공율 20 ∼ 30%, 개기공율 50 ∼ 60%, 흡수율 3 ∼ 6%, 열전도율 0.065 ∼ 0.070kcal/m.hr.℃, 강도 45 ∼ 50kgf/㎠의 발포유리가 첨가되거나 필요에 따라 단섬유가 부가적으로 첨가된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를 금형에 타설한 후 상온에서 3 ∼ 4시간 동안 1차 자연 양생하고, 65℃ 이상의 온도에서 4 ∼ 5시간 동안 2차 습윤 양생하고 공지의 블록 크기 또는 패널 제조용으로 절단하여 경량블록을 제조하거나, 패널 제조용으로 절단된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 양생체를 수지접착제를 대향되는 면에 도포한 2개의 셀룰로즈화이버시멘트 보드 사이에 적층하고 압축 결합시켜 건축물의 내외장 벽재로 간편히 사용될 수 있도록 경량복합패널을 제조함으로써 방음, 단열 및 건축 공정의 단축과 편리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량건축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은 시멘트와 골재를 형틀에 채우고 진동, 가압하여 성형한 시멘트 제품으로, 그 구조 형식에 따라 조적블록, 장막블록, 거푸집블록, 보강블록으로 구분된다. 보강블록구조는 블록의 빈 속에 철근과 콘크리트로 보강하여 내력벽을 만드는 것이며, 거푸집콘크리트블록구조는 ㄴ자 ·T자형의 블록을 거푸집 대신 쌓고 그 속에 배근하여 만든 것인데 우리 나라에서는 그 사용도가 적고, 장막벽식블록구조는 철골조나 철근콘크리트조에서 칸을 나누는 데에 사용하므로 큰 강도는 필요 없으며 가능한 한 경량이면 되며, 조적식블록조는 벽돌조와 같은 것으로 순블록조건축물일 경우 횡력에 약한 단점이 있으므로 벽돌조와 마찬가지로 3층까지만 건축하도록 법규상의 제한을 두고 있어 주택이나 연립주택, 작은 병원, 소규모의 사무소, 창고, 담장 등에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블록은 방음 및 단열 등과 같은 블록에서 요구되는 물성이 만족스럽지 못하고 무게가 많이 나가 작업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종래의 건축용 패널로서는, 건식화, 경량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철판에 스치로폴(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보온재를 내부에 매설하여, 성형한 패널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널은 가설 건축물이나 임시구조물 등 비영구 구조물에만 사용할 수 있어 용도에 제한을 받는 결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아파트 등과 같은 건축물의 벽체로 사용하기 위한 건축패널의 경량화, 비용절감, 진동방지, 단열성 및 크랙 방지 등 여러 가지 조건을 갖춘 각종 경량기포콘크리트패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이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량기포큰크리트패널은 물과 시멘트를 혼합시킨 슬러리 상태의 시멘트에 단백질기 포체를 첨가하여 미세기포를 함유시킨 상태에서 양생시켜 석면 보드나 시멘트 보드에 접착시켜 제조한 것인 바,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패널은 시공성이 우수한 반면 층간 울림방지, 단열성이 부족하고, 또 보정력이 미비할 뿐 아니라 기포큰크리트 양생 기간 중의 크랙발생이 있으며, 재료의 비중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블리딩현상으로 슬럼프치, 물시멘트비에 민감하다는 결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기포 콘크리트에 여러 종류의 골재를 사용한 혼합 기포 콘크리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출원 제1992-17819호에는 "스치로폴혼합경량콘크리트를 충전제로 이용하는 건축내외벽용 패널구조체에 있어서, 셀룰로즈화이버시멘트보드(1)에 아크릴수지시멘트접착제(2)로 배합비중이 420Kg/m3, 물시멘트비가 40% : 50%, 시멘트/스치로폴 입자의 무게의 비가 19/1, 겉보기비중이 350-380Kg/m3의 성분 배합비로 구성되는 반고체상태의 스치로폴혼합경량콘크리트(3)를 충전, 접합시키고, 상기 아크릴수지시멘트접착제(2')를 바른 세룰로즈화이버시멘트보드(1')를 상부에 얹은 다음 동시에 압축, 탈형시켜 일체화로 결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내외벽용 경량복합패널구조체"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패널 구조체는 스치로폴을 충전제의 일부로 사용함으로써 고온의 경우 스치로폴이 용해되거나 파괴되고 스치로폴 자체가 폴리우레탄재이기 때문에 합성수지의 사용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며, 단열과 방음 등의 효과도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음, 단열 및 건축 공정의 단축과 편리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합성수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합성수지의 사용으로 인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강도가 우수한 경량블록 또는 경량복합패널 등과 같은 경량건축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의 경량건축재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동물성 또는 식물성 기포제로 제조한 경량기포콘크리트에 비중 0.50 ∼ 0.60, 폐기공율 20 ∼ 30%, 개기공율 50 ∼ 60%, 흡수율 3 ∼ 6%, 열전도율 0.065 ∼ 0.070kcal/m.hr.℃, 강도 45 ∼ 50kgf/㎠의 발포유리가 첨가되거나 필요에 따라 단섬유가 부가적으로 첨가된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를 금형에 타설한 후 상온에서 3 ∼ 4시간 동안 1차 자연 양생하고, 65℃ 이상의 온도에서 4 ∼ 5시간 동안 2차 습윤 양생하고 공지의 블록 크기 또는 패널 제조용으로 절단하여 경량블록을 제조하거나, 패널 제조용으로 절단된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 양생체를 수지접착제를 대향되는 면에 도포한 2개의 셀룰로즈화이버시멘트 보드 사이에 적층하고 압축 결합시켜 건축물의 내외장 벽재로 간편히 사용될 수 있도록 경량복합패널을 제조함으로써 방음, 단열 및 건축 공정의 단축과 편리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합성수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합성수지의 사용으로 인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음, 단열 및 건축 공정의 단축과 편리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합성수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합성수지의 사용으로 인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경량블록 또는 경량복합패널 등과 같은 경량건축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블록 또는 경량복합패널 등과 같은 경량건축재는 동물성 또는 식물성 기포제로 제조한 경량기포콘크리트에 비중 0.50 ∼ 0.60, 폐기공율 20 ∼ 30%, 개기공율 50 ∼ 60%, 흡수율 3 ∼ 6%, 열전도율 0.065 ∼ 0.070kcal/m.hr.℃, 강도 45 ∼ 50kgf/㎠의 발포유리가 첨가되거나 필요에 따라 단섬유가 부가적으로 첨가된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를 금형에 타설한 후 상온에서 3 ∼ 4시간 동안 1차 자연 양생하고, 65℃ 이상의 온도에서 4 ∼ 5시간 동안 2차 습윤 양생하고 공지의 블록 크기 또는 패널 제조용으로 절단하여 경량블록을 제조하거나, 패널 제조용으로 절단된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 양생체를 수지접착제를 대향되는 면에 도포한 2개의 셀룰로즈화이버시멘트 보드 사이에 적층하고 압축 결합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지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량건축재의 제조 방법은 동물성 또는 식물성 기포제로 제조한 경량기포콘크리트에 비중 0.50 ∼ 0.60, 폐기공율 20 ∼ 30%, 개기공율 50 ∼ 60%, 흡수율 3 ∼ 6%, 열전도율 0.065 ∼ 0.070kcal/m.hr.℃, 강도 45 ∼ 50kgf/㎠의 발포유리가 첨가되거나 필요에 따라 단섬유가 부가적으로 첨가된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를 금형에 타설한 후 상온에서 3 ∼ 4시간 동안 1차 자연 양생하고, 65℃ 이상의 온도에서 4 ∼ 5시간 동안 2차 습윤 양생하고 공지의 블록 크기 또는 패널 제조용으로 절단하여 경량블록을 제조하거나, 패널 제조용으로 절단된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 양생체를 수지접착제를 대향되는 면에 도포한 2개의 셀룰로즈화이버시멘트 보드 사이에 적층하고 압축 결합시키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에 물결합재중량비(W/B)가 50 ∼ 70%가 되도록 물을 첨가하여 혼합한 슬러리 30 ∼ 35부피%와 동물성 또는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기포 70 ∼ 65부피%를 혼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뿐만 아니라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중량에 대하여 시멘트킬른더스트(CKD) 5 ∼ 40중량%, 샌드 더스트(Sand Dust) 2 ∼ 10중량%, 메틸셀룰로오즈 0.001 ∼ 0.05중량% 및 나프탈렌 설폰산 포름알데히드의 고축합물 나트륨염 0.01 ∼ 0.1중량%를 혼합한 시멘트 분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시멘트킬른더스트(CKD)는 시멘트 제조 공정 중 클링커 소성시에 예열기 상부로부터 비산 분진을 백필터로 집진한 미세 입자로 주성분은 탄산칼슘으로 구성되어 있고, 밀도 2.67g/㎤, 분말도 8,200㎠/g이며, SiO2 9.65%, Al2O3 3.70%, Fe2O3 1.54%, CaO 43.6%, MgO 1.40%, SO3 0.77%, K2O 0.35%, Na2O 0.06% 및 기타 미량 성 분 38.93%로 구성되어 있다. CKD의 발생량은 시멘트 생산량의 약 7 ~ 15%정도로써, 백필터가 설치되기 이전에는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기도 하였다. 현재는 대부분 시멘트 공장의 경우 이러한 CKD를 집진한 후 킬른에 재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CKD는 시멘트 생산공정을 반복하여 순환함으로써 시멘트 생산효율 감소 및 킬른관 내부에 스케일을 발생시켜 제조 설비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시멘트 제조과정 중 CKD를 부분적으로 배출 제거함으로써 공정 효율성 및 시멘트 생산성 향상과 아울러 산업부산물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KD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블록 또는 경량복합패널 등과 같은 경량건축재의 주재료로 사용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에 있어서 소포에 의한 체적 감소 및 원가 절감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중량에 대하여 5 ∼ 4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고, 4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되는 경량블록 또는 경량복합패널 등과 같은 경량건축재의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샌드 더스트(Sand dust)는 드라이 몰탈 공장에서 모래를 건조시키는 과정 중 부산물로 생산되는 미세한 먼지들을 집진한 것으로, 높은 분말도인 CKD와 시멘트 사이의 입도 분포를 연속 입도 분포상태로 유지시켜 압축강도 상승과 동시에 제조원가의 절감을 가져오게 한다.
샌드 더스트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중량에 대하여 2 ∼ 1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이 2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량블록 또는 경량복합패널 등과 같은 경량건축재의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의 단점인 기포의 소포현상 및 재료분리 문제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혼화제로 메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하였다. 메틸셀룰로오스는 저렴한 가격으로 정치 중에는 어느 정도 네트워크(Network)구조를 이루어 약간의 점성을 형성하고 있다가 전단력을 가하면 네트워크구조가 깨져서 점도가 떨어지고, 다시 전단력을 제거하면 다시 네트워크구조를 형성하여 점도가 증가하는 슈도우 플라스틱(Pseudo Plastic)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경량건축재용 경량기포콘크리트제조시 혼입할 경우 기포의 소포현상 및 재료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메틸셀룰로오스는 OPC 중량에 대하여 0.001 ∼ 0.0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고, 0.00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 상승 효과가 미약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일반적으로 각종 시멘트 분체 재료가 혼합된 경량기포콘크리트는 미립분 및 점성의 증가로 인하여 유동성의 저하라는 단점을 가져오게 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일반식 (1)로 표현되는 나프탈렌 설폰산 포름알데히드의 고축합물 나트륨염을 사용하였다. 나프탈렌 설폰산 포름알데히드의 고축합물 나트륨염은 OPC 중량에 대하여 0.01 ∼ 0.1중량%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사용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고, 0.00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 상승 효과가 미약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Figure 112009047602204-pat00001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분체 또는 보통 콘크리트에 물결합재중량비(W/B)가 50 ∼ 70%가 되도록 물을 첨가하여 혼합한 슬러리 30 ∼ 35부피%와 동물성 또는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기포 70 ∼ 65부피%를 혼합하여 경량기포콘크리트를제조한다.
기포제 즉, 동물성 또는 식물성 계면활성제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포제가 모두 사용될 수 있고, 기포가 65부피% 미만일 경우에는 에어 경량기포콘크리트로서의 효능이 미약한 단점이 있고, 70부피%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되는 경량건축재의 강도가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경량기포콘크리트에 비중 0.50 ∼ 0.60, 폐기공율 20 ∼ 30%, 개기공율 50 ∼ 60%, 흡수율 3 ∼ 6%, 열전도율 0.065 ∼ 0.070kcal/m.hr.℃, 강도 45 ∼ 50kgf/㎠의 발포유리와 필요에 따라 단섬유를 첨가하여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를 제조한다.
상기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에 있어서 발포유리는 경량기포콘크리트 중량에 대하여 10 ∼ 3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포유리의 첨가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효과가 미약하고,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되는 경량 건축재의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발포유리는 유리 분말에 탄산칼슘(CaCO3), 탄산나트륨(Na2CO3), 산화철(FeO3) 또는 인산칼슘(10CaO3P2O5H2O) 등과 같은 발포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800℃ 이상으로 가열하여 발포 및 팽창을 하여 발포 기공을 형성하도록 한 다음, 냉각하여 제조하며, 가볍고 흡습성이 없기 때문에 단열재, 보온재 및 보냉재로서 사용되고, 가볍고 물에 잘 뜨며, 기포가 아주 작고 독립적이어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경량기포콘크리트와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고 경량건축재로의 제조시 강도가 목적하는 정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비중 0.50 ∼ 0.60, 폐기공율 20 ∼ 30%, 개기공율 50 ∼ 60%, 흡수율 3 ∼ 6%, 열전도율 0.065 ∼ 0.070kcal/m.hr.℃, 강도 45 ∼ 50kgf/㎠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포유리는 직경 1 ∼ 10mm 정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직경이 1mm 미만일 경우에는 발포유리의 균질한 혼합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고, 10mm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되는 경량건축재의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섬유는 천연섬유의 단섬유는 물론 합성섬유의 단섬유가 모두 사용될 수 있지만, 환경친화적인 측면에서는 천연섬유의 단섬유가 바람직하고, 강도 및 비용면에서는 합성섬유의 단섬유가 효과적이다.
또한, 단섬유는 길이가 너무 길게 되면 경량기포콘크리트 사이에 균질하게 혼입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 ∼ 30mm 길이 정도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뿐만 아니라 단섬유의 사용량은 경량기포콘크리트 중량에 대하여 0.1 ∼ 1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섬유의 사용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효과가 미약하고, 1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되는 균질한 강도의 경량건축재를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를 금형에 타설한 후 상온에서 3 ∼ 4시간 동안 1차 자연 양생하고, 65℃ 이상의 온도에서 4 ∼ 5시간 동안 2차 습윤 양생한다.
1차 자연 양생은 습윤 양생을 위한 탈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도의 강도만 갖게 되면 충분하지만 3 ∼ 4시간 동안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의 물성에 따라 반복 실험을 통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고, 2차 습윤 양생은 가온 장치가 형성된 곳에서 목적하는 강도 이상이 되도록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 양생체를 공지의 블록 크기 또는 패널 제조용으로 절단하여 경량블록을 제조하거나, 패널 제조용으로 절단된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 양생체를 수지접착제를 대향되는 면에 도포한 2개의 셀룰로즈화이버시멘트 보드 사이에 적층하고 압축 결합시켜 건축물의 내외장 벽재로 간편히 사용될 수 있도록 경량복합패널을 제조한다.
상기에서 수지접착제로는 셀룰로즈화이버시멘트 보드와 혼합경량기포콘크리 트 양생체의 접착이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수지접착제를 사용하여도 상관없고, 수지접착제가 아닌 일반 접착제의 사용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경량블록 또는 경량복합패널 등과 같은 경량건축재는 화재 등과 같은 고온에서도 벽체의 함몰이나 손상이 없어 건축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이어서 작업성이 우수하며, 단열 및 보온 효과가 우수하고, 방음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를 먼저 양생하여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블록이나 패널 제조시 양생을 위한 많은 공간이 필요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8)

  1. 경량기포콘크리트에 비중 0.50 ∼ 0.60, 폐기공율 20 ∼ 30%, 개기공율 50 ∼ 60%, 흡수율 3 ∼ 6%, 열전도율 0.065 ∼ 0.070kcal/m.hr.℃, 강도 45 ∼ 50kgf/㎠의 발포유리가 첨가된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를 금형에 타설한 후 상온에서 3 ∼ 4시간 동안 1차 자연 양생하고, 65℃ 이상의 온도에서 4 ∼ 5시간 동안 2차 습윤 양생하고 공지의 블록 크기 또는 패널 제조용으로 절단하여 경량블록을 제조하거나, 패널 제조용으로 절단된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 양생체를 수지접착제를 대향되는 면에 도포한 2개의 셀룰로즈화이버시멘트 보드 사이에 적층하고 압축 결합시켜 경량복합패널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건축재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에 물결합재중량비(W/B)가 50 ∼ 70%가 되도록 물을 첨가하여 혼합한 슬러리 30 ∼ 35부피%와 동물성 또는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기포 70 ∼ 65부피%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건축재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중량에 대하여 시멘트킬른더스트(CKD) 5 ∼ 40중량%, 샌드 더스트(Sand Dust) 2 ∼ 10중량%, 메틸셀룰로오즈 0.001 ∼ 0.05중량% 및 나프탈렌 설폰산 포름알데히드의 고축합물 나트륨염 0.01 ∼ 0.1중량%를 혼합한 시멘트 분체에 물결합재중량비(W/B)가 50 ∼ 70%가 되도록 물을 첨가하여 혼합한 슬러리 30 ∼ 35부피%와 동물성 또는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기포 70 ∼ 65부피%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건축재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포 유리의 사용량은 경량기포콘크리트 중량에 대하여 10 ∼ 30중량%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건축재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포 유리는 직경이 1 ∼ 10mm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건축재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경량기포콘크리트에 단섬유가 부가적으로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건축재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섬유는 10 ∼ 30mm 길이의 섬유를 경량기포콘크 리트 중량에 대하여 0.1 ∼ 1중량%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건축재의 제조 방법.
  8. 삭제
KR1020090071544A 2009-08-04 2009-08-04 경량건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83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544A KR101083937B1 (ko) 2009-08-04 2009-08-04 경량건축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544A KR101083937B1 (ko) 2009-08-04 2009-08-04 경량건축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864A KR20110013864A (ko) 2011-02-10
KR101083937B1 true KR101083937B1 (ko) 2011-11-15

Family

ID=4377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544A KR101083937B1 (ko) 2009-08-04 2009-08-04 경량건축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9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552A (ja) * 1999-10-08 2001-04-17 Hitachi Zosen Corp ガラス発泡体
KR100550827B1 (ko) 2005-06-20 2006-02-10 석성기업주식회사 기포콘크리트를 이용한 웰빙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552A (ja) * 1999-10-08 2001-04-17 Hitachi Zosen Corp ガラス発泡体
KR100550827B1 (ko) 2005-06-20 2006-02-10 석성기업주식회사 기포콘크리트를 이용한 웰빙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864A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0876B1 (en) Fireproof insulating cementitious foam comprising phase change materials
US10364185B2 (en) Light-weight, fire-resistant composition and assembly
CN105658881B (zh) 包含吸声体的混凝土元件
KR101737811B1 (ko) 내화성 및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가진 무기질 발포 모르타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기질 발포 모르타르의 보수공법
US10029950B2 (en) Mortar mixture for thermal insulation and/or as fire protection and for universal applications,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CN108797837A (zh) 一种聚氨酯复合轻质墙板及其制备方法
CN204551880U (zh) 一种蒸压加气混凝土复合墙板
CA2364317C (en) Fire door core
CN102701648B (zh) 掺轻质材料的泡沫混凝土及其制作方法
WO2016000026A1 (en) Method for producing a structural element
KR20080103135A (ko) 보온성, 차음성을 향상한 드라이 모르타르 및 상기 드라이모르타르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및 상기 드라이 모르타르로제조된 경량 벽돌
KR100723929B1 (ko)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브록
KR100730658B1 (ko)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 및 그 제조방법
CN109572090B (zh) 一种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US20060020048A1 (en) Polyurethane-containing building materials
KR101083937B1 (ko) 경량건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4427B1 (ko) 불연성 경량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연성 경량 패널
CN202324239U (zh) 超轻超强超保温无机发泡板
KR200344605Y1 (ko) 내화 성능을 갖는 초경량 콘크리트 벽체용 판넬
CN202181621U (zh) 具有保温隔音阻燃性能的强力发泡轻质板材
WO2002038518A1 (en) The production method of lightweight floor and wall panels
JP2018528920A (ja) 軽量コンクリートおよび製造方法
KR20050015828A (ko) 고단열 고강도 자기발포 경량 콘크리트를 이용하여파렛트형의 경량 프리캐스트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5756225A (zh) 建筑节能墙体
KR101077211B1 (ko) 건축용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