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107B1 -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 Google Patents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107B1
KR101080107B1 KR1020110037926A KR20110037926A KR101080107B1 KR 101080107 B1 KR101080107 B1 KR 101080107B1 KR 1020110037926 A KR1020110037926 A KR 1020110037926A KR 20110037926 A KR20110037926 A KR 20110037926A KR 101080107 B1 KR101080107 B1 KR 101080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erver
terminal
file
network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광식
김준엽
정병훈
김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37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107B1/ko
Priority to PCT/KR2012/002973 priority patent/WO2012144806A2/ko
Priority to JP2013544409A priority patent/JP5629022B2/ja
Priority to US13/824,795 priority patent/US942620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6Format adaptation, e.g. format conversion or compre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가 독립된 환경에서 공유스토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독립된 망간에 메일 송수신, 파일 송수신 및 클립보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은 제1망에 연결하여 상기 제1망에서 사용되는 제1단말기와 공유스토리지와 상기 제1단말기 사이에 위치하여 자료를 통제 또는 송수신하는 제1망 연계서버와 제2망에 연결하여 상기 제2망에서 사용되는 제2단말기와 상기 공유스토리지와 상기 제2단말기 사이에 위치하여 자료를 통제 또는 송수신하는 제2망 연계서버 및 하나의 저장 공간을 상기 제1망 연계서버와 상기 제2망 연계서버가 공유하는 공유스토리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독립된 망간의 자료 공유를 위하여 별도의 휴대형 저장매체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독립된 망간에 클립보드를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독립된 망간에 메일 송수신시 자동으로 메일을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보안의 위협이 없고, 독립된 망간에 파일 전송시 여러 단말기가 동시에 접속하여 전송하더라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서버에 부하가 없고, 공유스토리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System for connecting separated networks for sharing data}
본 발명은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가 독립된 환경에서 공유스토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독립된 망간에 메일 송수신, 파일 송수신 및 클립보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망은 각각 독립될 수 있으며, 독립된 망은 제1망, 제2망, 제3망 등과 같이 여러 개일 수 있다.
그런데, 제1망과 제2망이 독립된 상태에서 양 망간의 메일 송수신은 불가능하며, 제1망에서 생성된 메일의 내용과 파일은 별도의 저장 매체를 통하여 제2망으로 이동하여 업무를 하여야 한다. 특히, 제1망에서 생성된 메일의 내용이 다른 제3망과 링크가 된 경우는 제2망에서 활용 또는 열람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제2망에서 생성된 메일을 제1망에서 열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망에서 별도의 휴대형 저장매체를 통해 제1망으로 이동하여 메일을 열람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제1망에서 자료를 다운받아 제2망에서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별도의 휴대형 저장매체를 통하여 제2망으로 이동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제1망의 이미지와 텍스트는 별도의 화면 캡쳐 시스템을 사용하여 파일로 저장하고 별도의 휴대형 저장매체를 통하여 제2망으로 이동하여 활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망이 독립된 환경에서 양 망간의 자료 이동은 별도의 휴대형 저장매체를 사용하여야 하며, 저장매체의 반출입과 비인가 저장매체의 사용 통제 등 관리 절차가 수반되어야 하며, 자료의 저장 및 이동이 전적으로 사용자의 판단에 의거하여 수행되므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자료의 유출 가능성이 있다. 또한, 장기간의 저장매체의 사용으로 인한 마모, 파손 등으로 중요한 업무자료들이 손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네트워크망이 독립된 환경에서 독립된 양 망간에 화면 캡쳐, 키보드입력정보(keylogging) 등이 차단되고, 자료에 대해 양 망간에 끌어 놓기(drag & drop), 복사 후 붙여넣기(copy & paste) 등이 차단되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네트워크가 독립된 환경에서 공유스토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휴대형 저장매체의 사용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독립된 양 망간에 메일 송수신, 파일 송수신 및 클립보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은 제1망에 연결하여 상기 제1망에서 사용되는 제1단말기와 공유스토리지와 상기 제1단말기 사이에 위치하여 자료를 통제 또는 송수신하는 제1망 연계서버와 제2망에 연결하여 상기 제2망에서 사용되는 제2단말기와 상기 공유스토리지와 상기 제2단말기 사이에 위치하여 자료를 통제 또는 송수신하는 제2망 연계서버 및 하나의 저장 공간을 상기 제1망 연계서버와 상기 제2망 연계서버가 공유하는 공유스토리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유스토리지는 상기 제1망 연계서버와 상기 제2망 연계서버별 읽기 및 쓰기 권한이 다른 적어도 두 개의 볼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은 상기 제1단말기가 수신한 메일을 eml 파일(a)로 변환하여 상기 제1망 연계서버로 전송하는 제1망 메일서버 및 상기 제2단말기가 발신할 메일을 eml 파일(b)로 변환 및 저장하여 상기 제2망 연계서버로 전송하는 제2망 메일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망 메일서버는 상기 수신한 메일 중에서 기지정된 메일에 대해서만 상기 제1망 연계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eml 파일(a)을 상기 제2망 연계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2망 연계서버는 상기 eml 파일(a)을 SMTP(Simple Mail Tranfer Protocol)를 이용하여 상기 제2망 메일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망 메일서버는 상기 eml 파일(a)의 랜더링 이미지(rendering image)를 PDF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PDF 파일을 상기 eml 파일(a)에 첨부하여 상기 제1망 연계서버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망 연계서버는 상기 eml 파일(b)을 상기 제1망 연계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eml 파일(b)을 SMTP를 이용하여 상기 제1망 메일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망 메일서버는 상기 eml 파일(b)의 랜더링 이미지(rendering image)를 PDF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PDF 파일을 상기 eml 파일(b)에 첨부하여 상기 제2망 연계서버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망 연계서버는 상기 자료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승인자 DB를 참조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승인받는 승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제1단말기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형태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제1단말기의 폴더와 파일 내용이 GUI 환경으로 출력되고,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제2단말기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형태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제2단말기의 폴더와 파일 내용이 GUI 환경으로 출력되어,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1단말기간에 파일을 마우스로 드래그(drag) 또는 복사하여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망 연계서버 또는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제2단말기와 상기 제1단말기 간에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파일을 기설정된 단위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단위를 조합하여 기설정된 파일 형태로 재생성하여 상기 공유스토리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일을 재생성하는 작업을 기설정된 시간단위로 수행하고, 상기 재생성된 파일을 전송할 때에 큐(Queue)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망 연계서버와 상기 공유스토리지간 또는 상기 공유스토리지와 상기 제1망 연계서버간 자료의 송수신은 전용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망 연계서버와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공유스토리지를 이용하여 공유되는 클립보드(clipboard)를 생성 또는 관리하고, 상기 제2단말기 또는 상기 제1단말기에서 임의의 복사 단축키를 통해 상기 클립보드로 복사하면,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에서 임의의 붙여넣기 단축키를 통해 상기 클립보드로부터 붙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보드의 내용은 복사를 수행하는 쪽의 상기 공유스토리지 볼륨에만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에 의하면,
첫째, 독립된 망간의 자료 공유를 위하여 별도의 휴대형 저장매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편의성이 증대된다.
둘째, 독립된 망간의 메일 송수신시 자동으로 메일을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보안의 위협이 없다.
셋째, 독립된 망간의 파일 전송시 여러 단말기가 동시에 접속하여 전송하더라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서버에 부하가 없고, 공유스토리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넷째, 독립된 망간에 클립보드를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공유스토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전송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메일 송수신 기능이 부가된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에서 메일을 송수신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1망에서 제2망으로 자료가 전송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2망에서 제1망으로 자료가 전송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복사 단축키를 통해 클립보드를 복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붙여넣기 단축키를 통해 클립보드를 붙여넣기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가 독립된 환경에서 공유스토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독립된 망간에 메일 송수신, 파일 송수신 및 클립보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1망 및 제2망은 독립된 별도의 네트워크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한 네트워크에 한정되지 않으며 독립되어 있는 네트워크망이면 충분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은 제1망에 연결하여 상기 제1망에서 사용되는 제1단말기(100)와 공유스토리지(300)와 상기 제1단말기(100) 사이에 위치하여 자료를 통제 또는 송수신하는 제1망 연계서버(110)와 제2망에 연결하여 상기 제2망에서 사용되는 제2단말기(200)와 상기 공유스토리지(300)와 상기 제2단말기(200) 사이에 위치하여 자료를 통제 또는 송수신하는 제2망 연계서버(210) 및 하나의 저장 공간을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와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가 공유하는 공유스토리지(300)를 포함한다.
도 2는 공유스토리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전송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는 하나의 저장 공간을 다수의 서버가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며,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와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별 읽기 및 쓰기 권한이 다른 적어도 두 개의 볼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유스토리지(300)의 저장공간에 대한 읽기 및 쓰기 권한 제어로 일방향성 및 망간 독립성이 보장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 외 자료 반입시 악성코드 검사기능 및 자료 반출시 인가된 파일여부 확인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메일 송수신 기능이 부가된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은 상기 제1단말기(100)가 수신한 메일을 eml 파일(a)로 변환하여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로 전송하는 제1망 메일서버(120) 및 상기 제2단말기(200)가 발신한 메일을 eml 파일(b)로 변환 및 저장하여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로 전송하는 제2망 메일서버(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에서 메일을 송수신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를 참고하여 제2망과 제1망 간의 메일을 송수신 프로세스를 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3망에서 생성된 메일을 제1망에서 제2망으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상기 제1망 메일서버(120)가 제3망으로부터 메일을 수신하면(①), 상기 제1단말기(100)에서 미리 제2망으로 송신하도록 메일을 미리 지정하거나 선택한다(②). 그에 따라 상기 제1망 메일서버(120)는 상기 수신한 메일 중에서 기지정된 메일에 대해서만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로 전송하는데, 이때 상기 수신한 메일을 eml 파일(a)로 변환하여 전송한다(③).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는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를 이용하여 상기 eml 파일(a)을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로 전송(④)하고,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는 상기 eml 파일(a)을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여 상기 제2망 메일서버 (220)로 전송하며(⑤), 상기 전송된 메일을 제2단말기(200)로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전달(⑥)된다. 물론, 이러한 과정은 제1망으로부터 메일을 수신하여 제2망으로 전송하는 것 외에 사용자가 제1망에서 제2망으로 메일을 전송하는 것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망 메일서버(120)는 상기 eml 파일(a)의 랜더링 이미지(rendering image)를 PDF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PDF 파일을 상기 eml 파일(a) 첨부하여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eml 파일의 경우 다른 네트워크 망으로의 링크가 포함되어 있거나 이미지 파일들이 첨부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서, 망이 달라질 경우에 깨지거나 그 내용을 모두 표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eml 파일(a)의 랜더링 이미지(rendering image)를 PDF 파일로 변환하여 첨부함으로써, 깨지거나 링크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전문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랜더링(rendering)은 광원·위치·색상 등 외부의 정보를 고려하면서 사실감을 불어넣는 과정을 뜻하는 컴퓨터그래픽스 용어로, 랜더링 이미지는 랜더링 처리가 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미지 파일의 첨부만 없는 경우라면 글자만 PDF 파일로 변환하면 되지만, 글자 이외에 그림 등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에 사실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랜더링 과정을 거쳐 PDF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망 메일서버(120)가 PDF 파일로 변환하였으나, 별도의 PDF 변환 서버를 구비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PDF 변환 서버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제1망 연계서버(110)에서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로 다른 망으로 송부할 메일을 전송하기 전에 PDF 변환 서버에서 eml 파일(a)을 PDF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PDF 파일을 상기 eml 파일(a)에 첨부하여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로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이 외 설계 변경 가능한 범위를 모두 포함한다.
다음으로, 제2망에서 메일을 생성하여 제1망으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제2단말기(200)에서 메일을 작성하여 발송(⑦)하면, 해당 메일이 제2망용 메일인지 제1망용 메일인지 판단한다. 판단한 결과 제1망으로 발송되는 메일이라면,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는 발송 메일을 eml 파일(b)로 변환(⑧)하여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로 전송(⑨)한다.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는 상기 eml 파일(b)를 SMTP를 이용하여 상기 제1망 메일서버(120)로 전송(⑩)하고, 상기 제1망 메일서버(120)는 제1망으로 메일을 송신한다(⑪).
이때에도, 상기 제2망 메일서버 (220)는 상기 eml 파일(b)의 랜더링 이미지를 PDF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PDF 파일을 상기 eml 파일(b)에 첨부하여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eml파일은 Windows Mail 및 Outlook Express에서 읽을 수 있는 파일고, 꼭 eml 파일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Office Outlook에서 열어서 읽을 수 있는 msg 파일 등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의 제2망 연계서버(210)는 승인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자료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승인자 DB를 참조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승인을 받는데, 메일을 포함한 자료가 다른 망으로 송수신 되는 것은 승인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승인부는 상기 승인자 DB에 자료 종류별 승인이 필요한 승인자 리스트를 저장하여 두고, 자료 송수신시 승인을 받도록 한다. 다만, 자료가 송수신될 때마다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에서 승인을 받도록 수동 승인을 설정할 수도 있지만, 반복적 작업인 경우에 자동 승인으로 체크를 해두면 승인받을 것으로 취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1망에서 제2망으로 자료가 전송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망에서 제2망으로 자료 전송시, 제1단말기(100)에서 제1망 연계서버(110)로,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는 제1망 전송통제서버로 자료를 전송한다(①). 제1망 전송통제서버를 통하여 공유스토리지(300)에 자료를 쓰면(②), 상기 제2망 전송통제서버가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로부터 자료를 읽어와서(③)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로 전송(④)하고,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는 제2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2망에서 제1망으로 자료가 전송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망에서 제1망으로 자료 전송시, 제2단말기(200)에서 제2망 연계서버(210)로,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는 제2망 전송통제서버로 자료를 전송한다(①). 제2망 전송통제서버를 통하여 공유스토리지(300)에 자료를 쓰면(②), 상기 제1망 전송통제서버가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로부터 자료를 읽어와서(③)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로 전송(④)하고,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는 제1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다만, 이와 같이 제2망과 제1망간에 자료를 전송할 때에, 상기 제1단말기(100)는 상기 제2단말기(200)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형태로 연결 가능하다. 즉, 상기 제2단말기(200)의 폴더와 파일 내용이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으로 출력되어 상기 제1단말기(100)에서 상기 제2단말기(200)로 파일을 마우스로 드래그(drag) 또는 복사하여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는 상기 제2단말기(200)에서 상기 제1단말기(100)로 전송할 때에 동일하다. 즉, 제2단말기(200)에서도 상기 제1단말기(100)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형태로 연결 가능하며,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을 마우스로 드래그(drag) 또는 복사하여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물론,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로 인하여 사용자는 제2단말기(200)에서 제1단말기(100) 또는, 제1단말기(100)에서 제2단말기(200)로 파일이 바로 전송되는 것으로 인지하지만, 파일이 전송되는 과정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과정에 따른다.
다만, 자료를 전송할 때에 복수 개의 제2단말기(200)가 한꺼번에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동시접속자 수가 많아져서 제2망 연계서버(210)에 부하가 생기고 공유스토리지(300)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는 상기 제2단말기(200)에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파일을 기설정된 단위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파일 단위를 조합하여 기설정된 파일 형태로 재생성하여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로 전송하여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와 같이 파일을 재생성하는 작업을 기설정된 시간단위로 수행하고, 상기 재생성된 파일을 큐(Queue)를 이용하여 순서대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의 부하를 방지하고, 상기 공유스토리지(300)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제2단말기(200)에서 동시에 여러 개의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 각 파일을 일정한 크기의 단위로 나누고, 나누어진 파일 단위를 조합하여 새로운 파일로 재생성하므로 상기 재생성된 파일은 여러 파일의 나누어진 단위가 조합되어 생성된다.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에서 상기 제2단말기(200)로 자료를 전송할 때에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전송된다. 또한, 파일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재생성한 파일을 다시 원래의 파일들로 복구하는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며, 복구하는 작업은 상기 제2망 전송통제서버와 상기 제1망 전송통제서버를 통하여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송통제서버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제1망 연계서버(110)와 제2망 연계서버(210)에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망과 제2망 간에 자료를 송수신하는 경우, 공유스토리지(300)를 거치게 된다. 즉, 서로 다른 망을 공유스토리지(300)를 통하여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 및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와 상기 공유스토리지(300)간 자료의 송수신은 전용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용 전송 프로토콜은 상기 제1망 또는 제2망 안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제1망 또는 제2망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동일하지 않다면 그 종류는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2망 연계서버(210)와 상기 제1망 연계서버(110)는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를 이용하여 공유되는 클립보드(clipboard)를 생성 또는 관리할 수 있다. 클립보드(clipboard)는 잘라내서 붙여넣기를 하는 과정을 통해 문서나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 자료가 전송될 때 짧은 시간 동안 해당 자료를 저장하는 데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제1망 및 제2망과 같이 독립된 네트워크에서는 지원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은 공유스토리지(300)에 클립보드의 내용을 저장함으로써 제1망과 제2망 간에 클립보드를 지원한다.
예를들어, 상기 제2단말기(200)에서 임의의 복사 단축키(예를 들어, ctrl+C)를 통해 상기 클립보드로 복사하면, 상기 제1단말기(100)에서 임의의 붙여넣기 단축키(예를 들어, ctrl+V)를 통해 상기 클립보드의 내용을 붙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복사 단축키를 통해 클립보드를 복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클립보드를 복사하는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2단말기(200)에서 임의의 복사 단축키를 통해 클립보드로 복사(S10)하면, 상기 제2단말기(200)의 클립보드 에이전트는 시스템 클립보드를 확인하여 클립보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20). 확인 결과 클립보드 데이터가 없으면 클립보드 데이터가 없음을 팝업으로 알리는데(S30), 별도의 알림을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클립보드 데이터가 있다면 상기 클립보드 에이전트는 클립보드 데이터를 파일로 저장(S40)하여 제2망 연계서버(210)로 전송한다. 전송된 파일은 공유스토리지(300)를 거쳐 제1망 연계서버(110)로 전송되며, 제1단말기(100)의 클립보드 에이전트는 저장된 파일을 클립보드 데이터 전문으로 변환(S50)하여 제1단말기(100)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한다. 따라서, 제1단말기(100)에서 복사해둔 클립보드 데이터를 붙여넣기를 하고자 하는 경우 붙여넣기가 가능해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붙여넣기 단축키를 통해 클립보드를 붙여넣기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클립보드를 붙여넣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2단말기(200)에서 임의의 붙여넣기 단축키를 실행하면(S110), 상기 제2단말기(200)의 클립보드 에이전트는 시스템 클립보드를 확인하여 클립보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120). 도 7에서와 같이 이미 붙여넣기 할 데이터가 복사 단축키를 통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클립보드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제2단말기(200)의 클립보드 에이전트는 클립보드 전송요청(S130)을 제2망 연계서버(210)로 보낸다. 이 요청은 공유스토리지(300)를 거쳐 제1망 연계서버(110)로 전송되고, 이 요청을 수신한 상기 제1단말기(200)의 클립보드 에이전트는 제1단말기(200)의 시스템 클립보드를 참조하여 클립보드 데이터를 파일로 저장(S140)하여 다시 제1망 연계서버(110)로 전송한다. 물론, 이때 제1단말기(100)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클립보드 데이터가 없다면 아무것도 실행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공유스토리지(300)를 통해 제2망 연계서버(210)로 전송된 클립보드 데이터 파일은 제2단말기(200)의 클립보드 에이전트를 통해 클립보드 데이터 전문으로 변환되고(S150), 클립보드 붙여넣기가 실행된다(S160).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단말기(20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1단말기(100)에서 제2단말기(200)로 클립보드를 이용하는 것도 동일하다. 다만, 이때에도 상기 클립보드의 내용은 복사를 수행하는 쪽의 공유스토리지(300) 볼륨에만 존재하도록 함으로써, 클립보드로 인하여 보안이 위협받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금까지 본 발명을 2대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물리적으로 독립된 환경으로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네트워크가 다른 방법을 통해 물리적으로 독립된 경우뿐만 아니라 논리적으로 독립된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함을 물론이다. 즉,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네트워크가 독립되었을 때 제1망과 접속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 또는 모듈은 본 발명의 제1단말기, 제1망 연계서버, 제1망 메일서버의 역할을 수행하고, 제2망과 접속하는 장치 또는 모듈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2단말기, 제2망 연계서버, 제2망 메일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제1망과 제2망과 같이 독립된 네트워크망이 여러 개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독립된 네트워크망 사이의 자료공유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제1단말기 110 제1망 연계서버
120 제1망 메일서버
200 제2단말기 210 제2망 연계서버
220 제2망 메일서버
300 공유스토리지

Claims (17)

  1. 제1망에 연결하여 상기 제1망에서 사용되는 제1단말기;
    공유스토리지와 상기 제1단말기 사이에 위치하여 자료를 통제 또는 송수신하는 제1망 연계서버;
    제2망에 연결하여 상기 제2망에서 사용되는 제2단말기;
    상기 공유스토리지와 상기 제2단말기 사이에 위치하여 자료를 통제 또는 송수신하는 제2망 연계서버; 및
    하나의 저장 공간을 상기 제1망 연계서버와 상기 제2망 연계서버가 공유하는 공유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말기가 수신한 메일을 eml 파일(a)로 변환하여 상기 제1망 연계서버로 전송하는 제1망 메일서버; 및
    상기 제2단말기가 발신할 메일을 eml 파일(b)로 변환 및 저장하여 상기 제2망 연계서버로 전송하는 제2망 메일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스토리지는,
    상기 제1망 연계서버와 상기 제2망 연계서버별 읽기 및 쓰기 권한이 다른 적어도 두 개의 볼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망 메일서버는,
    상기 수신한 메일 중에서 기지정된 메일에 대해서만 상기 제1망 연계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eml 파일(a)을 상기 제2망 연계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2망 연계서버는 상기 eml 파일(a)을 SMTP(Simple Mail Tranfer Protocol)를 이용하여 상기 제2망 메일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망 메일서버는,
    상기 eml 파일(a)의 랜더링 이미지(rendering image)를 PDF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PDF 파일을 상기 eml 파일(a)에 첨부하여 상기 제1망 연계서버로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는 상기 eml 파일(b)을 상기 제1망 연계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eml 파일(b)을 SMTP를 이용하여 상기 제1망 메일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 메일서버 는,
    상기 eml 파일(b)의 랜더링 이미지(rendering image)를 PDF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PDF 파일을 상기 eml 파일(b)에 첨부하여 상기 제2망 연계서버로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는,
    상기 자료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승인자 DB를 참조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승인받는 승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제1단말기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형태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제1단말기의 폴더와 파일 내용이 GUI 환경으로 출력되고,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제2단말기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형태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제2단말기의 폴더와 파일 내용이 GUI 환경으로 출력되어,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단말기간에 파일을 마우스로 드래그(drag) 또는 복사하여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 또는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제2단말기와 상기 제1단말기 간에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파일을 기설정된 단위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단위를 조합하여 기설정된 파일 형태로 재생성하여 상기 공유스토리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 또는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파일을 재생성하는 작업을 기설정된 시간단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 또는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재생성된 파일을 전송할 때에 큐(Queue)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와 상기 공유스토리지간 또는 상기 공유스토리지와 상기 제1망 연계서버간 자료의 송수신은 전용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 연계서버와 상기 제1망 연계서버는,
    상기 공유스토리지를 이용하여 공유되는 클립보드(clipboard)를 생성 또는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기 또는 상기 제1단말기에서 임의의 복사 단축키를 통해 상기 클립보드로 데이터를 복사하면,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상기 제2단말기에서 임의의 붙여넣기 단축키를 통해 상기 클립보드로부터 데이터를 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보드의 내용은 복사를 수행하는 쪽의 상기 공유스토리지 볼륨에만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KR1020110037926A 2011-04-22 2011-04-22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KR101080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926A KR101080107B1 (ko) 2011-04-22 2011-04-22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PCT/KR2012/002973 WO2012144806A2 (ko) 2011-04-22 2012-04-19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JP2013544409A JP5629022B2 (ja) 2011-04-22 2012-04-19 独立した網間のデータ共有のための網連携システム
US13/824,795 US9426204B2 (en) 2011-04-22 2012-04-19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sharing data among independent networ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926A KR101080107B1 (ko) 2011-04-22 2011-04-22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107B1 true KR101080107B1 (ko) 2011-11-04

Family

ID=45397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926A KR101080107B1 (ko) 2011-04-22 2011-04-22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26204B2 (ko)
JP (1) JP5629022B2 (ko)
KR (1) KR101080107B1 (ko)
WO (1) WO2012144806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782B1 (ko) * 2014-10-27 2016-01-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서버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4579A (ko) * 2017-07-04 2019-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리된 망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45892A (ko) * 2019-04-19 2019-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리된 망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053836B1 (ko) * 2018-05-31 2019-12-09 (주)피디씨 폐쇄 내부망과 개방 내부망 간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데이터 공유 시스템
KR20200007060A (ko) * 2020-01-10 2020-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리된 망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22035157A1 (ko) * 2020-08-11 2022-02-17 이청종 격실형 컴퓨팅 모듈을 구비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KR102408433B1 (ko) * 2021-07-27 2022-06-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중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5425B (zh) * 2020-12-03 2021-08-06 南京机敏软件科技有限公司 在多个跨云服务器主机会话的云应用程序间进行拷贝粘贴的方法
JP7116972B1 (ja) * 2021-06-17 2022-08-12 アイマトリックス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
WO2022264457A1 (ja) * 2021-06-17 2022-12-22 アイマトリックス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
CN113419656B (zh) * 2021-06-22 2022-11-11 深圳市康冠商用科技有限公司 双系统邮件共享方法、装置、交互式一体机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6690B2 (en) * 2001-02-20 2003-08-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storage area network as network attached storage
JP2002288124A (ja) * 2001-03-21 2002-10-04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ワークステーション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装置、データ転送方法、データ編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の作成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7010663B2 (en) * 2002-03-22 2006-03-07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dividing a plurality of existing volumes of storage into a plurality of virtual logical units of storage
US7870493B2 (en) * 2005-10-03 2011-01-11 Microsoft Corporation Distributed clipboard
KR100785361B1 (ko) 2006-10-18 2007-12-18 텔코웨어 주식회사 프리젠스 정보 기반의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인스턴트 메시징/프리젠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기록매체
KR100740682B1 (ko) * 2006-11-30 2007-07-19 (주)필라넷 로컬 피씨로의 데이터 저장을 방지하는 보안파일서버시스템및 그 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기록매체
US8185581B2 (en) * 2009-05-19 2012-05-22 Nholdings Sa Providing a local device with computing services from a remote host
JP2009181167A (ja) * 2008-01-29 2009-08-13 Hitachi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リモートコピー方法及び第1コンピュータ
KR101103619B1 (ko) 2009-10-07 2012-01-09 엠텍비젼 주식회사 멀티 포트 메모리 및 그 억세스 제어 방법
JP5091974B2 (ja) * 2010-03-31 2012-12-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転送機能付き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転送機能付き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782B1 (ko) * 2014-10-27 2016-01-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서버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4579A (ko) * 2017-07-04 2019-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리된 망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972469B1 (ko) * 2017-07-04 2019-04-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리된 망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053836B1 (ko) * 2018-05-31 2019-12-09 (주)피디씨 폐쇄 내부망과 개방 내부망 간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데이터 공유 시스템
KR20190045892A (ko) * 2019-04-19 2019-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리된 망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067186B1 (ko) * 2019-04-19 2020-0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리된 망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07060A (ko) * 2020-01-10 2020-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리된 망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175953B1 (ko) 2020-01-10 2020-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리된 망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22035157A1 (ko) * 2020-08-11 2022-02-17 이청종 격실형 컴퓨팅 모듈을 구비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KR102408433B1 (ko) * 2021-07-27 2022-06-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중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US11811795B2 (en) 2021-07-27 2023-11-07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ultiple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4806A2 (ko) 2012-10-26
US20130173732A1 (en) 2013-07-04
JP5629022B2 (ja) 2014-11-19
JP2014505288A (ja) 2014-02-27
US9426204B2 (en) 2016-08-23
WO2012144806A3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107B1 (ko) 독립된 망간 자료공유를 위한 망연계시스템
US11422951B2 (en) Electronic tool and methods for meetings between two users
US8839119B2 (en) Distributed clipboard
US10050800B2 (en) Electronic tool and methods for meetings for providing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s network
CN112769582A (zh) 用于会议的电子工具和方法
US20150134817A1 (en) Cloud server aggregator to facilitate access and transmission of data stored on multiple cloud servers
WO2013037981A1 (en) Electronic tool and methods for meetings
KR101540599B1 (ko) 보안 파일 발송 시스템 및 방법
JP2004525443A (ja) リモート印刷
CN108632807A (zh) 移动终端访问控制的方法及装置
US20190044796A1 (en) Dead drop network architecture
CN103795764B (zh) 一种云业务触发的方法、云服务器和瘦客户机
CN109542647B (zh) 信息发送管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TWI678096B (zh) 以圖碼交換資料之文件處理系統及方法
EP3893465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sk redirection
US10075400B2 (en) Transmission and presentation of private content in electronic messages
JP6750347B2 (ja) 文書閲覧制御装置、文書閲覧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843415B1 (ja) 機器間のデータ伝送方法、及び記憶媒体
Chang et al. The design of an XMPP-based service integration scheme
JP2017215856A (ja) クラウド型データ共有システム
CN105701366A (zh) 一种控制文件传播的方法及系统
KR101524743B1 (ko) 버츄얼 클러스터
JP2017134783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60045946A (ko) 통합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08337240A (zh) 一种用于保密性工作的办公方法、终端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