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567B1 - 세탁기의 급수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급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567B1
KR101082567B1 KR1020040076368A KR20040076368A KR101082567B1 KR 101082567 B1 KR101082567 B1 KR 101082567B1 KR 1020040076368 A KR1020040076368 A KR 1020040076368A KR 20040076368 A KR20040076368 A KR 20040076368A KR 101082567 B1 KR101082567 B1 KR 101082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washing machine
water temperatur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540A (ko
Inventor
박용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6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567B1/ko
Publication of KR2006002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06F34/24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6Washing 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06F2105/04Water supply from separate hot and cold water inl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방법은, 급수 중에 급수된 수온이 급수전에 설정된 수온과 비교되는 과정을 통해 급수가 적절한 수온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면, 급수가 중단되고 배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절치 못한 수온으로 인해 세탁물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세탁기, 급수방법, 냉/온수, 급수밸브, 수온

Description

세탁기의 급수방법{Method to Supply Water of 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세탁기의 급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급수라인의 오 연결로 인해 수온에 의한 세탁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의 급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방법은, 냉수를 안내하는 냉/온수 라인에 각각 설치된 급수밸브가 냉/온수 밸브로 세팅된 상태에서 냉수, 온수, 미온수 중 어느 하나의 수온이 설정되면, 설정된 수온에 따라 냉/온수 밸브가 선택적으로 온 동작되어 급수가 이루어진다.
수온의 설정은, 세탁 코스별로 기 세팅된 초기 값에 따르거나, 사용자가 컨트롤러 통해 수온을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방법은, 실크나 모와 같은 섬유는 온도에 매우 민감한데, 세탁기가 설치될 때 냉/온수라인이 바뀌었다면 냉수를 설정된 경우 온수가 급수되고, 온수가 설정된 경우 냉수가 급수됨으로써 급수된 세탁수의 온도가 세탁물에 적절하지 못해 세탁물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급수된 수온이 설정된 수온과 다르면, 배수 후 설정된 수온에 따라 재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세탁기의 급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방법은, 수온이 설정되는 수온설정단계와, 설정된 수온에 따라 급수가 이루어지면, 설정된 수온과 급수된 수온이 비교되어 급수 오류 여부가 판단되는 급수오류판단단계와, 급수 오류가 판단된 경우, 배수가 이루어지는 배수단계와, 배수단계 후, 냉수를 안내하는 냉수 라인에 설치된 급수밸브가 자체적으로 냉수 밸브에서 온수 밸브로 재세팅되고, 온수를 안내하는 온수 라인에 설치된 급수밸브가 자체적으로 온수 밸브에서 냉수 밸브로 재세팅되는 급수밸브 재세팅단계와, 상기 급수밸브가 재세팅되면, 초기에 설정된 수온에 따라 재급수가 이루어지는 재급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기 제조시 냉/온수를 안내하는 냉/온수라인 상에는 각각 상기 냉/ 온수라인을 개폐하는 급수밸브가 설치되는데, 상기 냉수라인 상의 급수밸브는 냉수밸브로 세팅되고, 상기 온수라인 상의 급수밸브는 온수밸브로 세팅된다.
이와 같이 냉/온수밸브가 세팅된 상태에서 세탁물의 세탁을 위해 세탁기의 급수동작이 시작되면, 먼저 수온이 세탁코스별로 기 세팅된 초기 값 또는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냉수, 온수, 미온수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이 때, 급수 수위도 세탁코스별로 기 세팅된 초기 값 또는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S2).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수온 또는 급수 수위 등 급수 패턴이 설정되면, 냉/온수 밸브가 선택적으로 온 동작되어 냉수 라인 또는 온수 라인이 열리면서 급수가 이루어진다(S4).
이 때, 세탁기가 설치될 때, 냉수라인이 온수를 안내토록 연결되고 온수라인이 냉수를 안내토록 오 연결될 수 있는데, 그러면 냉수가 설정되더라도 온수밸브가 온 동작되고 반대로 온수가 설정되더라도 냉수밸브가 온 동작된다.
따라서, 급수 중에 급수된 세탁수의 온도를 적절히 감지할 수 있는 수온감지수위에 도달하게 되면(S6), 세탁기에 내장된 수온센서를 통해 급수된 세탁수의 온도가 감지된다(S8). 그리고, 상기 수온센서의 감지결과는 급수전에 설정된 수온과 비교된다(S10).
즉, 상기 냉/온수라인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다면, 상기 수온감지센서의 감 지결과와 설정된 수온은 서로 일치할 것이다. 반면, 상기 냉/온수라인이 오 연결되었다면, 수온 설정시 냉수로 설정된 경우 상기 수온센서의 감지결과는 온수이고, 온수로 설정된 경우 상기 수온센서의 감지결과는 냉수일 것이다. 물론, 수온이 미온수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냉/온수라인이 오 연결되었더라도 상기 수온센서의 감지결과도 미온수이다.
이와 같이 상기 수온센서의 감지결과와 설정된 수온의 비교과정을 통해 상기 수온센서의 감지결과가 설정된 수온과 일치하면, 급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설정된 급수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가 계속 이루어진 후 종료된다(S20,S22).
반면, 상기 수온센서의 감지결과와 설정된 수온의 비교과정을 통해 상기 수온센서의 감지결과가 설정된 수온과 다르면, 급수 오류상태로 판단된다. 급수 오류상태로 판단되면, 세탁물이 적절치 못한 수온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바로 급수가 중단되고(S30) 배수가 이루어진다(S32).
한편, 상기와 같은 급수 오류로 사용자가 세탁기가 고장난걸로 판단하여 당황하거나 A/S를 신청하는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급수 오류가 판단되면, 자체적으로 상기 냉수라인 상의 급수밸브가 냉수밸브에서 온수밸브로 재 세팅되고 상기 온수라인 상의 급수밸브가 온수밸브에서 냉수밸브로 재 세팅되고(S34), 초기에 설정된 수온에 따라 재 급수됨으로써 급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S36).
그런데, 급수 오류는 상기와 같이 상기 냉/온수라인의 오 연결로 인해 생길 수도 있지만, 상기 냉/온수밸브의 이상 또는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의 오동작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재 급수 중에 다시 수온감지수위까지 급수가 이루어지면(S38), 상기 수온감지센서를 통해 재 급수된 수온이 감지되고(S40), 상기 수온감지센서의 재 감지결과와 설정된 수온이 비교됨으로써 다시 한번 급수오류여부가 판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42).
이 때, 상기 수온감지센서의 재 감지결과와 설정된 수온이 일치되면, 재 급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설정된 급수수위에 도달될 때까지 급수가 계속된 후 완료된다(S20,S22). 여기서, 상기 냉/온수밸브의 재세팅 값은 세탁기의 전원이 꺼지더라도 계속 저장됨으로써 향후 세탁기가 동작될 때에는 처음부터 급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수온감지센서의 재 감지결과와 설정된 수온이 서로 다르면, 오류원인의 예측이 불가능하거나 자체 수정이 불가능한 중대 사유로 인해 재 급수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적절치 못한 수온으로 인해 세탁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바로 재 급수가 중단되고(S50), 배수가 이루어진다(S52).
아울러, 세탁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기 어려우므로 세탁기의 동작이 중지되고(S54), 이와 같은 비정상 급수상태가 사용자에게 경고될 수 있도록 부저 등과 같은 겨고음이 발생되거나 에러 표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56).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방법은, 급수 중에 급수된 수온이 급수전에 설정된 수온과 비교되는 과정을 통해 급수가 적절한 수온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면, 급수가 중단되고 배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절치 못한 수온으로 인해 세탁물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온수라인의 오 연결로 인해 설정된 수온에 따라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다반사인 바, 수온으로 인한 급수 오류가 발생되면 상기 냉수라인 상의 급수밸브가 온수밸브로, 상기 온수라인 상의 급수밸브가 냉수밸브로 재 세팅되고, 재 급수가 이루어짐으로써 자체적으로 급수 오류가 해결될 수 있기 때문에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 급수 중에도 수온으로 인한 급수 오류여부가 판단됨으로써 상기 냉/급수밸브의 재 세팅 후에도 수온으로 인한 급수 오류가 발생된 경우, 상기 냉/온수라인의 오 연결이 아닌 중대 사유로 인한 오류로 판단되어 세탁기의 동작이 중지될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사실이 사용자에게 경고되기 때문에 세탁기가 신속히 보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수온이 설정되는 수온설정단계와;
    설정된 수온에 따라 급수가 이루어지면, 설정된 수온과 급수된 수온이 비교되어 급수 오류 여부가 판단되는 급수오류판단단계와;
    급수 오류가 판단된 경우, 배수가 이루어지는 배수단계와;
    배수단계 후, 냉수를 안내하는 냉수 라인에 설치된 급수밸브가 자체적으로 냉수 밸브에서 온수 밸브로 재세팅되고, 온수를 안내하는 온수 라인에 설치된 급수밸브가 자체적으로 온수 밸브에서 냉수 밸브로 재세팅되는 급수밸브 재세팅단계와;
    상기 급수밸브가 재세팅되면, 초기에 설정된 수온에 따라 재급수가 이루어지는 재급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온설정단계는, 수온이 냉수, 온수, 미온수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오류판단단계는, 급수 후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수온 감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급수단계 이후, 재 급수된 수온과 상기 수온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수온이 비교되어 급수 오류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와;
    급수 정상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수위까지 계속 급수가 이루어지는 단계와;
    다시 급수 오류가 판단되면, 배수가 이루어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급수단계 이후, 배수가 이루어지면 세탁기의 동작이 중지되고 비정상 급수상태가 경고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방법.
KR1020040076368A 2004-09-23 2004-09-23 세탁기의 급수방법 KR101082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368A KR101082567B1 (ko) 2004-09-23 2004-09-23 세탁기의 급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368A KR101082567B1 (ko) 2004-09-23 2004-09-23 세탁기의 급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540A KR20060027540A (ko) 2006-03-28
KR101082567B1 true KR101082567B1 (ko) 2011-11-10

Family

ID=3713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368A KR101082567B1 (ko) 2004-09-23 2004-09-23 세탁기의 급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9148A1 (de) * 2009-09-02 2011-03-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sowie zugehöriges Steuerverfa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540A (ko) 200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8922B2 (en) Method for identifying operating conditions of a domestic appliance
KR100226350B1 (ko) 정온 제어기능을 갖는 세탁기에서 고온으로부터 세탁물 보호방법
US7661168B2 (en)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KR101082567B1 (ko) 세탁기의 급수방법
JP3725693B2 (ja) 配管の漏水検査方法並びに給湯システム
US8671488B2 (en) Steam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drum washing machine
KR101172160B1 (ko)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물 보충방법
JPH07217992A (ja) 電気温水器
KR100682250B1 (ko)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누수 검지 장치 및 방법
KR100730931B1 (ko) 드럼세탁기의 세탁수위 제어방법
KR0175233B1 (ko) 세탁기의 수위센서 오류 보상방법
JP2009085580A (ja) 貯湯式給湯機
KR100679897B1 (ko) 보일러의 동결모드 운전방법
KR100646337B1 (ko) 보일러의 누수 감지방법
KR102457781B1 (ko) 세탁기 및 그의 동작 방법
JP3697958B2 (ja) 自動風呂装置
KR101461381B1 (ko) 세탁기의 오작동 방지방법
KR101172162B1 (ko)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자동 시운전방법
JP3175424B2 (ja) 浴槽自動湯張り装置
JP3696309B2 (ja) 給湯装置における水量センサの異常検出方法
JP2006329442A (ja) 給湯機の制御装置
JP2000009579A (ja) 給湯装置の水漏れ検査方法、配管内加圧方法および水漏れ検査治具、ならびに圧力センサの判別方法
JPH05137692A (ja) 食器洗い機の制御装置
KR20050021833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960014271B1 (ko) 전자동세탁기의 세탁수온조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