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010B1 -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 - Google Patents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010B1
KR101080010B1 KR1020030093674A KR20030093674A KR101080010B1 KR 101080010 B1 KR101080010 B1 KR 101080010B1 KR 1020030093674 A KR1020030093674 A KR 1020030093674A KR 20030093674 A KR20030093674 A KR 20030093674A KR 101080010 B1 KR101080010 B1 KR 101080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ryer
opening
frame
lin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2012A (ko
Inventor
박수원
박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3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010B1/ko
Publication of KR20050062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드럼 내부를 통과하는 순환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을 걸러주는 린트 필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필터 안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는 건조 대상물이 투입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 저면에 형성되는 필터 안착부; 및 상기 필터 안착부에 안착되는 바디 린트 필터;가 포함되고, 상기 바디 린트 필터는 상기 개구부의 형상에 따라 양끝단이 굴곡되어 형성되는 필터 프레임과, 상기 필터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는 그물 형상의 필터와, 적어도 일측 끝단에 요동 방지부재가 형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에 의하여 바디 린트 필터가 필터 안착부에 안착된 후, 좌우로 요동되지 않고 긴밀히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바디 린트 필터, 개구부, 바디 린트 필터 안착부

Description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Filter mounting structure of dryer}
도 1은 응축식 드럼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필터구조가 구비된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필터구조가 안착되는 바디 린트 필터 안착부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필터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및 도 6은 상기 필터구조의 배면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바디 린트 필터가 건조기에 안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건조기 110 : 도어 120 : 도어 힌지
130 : 프런트 캐비넷 140 : 드럼 150 : 전면 패널
160 : 실내공기 흡입구 180 : 컨덴서 수용부 200 : 바디 린트필터
210 : 필터 230 : 필터 지지리브 270 : 필터 손잡이
280 : 필터 프레임 310 : 필터 지지대 320 : 걸림 고리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드럼 내부를 통과하는 순환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을 걸러주는 린트 필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필터 안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장치가 구비되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건조 겸용 세탁기는 드럼의 회전운동을 이용한 장치이다. 즉, 드럼이 회전하면서 드럼 내부에 있는 세탁물도 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이 상승 및 낙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드럼 세탁기는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에 의하여 세탁수와의 충돌이 발생하고, 상기 충돌에 의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물이 제거된다.
또한, 드럼식 건조기의 경우는 전기히터 또는 가스 연소장치등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을 드럼내로 송풍하여, 건조 대상물에 잔존하는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기기이다.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건조기에 사용되는 드럼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응축식 드럼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응축식 드럼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10)과,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드럼(12)과, 상기 드럼(12)의 개폐를 조절하는 도어(13)와, 상기 드럼(12)의 외주면에 둘러지는 벨트(11)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벨트(11)와 연결되는 모터축(21)과, 상기 모터 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7)와,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17)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냉각팬(16)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냉각팬(16)의 맞은편에서 상기 모터축(21)과 연결되어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건조팬(18)과, 상기 건조팬(18)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드럼(12)으로 이동되는 통로로서, 내부에 발열부(20)가 장착된 건조덕트(19)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도어(13)가 삽입되는 개구부 하측에 형성되어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습공기에 포함된 보푸라기등의 이물질을 거르는 린트필터(14)와, 상기 린트필터(14)로 들어간 공기가 컨덴서(미도시)로 이동되는 통로인 순환덕트(15)가 더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건조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건조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모터(17)가 회전하게 되고, 또한 상기 건조덕트(19) 내에 부착된 히터(20)가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된 벨트(11)가 회전하면서 상기 드럼(12)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2)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 내부에 있는 건조 대상물이 상기 드럼의 내벽을 따라 함께 회전하고 최상측부에 이르면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 대상물은 상기 드럼의 내벽에 부착된 리프트(미도시)에 의하여 상승된다.
한편,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된 건조팬(18)이 모터(17)의 회전과 함께 작동하게 되어, 상기 린트 필터(14)를 거친 순환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흡입된 공기는 상기 건조 덕트(19)를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히터를 거쳐 고온 건조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 건조한 공기는 상기 드럼 내부를 지나면서 건조 대상물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하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는 다시 상기 린트 필터(14)에 의해 필터링 된 다음, 상기 순환 덕트(15)를 따라 컨덴서(미도시)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된 냉각팬(16)이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기 외부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된 실내 공기는 냉각팬(16)을 지나 상기 컨덴서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 덕트(15)를 따라 컨덴서로 이동된 고온 다습한 공기와, 상기 냉각팬(16)에 의해 흡입되어 컨덴서로 이동된 실내 공기가 서로 교차하면서 상기 컨덴서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와 상기 실내 공기는 상기 컨덴서의 형상에 의하여 서로 혼합되지 않고 열교환만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컨덴서를 지나면서 상기 실내 공기에 열을 빼앗기면서 저온 다습한 공기로 변화된다. 그리고, 온도가 낮아 지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어 상기 컨덴서의 바닥으로 떨어져서, 응축수가 모이는 섬프(미도시)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섬프로 이동된 수분은 응축 펌프에 의하여 건조기 상부에 위치한 응축수 저장고(미도시)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컨덴서를 지나는 실내 공기는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의 열을 빼앗아 저온 다습한 공기로 전환 시키고, 온도는 높아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 내에서 고온 다습한 상태로 된 순환공기가 필터를 거치면서 불순물이 걸러지게 되는데, 상기 불순물을 걸러주는 린트필터의 착탈을 용이하게하고, 상기 린트 필터가 요동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상기 드럼을 통과하는 순환공기를 걸러주는 바디 린트 필터가 개구부 저면에 완전히 체결되어 요동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 안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는 건조 대상물이 투입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 저면에 형성되는 필터 안착부; 및 상기 필터 안착부에 안착되는 바디 린트 필터;가 포함되고, 상기 바디 린트 필터는 상기 개구부의 형상에 따라 양끝단이 굴곡되어 형성되는 필터 프레임과, 상기 필터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는 그물 형상의 필터와, 적어도 일측 끝단에 요동 방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건조기의 개구부 저면에 안착된 바디 린트 필터가 요동되지 않고 긴밀히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필터구조가 구비된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구조가 구비된 건조기(100)는 전면부를 구성하는 프런트 캐비넷(130)과, 상기 프런트 캐비넷(130)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여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부(131)와, 상기 개구부(131)를 통하여 투입된 세탁물이 포집되는 드럼(140)과, 상기 드럼(140) 내부에 형성된 건조 챔버(141)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131)를 개폐하는 도어(110)와, 상기 프런트 캐비넷(130)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작부가 구비된 전면 패널(15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110)의 내주면에는 도어 린트 필터(111)가 내장된 도어 린트 필터 하우징(112)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110)는 도어 힌지(120)에 의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의 하측면에는 상기 도어 린트 필터(111)를 거친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바디 린트 필터(20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프런트 캐비넷(130)의 저면에는 컨덴서와 프런트 실링(미도시)이 삽입되며, 상기 바디 린트 필터(200)를 거친 공기가 하강되는 컨덴서 수용부(180)가 포함되고, 상기 프런트 캐비넷(130)의 최저면에 길게 형성되는 실내공기 흡입구(160)가 포함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필터구조가 안착되는 바디 린트 필터 안착부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구조가 안착되는 바디 린트 필터 안착부(300)는 세탁물이 투입되기 위한 개구부(131)의 저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 린트 필터 안착부(300)는 후술하게 될 바디 린트 필터(200)가 안착되기 위하여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 린트 필터 안착부(300)는 상기 드럼을 통과하는 순환공기가 컨덴서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부가 관통된다. 그리고, 안착되는 바디 린트 필터(200)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지지대(310)가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 린트 필터 안착부(300)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바디 린트 필터(200)와 체결되기 위한 걸림고리(320)가 돌출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필터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및 도 6은 상기 필터구조의 배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구조에 해당하는 바디 린트 필터(200)는 상기 개구부(131) 저면에 형성된 바디 린트 필터 안착부(300)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바디 린트 필터(200)는 상기 개구부(131)의 형상에 따라 양끝단이 굴곡되어 형성되는 필터 프레임(280)과, 상기 필터 프레임(280)의 내측에 안착되는 그물 형상의 필터(210)와, 상기 필터(210)가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 지지리브(2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프레임(280)의 저면에는 상기 필터 지지대(310)에 안착되기 위한 필터 지지대 안착홈(220)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 프레임(28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필터 안착부(300)의 일측 끝단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바디 린트 필터(200)를 고정하기 위한, 필터 삽입 연장편(240)이 하측으로 연장 현성된다.
상세히, 상기 필터 삽입 연장편(240)은 상기 필터 프레임(280)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프레임(280)의 중심부쪽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되며, 상기 절곡 연장되는 연장편의 끝단에서 다시 상기 프레임(280)의 외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되어 연장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필터 삽입 연장편(240)의 끝단 외주면에는, 상기 연장편(240)이 상기 바디 린트 필터 안착부(300)에 삽입된 후, 탈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탈거 방지 돌기(24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 프레임(280)의 타측 끝단 저면에는 상기 바디 린트 필터 안착부(300)에 돌출 형성된 걸림고리(320)가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걸림고리(320)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홈이 형성되는 걸림고리 삽입단(250)이 돌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걸림고리 삽입단(250)에 상기 걸림고리(320)가 정확히 삽입되는지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가능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 프레임(280)의 끝단에는 상기 바디 린트 필터(200)의 중심부쪽으로 라운드진 착탈 확인곡면(26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 프레임(280)의 중앙에는 사용자가 상기 바디 린트 필터(200)를 잡고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터 손잡이(270)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 손잡이(270)의 양측면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기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라운드진 곡면을 이룬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바디 린트 필터가 건조기에 안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디 린트 필터(200)를 상기 바디 린트 필터 안착부(300)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필터 삽입 연장편(240)이 부착된 상기 바디 린트 필터(200)의 측면부를 기울여서, 상기 바디 린트 필터 안착부(300)의 측면 끝단 홈에 끼운다. 그리고, 상기 필터(200)를 안착부(300)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걸림고리 삽입단(250)에 상기 걸림고리(320)를 삽입한 다음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힘을 주어 누른다.
상기와 같은 순서로 상기 바디 린트 필터(200)를 안착부(300)에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린트 필터(200)가 요동되지 않고 긴밀하게 결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에 의하여 바디 린트 필터가 필터 안착부에 안착된 후, 좌우로 요동되지 않고 긴밀히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건조 대상물이 투입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 저면에 형성되는 필터 안착부; 및
    상기 필터 안착부에 안착되는 바디 린트 필터;가 포함되고,
    상기 바디 린트 필터는 상기 개구부의 형상에 따라 양끝단이 굴곡되어 형성되는 필터 프레임과, 상기 필터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는 그물 형상의 필터와, 적어도 일측 끝단에 요동 방지부재가 형성되는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방지 부재는 상기 필터 프레임의 일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필터 삽입 연장편이 포함되는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삽입 연장편은 끝단면에 상기 바디 린트 필터가 상기 필터 안착부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거 방지 돌기가 더 포함되는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방지 부재는 상기 필터 안착부의 일측 끝단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와 맞닿는 상기 필터 프레임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걸림고리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홈이 형성되는 걸림고리 삽입단이 포함되는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프레임은 일측 끝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중앙에 홈이 형성되는 걸림고리 삽입단과, 상기 걸림고리 삽입단을 사용자가 확인가능하도록 내측으로 홈이 진 착탈확인 곡면이 포함되는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프레임은 중앙부 상측면에 사용자가 쥘 수 있도록 양쪽이 홈이진 필터 손잡이가 포함되는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프레임은 저면에 필터 지지대가 안착되기 위한 필터 지지대 안착홈이 적어도 하나 포함되는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
KR1020030093674A 2003-12-19 2003-12-19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 KR101080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674A KR101080010B1 (ko) 2003-12-19 2003-12-19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674A KR101080010B1 (ko) 2003-12-19 2003-12-19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012A KR20050062012A (ko) 2005-06-23
KR101080010B1 true KR101080010B1 (ko) 2011-11-04

Family

ID=37254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674A KR101080010B1 (ko) 2003-12-19 2003-12-19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0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785Y1 (ko) * 2001-11-20 2002-02-20 (주)이젠텍 의류건조기
KR100662763B1 (ko) * 2001-01-10 2007-01-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배기식 의류 건조기의 실밥 채집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763B1 (ko) * 2001-01-10 2007-01-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배기식 의류 건조기의 실밥 채집 구조
KR200264785Y1 (ko) * 2001-11-20 2002-02-20 (주)이젠텍 의류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012A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988B1 (ko) 건조기의 도어 린트 필터 밀착 장치
KR20060040352A (ko) 린트 필터 어셈블리가 장착된 건조 세탁기
EP2829653B1 (en) Laundry drying apparatus
KR101093830B1 (ko) 건조기의 램프 커버 장착구조
KR101225502B1 (ko) 의류건조기
KR101241915B1 (ko) 건조기
KR20060085793A (ko) 건조기의 응축수 수위 표시 장치
JP4270215B2 (ja) 洗濯乾燥機
KR20120019209A (ko) 건조장치
KR101080010B1 (ko) 건조기의 필터 안착구조
KR101094548B1 (ko) 건조기의 필터 구조
JP3815366B2 (ja) 洗濯乾燥機
JP4639552B2 (ja) 洗濯乾燥機
KR101143765B1 (ko) 건조기의 건조 선반구조
KR101079934B1 (ko) 건조기의 도어 힌지 구조
KR101079899B1 (ko) 건조기의 실내공기 흡입구조
KR101079972B1 (ko) 건조기의 실내공기 흡입구조
KR100607269B1 (ko) 건조기의 컨덴서 조립구조
KR101067956B1 (ko) 건조 선반이 구비된 건조기
KR101093886B1 (ko) 건조기의 응축수 이동구조
KR101021710B1 (ko) 건조기의 전면부 실링구조
KR101012947B1 (ko) 건조기의 건조 선반구조
KR100607268B1 (ko) 건조기의 컨덴서 조립구조
KR20060065265A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린트 필터 어셈블리
KR20060085969A (ko)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