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152B1 -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152B1
KR101080152B1 KR1020090090245A KR20090090245A KR101080152B1 KR 101080152 B1 KR101080152 B1 KR 101080152B1 KR 1020090090245 A KR1020090090245 A KR 1020090090245A KR 20090090245 A KR20090090245 A KR 20090090245A KR 101080152 B1 KR101080152 B1 KR 101080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frame
interface module
main board
user interfa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649A (ko
Inventor
안건준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09009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1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되며, 탄력적인 승강운동이 가능한 리드 프레임; 그리고 상기 리드 프레임에 실장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탑재되는 인터페이스 모듈; 그리고 상기 메인보드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개시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메인보드의 상측에 탑재되어 상기 리드 프레임에 의해 상방으로 탄력 지지되며;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의 탄력적 승강을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탄성력을 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칭을 위한 클릭동작의 구현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포인터나 아이콘을 위치시키고 이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 지문인식 모듈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장착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및 커넥터를 삭제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품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전자기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메인보드, 인터페이스 모듈, 리드 프레임, 리드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User Interface Unit}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리드 프레임을 적용하여 스위칭을 위한 클릭동작의 구현이 가능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품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Mobile Terminal)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전자기기는 키패드(Key pad)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용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반적인 휴대 전자기기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의 입력을 위한 복수개의 버튼들이 형성된 키패드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의 버튼을 눌러 숫자나 단어 등과 같은 원하는 데이터를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입력하거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휴대 전자기기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한 데이터 및/또는 그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근래에는 전자기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나 인터넷 서비스의 지원을 위하 여,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및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가 상용화 되었으며,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휴대 전자기기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지원을 위하여 윈도우즈 CE 등과 같은 윈도우즈 운영체제가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상기 휴대 전자기기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상기 GUI 기반의 윈도우 운영체제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의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을 편리하게 한다.
일반적인 전자기기의 보다 편리한 사용을 위하여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는 마우스나 터치패드나 조이스틱 등과 같은 포인팅 장치가 있으며, 근래에는 피사체인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광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커서(cursor)와 같은 포인터를 움직이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및/또는 명령을 입력받는 광 조이스틱이 개발되어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지문인식 모듈을 구비하여 모바일 뱅킹 및 개인정보 보안 강화를 구현한다.
상기와 같은 지문인식 모듈은 지문인식 기능 이외에 상기 마우스와 동일하게 사용 가능한 포인터의 자유이동(freemoving) 기능과 4-way, 네비게이션(Navigation), 스크롤(scroll)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지문인식 모듈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지문인식 모듈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 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실장되는데, 이 때 종래 지문인식 모듈은 별도의 인쇄회로기판(PCB)과 커넥터(connector)를 통해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품 생산성이 떨어졌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커넥터의 자체 불량률 뿐만 아니라 전기적인 접속 불량률때문에 제품 신뢰성이 떨어졌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 지문인식 모듈은 별도의 리드 프레임에 실장된 후 상기 리드 프레임을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하여 상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리드 프레임을 통해 상기 지문인식 모듈을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할 수 있지만, 기존 리드 프레임은 상기 메인보드에 실장시 고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문인식 모듈 역시 상기 리드 프레임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지문인식 모듈의 마우스 기능을 보다 원활히 사용하기 위해 스위칭을 위한 클릭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즉, 상기 지문인식 모듈은 상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인 연결시 고정되기 때문에 스위칭을 위한 클릭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지문인식 모듈의 마우스 기능을 원활히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포인터나 아이콘을 위치시키고 이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기능을 구현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지문인식 모듈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기에 탑재시 스위칭을 위한 클릭동작의 구현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포인터나 아이콘을 위치시키고 이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지문인식 모듈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장착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및 커넥터를 삭제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품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드 프레임을 통해 지문인식 모듈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표면실장기술(SMT)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착하여 제조공정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되며, 탄력적인 승강운동이 가능한 리드 프레임; 그리고 상기 리드 프레임에 실장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탑재되는 인터페이스 모듈; 그리고 상기 메인보드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메인보드의 상측에 탑재되어 상기 리드 프레임에 의해 상방으로 탄력 지지되며;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의 탄력적 승강을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탄성력을 가한다.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의 탄력적 승강을 지지하는 복수의 리드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리드들을 연결하는 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리드는: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되는 보드실장부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실장되는 모듈실장부, 및 상기 보드실장부와 모듈실장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리드 프레임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강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 또는 상기 메인보드에 구비되는 누름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와 상기 메인보드 중 상기 누름스위치와 반대되는 쪽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의 클릭시 상기 누름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누름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리드에 구비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복수의 리드의 배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보강부는 절연재질의 몰딩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리드 프레임과 이중사출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리드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개선된 구조의 리드 프레임을 적용하여 지문인식 모듈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스위칭을 위한 클릭동작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포인터나 아이콘을 위치시키고 이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지문인식 모듈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장착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및 커넥터를 삭제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품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리드 프레임을 통해 지문인식 모듈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표면실장기술(SMT)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탑재하여 제조공정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불량률이 높은 인쇄회로기판(PCB) 및 커넷터를 삭제하여 제품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구성하는 핵심부품들의 구조를 단일화하여 제품 표준화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표준화된 제품을 제조하여 제품 신뢰성을 높임과 아울러 제품 양산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리드 프레임에 보강부를 구비하여 리드간의 결속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리드 프레임의 탄력 승강 시 각 리드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제품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들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이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리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클릭시 누름스위치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리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리드 프레임의 테두리부가 절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리드 프레임이 어레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 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1실시예는, 크게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의 편리한 기능 구현을 위해 탑재되는 인터페이스 모듈(200)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과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실장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을 상기 메인보드(400)에 전기회로적으로 연결시키는 리드 프레임(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상기 리드 프레임(100)에 전기적으로 결합 즉,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 프레임(100)을 상기 메인보드(400)에 실장함으로써 리드 프레임(100)을 매개로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전기회로적으로 탑재되는 것을 개시하였으나, 이외에 상기 메인보드(400)에 상기 리드 프레임(100)을 실장한 다음 상기 리드 프레임(100)에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을 실장함으로써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인터페이스 모듈(200)을 전기회로적으로 탑재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리드 프레임(100)에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을 실장하는 방식과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상기 리드 프레임(100)을 실장하는 방식은 표면실장기술(SMT)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품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일반적인 전자기기의 보다 편리한 사 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광조이스틱과 같은 광포인팅 유닛과 이외에 상기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전자기기의 조작을 위한 다양한 입력유닛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로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구비되어 모바일 뱅킹 및 개인정보 보안 강화를 구현하기 위한 지문인식 기능 및 마우스와 같은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지문인식 모듈이 적용된 것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크게 지문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모듈본체(220)와, 상기 모듈본체(220)가 실장되는 기판(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 즉, 모듈본체(220)의 상면은 조작면으로써 피사체인 손가락을 접촉시키면 상기 피사체의 손가락에 형성된 지문을 인식하거나 접촉된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센서와 같은 광 센서에 입력되는 광 신호가 변화되어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 신호의 검출 및 이미지의 제어방식은 컴퓨터의 광 마우스에서와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상기 리드 프레임(100)을 매개로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전기회로적으로 탑재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에 지문인식 기능 이외에 컴퓨터의 마우스와 동일하게 사용 가능한 포인터의 자유이동 기능과, 4-way, 네비게이션, 스크롤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드 프레임(100)은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실장시 탄력적인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의 마우스 기능을 원활히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포인터나 아이콘을 위치시키고 이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리드 프레임(100)이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실장시 탄력적인 승강운동이 가능하여 전자기기에 탑재시 후술하는 누름스위치(300)의 스위칭을 위한 클릭동작의 구현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전술한 포인터나 아이콘을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상기 메인보드(400)에 상기 리드 프레임(100)을 매개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탑재된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상기 메인보드(400)의 상측에 탑재되어 상기 리드 프레임(100)에 의해 상방으로 탄력 지지되며, 상기 리드 프레임(100)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의 탄력적 승강을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에 탄성력을 가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리드 프레임(100)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과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탄력적으로 승강되는 복수의 리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리드(120)는 벤딩된 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을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의 클릭시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 상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이 탄력적으로 승강하면서 클릭을 위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각 리드(120)는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실장되는 보드실장부(121)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이 실장되는 모듈실장부(123), 및 상기 보스실장부(121)와 상기 모듈실장부(12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리드 프레임(100) 즉, 리드(12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강되는 탄성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드실장부(121)는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형성된 접 속패드(411)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모듈실장부(123)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 즉, 기판(210)에 형성된 접속패드(211)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122)는 상기 벤딩된 핀 형태의 리드(120)의 벤딩된 부위를 칭하는 것으로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구부러지고 펴지는 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의 클릭시 클릭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강하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탄력적으로 승강시킨다.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탄성부는 벤딩된 형태 이외에 지그재그 형태 등 탄력적으로 승강될 수 있는 형태면 어떤 형태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의 클릭시 기능 선택 등의 기능을 위한 스위칭 동작을 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에 구비되는 누름스위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누름스위치(300)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 중 최하부에 위치하는 기판(21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스위치(300)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에 구비되는 대신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에 누름스위치(300)가 구비된 형태를 개시한다.
상기 누름스위치(300)는 다양한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한 형태로 돔스위치를 개시한다. 상기 돔스위치는 각종 통신기기 및 전자기기의 키패드에 사용되는 반구 형상의 스위치로서, 반구 형상의 돔 스위치 몸체 를 가압하여 복수의 접점부를 접점시킴으로써 스위칭된다. 상기 복수의 접점부는 상기 기판(210)과 리드 프레임(100)을 통해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누름스위치(300)와 반대되는 쪽 즉,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는 인터페이스 모듈(200)의 클릭시 상기 누름스위치(300)의 누름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누름돌기(40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피사체인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의 조작면을 눌러 가압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상기 리드 프레임(100)의 탄력성 즉, 상기 탄성부(122)의 탄력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이 하강하면서 상기 누름돌기(403)에 의해 상기 누름스위치(300)는 가압되어 접점되고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스위칭에 의한 기능 선택 등 다양한 클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클릭 후 피사체인 손가락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리드 프레임(100) 즉, 상기 탄성부(1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탑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 중 기판(210)에 상기 모 듈본체(220)를 실장한다. 이 때, 상기 모듈본체(220)는 상기 기판(210)에 표면실장기술(SMT)을 통해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210)과 모듈본체(220)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모듈(200)에는 누름스위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스위치(300)는 상기 기판(210)의 하면에 표면실장기술을 통해 실장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의 클릭시 스위칭되어 전술한 포인터나 아이콘을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누름스위치(300)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에 구비되는 것을 개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누름스위치(300)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에 구비되는 대신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제조시 하나의 어레이(array) 기판에 복수개의 모듈본체를 표면실장기술로 실장한 후 상기 어레이 기판을 단일 모듈 형태의 인터페이스 모듈로 커팅하여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어레이 기판에 복수개의 모듈본체를 실장함과 아울러 모듈본체와 대응되는 복수의 누름스위치를 실장한 후 단일 모듈 형태의 인터페이스 모듈로 커팅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누름스위치(300)의 스위칭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탄력적으로 승강운동이 가능한 리드 프레임(100)에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을 실장한다. 이 때,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상기 리드 프레임(100)에 표면실장기술로 실장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상기 리드 프레임(100)의 복수의 리드(120) 중 각 모듈실장부(123)에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의 기 판(210)에 형성된 복수의 접속패드(211)를 표면실장기술을 이용하여 실장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 프레임(100)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이 실장되기 전에 상기 복수의 리드(120)가 연결된 리드지지부(12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드 프레임(100)이 리드지지부(120a)를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리드 프레임(100)에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이 실장 즉, 상기 복수의 리드(120)에 상기 기판(210)의 복수의 접속패드(211)가 실장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복수의 리드(120)와 상기 기판(210)의 복수의 접속패드(21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 프레임(100)을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면 상기 리드지지부(120a)는 제거되며, 이에 따라 상기 기판(210)의 복수의 접속패드(211)에는 각각 독립된 리드(12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을 하나의 어레이(array) 리드 프레임에 복수개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표면실장기술로 실장한 후 상기 어레이 리드 프레임을 커팅하여 단일 유닛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양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이 실장된 리드프레임(100)을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실장한다. 즉,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형성된 복수의 접속패드(411)에 상기 복수의 리드(120)의 보드실장부(121)를 실장한다. 이 때,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상기 리드프레임(100)을 실장하는 방식은 표면실장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품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자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상기 리드 프레임(100)에 전기적으로 결합 즉,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 프레임(100)을 상기 메인보드(400)에 실장함으로써 리드 프레임(100)을 매개로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전기회로적으로 탑재되는 것을 개시하였으나, 이외에 상기 메인보드(400)에 상기 리드 프레임(100)을 실장한 다음 상기 리드 프레임(100)에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을 실장함으로써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 인터페이스 모듈(200)을 전기회로적으로 탑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스위치(300)의 누름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누름스위치(300)와 반대되는 쪽 즉,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400)에는 누름돌기(403)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의 리드 프레임(100)의 구조를 변경하여 적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리드 프레임(100)은 복수의 리드(120)에 구비되는 보강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보강부(140)를 통해 상기 복수의 리드(120) 간의 결속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리드 프레임(100)의 탄력 승강시 상기 각 리드(120)의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제품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 프레임(100)은 인터페이스 모듈(200)이 실장되기 전에 상기 복수의 리드(120)가 연결된 리드지지부(12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리드(120)에는 상기 보강부(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140)는 상기 복수의 리드(120)의 배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리드(120) 중 탄성부(122)의 탄력적인 승강구조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모듈실장부(123)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보강부(140)는 절연재질의 몰딩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리드 프레임(100)에 이중사출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상기 리드 프레임(100)에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이 실장 즉, 상기 복수의 리드(120)에 기판(210)의 복수의 접속패드(211)가 실장된 후, 상기 복수의 리드(120)와 상기 기판(210)의 복수의 접속패드(21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 프레임(100)을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상기 리드지지부(120a)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기판(210)의 복수의 접속패드(211)에는 도 9에서와 같이 각각 독립된 리드(1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독립된 리드(120)는 상기 절연재질의 보강부(140)에 의해 연결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리드(120)간의 결속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리드 프레임(100)의 탄력 승강시 상기 각 리드(120)의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제품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역시 하나의 어레이(array) 리드 프레임에 복수개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표면실장기술로 실장한 후 상기 어레이 리드 프레임을 절단선을 따라 커팅하여 단일 유닛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양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이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리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클릭시 누름스위치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리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리드 프레임의 테두리부가 절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리드 프레임이 어레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리드 프레임 110: 몸체
120: 리드 140: 보강부
200: 인터페이스 모듈 210: 기판
220: 모듈본체 300: 누름스위치
400: 메인보드 403: 누름돌기

Claims (5)

  1.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탑재되는 인터페이스 모듈; 그리고
    상기 메인보드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으로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메인보드의 상측에 탑재되어 상기 리드 프레임에 의해 상방으로 탄력 지지되며;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의 탄력적 승강을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탄성력을 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의 탄력적 승강을 지지하는 복수의 리드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리드들을 연결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리드는: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되는 보드실장부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실장되는 모듈실장부, 및 상기 보드실장부와 모듈실장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리드 프레임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강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 또는 상기 메인보드에 구비되는 누름스위치를 포함하 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5. 제1항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
KR1020090090245A 2009-09-23 2009-09-23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KR101080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245A KR101080152B1 (ko) 2009-09-23 2009-09-23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245A KR101080152B1 (ko) 2009-09-23 2009-09-23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649A KR20110032649A (ko) 2011-03-30
KR101080152B1 true KR101080152B1 (ko) 2011-11-07

Family

ID=4393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245A KR101080152B1 (ko) 2009-09-23 2009-09-23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1708B2 (en) 2013-12-18 2018-03-2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including touch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9238B2 (en) 2016-05-01 2019-05-14 Innopresso,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KR20170124068A (ko) 2016-05-01 2017-11-09 (주)이노프레소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CN109375783B (zh) 2016-06-23 2022-03-11 株式会社音乐派索 具有多功能人机接口的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097Y1 (ko) 2003-07-31 2003-10-11 주식회사티케이이 휴대폰의 키패드 스위치용 택트스위치
KR200417046Y1 (ko) 2006-03-07 2006-05-23 김주은 전화버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097Y1 (ko) 2003-07-31 2003-10-11 주식회사티케이이 휴대폰의 키패드 스위치용 택트스위치
KR200417046Y1 (ko) 2006-03-07 2006-05-23 김주은 전화버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1708B2 (en) 2013-12-18 2018-03-2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including touch sensor
US10175843B2 (en) 2013-12-18 2019-01-0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including touch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649A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9767B1 (en) Input device which allows button input operation and coordinate input operation
EP1081922B1 (en) Electronic apparatus
US9443672B2 (en) Patterned conductive traces in molded elastomere substrate
US7274353B2 (en) Capacitive touchpad integrated with key and handwriting functions
JP4057253B2 (ja)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647375B1 (ko) 이동 전화 키매트 아래에 배치되는 근접감지형 터치패드시스템
US8866755B2 (en) Touch-controlled electronic apparatus and related assembly method
EP1286250A2 (en) Input apparatus for performing input operation corresponding to indication marks and coordinate input operation on the same operational plane
WO1998008241A1 (en) Touch screen
JP6676635B2 (ja) 回路基板におけるタッチ入力デバイス
KR101080152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CN107659699A (zh) 一种按键组件及具有该按键组件的智能终端
EP3195476B1 (en) Capacitive touch sensor
KR100894250B1 (ko)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
US20110193815A1 (en) Touch panel
KR10118271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KR101639979B1 (ko) 포인팅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N113534964A (zh) 键盘及其制作方法
KR20080078111A (ko) 터치 키패드 어셈블리 및 그 운용 방법
KR101621219B1 (ko) 포인팅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N114690918A (zh) 触控板单元以及具有触控板单元的电子设备
KR20110032633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JP2013058125A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20110118462A (ko) 포인팅 디바이스의 센서 패키징
CN101452361A (zh) 电子装置及其输入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