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389B1 - 정전식 터치펜 및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 - Google Patents

정전식 터치펜 및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389B1
KR101080389B1 KR1020090044436A KR20090044436A KR101080389B1 KR 101080389 B1 KR101080389 B1 KR 101080389B1 KR 1020090044436 A KR1020090044436 A KR 1020090044436A KR 20090044436 A KR20090044436 A KR 20090044436A KR 101080389 B1 KR101080389 B1 KR 101080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cell
antenna
capacitive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631A (ko
Inventor
박승교
김경훈
김찬국
Original Assignee
김경훈
주식회사 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훈, 주식회사 메닉스 filed Critical 김경훈
Priority to KR102009004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38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식 터치펜 및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단부가 연성 셀로 이루어진 중공형의 펜부를 포함하여 터치스크린과의 접촉 성능이 향상되며 펜부에 보강재가 충진됨으로써 내구성과 필기감이 향상된 정전식 터치펜 및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단부가 도전성의 연성 셀로 이루어지는 중공형의 펜부, 일단에 펜부가 안착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 정전식 터치펜과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와, 다단으로 접철 및 신장되는 다수의 안테나가 내부에 수용된 안테나부와, 일단이 플러그에 결합되고 타단이 안테나부에 연결되어 안테나부를 회동하되 외주가 탄성 돌기로 이루어진 힌지모듈과, 일단에 탄성돌기를 내삽하는 홈부를 포함하여 플러그 및 힌지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타단에 고정되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단부가 도전성의 연성 셀로 이루어진 중공형의 펜부를 포함하는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연성 셀을 포함하는 펜부가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시 작은 힘만으로도 충분한 유효접촉면적을 확보 가능하므로 클릭 성공률이 향상되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안테나, 연성 셀, 유효접촉면적, 터치스크린, 터치펜, 펜부

Description

정전식 터치펜 및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CAPACITIVE TOUCH PEN AND CAPACITIVE PEN COMBINED WITH REMOVABLE ANTENNA}
본 발명은 정전식 터치펜 및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부가 연성 셀로 이루어진 중공형의 펜부를 포함하여 터치스크린과의 접촉 성능이 향상되며 펜부에 보강재가 충진됨으로써 내구성과 필기감이 향상된 정전식 터치펜 및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기기에 터치스크린이 적용되면서 압력식 터치펜에 비하여 비교적 민감하고 오작동이 적은 정전식 터치펜의 개발과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통상적인 정전식 터치펜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자기기는 터치스크린과 접촉시 변화되는 정전용량의 감지를 통해 정전식 터치펜의 클릭을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정전식 터치펜은 전자기기가 정전용량의 변화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도록 펜의 단부가 터치스크린에 쉽게 밀착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터치스크린 상에서 원하는 것을 정확하게 클릭하기 위하여 펜의 단부는 일반적인 펜과 같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정전식 터치펜은 펜의 단부가 속이 꽉 찬 솔리드(solid)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터치스크린과 펜부 사이에 정전용량을 변화시키기 위한 유효 접촉 면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솔리드로 이루어진 펜의 단부가 터치스크린 상에서 눌려 퍼지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 정전식 터치펜은 클릭 성공을 위해 계속적으로 힘을 가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며, 펜의 단부가 터치스크린에 적절히 접촉되도록 눌려 퍼진 상태가 되어야 전자기기가 클릭을 인식하므로 클릭 성공률 및 클릭 감지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개발되고 있는 정전식 터치펜은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펜부의 두께가 대략 5mm로 형성된다. 펜 단부가 경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직경이 작아지면 터치스크린과의 사이에서 유효 접촉 면적을 제공하기 위해 더 큰 압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터치스크린이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펜 단부가 연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 이상의 직경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필기감이 떨어지고 손가락에 비하여 오히려 클릭 성공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단부가 연성 셀로 이루어진 중공형의 펜부를 포함하여 터치스크린과의 접촉 성능이 향상된 정전식 터치펜 및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펜부 내부에 보강재가 충진됨으로써 내구성과 필기감이 향상된 정전식 터치펜 및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식 터치펜은 터치스크린(4)에 접촉되는 단부(111a, 211a, 311a)가 도전성의 연성 셀(112, 212, 312)로 이루어지는 중공형의 펜부(111, 211, 311), 일단(113a)에 상기 펜부(111)가 안착되는 연결부(113) 및 상기 연결부(113)의 타단(113a)에 결합되는 손잡이부(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성 셀(212)은 도전셀(212b)과, 상기 도전셀(212b)의 외주를 감싸는 외부셀(212a)과, 상기 도전셀(212b)의 내주를 감싸는 내주셀(212c)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는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1310)와, 다단으로 접철 및 신장되는 다수의 안테나가 내부에 수용된 안테나부(1320)와, 일단이 상기 플러그(13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안테나부(1320)에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부(1320)를 회동하되 외주가 탄성 돌기(1330c)로 이루어진 힌지모듈(1330)과, 일단(1213a)에 상기 탄성돌기(1330c)를 내삽하는 홈 부(1213c)를 포함하여 상기 플러그(1310) 및 상기 힌지모듈(1330)을 내부에 수용하는 연결부(1213)와, 상기 연결부(1213)의 타단(1213b)에 고정되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단부(1211a)가 도전성의 연성 셀(1212)로 이루어진 중공형의 펜부(12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식 터치펜 및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는 펜부의 단부에 형성된 연성 셀과 중공형의 내부를 갖는 펜부로 인하여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시 작은 힘만으로도 충분한 유효접촉면적을 확보 가능하므로 클릭 성공률이 향상되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셀, 도전셀 및 내부셀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셀 구조로 연성 셀을 설계할 수 있으므로, 펜부의 도전성을 위해 별도의 도전재를 코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조가 간편하고 펜부의 내부가 중공형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필기감 및 내구성의 선택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연성 셀을 제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펜부의 내부에 보강재를 충진함으로써 연성 셀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보강재가 연성 셀에 비하여 소프트한 느낌으로 이루어져 필기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를 통해 펜 몸체와 안테나 몸체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안테나 몸체가 필요에 따라 펜 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므로 터치펜 기능과 안테나 기능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 및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을 타나낸 분리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1)은 펜 몸체(110)와 펜 몸체(11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캡 하우징(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펜 몸체(110)는 터치스크린(미도시)에 면 접촉되어 터치스크린의 전극(미도시)과의 사이에서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터치스크린 화면을 클릭하는 펜부(111)와, 일단(113a)에 펜부(111)가 안착되는 연결부(113)와, 연결부(113)의 타단(113b)에 고정되는 손잡이부(115)와, 펜부(111)와 연통하도록 연결부(113)에 설치되는 탄성부(117)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캡 하우징(120)은 정전식 터치펜(1)의 휴대와 펜부(111)의 보호를 위해 펜 몸체(11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중공형의 하우징(121) 및 하우징(121)의 단부(121a)에 매듭 등으로 고정되 는 줄부(122)를 포함한다. 캡(120)은 연결부(113) 또는 손잡이부(115)의 외주와 끼움 결합, 나사 결합 또는 통상적인 착탈식 결합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펜부(111)는 터치스크린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연결부(113)의 일단(113a)에 고정되도록 조립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펜부(111)는 내부(111b)가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단부(111a)가 도전성을 띤 연성 셀(1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성 셀(112)의 단부(112a)는 펜부(111)의 내부가 하술할 탄성부(117)와 연통하도록 연결부(113)에 안착 고정된다. 펜부(111)의 내부(111b)에는 일정량의 공기가 충진되어 탄성스크린과의 접촉 이후 연성 셀(112)이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연성 셀(112)은 비교적 연성이 우수한 탄성 재질(러버 등)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클릭 감지를 위해 도전성을 띠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펜부(111)는 연성 셀(112)로 인하여 중공형의 내부(111b)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터치스크린과의 유효접촉면적(Foot print area)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성 셀(112)은 종래의 정전식 터치펜의 펜부에 비해 얇은 0.2mm 내지 1.2mm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연성 셀(112)의 두께가 0.2mm보다 작은 경우 구조적으로 제조가 어렵고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반대로 연성 셀(112)의 두께가 1.2mm보다 큰 경우 작은 힘으로는 유효접촉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상기 연결부(113)는 펜부(111)와 하술할 손잡이부(115) 사이에 연결되어 펜 몸체(110)를 일체로 연결시킨다. 연결부(113)는 일단(113)에 펜부(111)의 연성 셀(112)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113c)를 포함하며, 타단(113)은 손잡이부(115)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다. 또한, 연결부(113)는 캡 하우징(110)과의 결합을 위해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 등으로 이루어진 체결부(113d)를 더 포함한다. 이때, 체결부(113d)는 탄성 돌기 또는 홈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연결부(113)는 하술할 탄성부(117)와의 결합을 위해 중공형의 연결부(113) 내부에 돌출 형성된 고정 브라켓(113e)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15)는 정전식 터치펜(1)이 터치스크린과의 접촉할 때 사용자의 손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연결부(113)의 타단(113b)을 내부에 고정시킨다. 손잡이부(115)는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설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탄성부(117)는 펜부(111)의 내부(111b)와 연통하도록 연결부(113)에 설치되어 펜부(111)와 탄성스크린과의 접촉 이후에 연성 셀(112)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돕는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탄성부(117)는 펜부(111)의 내부(111a)와 연통하는 지지볼(117a)과 일단에는 지지볼(117a)이 결합되고 타단은 연결부(113)의 고정 브라켓(113e)에 안착 고정되는 탄성스프링(117b)을 포함한다. 지지볼(117a)은 연성 셀(112)이 압력을 받을 경우 펜부(111)의 내부(11b)에 충진된 공기로 인해 탄성스프링(117b)에 탄성력을 저장하며, 탄성스프링(117b)은 연성 셀(112)로부터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저장된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볼(117a)을 원 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펜부(111)는 일정 압력으로 인해 연성 셀(112)이 눌려 변형되더라도 바로 원래의 상태로 복원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1)과 터치스크린과의 접촉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1)은 펜부(111)의 연성 셀(112)과 중공형의 내부(111b)로 인하여 터치스크린(4)에 접촉시 작은 힘(P)만으로도 충분한 유효접촉면적(FPA)을 확보하게 된다. 즉, 펜부(111)의 단부(111a)가 터치스크린(4)에 접촉됨과 동시에 연성 셀(112)이 중공형의 내부(111b)로 탄력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경질의 펜부에 비해 터치스크린(4)과의 사이에서 같은 힘(P)이 제공되는 경우 보다 넓은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으로써 도 2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2)은 펜부(211), 연결부(213), 손잡이부(215) 및 탄성부(2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펜부(211)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도 1 내지 도 3의 정전식 터치펜(1)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의 정전식 터치펜(1)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펜부(211)는 터치스크린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연결부(213)에 고정되도록 조립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펜부(211)는 내부(211b)가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단부(211a)가 도전성을 띤 연성 셀(112)로 이루어진다. 연성 셀(212)은 외부셀(212a), 도전셀(212b) 및 내부셀(21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셀(212a)은 도전셀(212b)의 외주에 밀착 형성되며, 내부셀(212c)은 도전셀(212c)의 내주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성 셀(212)은 도1 내지 도 3의 연성 셀(112)과 마찬가지로 연성이 우수한 러버(Rubber)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성 셀(212)은 도 1 내지 도 3의 연성 셀(112)과 동일한 두께 범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식 터치펜(2)은 도전셀(212b)을 포함하므로 연성 셀(212)의 도전성을 위해 별도의 도전재를 코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조가 간편한 이점이 있으며, 펜부(211)의 내부(211b)가 중공형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필기감 및 내구성의 선택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연성 셀(212)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의 기본적인 작용은 도 1 내지 도 3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의 정전식 터치펜(1)을 참조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으로써 도 2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3)은 펜부(311), 연결부(313), 손잡이부(315) 및 탄성부(3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펜부(311)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도 1 내지 도 3의 정전식 터치펜(1)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의 정전식 터치펜(1)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펜부(311)는 연결부(313)에 고정되며,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단부(311a)가 도전성을 띤 연성 셀(312)로 이루어진다. 연성 셀(312)은 도 1 내지 도 3의 연성 셀(112)과 같이 하나의 도전성 셀로 이루어지거나 도 4와 같이 외부셀, 도전셀, 내부셀을 포함하는 다수의 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식 터치펜(3)은 중공형의 펜부(311) 내부(311b)에 충진되는 보강재(314)를 더 포함한다. 보강재(314)는 흑연분말, 우레탄 겔(gel) 및 스폰지 또는 이에 등가하는 부드러운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3)은 펜부(311)의 내부(311b)에 보강재(314)를 충진함으로써 연성 셀(312)의 강도를 보완할 수 있고, 연성 셀(112)에 비하여 소프트한 느낌의 보강재(314)로 인하여 필기감을 향상시킬 수 있 게 된다. 그밖의 기본적인 작용은 도 1 내지 도 3의 일 실시예 또는 도 4의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다른 실시예들을 참조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를 나타낸 분리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를 나타낸 부분 조립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10)는 캡 하우징(1100), 펜 몸체(1200) 및 안테나 몸체(1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캡 하우징(1100)은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10)의 휴대 및 펜 몸체(1200)의 보호를 위한 것으로 하우징(1110)과 이에 매듭 등으로 연결된 줄부(1120)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펜 몸체(1200)는 터치스크린과 접촉하는 펜부(1211)와, 펜부(1211)가 내부에 안착되는 연결부(1230)와, 펜부(1211)의 내부(1210b)와 연통하도록 연결부(1230)에 고정 설치되는 탄성부(1250)를 포함한다. 안테나 몸체(1300)는 펜 몸체(1200)에 착탈식으로 조립되어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10)가 터치펜의 기능을 하는 경우 손잡이 역할을 하고 외부의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로 사용될 경우 펜 몸체(1200)로부터 분리되어 사용된다. 즉, 안테나 몸 체(1300)는 외부의 전파를 필요로 하는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1310)와, 길게 신장되거나 접철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수신된 전파를 플러그(1310)에 전달하는 안테나부(1320) 및 플러그(1310)와 안테나부(1320) 사이에 연결되어 안테나부(1320)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모듈(1330)을 포함한다. 안테나 몸체(1300)는 통상적인 착탈식 안테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펜부(1211)는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단부(1211a)가 도전성의 연성 셀(1212)로 이루어지며, 내부(1211b)는 속이 빈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연성 셀(1212)은 러버(Rubber)와 같은 연성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주에는 도전체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연성 셀(212)와 같이 외부셀, 도전셀 및 내부셀로 이루어지는 다층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중공형의 내부(1211b)에는 필기감과 탄성 부가를 위한 공기가 충진될 수도 있으며, 도 5의 연성 셀(312)와 같이 별도의 보강재가 충진되어 내구성이 보완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연결부(1213)는 일단(1213a)이 안테나 몸체(1300)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타단(1213b)에는 펜부(1211)가 고정 설치된다. 연결부(1213)의 일단(1213a)에는 하술할 안테나 몸체(1300)의 탄성돌기(1330c)를 내삽하는 홈부(1213c)가 형성된다. 연결부(1213)의 일단(1213a)은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안테나 몸체(1300)와의 결합 시 플러그(1310) 및 힌지모듈(1320)이 수용될 수 있다. 연결부(1213)의 타단(1213b)에는 탄성부(1215)를 안착시키는 고정 브라켓(1213d)이 내부로 돌출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215)는 지지볼(1215a)과 탄성스프링(1215b)로 이루어져 탄성스크린과의 접촉시 눌려 퍼진 펜부(1211)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펜부(1211)의 단부(1211a)가 원상 복귀도록 돕는다.
상기 안테나 몸체(1300)의 플러그(1310)는 단말기(미도시)와의 전기 접촉을 위한 도전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안테나부(1320)를 통해 제공되는 외부의 전파를 단말기(미도시)로 전달한다. 또한, 안테나부(132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부 하우징(미도시)과 하우징 내부에 보관되어 필요시 길게 신장되는 다단의 안테나(미도시)를 포함한다. 한편, 힌지모듈(1330)은 안테나부(1320)를 회동시켜 사용자가 안테나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힌지모듈(1330)의 외주에는 탄성돌기(1330c)가 형성되며,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10)를 펜으로 사용시 탄성돌기(1330)가 연결부(1213)의 홈부(1213c)에 삽설되어 펜 몸체(1200)와 안테나 몸체(1300)가 일체형으로 조립된다. 여기서, 펜 몸체(1200)와 안테나 몸체(1300)는 나사 등의 방식으로 체결 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10)는 펜부(1211)의 연성 셀(1212)과 중공형의 내부(1211b)로 인하여 터치스크린에 접촉시 작은 힘만으로도 충분한 유효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높은 클릭 성공률을 제공할 수 있다. 펜부(1211)는 탄성부(1215) 또는 별도의 보강재를 내부에 충진함으로써 필기감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종래 경질의 펜부에 비하여 비교적 강도가 낮은 펜부(1211) 내 구성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결부(1213)를 통해 펜 몸체(1200)와 안테나 몸체(1300)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안테나 몸체(1300)가 필요에 따라 펜 몸체(1200)로부터 착탈 가능하므로 터치펜 기능과 안테나 기능을 모두 만족하는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1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의 분리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과 터치스크린과의 접촉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으로써 도 2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터치펜으로써 도 2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의 분리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를 나타낸 부분 조립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3 : 정전식 터치펜 10 :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
111, 211, 311, 1211 : 펜부 112, 212, 312, 1212 : 연성 셀
113, 213, 313, 1213 : 연결부 115, 215, 315 : 손잡이부
117, 217, 317, 1215 : 탄성부 120, 1100 : 캡 하우징
1200 : 펜 몸체 1300 : 안테나 몸체

Claims (8)

  1. 터치스크린(4)에 접촉되는 단부(111a, 211a, 311a)가 도전성의 연성 셀(112, 212, 312)로 이루어지는 내부가 빈 중공형의 펜부(111, 211, 311),
    일단에 상기 펜부(111)가 안착되는 연결부(113) 및 상기 연결부(113)의 타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터치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셀(212)은,
    도전셀(212b)과, 상기 도전셀(212b)의 외주를 감싸는 외부셀(212a)과, 상기 도전셀(212b)의 내주를 감싸는 내주셀(212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터치펜.
  3. 삭제
  4. 삭제
  5.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1310)와, 다단으로 접철 및 신장되는 다수의 안테나가 내부에 수용된 안테나부(1320)와, 일단이 상기 플러그(13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안테나부(1320)에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부(1320)를 회동하되 외주가 탄성 돌기(1330c)로 이루어진 힌지모듈(1330)과, 일단(1213a)에 상기 탄성돌기(1330c)를 내삽하는 홈부(1213c)를 포함하여 상기 플러그(1310) 및 상기 힌지모듈(1330)을 내부에 수용하는 연결부(1213)와, 상기 연결부(1213)의 타단(1213b)에 고정되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단부(1211a)가 도전성의 연성 셀(1212)로 이루어진 중공형의 펜부(12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셀(1212)은,
    도전셀과, 상기 도전셀의 외주를 감싸는 외부셀과, 상기 도전셀의 내주를 감싸는 내주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펜부(1211)의 내부에 충진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재는 흑연분말, 우레탄 겔(gel) 및 스폰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13)에 설치되는 탄성부(1215)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1215)는 상기 펜부(1211)의 내부로 연통하는 지지볼 및 일단에는 상기 지지볼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부(1213)에 안착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
KR1020090044436A 2009-05-21 2009-05-21 정전식 터치펜 및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 KR101080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436A KR101080389B1 (ko) 2009-05-21 2009-05-21 정전식 터치펜 및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436A KR101080389B1 (ko) 2009-05-21 2009-05-21 정전식 터치펜 및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631A KR20100125631A (ko) 2010-12-01
KR101080389B1 true KR101080389B1 (ko) 2011-11-07

Family

ID=4350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436A KR101080389B1 (ko) 2009-05-21 2009-05-21 정전식 터치펜 및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732B1 (ko) 2012-12-07 2014-01-15 김상욱 터치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550Y1 (ko) * 2010-12-10 2011-09-15 남건용 안테나 내장형 터치펜
KR101665730B1 (ko) * 2011-01-17 2016-10-12 주식회사 에스앤케이테크놀로지 터치펜 기능을 갖는 다용도 필기구
KR101281930B1 (ko) * 2011-09-02 2013-07-03 정성욱 정전식 터치기구
KR101347743B1 (ko) * 2011-12-05 2014-01-03 주식회사 다스텍 터치스크린용 스타일러스 펜
FR3006461B1 (fr) 2013-05-29 2015-06-05 Bic Soc Dispositif manuel comprenant un embout inversable pour ecran capacitif
KR200476666Y1 (ko) * 2013-12-26 2015-03-18 윤창식 터치팁을 구비한 필기구
FR3028629B1 (fr) 2014-11-19 2017-01-27 SOCIéTé BIC Dispositif manuel comprenant un embout inversable pour ecran capacitif
CN105700714B (zh) * 2014-11-28 2019-01-11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触控笔
FR3042887B1 (fr) 2015-10-27 2017-11-17 SOCIéTé BIC Instrument d'ecriture a pointe retractable comprenant un coussinet pour ecran capaciti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2799A (ja) 1998-10-15 2000-04-28 Pilot Precision Co Ltd 入力ペン
JP2000172425A (ja) 1998-12-09 2000-06-2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静電結合式タブレット入力ペ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2799A (ja) 1998-10-15 2000-04-28 Pilot Precision Co Ltd 入力ペン
JP2000172425A (ja) 1998-12-09 2000-06-2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静電結合式タブレット入力ペ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732B1 (ko) 2012-12-07 2014-01-15 김상욱 터치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631A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389B1 (ko) 정전식 터치펜 및 정전식 펜 겸용 안테나
JP4142776B2 (ja) 入力ペン
US20110261026A1 (en) Stylus for cellular phone
US20120268428A1 (en) Cordless type position pointer
KR101040035B1 (ko)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위한 소프트 터치펜
US20090160820A1 (en) Touch panel with function of preventing fault detection
US10429953B2 (en) Manual device comprising reversible tip for a capacitive screen
JP5890694B2 (ja) 情報入力用ペン
US10372240B2 (en) Manual device comprising a reversible tip for a capacitive screen
KR20110110686A (ko) 정전식 터치펜 구조
US9146649B1 (en) Passive touch pen
JP6107448B2 (ja) スタイラスペンおよびダンパースプリング
WO2016006281A1 (ja) 位置指示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16728A (ja) 入力ペン
WO2013031034A1 (ja) 入力デバイス及びそれを用いた入力ペン
KR101200971B1 (ko) 터치스크린용 터치부재
KR102054960B1 (ko) 스타일러스 펜 및 그 제조 방법
JP2013222375A (ja) 情報入力用ペン
CN113176832A (zh) 主动式触控笔、触控系统及交互方法
KR102161248B1 (ko) 스타일러스 펜
CN216623201U (zh) 笔尖防水结构及触控笔
KR101347743B1 (ko) 터치스크린용 스타일러스 펜
US20230077162A1 (en) Electronic pen
KR102386276B1 (ko) 세필용 터치펜의 펜촉
CN218938912U (zh) 笔尖防水结构及触控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