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496B1 - 총기보관함 - Google Patents

총기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496B1
KR101081496B1 KR1020110057863A KR20110057863A KR101081496B1 KR 101081496 B1 KR101081496 B1 KR 101081496B1 KR 1020110057863 A KR1020110057863 A KR 1020110057863A KR 20110057863 A KR20110057863 A KR 20110057863A KR 101081496 B1 KR101081496 B1 KR 101081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uide rail
door
open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진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이영우
(주)아이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주)아이디테크 filed Critical 이영우
Priority to KR1020110057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33/00Means for wearing or carrying smallarms
    • F41C33/06Containers for carrying smallarms, e.g. safety boxes, gun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05Devices for storing or displaying rifles, guns, pistols or elongated objects such as fishing rods storing fishing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총기보관함의 개방부를 도어를 통해 개방할 때, 총기보관함의 내측면으로 도어가 수용되어 개방부가 완전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총기보관함 양측에 위치한 총기의 인출까지 용이한 총기보관함이 개시된다. 개시된 총기보관함은 전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총기를 보관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상단 및 하단의 전방 및 측방에 설치되는 안내레일과, 상단 및 하단에 순차적으로 다수의 롤러가 장착되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양측으로 좌우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한쌍의 접철식 도어로 구성되어, 상기 접철식 도어의 개방시, 상기 접철식 도어가 상기 안내레일를 따라 케이스 측면으로 모두 수납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가 완전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총기보관함{GUN STORAGE CASE}
본 발명은 총기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총기보관함의 개방부를 도어를 통해 개방할 때, 총기보관함의 내측면으로 도어가 수용되어 개방부가 완전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총기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총기류를 취급할 때,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 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금속재로 된 튼튼한 보관함에 총기류를 일렬로 배치하여 보관하고 여닫이 도어를 통해 도어를 열고 닫으면서 총기를 보관 또는 인출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보관함에 총기류를 보관하는 것은, 주로 파출소나 군 부대 등에서 소수의 인원들이 총기를 보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주로 많이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대량으로 총기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무기고에서 총기류를 별도로 보관하여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총기보관함은, 파출소나 군부대와 같은 곳에서 협소한 장소에서 캐비넷형상으로 이루어진 보관함을 구비하여 만약의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도어를 개방하여서 총기지지대에서 총기를 하나씩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총기보관함은, 케이스에서 개방되는 1개 혹은 2개의 도어가 힌지에 의하여 열고 닫히는 여닫이로 구성되므로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 도어가 차지하는 공간의 면적이 너무 커서 불편할 뿐만 아니라 비상상태의 경우에는 도어를 항상 개방하여 두는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지만 힌지에 의하여 도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국내특허등록 제10-0462941호에는 총기보관함의 도어가 개폐부재의 접철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어,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 도어가 차지하는 공간의 면적이 작으며, 도어의 사용이 편리한 총기보관함의 접철식 도어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상기 총기보관함의 절첩식 도어구조는 보관물이 거치되는 공간이 내부에 구비된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 상·하단부에 안내레일이 구비되고, 이 안내레일을 따라 제 1,2 도어가 슬라이딩되며 개폐가 이루어지는 보관함의 도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2 도어는 다수의 이동대와, 상기 다수의 이동대를 상호 연결하며 외력에 의해 절첩되어 제 1,2 도어의 개폐를 이루는 다수의 개폐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대는 긴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서,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호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안내레일에 상단부 및 하단부가 이동자재하게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호 평행상태를 유지하며 이동대의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고, 상단 또는 하단에 상하부로 연장된 장방형의 결속홈이 형성되며, 마주하는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용홈이 형성된 한쌍의 안내바와, 상기 한쌍의 안내바를 상호 연결하되, 일측 안내바에 형성된 결속홈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그 타측단이 대각방향으로 연장되어 타측 안내바의 수용홈에 연결되어 상호 'X' 형상을 이루도록 교차 결합되는 한쌍의 절첩편과, 상기 안내바와 절첩편을 결속하는 결속핀으로 이루어져 인접한 곳에 위치한 두개의 이동대를 상호 연결하도록 이동대에 형성된 삽입홈에 다수개가 삽입 적층되어 개폐부재의 부분파손 시 개폐부재 단위로 교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은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에는 좌우 슬라이딩되면서 도어의 개폐를 이루는 다수의 개폐부재가 설치되는 데, 이 개폐부재가 개방부의 양측으로 이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면, 개폐부재를 이루는 다수개의 접철편이 도어의 개방부 양측으로 접철된다. 이에,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개방부 양측으로 접철되는 다수개의 접철편에 의해 개방부가 완전하게 개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위치한 총기를 식별할 수 없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출하기가 어렵고, 총기의 상태 식별이 곤란할 뿐만이 아니라, 총기의 인출시 접철된 접철편에 부딪히게 되어 총기나 접철편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총기보관함의 개방부를 도어를 통해 개방할 때, 총기보관함의 내측면으로 도어가 수용되어 개방부가 완전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총기보관함 양측에 위치한 총기의 인출까지 용이한 총기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총기를 보관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상단 및 하단의 전방 및 측방에 설치되는 안내레일과, 상단 및 하단에 순차적으로 다수의 롤러가 장착되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양측으로 좌우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한쌍의 접철식 도어로 구성되어, 상기 접철식 도어의 개방시, 상기 접철식 도어가 상기 안내레일를 따라 케이스 측면으로 모두 수납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가 완전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총기보관함은 총기보관함의 개방부를 도어를 통해 개방할 때, 총기보관함의 내측면으로 도어가 수용되어 개방부가 완전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총기보관함 양측에 위치한 총기의 인출까지 용이하며, 도어에 총기가 부딪힐 우려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총기보관함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총기보관함 중 접철식 도어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총기보관한 중 접철식 도어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총기보관함 중 안내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총기보관함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총기보관함 중 접철식 도어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총기보관한 중 접철식 도어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총기보관함 중 안내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총기보관함은 총기류를 취급할 때, 내부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 시 신속하게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케이스(100), 안내레일(200), 접철식 도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전면에 개방부(1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총기를 보관하도록 공간부(S)가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100)는 육면체 박스형상으로 내부에 총기가 거치되는 공간이 구비됨과 동시에 전면이 개방되어 개방부(110)를 통해 총기를 삽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하방에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서랍(120)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총기를 순차적으로 안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지지대(1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대(130)는 케이스(100) 내부의 바닥면에 총기의 개머리판이 안치되는 하부안치홈이 형성된 하부지지대(131)와, 상기 총기의 총열이 삽입되는 상부안치홈이 형성된 상부지지대(132)와, 총기의 중간 부분을 받쳐주는 중간지지대(133)로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100) 내부의 바닥면에는 총알을 수납할 수 있도록 총알 수납통(14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레일(200)은 상기 케이스(100) 상단 및 하단의 전방 및 측방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접철식 도어(300)의 상단 및 하단이 끼워져 슬라이딩 되면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안내레일(200)이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 및 측방으로 마련되어 후술하는 접철식 도어(300)가 개방되었을 때 케이스(100)의 측방으로 모두 수용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110)가 완전하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레일(200)은 상기 케이스(10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구성되되, 케이스(100)의 전방에는 좌우 방향으로 전방 안내레일(210)이 마련되고, 케이스의 측방에는 전후방향으로 측방 안내레일(220)이 마련된다. 즉,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부(110)를 개폐시키는 접철식 도어(300)는 상기 전방 안내레일(210)을 따라 케이스(100)의 전방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된 다음, 상기 측방 안내레일(220)을 따라 케이스(100)의 측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접철식 도어(300)가 개방되었을 때는 측방 안내레일(220)을 따라 이동되면서 케이스(100)의 측방으로 모두 수용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110)가 완전하게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접철식 도어(300)가 폐쇄되었을 때는 전방 안내레일(210)을 따라 이동되면서 케이스의 개방부(110)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방 안내레일(210)과 측방 안내레일(220)이 만나 모서리를 이루는 부분에는 상기 전방 안내레일(210)과 측방 안내레일(220)을 연결할 수 있게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진 방향전환 가이드레일(23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방 안내레일(210)과 측방 안내레일(220)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진 방향전환 가이드레일(230)이 마련됨으로써, 접철식 도어(300)가 모서리 부분에서 슬라이딩 될 때 부드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방향전환 가이드레일(230)에 형성되는 홈의 폭을 접철식 도어(30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면 접철식 도어(300)가 모서리를 타고 넘어갈 때 도어의 폭 때문에 상하측단에 간섭되어 도어가 슬라이딩 되지 못하므로 방향전환 안내레일(230)의 홈은 접철식 도어(300)의 두께 보다 좀 더 넓게 형성하여 접철식 도어(300)가 모서리에서 절곡되었을 때 방향전환 안내레일(230)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 안내레일(230)은 전방 안내레일(210)과 측방 안내레일(220)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홈형태의 레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안내레일(210)과 측방 안내레일(220)의 홈의 내면을 부드럽게 연결하는 가이드판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철식 도어(300)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단 및 하단에 순차적으로 다수의 롤러(R)가 장착되어 상기 안내레일(200)을 따라 양측으로 좌우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1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접철식 도어(300)는 도어의 개방시, 롤러(R)를 통해 상기 안내레일(200)를 따라 케이스(100) 측면으로 모두 수납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110)가 완전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절철식 도어의 단부에는 도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320)가 마련되고, 접철식 도어를 자물쇠를 걸어 잠금 시킬 수 있도록 걸림구(33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철식 도어(300)는 접철식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내레일(200)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11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접철식 도어(300)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경첩(400)에 의해 다수개가 연설되는 다수의 도어패널(31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패널(310)은 상하 수직으로 마련되되,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투시구(311a)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전면판(311)과, 상기 전면판(311)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후방절곡부(312)와, 상기 후방절곡부 중 일측 후방절곡부(312)에서 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인접하는 도어패널(310)의 타측 후방절곡부(312)의 후단이 수용 지지되는 걸림편(3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면판(311)에 형성된 투시구(311a)로는 케이스(100) 내부의 총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경첩(400)은 도어패널(310)의 상단, 하단 및 중앙 부분의 내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즉, 인접한 도어패널(310)의 상단, 하단 및 중앙 부분을 균등하게 연결시켜 도어패널(310)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첩(400)은 상기 도어패널(310)의 전면판(311) 후면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410)과, 상기 고정프레임(410)의 단부에서 후측으로 절곡되는 절곡프레임(420)과, 상기 절곡프레임(420)의 양단에 형성되되 중앙에 끼움공(431)을 구비한 힌지링(430)과, 상기 힌지링의 끼움공(431)에 끼움되어 인접되는 경첩(400)을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핀(440)으로 구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도어패널(310)의 중앙 부분을 연결하는 경첩(400)은 고정프레임(410)이 절곡프레임(420)을 기준으로 다수개의 도어패널의 전면판(311)에 교번적으로 절곡프레임(420)의 상측 또는 하측방향을 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고정프레임(410)이 하측으로 설치된 경첩(400)에 의해 고정프레임(410)이 상측으로 설치된 경첩(400)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프레임(410)이 절곡프레임(420)의 하측으로 설치된 경첩(400)에 의해 절곡프레임(420)의 상측으로 설치된 경첩(400)을 지지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총기 보관함은 총기보관함의 개방부(110)를 도어를 통해 개방할 때, 접철식 도어(300)가 안내레일(200)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도어가 총기보관함의 내측면으로 수용되어 총기보관함의 개방부(110)가 완전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총기보관함 양측에 위치한 총기의 인출까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총기를 인출할 때 도어에 총기가 부딪힐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100: 케이스 110: 개방부
120: 서랍 130: 지지대
140: 총알 수납통 200: 안내레일
210: 전방 안내레일 220: 측방 안내레일
230: 방향전환 안내레일 300: 접철식 도어
310: 도어패널 311: 전면판
312: 후방절곡부 313: 걸림편
400: 경첩 410: 고정프레임
420: 절곡프레임 430: 힌지링
440: 힌지핀 S: 공간부

Claims (5)

  1. 전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총기를 보관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상단 및 하단의 전방 및 측방에 설치되는 안내레일과,
    상단 및 하단에 순차적으로 다수의 롤러가 장착되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양측으로 좌우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한쌍의 접철식 도어로 구성되어,
    상기 접철식 도어의 개방시, 상기 접철식 도어가 상기 안내레일를 따라 케이스 측면으로 모두 수납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가 완전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철식 도어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경첩에 의해 다수개가 연설되는 다수의 도어패널로 구성되되, 상기 도어패널은,
    상하 수직으로 마련되되,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투시구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후방절곡부와, 상기 후방절곡부 중 일측 후방절곡부에서 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인접하는 도어패널의 타측 후방절곡부의 후단이 수용 지지되는 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케이스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구성되되, 케이스의 전방에는 좌우 방향으로 전방 안내레일이 마련되고, 케이스의 측방에는 전후방향으로 측방 안내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전방 안내레일과 측방 안내레일이 만나 모서리를 이루는 부분에는 상기 전방 안내레일과 측방 안내레일을 연결할 수 있게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진 방향전환 가이드레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보관함.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도어패널의 상단, 하단 및 중앙 부분의 내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경첩은 상기 도어패널의 전면판 후면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단부에서 후측으로 절곡되는 절곡프레임과, 상기 절곡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되되 중앙에 끼움공을 구비한 힌지링과, 상기 힌지링의 끼움공에 끼움되어 인접되는 경첩을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보관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의 중앙 부분을 연결하는 경첩은 고정프레임이 절곡프레임을 기준으로 다수개의 도어패널의 전면판에 교번적으로 절곡프레임의 상측 또는 하측방향을 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고정프레임이 하측으로 설치된 경첩에 의해 고정프레임이 상측으로 설치된 경첩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보관함.
KR1020110057863A 2011-06-15 2011-06-15 총기보관함 KR101081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863A KR101081496B1 (ko) 2011-06-15 2011-06-15 총기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863A KR101081496B1 (ko) 2011-06-15 2011-06-15 총기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1496B1 true KR101081496B1 (ko) 2011-11-08

Family

ID=4539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863A KR101081496B1 (ko) 2011-06-15 2011-06-15 총기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4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718B1 (ko) * 2015-02-21 2015-06-17 양해광 총기 보관함
RU192712U1 (ru) * 2019-05-27 2019-09-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рмиПластикБокс"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KR102632627B1 (ko) 2023-11-14 2024-02-01 이호직 보관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041B1 (ko) 2004-08-04 2004-12-16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총기보관함의 절첩식 도어구조
JP2005290873A (ja) * 2004-03-31 2005-10-20 Sbc Kk 開閉扉付き収容体
KR101006694B1 (ko) 2008-08-07 2011-01-10 (주)국민전자 청소도구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0873A (ja) * 2004-03-31 2005-10-20 Sbc Kk 開閉扉付き収容体
KR100462041B1 (ko) 2004-08-04 2004-12-16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총기보관함의 절첩식 도어구조
KR101006694B1 (ko) 2008-08-07 2011-01-10 (주)국민전자 청소도구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718B1 (ko) * 2015-02-21 2015-06-17 양해광 총기 보관함
RU192712U1 (ru) * 2019-05-27 2019-09-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рмиПластикБокс"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KR102632627B1 (ko) 2023-11-14 2024-02-01 이호직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2998B1 (en) Refrigerator dra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0028584B2 (en) Storage system
US20130270987A1 (en) Freezer slide rack alignment
KR101081496B1 (ko) 총기보관함
US20050057128A1 (en) Wall cabinet assembly
US10716397B2 (en) Gun cabinet
KR100727021B1 (ko) 슬라이딩식 수납장
CN200998039Y (zh) 抽屉防多开结构
KR100462041B1 (ko) 총기보관함의 절첩식 도어구조
CN215838132U (zh) 一种高校用思想政治教育宣讲装置
KR200347951Y1 (ko) 총기 보관함의 도어 구조
JP5409118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JP2014054333A (ja) ウォールキャビネット
KR20200103382A (ko) 현수 수납장
KR20160088140A (ko) 조립 앵글을 이용한 수납장
KR101053993B1 (ko) 다용도 캐비넷
KR20130056433A (ko) 침대 은폐형 다용도 가구
KR101418828B1 (ko) 조립 앵글을 이용한 수납이장
CN215501879U (zh) 一种具有防潮功能的档案柜
US11185160B2 (en) Corner-cabinet arrangement
CN112689697B (zh) 门板-框架组件和具有所述门板-框架组件的橱柜
US12000177B2 (en) Drawer system and drawer lock
CN213786293U (zh) 一种空间可调节的衣柜
KR102187533B1 (ko) 벌집모양 공간정리장
KR101054003B1 (ko) 캐비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