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718B1 - 총기 보관함 - Google Patents

총기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718B1
KR101529718B1 KR1020150024806A KR20150024806A KR101529718B1 KR 101529718 B1 KR101529718 B1 KR 101529718B1 KR 1020150024806 A KR1020150024806 A KR 1020150024806A KR 20150024806 A KR20150024806 A KR 20150024806A KR 101529718 B1 KR101529718 B1 KR 101529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oor
sensor
firearm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해광
Original Assignee
양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해광 filed Critical 양해광
Priority to KR1020150024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33/00Means for wearing or carrying smallarms
    • F41C33/06Containers for carrying smallarms, e.g. safety boxes, gun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05Devices for storing or displaying rifles, guns, pistols or elongated objects such as fishing rods storing fishing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5/00Accessorie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가, 본체의 내부 측면을 따라, 본체의 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본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총기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Description

총기 보관함{GUN STORAGE CASE}
본 발명은 총기를 보관하는 총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총기는 안전하게 보관되면서도, 필요 시 신속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보관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총기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전면에 장착되어 있는 도어로 구성된 총기 보관함에 보관된다.
그러나, 종래의 총기 보관함에서, 도어는 개방된 전면의 좌우 양측 방향으로 밀려지도록, 본체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총기 보관함에서, 총기를 꺼내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종래의 총기 보관함에 보관되고 있는 총기가 정상적으로 보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체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가, 본체의 내부 측면을 따라, 본체의 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본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총기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총기 보관함은, 내부에 총기가 거치되는 거치대가 장착되어 있으며,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의 좌측을 커버하는 좌측 도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의 우측을 커버하는 우측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도어 및 상기 우측 도어 각각은, 상기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의 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 및 상기 전면부가 상기 측면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를 연결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총기가 총기 보관함에 보관되고 있는지의 여부가 간편하게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총기 관리자가 총기 보관함에서 총기를 간편하게 빼내거나, 총기 보관함에 총기를 간편하게 넣을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총기 보관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총기 보관함의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총기 보관함에 적용되는 우측 도어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총기 보관함에 적용되는 우측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총기 보관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총기 보관함의 전면도이며, 특히, 좌측 도어 및 우측 도어들이 개방되어 있는 총기 보관함의 전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총기 보관함에 적용되는 우측 도어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총기 보관함에 적용되는 우측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총기 보관함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총기(300)가 거치되는 거치대(112)가 장착되어 있으며,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전면의 좌측을 커버하는 좌측 도어(130) 및 상기 본체(110)의 전면의 우측을 커버하는 우측 도어(120)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본체(110)는 총기들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110)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총기(300)가 거치되는 거치대(11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110)의 측면(119)을 따라, 레일(111)이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상기 본체(110)의 우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레일(111)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110)의 좌측면을 따라, 레일(111)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의 우측면을 따라 배치된 레일(119)은, 상기 우측 도어(120)를 가이드하며, 상기 본체의 좌측면을 따라 배치된 레일은, 상기 좌측 도어(130)를 가이드한다.
둘째, 상기 본체(110)의 전면의 좌측에는 상기 좌측 도어(13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전면의 우측에는 상기 우측 도어(12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좌측 도어(130) 및 상기 우측 도어(120) 각각은, 상기 본체(110)의 내부 측면을 따라,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좌측 도어(130) 및 상기 우측 도어(120) 각각은, 상기 본체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부(121),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110)의 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측면부(122), 상기 측면부(122)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측면(119)을 따라 배치된 레일(111)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124) 및 상기 전면부(121)가 상기 측면부(122)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전면부(121)와 상기 측면부(122)를 연결시키는 회전부(123)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전면부(121)는 판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부(121)에는 상기 전면부(121)를 관통하는 구멍(125)들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측면부(122)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110)의 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다음, 상기 이송부(124)는, 상기 측면부(122)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측면(119)을 따라 배치된 레일(111)을 따라 이동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송부(124)는 바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24)는 상기 레일(111)과 맞물릴 수 있는 홈 또는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송부(124)는 상기 측면부(122)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124)는, 상기 측면부(122)의 상단에도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부(124)는 상기 본체의 상단면을 따라 배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회전부(123)는, 상기 전면부(121)가 상기 측면부(122)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전면부(121)와 상기 측면부(122)를 연결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부(123)로는 경첩이 이용될 수 있다. 경첩 이외에도, 상기 전면부(121)가 상기 측면부(122)를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상기 회전부(123)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정면부(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124)를 기준으로하여, B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정면부(121)는, 상기 측면부(124)와 90도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본체(110)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할 수도 있으며, 상기 측면부(124)와 일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A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면부(121)가 상기 측면부(122)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정면부(121)와 상기 측면부(122)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총기 관리자는, 우선, 상기 본체(110)의 정면을 커버하고 있는 상기 정면부(121)를 B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본체(110)의 정면을 개방시킨다.
이후, 총기 관리자는, 상기 정면부(121)가, 상기 측면부(122)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정면부(121)와 상기 측면부(122)를 A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10)의 정면이 완전히 개방된다. 총기 관리자는, 상기 본체(110)의 정면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총기를 상기 총기 보관함에 넣거나, 또는 상기 총기 보관함에서 총기를 빼낼 수도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들(120, 130) 각각이, 상기 본체(110)의 안쪽의 좌우로 각각 삽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들 각각(120 or 130)에는, 상기 회전부(123) 및 상기 이송부(12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123) 및 상기 이송부(124)에 의해,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110)의 개방면에 수직하게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면에 수직하게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10)의 측면을 따라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본체의 하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기를 수리하는 용품들을 보관할 수 있는 서랍(150)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다.
넷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총(300)이 거치되는 상기 거치대(11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거치대(112)는 복수 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 중 상기 거치대(112)에 거치되는 총의 총열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총열 센서(16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 중 상기 거치대(112)에 거치되는 총의 개머리판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개머리판 센서(16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센서들과 연결되어 있는 출력부(140)가 장착될 수 있다. 특히, 도 1 및 도 2에는, 상기 본체(110)의 외부면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출력부(140)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출력부(140)는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일반적인 램프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액정표시장치 또는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총열 센서(162)와 상기 개머리판 센서(161)에 의해 총열과 개머리판이 모두 감지되면, 상기 출력부(140)가 녹색으로 점등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출력부(140)가 점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 출력부(140)가 정상상태를 알리는 문자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총열과 상기 개머리판 중 어느 하나라도, 상기 총열 센서(162) 및 상기 개머리판 센서(161)에 의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출력부(140)는 적색으로 점등될 수도 있고, 또는 총기가 없음을 알리는 문자 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총기가 상기 거치대(112)에 정상적으로 거치되어 있음을 알리는 신호 및 상기 거치대(112)에 총기가 없음을 알리는 신호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0)의 점등 여부 또는 점등 색깔 또는 문자에 의해, 총기 관리자는, 총기가 총기 보관함에 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먼 거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총기 관리자는, 총기 보관함에 있는 총기의 개수를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총열 센서(162) 및 상기 개머리판 센서(161) 중 어느 하나만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다면, 총기가 정상적으로 상기 거치대(112)에 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정확하게 판단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총열 센서(162) 및 상기 개머리판 센서(161) 중 어느 하나만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을 때, 총기 유출자가 상기 거치대(112)로부터 총을 빼낸 후, 상기 총열 부분 또는 상기 개머리판 부분에 다른 물건을 걸어 놓으면, 총기가 분실된 사실이 파악될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총열 센서(162) 및 상기 개머리판 센서(161)에서 물체가 감지되어야만, 상기 램프(140)가 정상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총기 유출자가 총 길이와 유사한 길이를 갖는 물체를 찾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므로, 총기 유출 여부가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총기 보관함과 이격되어 있는 행정실에서도, 상기 총기 보관함의 총기 입출고 상황이 파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정실에 장착되어 있는 모니터링부(200)는, 상기 총열 센서(162) 및 상기 개머리판 센서(161)로부터 수신된 수신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총기 보관함에 배치되어 있는 총기의 개수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모니터링부(200)는, 행정실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총열 센서(162) 및 상기 개머리판 센서(161)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하며, 상기 총열 센서와 상기 개머리판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정상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모니터링부(200)와 상기 총열 센서(162) 및 상기 개머리판 센서(161)는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니터링부(200)는, 하나의 총기에 대응되는 총열 센서(162) 및 개머리판 센서(161)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총기가 상기 총기 보관함에 정상적으로 보관되고 있음을 문자, 음성 또는 램프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기 보관함에 10개의 총기가 보관되어 있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부(200)는,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을 이용하여, 10개의 총기들 각각이 상기 총기 보관함에 보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행정반에 있는 총기 관리자는 먼 거리에서도, 총기 보관함에 보관되어 있는 총기의 개수 및 이용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200)는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PC), 테블릿PC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도 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상기 모니터링부(200)로 이용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도어들(120, 130) 각각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구멍(125)들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총기 관리자는, 상기 도어들이 닫혀 있는 경우, 상기 구멍(125)들을 통해, 상기 본체(110)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총기들을 확인할 수 있다.
총기 관리자는,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먼 거리에서도 총기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구멍(125)을 통해 직접 총기의 개수를 파악할 수도 있다.
일곱째, 상기 도어(120 or 130)에는, 미도시된 도어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센서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거나 이동되는 경우,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는 상기 도어 센서와 연결된 경고부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경고부는 상기 도어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소리 또는 빛을 통해 경고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경고부는 스피커 또는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램프는 상기 감지신호가 전송된 경우, 부저음을 울리거나 또는 광을 출력할 수 있으며, 총기 관리자는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램프를 통해 상기 도어가 개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센서는 상기 모니터링부(2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200)는, 상기 도어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부저음 또는 램프 또는 문자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행정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총기 관리자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거나 이동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덟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 중, 상기 전면부(121)가 상기 측면부(122)와 나란하게 배치된 경우에, 상기 전면부(121)의 저면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전면부(121)를 가이드 하는 베어링(118)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118)은, 상기 전면부(121)를 가이드하여, 상기 전면부(121)가 상기 측면부(122)와 함께, 상기 레일(11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면부(121)가 상기 본체(110)의 전면을 커버하고 있는 경우, 즉, 상기 전면부(121)가 상기 측면부(122)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베어링(118)은 상기 전면부(121)의 저면과 접촉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전면부(121)가 상기 측면부(122)와 나란하게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 베어링(118)이 상기 전면부(121)의 저면과 접촉된다.
상기 전면부(121)의 저면에는, 상기 베어링(118)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어(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21)와 측면부(122)로 구성되어 있고, 전면부와 측면부가 회전부(123)(예를 들어,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측면부(122)의 저면에는 이송부(124)(예를 들어, 롤러)가 장착되어 있다.
측면부(122)는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레일(11)을 따라서 이동된다. 전면부(121)는 90도로 꺽여 본체의 전면을 커버할 수도 있으며, 도 1처럼 측면부(122)와 일자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 전면부(121)와 측면부(122)는 90도를 이룬다. 이 상태에서, 도 1처럼 도어가 열린 후, 즉, 정면부(121)가, 측면부(122)와 나란하게 배치된 후, 정면부(121)를 본체방향으로 밀면, 측면부(122)가 레일(111)을 따라, 본체 내부로 들어가며, 정면부(121) 역시 측면부(122)와 함께 본체 내부로 들어간다.
특히, 도 2와 같이, 측면부(122)와 정면부(121)가 일자로 배치된 경우, 정면부(121)의 하단에 있는 베어링(118)이 정면부(121)를 지지하고 있다. 즉, 정면부(121)는 베어링(118)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측면부(122)와 함께 본체 내부로 삽입된다. 베어링(118)이 없다면, 무거운 정면부(121)는 아래 방향으로 처질 수 있고, 이 경우 본체와 접촉되어 마찰력이 발생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면부(121)의 이동이 쉽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118)이 본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측면부(122)와 베어링(118)은 접촉될 필요가 없다.
또한, 정면부(121)가 본체 정면을 커버하고 있는 경우, 즉,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에, 정면부(121)는 베어링(118)과 접촉되지 않는다. 즉, 정면부(121)는 측면부(122)와 일자로 배치되어 본체 내부로 삽입될 때만, 베어링(118)에 의해 지지된다.
아홉째,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센서들, 상기 출력부 및 상기 경고부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정전 등에 의해 차단된 경우에만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센서들, 상기 출력부 및 상기 경고부 등을, 4시간 내지 6시간 동안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을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총기사고 발생시, 상급부대(예를 들어, 사단, 군단, 육본 등)로의 전송이 2분 내에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본체 120 : 우측 도어
130 : 좌측 도어 140 : 출력부
150 : 서랍 162 : 총열 센서
161 : 개머리판 센서 112 : 거치대
111 : 레일 200 : 모니터링부
300 : 총기 121 : 전면부
122 : 측면부 123 : 회전부
124 : 이송부

Claims (3)

  1. 내부에 총기가 거치되는 거치대가 장착되어 있으며,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의 좌측을 커버하는 좌측 도어;
    상기 본체의 전면의 우측을 커버하는 우측 도어, 상기 본체 중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는 총의 총열과 대응되는 부분에 장착되는 총열 센서;
    상기 본체 중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는 총의 개머리판과 대응되는 부분에 장착되는 개머리판 센서;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총열 센서와 상기 개머리판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정상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도어 및 상기 우측 도어 각각은,
    상기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의 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 및 상기 전면부가 상기 측면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를 연결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중, 상기 전면부가 상기 측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경우에, 상기 전면부의 저면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전면부를 가이드 하는 베어링이 장착되어 있는 총기 보관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도어 및 상기 우측 도어에는, 상기 좌측 도어 및 상기 우측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좌측 도어 또는 상기 우측 도어에는, 상기 도어 센서와 연결된 경고부가 장착되며,
    상기 도어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소리 또는 빛을 통해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총기 보관함.
  3. 제 1 항에 있어서,
    행정실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총열 센서 및 상기 개머리판 센서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하며, 상기 총열 센서와 상기 개머리판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정상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총기 보관함.
KR1020150024806A 2015-02-21 2015-02-21 총기 보관함 KR101529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806A KR101529718B1 (ko) 2015-02-21 2015-02-21 총기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806A KR101529718B1 (ko) 2015-02-21 2015-02-21 총기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718B1 true KR101529718B1 (ko) 2015-06-17

Family

ID=5351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806A KR101529718B1 (ko) 2015-02-21 2015-02-21 총기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7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768A (ko) 2017-02-10 2018-08-20 주식회사 코닥트 스마트 개인화기 관리 장치
KR20230166207A (ko) 2022-05-30 2023-12-07 이인우 모듈형 스마트 총기 관리 장치
KR102632627B1 (ko) 2023-11-14 2024-02-01 이호직 보관함
KR102637624B1 (ko) * 2023-02-27 2024-02-19 주식회사 코닥트 총기 보관함
KR20240036905A (ko) 2022-09-14 2024-03-21 이인우 스마트 총기 관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951Y1 (ko) * 2004-01-29 2004-04-28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총기 보관함의 도어 구조
KR100462041B1 (ko) * 2004-08-04 2004-12-16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총기보관함의 절첩식 도어구조
KR20080113136A (ko) * 2006-12-14 2008-12-29 김진용 총기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081496B1 (ko) * 2011-06-15 2011-11-08 이영우 총기보관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951Y1 (ko) * 2004-01-29 2004-04-28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총기 보관함의 도어 구조
KR100462041B1 (ko) * 2004-08-04 2004-12-16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총기보관함의 절첩식 도어구조
KR20080113136A (ko) * 2006-12-14 2008-12-29 김진용 총기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081496B1 (ko) * 2011-06-15 2011-11-08 이영우 총기보관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768A (ko) 2017-02-10 2018-08-20 주식회사 코닥트 스마트 개인화기 관리 장치
KR20230166207A (ko) 2022-05-30 2023-12-07 이인우 모듈형 스마트 총기 관리 장치
KR20240036905A (ko) 2022-09-14 2024-03-21 이인우 스마트 총기 관리 장치
KR102637624B1 (ko) * 2023-02-27 2024-02-19 주식회사 코닥트 총기 보관함
KR102632627B1 (ko) 2023-11-14 2024-02-01 이호직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718B1 (ko) 총기 보관함
BRPI0605630A (pt) depósito de folhas de valor, aparelho para uso com um depósito para armazenar folhas de valor, depósito para armazenar folhas de valor, manipuladora de folhas de valor, sistema de armazenagem de folhas de valor, método para dispensar folhas de valor, método para manipular um depósito de folhas de valor, método para fixar um depósito de folhas de valor, método para determinar a altura de uma pilha de folhas de valor e meios de transporte para transportar folhas de valor
UA88700C2 (uk) Обладнання для друкувального пристрою
CN206340081U (zh) 智能锁定识别枪弹柜
DK1839281T3 (da) Pengeseddeltransportindretning
WO2009030385A3 (de) Munitionsbevorratung
EP1995698A3 (en) Cash handling system
KR101942156B1 (ko) 부품보관함
CN108721034A (zh) 一种抢救车药品管理装置
TW200700056A (en) Tablet case
RU2679281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средств обращ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денег
WO2014011756A3 (en) Trace detection media cartridges and kits
ITTO20100541A1 (it) Cassa di alloggiamento e custodia per oggetti allungati
SG11201807359PA (en) Refrigerator
MX2022003595A (es) Refrigerador aislado al vacio.
CN209187343U (zh) 一种抢救车药品管理装置
CN109341409A (zh) 训练用智能手枪集装架
KR102637624B1 (ko) 총기 보관함
DK1684040T3 (da) Dör til især et köleskab
KR20170140639A (ko) 총기 거치대
CN208868533U (zh) 智能手枪集装装置
CN205285616U (zh) 防尘物流柜
CN205758077U (zh) 便捷型智能快递柜
IT201900006898A1 (it) Distributore automatico di articoli
CN217813015U (zh) 一种配备缓冲区域的银行厢式一体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