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247B1 - 단열시트 - Google Patents

단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247B1
KR101081247B1 KR1020090014272A KR20090014272A KR101081247B1 KR 101081247 B1 KR101081247 B1 KR 101081247B1 KR 1020090014272 A KR1020090014272 A KR 1020090014272A KR 20090014272 A KR20090014272 A KR 20090014272A KR 101081247 B1 KR101081247 B1 KR 101081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heet
polystyrene
insulat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5144A (ko
Inventor
한정필
정용배
예성훈
전승민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014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247B1/ko
Publication of KR20100095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시트는, PVC를 포함하는 시트, 및 퍼라이트, 질석, 실리카 비드, 알루미나 비드, 흄드 실리카, 탄소나노튜브, 제로겔, 및 에어로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공성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재료는 가교제 및 바인더에 의해 상기 시트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PVC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고무 50중량부, 폴리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고무 70중량부, 및 폴리스티렌 3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하여 캘린더링 공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단열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하며, 단열시트의 시공이 간편하다.

Description

단열시트 { HEAT INSULATING SHEET }
본 발명은 단열시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공성 재료를 포함하는 단열시트에 관한 것이다.
단열시트는 건축물의 바닥, 벽면 등에 설치되어 실내의 냉난방시 발생되는 열손실을 방지하고, 냉난방용 유체가 닥트, 판넬 등의 건축설비를 통과하는 경우 발생되는 열손실을 방지한다.
종래의 단열시트 중 초배용 단열시트는 건물 벽면 등의 석고보드에 부착되며, 알루미늄 층을 중심으로 하여 그 상측에는 카본섬유 및 실리카 섬유로 이루어진 고밀도의 제2불연 단열층이 부착되고 그 하측에는 카본섬유 및 실리카 섬유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는 단열시트로서 카본섬유 및 실리카 섬유의 결합구조와 밀도에 의한 단열성을 부여하는 시트로서 불연성을 강조한 기술이다.
그리고 종래의 단열시트 중 반사 단열시트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방담 필름이 코팅된 알루미늄 호일과 흡읍과 보온효과가 있는 부직포와, 방습과 내부 결로를 차단하는 방습필름, 단열성능이 우수한 발폴 PE, 방담필름이 코팅된 알루미늄 호일, 점착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점착층을 적층시켜 열에너지가 반사되도록 하여 단열작용을 하고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다층구조로 제조된다.
그런데 종래의 초배용 단열시트는 적은 수의 재료에 단열을 의존하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효과가 크지 않고, 초배의 단계가 추가되어 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반사 단열시트 역시 내열성이 취약하며, 다양한 재료가 결합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고 결합력이 낮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장강도가 높고, 결합력 및 시공성이 우수한 단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공정에 의해 제조되면서도 높은 단열성능을 가지는 단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열시트는, PVC를 포함하는 시트; 및 퍼라이트, 질석, 실리카 비드, 알루미나 비드, 흄드 실리카, 탄소나노튜브, 제로겔, 및 에어로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공성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재료는 가교제 및 바인더에 의해 상기 시트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PVC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고무 50중량부, 폴리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고무 70중량부, 및 폴리스티렌 3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하여 캘린더링 공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교제 및 바인더는 알루미나졸과, 실리카졸과, 실란과, 티타니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자외선안정제 0.7 중량부, 1차 산화방지제 0.5 중량부, 2차 산화방지제 0.8 중량부, 및 활제 0.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시트에 의하면 인장강도가 높고, 결합력 및 시공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시트에 의하면 간단한 공정에 의해 제조되면서도 높은 단열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열시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시트는 PVC와, 유리솜과, 암면과, 세라믹섬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트를 포함하고, 퍼라이트와, 질석과, 실리카 비드와, 알루미나 비드와, 흄드 실리카와, 탄소나노튜브와, 제로겔과, 에어로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공성 재료를 포함하며, 다공성 재료는 가교제 및 바인더에 의해 시트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시트에서 PVC는 캘린더링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일예로, 본 발명에 따른 PVC를 제조하기 위해, 수첨 폴리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고무 50중량부(폴리스티렌 함량 70%, MI 10)와, 폴리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고무 70중량부(폴리스티렌 함량 40%, MI 8)와, 폴리스티렌 30중량부와, 자외선안정제 0.7중량부와, 1차 산화방지제 0.5 중량부, 2차 산화방지제 0.8 중량부, 활제 0.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위의 혼합물을 130℃로 혼련한 다음, 140℃의 2 본 롤에서 1차 믹싱 및 2차 믹싱하고, 위의 혼합물을 165℃의 캘린더 롤(Calender Roll)을 이용하여 PVC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열시트에서 유리솜은 다층 프레스 방법으로 프레스하여 형성되며, 암면은 진공 흡수 공정 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세라믹 섬유는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재료로는 퍼라이트와, 질석과, 실리카 비드와, 알루미나 비드와, 흄드 실리카와, 탄소나노튜브와, 제로겔과, 에어로겔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퍼라이트는 밀도 0.04~0.25kg/l의 가벼운 재질로서 콘크리트 또는 몰탈용 골재로 사용시 콘크리트 또는 몰탈의 중량을 1/2~1/8로 줄일 수 있는 경량성을 가지며, 둘째로 열전도율이 0.025~0.45kcal/minC로 단열성능이 우수하여 일반 콘크리트나 몰탈보다 5배 이상의 단열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퍼라이트는 불에 타거나 유해가스의 발생이 없는 내화성을 가지고 있으며, 85~95%의 공극율을 가지고 있으므로 흡음효과가 탁월한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퍼라이트는 화학적으로 중성(ph +6.5~7.5)이고 불연성 무기질 재료이므로 인체에 무해한 안정성을 지니는 특징이 있다.
질석은 버미큘라이트고도 하고 알루미늄·마그네슘·철의 수산화규산염으로 된 점토광물로서 가열하면 팽창하고, 다공질이며, 흡수능력이 좋아서 내열재료로 사용된다.
실리카 비드는 응집력을 높이고 적정한 강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알루미나 비드는 적정한 강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흄드 실리카는 염화규소로 이루어지는 원료를 화염 중에서 연소시켜 얻어지며, 보강제, 연마제, 외첨제, 충전제, 증점제 등의 여러 분야에서 이용된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들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고 있는 소재로서, 열전도율 및 강도가 크고 변형에도 강하다.
제로겔(Xerogel)은 초임계 유체가 기체와 액체의 중간적인 상태에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습윤 젤 내부의 기공 안의 액체를 대기 중에서 건조한 상태이다. 이는 안정성이 뛰어나 변형이나 균열 없이 안정화된 단열시트를 구현할 수 있다.
에어로겔(Aerogel)은 기공율이 90% 이상이고, 비표면적이 수백~1000m2/g정도이며, 수십 나노 크기의 오픈 포어(open pore)를 가지는 나노 다공성 구조를 가진 나노소재이다.
이와 같은 에어로겔 고유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에어로겔은 매우 효율적인 초단열 특성을 가지는데, 기존의 단열섬유 제품에 비해 수백% 이상의 매우 우수한 단열성능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열시트는 PVC와, 유리솜과, 암면과, 세라믹섬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트와, 퍼라이트와, 질석과, 실리카 비드와, 알루미나 비드와, 흄드 실리카와, 탄소나노튜브와, 제로겔과, 에어로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공성 재료가 가교제 및 바인더에 의해 결합된다.
에어로겔이 첨가된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인장강도와 단열성능이 우수하여 에어로겔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단열성능이 개선된다. 그런데 에어로겔 파우더(Aerogel Powder)를 블렌딩(Blending)하기 위해서는 가교제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여기서, 가교제 및 바인더는 알루미나졸과, 실리카졸과, 실란과, 티타니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틸알콜(Methyl Alcohol)과,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과,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등이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중에서도 알루미나졸과, 실리카졸과, 알루미나페이스트졸은 액상의 무기 바인더로서 내수성을 향상시켜 1000도 이하에서 매우 안정적인 결합력을 보인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시트의 두께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용도와 특성에 따라 적절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열시트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시트와의 온도변화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시트에 의하면 퍼라이트와, 질석과, 실리카 비드와, 알루미나 비드와, 흄드 실리카와, 탄소나노튜브와, 제로겔과, 에어로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공성 재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시간이 경과하여도 온도변화가 크지 않아 높은 단열성능과 안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1은 에어로겔만을 대상으로 온도를 비교하였지만 위에서 설명한 다른 다공성 재료에 의해서도 높은 단열성능과 안정성을 가진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열시트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시트와의 온도변화를 비교한 도면이다.

Claims (6)

  1. 단열시트에 있어서,
    PVC를 포함하는 시트; 및
    퍼라이트, 질석, 실리카 비드, 알루미나 비드, 흄드 실리카, 탄소나노튜브, 제로겔, 및 에어로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공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재료는 가교제 및 바인더에 의해 상기 시트와 결합되고,
    상기 PVC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고무 50중량부,
    폴리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고무 70중량부, 및
    폴리스티렌 3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하여 캘린더링 공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 및 바인더는 알루미나졸과, 실리카졸과, 실란과, 티타니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자외선안정제 0.7 중량부,
    1차 산화방지제 0.5 중량부,
    2차 산화방지제 0.8 중량부, 및
    활제 0.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시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014272A 2009-02-20 2009-02-20 단열시트 KR101081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272A KR101081247B1 (ko) 2009-02-20 2009-02-20 단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272A KR101081247B1 (ko) 2009-02-20 2009-02-20 단열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144A KR20100095144A (ko) 2010-08-30
KR101081247B1 true KR101081247B1 (ko) 2011-11-08

Family

ID=4275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272A KR101081247B1 (ko) 2009-02-20 2009-02-20 단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2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891B1 (ko) * 2012-10-12 2014-12-29 (주)엘지하우시스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바닥장식재
KR101532548B1 (ko) * 2013-03-18 2015-07-09 김찬진 질석분말을 도포한 불연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81689B1 (ko) * 2013-03-19 2013-07-02 주식회사 에코인프라홀딩스 차열, 차염 및 내화 기능을 갖는 불연성 충진 단열소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0497B1 (ko) * 2013-04-23 2014-06-23 유승조 단열 및 분진방지용 코팅액이 도포된 세라믹섬유 방직물
KR101485784B1 (ko) * 2013-07-24 2015-01-26 주식회사 지오스에어로젤 단열 및 방음 기능 향상을 위한 에어로겔이 포함된 단열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열원단의 제조방법
KR101645973B1 (ko) * 2016-03-16 2016-08-05 주식회사 코에원텍 높은 단열성과 접착성을 지닌 에어로겔 코팅액 및 이를 코팅처리한 내열성 글라스울과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6976A (ja) * 2004-07-13 2006-02-02 Twintech Kk 断熱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6976A (ja) * 2004-07-13 2006-02-02 Twintech Kk 断熱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144A (ko)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my-Mendes et al. Progress in silica aerogel-containing materials for buildings’ thermal insulation
KR101081247B1 (ko) 단열시트
CN109650841B (zh) 一种防火隔音保温气凝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5571851B2 (ja) 水分散性ポリウレタンバインダーを有する無機ナノ多孔質粒子
JP2017501322A (ja) 断熱パネル
JP2017501322A5 (ko)
CN206916991U (zh) 一种新型保温墙体结构
CN110527396B (zh) 一种具有等级孔微结构的气凝胶阻燃保温泡沫型涂料及其制备方法
CN108397112A (zh) 一种气凝胶防火门芯板
CN204690986U (zh) 改性墙体用板材及砖体
CN208009673U (zh) 纳米二氧化硅气凝胶绝热板以及建筑墙体
CN103146343B (zh) 一种节能抗热辐射的空气包覆阻断粘接涂料及其制备方法、使用方法
CN201151698Y (zh) 一种珍珠岩芯板
CN205577136U (zh) 一种外墙保温结构
CN202039466U (zh) 防火无机保温复合板
CN218492846U (zh) 具有隔热功能的组合式alc墙板
CN206501539U (zh) 绝热隔音气凝胶层复合透气膜的复合材料
CN206205203U (zh) 一种保温隔音防火墙体结构
CN215630858U (zh) 一种带有石墨烯保温层的建筑材料
CN202347725U (zh) 一种新型保温隔音复合墙板
CN210530212U (zh) 一种节能多层保温板
CN106499149A (zh) 一种气凝胶防水透气保温隔音卷材
CN201633249U (zh) 一种耐火绝热覆材
CN106904994B (zh) 一种蜂窝保温砂浆及其制造方法、用途
CN208088537U (zh) 一种外墙保温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