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314B1 - 폐기물에서 얻어진 가스를 합성해 수성가스를 생산하기위한 가스 합성 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에서 얻어진 가스를 합성해 수성가스를 생산하기위한 가스 합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314B1
KR101081314B1 KR1020080029966A KR20080029966A KR101081314B1 KR 101081314 B1 KR101081314 B1 KR 101081314B1 KR 1020080029966 A KR1020080029966 A KR 1020080029966A KR 20080029966 A KR20080029966 A KR 20080029966A KR 101081314 B1 KR101081314 B1 KR 101081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zone
synthesis
synthesis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515A (ko
Inventor
이종진
오영화
이병희
Original Assignee
오영화
(주)자연과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화, (주)자연과에너지 filed Critical 오영화
Priority to KR1020080029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31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4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3/00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to produce an improved fuel, e.g. one of different calorific value, which may be free from carbon mon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02Fixed-bed gasification of lump fuel
    • C10J3/20Apparatus;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8/00Fuel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13Carbonaceous raw material
    • C10J2300/0946Waste, e.g. MSW, tires, glass, tar sand, peat, paper, lignite, oil sha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스 합성 장치는, 유기성 폐기물에서 입자크기가 1 mm 이상의 고형물을 제거한 후, 나머지 폐기물에 양이온을 투입함으로써 양이온과 결합되어 부상된 노르만헥산 계열의 고분자 화합물이 유입되는 스컴 유입구(10); 상기 유기성 폐기물에서 고형물이 분리된 액상의 폐기물을 전기분해하여 발생된 가스가 유입되는 연료가스 유입구(20); 사각형 단면의 상부(1)와 콘 형상의 하부(2)를 갖고, 상기 상부의 단면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차례로 제1, 제2, 제3 및 제4 구역으로 4등분하도록 상기 상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35), 상기 칸막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3 구역을 연결하는 제1, 제2 및 제3 연결관(31, 32, 33), 상기 구역의 상부를 각각 폐쇄하는 덮개(34)를 포함하는 합성조(30); 합성된 가스를 상기 제4 구역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합성가스 배출구(40); 합성조 하부에 침전된 고형물 등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펌프(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연결관(31, 32, 33)의 하단부는 상기 칸막이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상향으로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연료가스 유입구(20)의 단부는 상기 합성조의 제1 구역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스 합성 장치, 연료가스 유입구, 스컴 유입구, 합성조, 배출펌프

Description

폐기물에서 얻어진 가스를 합성해 수성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가스 합성 장치{Gas Composition Device for producing Water Gas by Composition of Gas obtained from Wastes}
본 발명은 가축의 분뇨, 음식물 폐수 또는 매립장의 침출수 등(이하, "폐기물"이라 함)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가스를 이용해 연료를 생산하는, 폐기물에서 얻어진 가스를 합성해 수성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가스 합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구 증가 및 경제 발전에 따라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생되는 가축의 분뇨, 음식물 폐수 또는 매립장의 침출수 등의 양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폐기물을 저렴한 비용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이를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최근에는 폐기물을 고체, 액체 또는 기체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예를 들어, 수소, 산소, 일산화탄소 등)를 포집하여 이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폐기물에서 얻어진 가스를 이용해 연료를 생산하는 장치는,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여러 기체들을 혼합하여 이를 연료로 사용하는 점에서 일명 혼합연료 제조 장치로 불리고 있다.
종래 기술의, 폐기물에서 얻어진 가스를 이용해 혼합연료를 제조하는 장치는, 폐기물을 저장하는 폐기물 저장조, 저장된 폐기물에서 입자크기가 약 1~3 mm 정도의 큰 고형물을 침강시켜 제거하는 진동스크린, 큰 고형물이 제거된 폐기물을 이온의 결합, 분리 반응에 의한 침전 및 부상으로 입자크기가 약 1 mm 미만의 작은 고형물을 제거하는 이온반응기, 고형물들이 제거된 액상의 폐기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 및 산소 등을 포함한 연료가스를 생산하는 가스 발생기, 전기분해 후 남은 폐기물을 연소하여 분해하는 연소분해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혼합연료 제조 장치에서 상기 액상의 폐기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된 연료가스에는 수증기 등과 같이 연소를 방해하는 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그 자체로는 연소가 잘 되지 않고 연소를 도와주는 촉매가스(예를 들어, 메탄 등)를 함께 합성해줘야 활발한 연소가 일어난다. 따라서, 전기분해로 생산된 연료가스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연료가스와 촉매가스를 합성하여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한편, 종래에 2가지 이상의 가스를 합성하여 합성가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통상 하나의 합성조 내로 각각의 가스를 유입한 후, 이를 합성조 내에서 합성하여 생산된 가스를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원하는 합성가스 외에 불순물이나 미반응 가스도 포함되어 있어, 얻고자 하는 합성가스의 순도가 떨어지고 합성가스의 분자 크기도 일정하지 않아 가스의 균일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혼합연료 제조 장치에서 생산된 휘발성 연료가스는 활발한 연소를 위해서는 별도의 촉매가스와의 합성 과정이 추가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별도의 촉매가스의 투입없이 상기 입자크기가 약 1 mm 미만의 작은 고형물을 제거하는 단계에서 이온 결합에 의해 부상된 노르말헥산 계열의 겔(gel)화 물질[일명, "스컴(scum)"] 속에 연소를 활성화시키는 촉매가스(메탄 등)가 많이 포함된 점에서, 이러한 스컴과 상기 전기분해하여 생산된 연료가스를 합성하여 연소에 보다 적합한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가스 합성 장치를 포함하는 혼합연료 제조 장치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혼합연료 제조 장치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가스 합성 장치는 기존의 가스 합성조를 사용할 경우 최종적으로 생산된 합성가스의 순도 및 균일도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함께 개선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가스를 이용해 연료를 생산하는 혼합연료 제조 장치의 가스 합성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고, 가스 합성 과정에 의해 생산된 합성가스의 순도 및 균일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 합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원하는 합성가스의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는 가스 합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폐기물에서 얻어진 가스를 합성해 수성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가스 합성 장치는, 가축의 분뇨, 음식물 폐수 또는 매립장의 침출수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에서 입자크기가 약 1 mm 이상의 고형물을 제거한 후, 나머지 폐기물에 양이온을 투입함으로써 양이온과 결합되어 부상된 노르만헥산 계열의 고분자 화합물이 유입되는 스컴 유입구; 상기 유기성 폐기물에서 고형물이 분리된 액상의 폐기물을 전기분해하여 발생된 가스가 유입되는 연료가스 유입구; 사각형 단면의 상부와 콘 형상의 하부를 갖고, 상기 상부의 단면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차례로 제1, 제2, 제3 및 제4 구역으로 4등분하도록 상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 상기 칸막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상부와 상기 제2 구역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관, 상기 제2 구역의 상부와 상기 제3 구역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관, 상기 제3 구역의 상부와 상기 제4 구역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관, 상기 제1 내지 제4 구역의 상부를 각각 폐쇄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합성조; 합성된 가스를 상기 합성조의 제4 구역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합성가스 배출구; 합성조 하부에 침전된 고형물 등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합성조 하부와 연결된 배출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연결관의 하단부는 상기 칸막이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상향으로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연료가스 유입구의 단부는 상기 합성조의 제1 구역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조의 덮개는 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조의 상부는 원통형 또는 5각형 이상의 다각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합성 장치에서 합성된 원하는 합성가스의 순도 및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스 합성 장치에서 합성된 합성가스의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 합성 장치가 사용되는 혼합연료 제조 장치를 나타나는 도면이다.
상기 혼합연료 제조 장치는 폐기물을 저장하는 폐기물 저장조(5), 유기성 폐기물에서 입자크기가 약 1~3 mm 정도의 큰 고형물을 제거하는 진동 스크린(6), 큰 고형물이 제거된 폐기물에 양이온을 투입하여 양이온에 의한 이온 결합 및 분리 반응에 의한 침전 및 부상으로 입자크기가 약 1 mm 미만의 작은 고형물을 제거하는 이온 반응기(7), 고형물들이 제거된 액상의 폐기물을 전기분해하여 연료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기(8), 상기 발생된 연료가스를 상기 이온 반응기(7) 내의 부상된 물질과 합성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가스 합성 장치(100), 생산된 합성가스를 저장하는 가스 저장소(70)를 포함한다. 상기 부상된 물질은 통상 양이온과 결합되어 부상된 노르만헥산 계열의 고분자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가스 합성 장치(100)는 상기 혼합연료 제조 장치에서 상기 전기분해하여 발생된 연료가스를 상기 부상된 물질과 합성하여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가스 합성 장치로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스 합성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가스 합성 장치의 합성조(30)의 가로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가스 합성 장치의 합성조(30) 상부(11)와 하부(12)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가스 합성 장치 합성조(30)의 제1 및 제2 구역의 길이방향 개략도, 도 5b는 제2 및 제3 구역의 길이방향 개략도, 도 5c는 제3 및 제4 구역의 길이방향 개략도, 도 5d는 제1 및 제4 구역의 길이방향 개략도이다.
상기 가스 합성 장치(100)는 1 mm 미만의 작은 고형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부상된 물질인 스컴이 유입되는 스컴 유입구(10), 전기분해로 발생된 연료가스(수소, 산소, 일산화탄소, 질소, 수증기 등이 포함된 가스)가 유입되는 연료가스 유입구(20), 유입된 가스가 합성되는 합성조(30), 합성된 가스를 상기 합성조의 외부로 배출하는 합성가스 배출구(40), 합성조 하부에 침전된 고형물 등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합성조 하부와 연결된 배출펌프(5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합성조(3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합성조(30)는 가로방향 단면이 사각형인 상부(11)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콘 형상의 하부(12)를 갖는다. 상기 합성조(30) 상부의 단면은 원형 또는 5각형 이상의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지만, 4각형 단면을 갖는 것이 가스 합성 및 합성조 제작에 있어 바람직하다. 합성조(30)의 상부(1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35)에 의해 4개의 부분으로 구획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35)에 의해 구획되는 4개의 구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계 방향에 따라 제1, 제2, 제3 및 제4 구역으로 구분하였다.
제1 구역으로는,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된 가스가 연료가스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된다. 또한, 합성된 가스 및 미반응 가스를 제2 구역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1 구역의 상부와 제2 구역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관(31)이 상기 칸막이(35)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구역으로는, 1 mm 미만의 작은 고형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부상된 스컴이 스컴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된다. 도 5b에서, 상기 스컴 유입구(10)가 제2 구역으로 통하도록 도시되지만, 이러한 스컴은 겔화된 물질로서 무게에 의해 하부로 가라앉아 합성조(30) 내에 충전되므로 스컴 유입구(20)는 어느 구역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2 구역의 합성된 가스 및 비반응 가스를 제3 구역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2 구역의 상부와 상기 제3 구역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관(32)이 칸막이(35)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3 구역의 합성된 가스 및 미반응 가스를 제4 구역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3 구역의 상부와 상기 제4 구역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관(33)이 칸막이(35)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4 구역에는 최종적으로 합성된 가스를 외부의 가스 저장소(70)로 배출하는 합성가스 배출구(40)가 연결되어 있다. 도 5d에서 제1 연결관(31) 및 제3 연결관(33)이 서로 연결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제1 구역 과 제4 구역의 연결관들(31, 33)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제1 연결관(31)과 제3 연결관(33)이 서로 연결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역들은 각각 돔형의 덮개(34)로 폐쇄된다. 덮개(34)를 돔형으로 하는 이유는, 가스 압력이 등분포되게 하여 합성되는 가스들의 불필요한 반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일, 덮개를 사각형 또는 각진 형상으로 했을 경우, 각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연료가스 중에 포함된 수소 및 산소의 반응에 의해 물이 형성되어 원하는 합성가스의 수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생산되는 합성가스는 수소 35~49 체적%, 일산화탄소 29.8~35 체적%, 이산화탄소 4.5~8 체적%, 질소 5.3~7.8 체적%, 산소 0~0.2 체적%, 메탄 1~13 체적%, 분자식이 CmHn인 탄소화합물 1.8~10 체적%를 포함하는 수성가스이고, 발열량은 약 6000 Kcal/Nm3 이상의 양질의 에너지원이다.
합성조(30)의 하부는 콘 형상으로 되어 있어, 합성가스를 제외한 고체, 액체 성분들이 하부로 모여지고, 이러한 성분들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배출펌프(50)에 의해 펌핑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스 합성 장치(100)에서 가스를 합성하여 배출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혼합연료 제조 단계 중 유기성 폐기물에서 입자크기가 약 1 mm 미만의 작은 고형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부상된 스컴(노르말헥산 계열의 고분자 화합물)이 스컴 유입구(10)를 통해 합성조(30) 내로 유입되면, 합성조(30)의 하부에서부터 채워져서 라인(60)까지 충전된다. 다음에, 전기분해로 발생된 가스(수소, 산소, 일산화탄소 등)가 연료가스 유입구(20)를 통해 제1 구역의 하부로 유입된다. 상기 연료가스 유입구(20)의 단부는 상기 제1 구역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이는 유입된 연료가스가 칸막이(35)를 넘어 다른 구역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수소, 산소, 일산화탄소 등을 포함하는 상기 유입된 연료가스는 스컴에 포함된 메탄 등과 반응하여 합성가스(즉, 수성가스)가 된다.
제1 구역에서 여러 가지 성분의 가스들이 반응하여 합성가스가 생성되지만,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미반응 가스도 일정부분 포함되어 있어, 제1 구역의 전체 가스 중 합성가스의 비율은 약 20% 정도이다. 합성된 가스 및 미반응 가스는 제1 구역 위로 상승하여 제1 구역과 제2 구역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관(31)을 통해 제2 구역의 아래로 전달된다. 제2 구역에서는, 제1 구역에서 전달된 합성된 가스는 그대로 위로 상승하고, 미반응 가스는 제2 구역에서 다시 반응에 참여하여 합성가스가 되므로, 제2 구역의 전체 가스 중 합성가스의 비율은 약 45% 정도이다. 마찬가지로, 합성된 가스 및 미반응 가스는 제2 구역 위로 상승하여 제2 구역과 제3 구역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관(32)을 통해 제3 구역의 아래로 전달된다. 제3 구역에서도 제2 구역과 마찬가지의 반응을 거쳐 제3 구역의 전체 가스 중 합성가스의 비율은 약 65% 정도가 되고, 합성된 가스 및 미반응 가스는 제3 연결관(33)을 통해 제4 구역의 아래로 전달된다. 또한, 제4 구역에서도 미반응 가스는 반응에 참여하여 합성가스가 되므로, 제4 구역의 전체 가스 중 합성가스의 비율은 약 85~90% 가 된다. 제4 구역에서 최종적으로 생산된 합성가스는 합성가스 배출구(40)를 통해 가스 저장 장치(70)로 보내져 에너지원으로서 저장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연결관(31, 32, 33)의 하단부는 상기 칸막이(35)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상향으로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는 각각의 구역의 하부로 전달된 가스가 칸막이(35)를 넘어 다른 구역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합성조의 구역이 4개로 나누어지고, 합성된 가스 및 미반응 가스가 함께 다음 구역으로 전달되어 합성된 가스들은 그대로 위로 상승하고 미반응 가스들은 계속 반응하여 합성가스가 되므로, 각각의 제1, 제2, 제3 및 제4 구역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전체 가스 중 합성가스의 비율은 점차 높아져 제4 구역의 합성가스의 비율은 약 85~90% 정도로 가장 높게 된다. 또한, 합성된 가스 및 미반응 가스가 함께 다음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면서 합성가스의 분자 크기도 점차 일정하게 되어 합성가스의 균일도도 향상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가스 저장소에 저장되는 가스는 합성가스(즉, 수성가스)의 순도 및 균일도가 높아 연소가 잘되고 발열량이 높은 양질의 에너지원이 된다.
한편, 상기 합성조(30)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250 내지 1000 mm 이고, 높이는 약 1500 내지 3000 mm 이다. 합성조(30)의 크기도 합성가스의 수율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지만, 이러한 수치는 합성조(30) 내로 들어오는 연료가스 및 스컴 의 양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스 합성 장치(100)는 여러 가지 성분의 가스를 합성하여 원하는 합성된 가스를 생성하는 다른 예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비교적 무거운 가스 또는 액체 등과 혼합된 가스가 합성조(30) 내로 들어와서 합성조 하부에 확산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가스를 합성조(30) 내로 유입한다. 유입된 합성조 내의 가스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구역을 거치면서 차례로 합성될 수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합성된 원하는 가스의 순도 및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합성 장치에서 합성될 수 있는 가스의 예는 매우 많으며, 이는 당업자가 원하는 가스의 성상에 따라 적절히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 합성 장치(100)는 악취 가스가 포함된 물질을 악취없이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탄 등과 같은 악취 가스가 포함된 물질을 합성조(30) 내에 넣고 이러한 악취 가스와 합성 가능한 다른 가스를 합성조(30) 내로 유입하면, 합성조 내의 가스들이 상기와 같은 합성 과정을 거치면서 악취없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 합성 장치가 사용되는 혼합연료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가스 합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가스 합성 장치 합성조의 가로방향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스 합성 장치 합성조의 상부와 하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가스 합성 장치 합성조의 제1 및 제2 구역의 길이방향 개략도, 도 5b는 제2 및 제3 구역의 길이방향 개략도, 도 5c는 제3 및 제4 구역의 길이방향 개략도, 도 5d는 제1 및 제4 구역의 길이방향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컴 유입구
20 : 연료가스 유입구
30 : 합성조
31 : 제1 연결관
32 : 제2 연결관
33 : 제3 연결관
34 : 덮개
35 : 칸막이
40 : 합성가스 배출구
50 : 배출펌프

Claims (3)

  1. 폐기물에서 얻어진 가스를 합성해 수성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가스 합성 장치에 있어서,
    사각형 단면의 상부와 콘 형상의 하부를 갖고, 상기 상부의 단면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차례로 제1, 제2, 제3 및 제4 구역으로 4등분하도록 상기 상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 상기 칸막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상부와 상기 제2 구역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관, 상기 제2 구역의 상부와 상기 제3 구역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관, 상기 제3 구역의 상부와 상기 제4 구역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관, 상기 제1 내지 제4 구역의 상부를 각각 폐쇄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합성조;
    상기 폐기물에서 입자크기가 1 mm 이상의 고형물을 제거한 후, 나머지 폐기물에 양이온을 투입함으로써 양이온과 결합되어 부상된 노르만헥산 계열의 고분자 화합물이 유입되는 상기 합성조의 하부에 형성된 스컴 유입구;
    상기 폐기물에서 고형물이 분리된 액상의 폐기물을 전기분해하여 발생된 가스가 유입되는 상기 합성조의 제1구역에 형성된 연료가스 유입구;
    합성된 가스를 상기 합성조의 제4 구역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합성가스 배출구;
    합성조 하부에 침전된 고형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합성조 하부와 연결된 배출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연결관의 하단부는 상기 칸막이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상향으로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연료가스 유입구의 단부는 상기 합성조의 제1 구역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합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조의 덮개는 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합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조의 상부는 원통형 또는 5각형 이상의 다각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합성 장치.
KR1020080029966A 2008-03-31 2008-03-31 폐기물에서 얻어진 가스를 합성해 수성가스를 생산하기위한 가스 합성 장치 KR101081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966A KR101081314B1 (ko) 2008-03-31 2008-03-31 폐기물에서 얻어진 가스를 합성해 수성가스를 생산하기위한 가스 합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966A KR101081314B1 (ko) 2008-03-31 2008-03-31 폐기물에서 얻어진 가스를 합성해 수성가스를 생산하기위한 가스 합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515A KR20090104515A (ko) 2009-10-06
KR101081314B1 true KR101081314B1 (ko) 2011-11-08

Family

ID=41534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966A KR101081314B1 (ko) 2008-03-31 2008-03-31 폐기물에서 얻어진 가스를 합성해 수성가스를 생산하기위한 가스 합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610B1 (ko) * 2009-03-27 2011-06-22 박진규 유기성 폐수에서 수소, 산소, 헥산이 혼합된 혼합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246B1 (ko) 2003-09-17 2005-12-05 김후곤 전기분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100652612B1 (ko) 2000-12-29 2006-12-0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연료전지의 연료 공급 장치
KR100853693B1 (ko) 2007-04-23 2008-08-25 박진규 분뇨 및 음식물 폐수를 이용한 혼합연료 제조방법과 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612B1 (ko) 2000-12-29 2006-12-0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연료전지의 연료 공급 장치
KR100533246B1 (ko) 2003-09-17 2005-12-05 김후곤 전기분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100853693B1 (ko) 2007-04-23 2008-08-25 박진규 분뇨 및 음식물 폐수를 이용한 혼합연료 제조방법과 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515A (ko) 200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7917A (en) Process for the anaerobic decomposition of organic substrate
US7279101B2 (en) Anaerobic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process
CN203256029U (zh) 一种双级双循环厌氧反应器
US446959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nitrifying water
KR101413345B1 (ko)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한 폐염수의 처리 방법
US20240116010A1 (en) A system, method and generator for generating nanobubbles or nanodroplets at ambient conditions
MY145006A (en) Process and reactor for anaerobic waste water purification
CN104445836B (zh) 高浓度沥青废水处理方法和装置
US10023476B2 (en) Water filter cartridge and water purifier
KR100893377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장치
CN103043753B (zh) 一种可连续分离油、水、渣的电化学废水处理方法及装置
KR102218612B1 (ko) 저함수 바이오 매스를 위한 고효율 에너지 회수 장치 및 방법
US20180296977A1 (en) Integrated system for wet desulfurization using a suspension bed and regeneration
KR101081314B1 (ko) 폐기물에서 얻어진 가스를 합성해 수성가스를 생산하기위한 가스 합성 장치
CN204509054U (zh) 一种复合高效污水生物处理装置
KR101503253B1 (ko) 바이오가스 분리정제 시스템
KR100615434B1 (ko) 오존소독 및 부상분리 일체형 이중 원통형 반응조
KR100920525B1 (ko) 폐기물로부터 얻어진 가스를 이용한 혼합연료 제조 장치 및방법
CN115367930A (zh) 一种脱硫废水处理系统和方法
NO157134B (no) Anordning for rensing av avloepsvann ved hjelp av anaerobisk fermentering.
RU2518307C1 (ru) Анаэробный реактор
CN201144169Y (zh) 一种微电解装置
KR200369990Y1 (ko) 오존소독 및 부상분리 일체형 이중 원통형 반응조
CN106045141A (zh) 电化学处理医化废水的方法和装置
JP2004256684A (ja) 粗ガスの精製方法及びその精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