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964B1 -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한 요금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한 요금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964B1
KR101079964B1 KR1020090044598A KR20090044598A KR101079964B1 KR 101079964 B1 KR101079964 B1 KR 101079964B1 KR 1020090044598 A KR1020090044598 A KR 1020090044598A KR 20090044598 A KR20090044598 A KR 20090044598A KR 101079964 B1 KR101079964 B1 KR 101079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sage fee
terminal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750A (ko
Inventor
박병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4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96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56Special tariff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01R21/13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adapted for special tariff meas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제 1 단말기 통신부와, 사용 전력량에 따른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성된 메모리부 및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된 사용 요금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해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한 요금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한 요금 표시 시스템{TERMINAL AND CHARGE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요금을 표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한 요금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량계란 일정기간 동안 사용한 전력의 총량을 측정, 기록하는 계기를 의미한다. 상기 전력량계는 회전원판에 전력과 비례하는 회전력을 가하여 전력의 사용시간을 원판의 회전수로 적산하는 계기이다. 상기 전력량계는 직류용과 교류용이 있다. 직류용으로는 수은형과 정류자형 적산전력계, 교류용으로는 유도형 적산전력계가 쓰인다. 특히 유도형 적산전력계의 경우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싸서 많이 쓰이는데, 각 가정에 설치된 전기계량기는 바로 이 유도형이다.
유도형 적산전력계는 알루미늄으로 만든 회전원판을 사이에 두고 위·아래로 고정코일(전류코일)과 가동코일(전압코일)이 있고, 계량장치와 영구자석이 배치되어 있다. 고정코일과 가동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두 코일 사이에 전자력이 생기고 이 힘에 의해 원판이 돌게 된다. 이때 원판을 사이에 끼고 있는 영구자석이 회전을 시작한 원판에 제동력을 가하면 원판은 전력에 비례하는 속도로 회전한다.
원판의 총 회전수는 회전축과 연결된 계량장치에 숫자로 표시되는데, 보통 kWh(킬로와트시)로 기록된다. 적산전력계는 전력회사가 관리하므로 개인이 교환할 수 없도록 봉인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요금을 표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한 요금 표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요금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와, 외부로부터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제 1 단말기 통신부와, 사용 전력량에 따른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성된 메모리부 및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된 사용 요금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해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들에 기초하여 '누적 사용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소리를 내기 위해 구성된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는 경고의 기준이 되는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이 상기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람부가 소리를 내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는 경고의 기준이 되는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을 저장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이 상기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경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성된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내부 프로그램 또는 '요금 부과 기준 정보'들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구성된 제 2 단말기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요금 표시 장치는 전력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전력선 통신부와,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변환장치 통신부 및 상기 전력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력량 데이터를 상기 변환장치 통신부 방식의 전력량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장치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변환부를 포함하는 변환 장치 및 요금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변환 장치로부터 상기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제 1 단말기 통신부와, 사용 전력량에 따른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성된 메모리부;및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된 사용 요금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해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들에 기초하여 '누적 사용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소리를 내기 위해 구성된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는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된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이 상기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람부가 소리를 내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성된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구성된 충전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요금 표시 시스템은 사용된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성된 전력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상기 변환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연산부 및 상기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력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전력량계와 전력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해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요금 표시 시스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요금 표시 시스템은 전력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전력선 통신부와,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변환장치 통신부와, 사용 전력량에 따른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성된 메모리부 및 상기 전력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 요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 요금 정보를 상기 변환장치 통신부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사용 요금 정보를 상기 변환장치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변환부를 포함하는 변환 장치 및 요금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변환 장치로부터 상기 변환된 사용 요금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제 1 단말기 통신부 및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변환된 사용 요금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들에 기초하여 '누적 사용 요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누적 사용 요금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성된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요금 표시 시스템은 사용된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성된 전력 측정부와, 상기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전력선 통신부 및 상기 측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상기 전력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변환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연산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전기 사용 요금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공간에 단말기를 설치함으로써, 전기 사용 요금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전기 사용 요금이 일정한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알람부에서 출력된 알람 또는 진동을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전기 사용 요금의 초과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들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금 표시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요금 표시 시스템은 단말기(100), 변환장치(200) 및 전력량계(30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변환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상기 단말기(10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욱 용이하게 전기 사용 요금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변환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력량 데이터 에 기초하여 사용 요금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4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상기 변환 장치(200)는 상기 전력량계(3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력량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변환 장치(200)와 상기 단말기(100)가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한다면, 상기 변환 장치(200)는 상기 전력량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방식의 데이터로 변화하고, 상기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변환 장치(200)는 상기 단말기(10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구성된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 및 상기 변환 장치(200)는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상기 단말기(100)가 전력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 요금을 연산하지 않고, 상기 변환 장치(200)가 전력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 요금을 연산할 수 있다. 즉, 상기 변환 장치(200)가 전력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 요금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에 기초하여 사용 요금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변환 장치(200)는 상기 사용 요금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변환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 요금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는 이하 도 3a 및 도 3b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상기 전력량계(300)는 사용된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력량계(300)는 상기 측정된 전력량을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내장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전력량계(300)는 상기 측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상기 변환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방식은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력량계(300)는 상기 측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변환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변환 장치 및 단말기를 구체화한 블록도이다.
도 1,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100)는 제 1 단말기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알람부(130), 메모리부(140), 제 2 단말기 통신부(150), 사용자 입력부(160), 배터리(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부(110)는 변환장치(200)로부터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부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요금 관련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드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30)는 특정 소리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람부(13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특정한 소리를 출력하거나 진동을 출력 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30)는 스피커와 같은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음향 장치 또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사용 전력량에 따른 요금부과 기준 정보, 현재 사용된 사용 요금 정보, 누적 사용 요금 정보,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거나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기 위한 '경고 기준 사용 요금' 정보와 같은 요금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요금 부과 기준 정보는 사용 전력량별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테이블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 요금은 사용 전력량에 대응되는 상기 요금 부과 기준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누적 사용 요금 정보는 사용 요금의 경향을 알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누적 사용 요금 정보는 시간별, 일별, 월별 사용 요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말기 통신부(150)는 내부 프로그램 또는 요금 부과 기준 정보들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요금 부과 기준 정보'는 전력 사용량에 따른 사용 요금을 연산하기 위해 제공되는 기준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제 2 단말기 통신부(150)의 기능은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부(110)가 수행할 수 있다. 따 라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제 2 단말기 통신부(150)를 포함하지 않고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60)를 이용하여 '경고 기준 사용 요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60)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70)는 상기 단말기(1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변환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배터리(170)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17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 상기 메모리부(140), 상기 알람부(130), 상기 제어부(18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 요금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 요금에 기초하여 사용 요금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생성된 사용 요금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생성된 사용 요금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 정보들에 기초하여 누적 사용 요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누적 사용 요금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이 초과하는 경우,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은 사용자가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거나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한 요금을 의미한다.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이 상기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알람부(130)가 알람 또는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이 상기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전기 사용 요금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공간에 단말기를 설치함으로써, 전기 사용 요금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사용 요금이 일정한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알람부에서 출력된 알람 또는 진동을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전기 사용 요금의 초과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변환 장치는 인터페이스(210), 전력선 통신부(220), 변환부(230), 변환장치 통신부(240), 전원 공급부(250) 및 충전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변환 장치와 상기 전력량계 사이에 전력선 통신이 가능하기 위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량계와 상기 변환 장치는 전선, 콘센트 및 플러그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210)는 플러그에 해당된다. 즉, 상기 전력량계에서 전송된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는 상기 전선, 콘센트 및 플러그를 통해 상기 전력선 통신부(22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통신부(220)는 전력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수신된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상기 변환부(230)로 전송한다.
상기 변환부(230)는 상기 전력선 통신부(220)를 통해서 수신된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상기 변환장치 통신부(240) 방식의 전력량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변환부(230)는 상기 변환장치 통신부(240) 방식으로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상기 변환장치 통신부(240)를 통해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전력선 통신부(220)를 통해서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는 전력선 통신 방식의 데이터이다. 상기 변환장치 통신부(240)의 방식이 무선 통신 방식인 경우, 상기 변환부(230)는 전력선 통신 방식의 상기 전력량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는, 상기 변환장치 통신부(240)의 방식이 유선 통신 방식인 경우, 상기 변환부(230)는 전력선 통신 방식의 상기 전력량 데이터를 유선 통신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의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변환장치 통신부(240)는 상기 변환 장치(200)와 상기 단말기(10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변환장치 통신부(24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50)는 상기 변환 장치(2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250)는 상기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인터페이스(210)로는 플러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50)는 상기 전원을 상기 변환부(230) 또는 충전부(260) 등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260)는 배터리 등을 충전하기 위해 구성된다. 단말기(100)에 배터리가 구비된 경우, 상기 충전부(260)와 상기 단말기(100)의 배터리가 연결되고, 상기 충전부(260)는 상기 단말기(100)에 내장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변환 장치 및 단말기를 구체화한 블록도이다.
도 1,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100-1)는 제 1 단말기 통신부(110-1), 디스플레이부(120-1), 알람부(130-1), 제 2 단말기 통신부(150-1), 사용자 입력부(160-1), 배터리(170-1) 및 제어부(180-1)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부(110-1)는 변환장치(200-1)로부터 사용 요금 정보를수신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요금 관련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알람부(130-1)는 특정 소리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말기 통신부(150-1)는 내부 프로그램 또는 요금 부과 기준 정보들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60-1)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170-1)는 상기 단말기(100-1)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1)는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부(110-1)로부터 수신된 사용 요금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2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부(110-1)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 요금 정보가 상기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1)는 상기 알람부(130-1)가 알람 또는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부(110-1)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 요금 정보가 상기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1)에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전기 사용 요금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공간에 단말기를 설치함으로써, 전기 사용 요금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사용 요금이 일정한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알람부에서 출력된 알람 또는 진동을 출력한다. 따 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전기 사용 요금의 초과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순하고 가볍고 작은 씨피유(CPU)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는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도 1,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변환 장치는 인터페이스(210-1), 전력선 통신부(220-1), 메모리부(235-1), 변환부(230-1), 변환장치 통신부(240-1), 전원 공급부(250-1) 및 충전부(260-1)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210-1)는 상기 변환 장치와 상기 전력량계 사이에 전력선 통신이 가능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전력선 통신부(220-1)는 전력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210-1)를 통해 수신된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상기 변환부(230-1)로 전송한다.
상기 메모리부(225-1)는 사용 전력량에 따른 요금부과 기준 정보, 현재 사용된 사용 요금 정보, 누적 사용 요금 정보,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거나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기 위한 '경고 기준 사용 요금' 정보와 같은 요금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요금 부과 기준 정보는 사용 전력량별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테이블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 요금은 사용 전력량에 대응되는 상기 요금 부과 기준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누적 사용 요금 정보는 사용 요금의 경향을 알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누적 사용 요금 정보는 시간별, 일별, 월별 사용 요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230-1)는 상기 전력선 통신부(220-1)를 통해서 수신된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변환부(230-1)는 상기 전력선 통신부(220-1)로부터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메모리부(235-1)에 저장된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 요금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230-1)는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을 기초로 하여 사용 요금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변환부(230-1)는 상기 생성된 사용 요금 정보를 상기 변환 장치 통신부(240-1)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사용 요금 정보를 상기 변환 장치 통신부(240-1)을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부(110-1)로 전송한다.
상기 변환부(230-1)는 상기 사용 요금 정보들에 기초하여 누적 사용 요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230-1)는 상기 생성된 '누적 사용 요금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35-1)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변환장치 통신부(240-1)는 상기 변환 장치(200-1)와 상기 단말기(100-1)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변환장치 통신부(240-1)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50-1)는 상기 변환 장치(200-1)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250-1)는 상기 인터페이스(210-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인터페이스(210-1)로는 플러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50-1)는 상기 전원을 상기 변환부(230-1) 또는 충전부(260-1) 등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260-1)는 배터리 등을 충전하기 위해 구성된다. 단말기(100-1)에 배터리가 구비된 경우, 상기 충전부(260-1)와 상기 단말기(100-1)의 배터리가 연결되고, 상기 충전부(260-1)는 상기 단말기(100-1)에 내장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력량계를 구체화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력량계는 전력측정부(310), 연산부(320) 및 전력선 통신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 측정부(310)는 수용가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에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전류 코일 및 전압 코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산부(320)는 상기 전력 측정부(310)로부터 수신된 상기 측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연산부(320)는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상기 전력선 통신부(330)를 통해 변환 장치(200)로 전송한다.
상기 전력선 통신부(330)는 전력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전력량 데이터를 상기 변환 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전력량계는 측정된 전력량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측정된 전력량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미도시), 사용자가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금 표시 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요금 표시 시스템은 전력량계(500), 변환 장치(510), 단말기(520) 및 콘센트(530)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량계(500)는 측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상기 변환 장치(510)로 전송한다. 상기 전력량계(500)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을 사용하기 위한 전력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량계(300)는 상기 측정된 전력량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 장치(510)로 전송한다. 상기 측정된 전력량 데이터는 전선 및 콘센트를 통해 상기 변환 장치(510)로 전송된다.
상기 변환 장치(510)는 상기 전력량계(5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력량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52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변환 장치(510)와 상기 단말기(520)가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한다면, 상기 변환 장치(510)는 상기 전력량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방식의 데이터로 변화하고, 상기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520)로 전송한다.
상기 변환 장치(510)는 전력선 통신부, 변환부, 변환장치 통신부, 전원 공급부 및 충전부 등을 내장하기 위한 케이스(5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11)는 상기 단말기(52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는 상기 단말기(52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 장치(510)는 상기 콘센트와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520)는 상기 변환 장치(5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상기 단말기(51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520)는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520)는 알람을 출력하기 위한 알람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52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520)의 내부에는 통신부, 메모리부, 배터리, 제어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b는 상기 변환 장치(510)와 상기 단말기(520)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520)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520)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변환 장치(5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변환 장치(510)와 상기 단말기(520)가 결합된 경우, 상기 변환 장치(510)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상기 변환 장치(510)는 상기 전원이 상기 배터리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는 후면에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변환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단말기는 후면에 자석을 더 포함하기 때문에, 외면에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물건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금 표시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변환 장치 및 단말기를 구체화한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변환 장치 및 단말기를 구체화한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전력량계를 구체화한 블록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금 표시 시스템에 관한 도면.

Claims (17)

  1. 요금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외부로부터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제 1 단말기 통신부;
    사용 전력량에 따른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성된 메모리부;
    내부 프로그램 또는 상기 '요금 부과 기준 정보'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구성된 제 2 단말기 통신부; 및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 요금을 연산하고, 연산된 사용 요금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들에 기초하여 '누적 사용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소리를 내기 위해 구성된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는,
    경고의 기준이 되는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이 상기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람부가 소리를 내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경고의 기준이 되는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산된 사용 요금이 상기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경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성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6. 삭제
  7. 전력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전력선 통신부, 상기 전력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력량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방식의 전력량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구성된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변환장치 통신부를 포함하는 변환 장치;및
    요금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변환 장치로부터 상기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제 1 단말기 통신부, 사용 전력량에 따른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성된 메모리부; 내부 프로그램 또는 상기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구성된 제 2 단말기 통신부, 및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 요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 요금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요금 표시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사용 요금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 요금 정보에 기초하여 '누적 사용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표시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소리를 내기 위해 구성된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는,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된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사용 요금 정보가 상기 '경고 기준 사용 요금'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람부가 소리를 내도록 제어하는, 요금 표시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성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요금 표시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구성된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요금 표시 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사용된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성된 전력 측정기;
    상기 전력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전력량을 전력선 통신 방식의 전력량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구성된 연산기; 및
    상기 연산기에 의해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전력선 통신기를 포함하는 전력량계를 더 포함하는 요금 표시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전력량계와 전력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해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요금 표시 시스템.
  14. 전력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전력선 통신부, 상기 전력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력량 데이터 및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 요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 요금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사용 요금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변환부, 단말기로 상기 변환된 사용 요금 정보를 전송하고 내부 프로그램 또는 상기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구성된 변환장치 통신부, 사용 전력량에 따른 상기 '요금 부과 기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성된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변환 장치;및
    요금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변환 장치로부터 상기 변환된 사용 요금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제 1 단말기 통신부 및 상기 제 1 단말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변환된 사용 요금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요금 표시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생성된 사용 요금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 요금 정보에 기초하여 '누적 사용 요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누적 사용 요금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요금 표시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성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요금 표시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사용된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성된 전력 측정기;
    상기 전력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전력량을 전력선 통신 방식의 전력량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구성된 연산기; 및
    상기 연산기에 의해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전력선 통신기를 포함하는 전력량계를 더 포함하는 요금 표시 시스템.
KR1020090044598A 2009-05-21 2009-05-21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한 요금 표시 시스템 KR101079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598A KR101079964B1 (ko) 2009-05-21 2009-05-21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한 요금 표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598A KR101079964B1 (ko) 2009-05-21 2009-05-21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한 요금 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750A KR20100125750A (ko) 2010-12-01
KR101079964B1 true KR101079964B1 (ko) 2011-11-04

Family

ID=4350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598A KR101079964B1 (ko) 2009-05-21 2009-05-21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한 요금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120B1 (ko) * 2015-03-09 2016-11-08 차대중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식 계량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0034A (ja) * 2003-08-01 2005-03-17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計量システム、電力量計、使用電力量表示端末および電力量計量制御プログラム
JP2008216243A (ja) 2007-02-08 2008-09-18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消費電力表示システム及び消費電力表示方法
JP2008298751A (ja) 2007-06-04 2008-12-11 Nihon Techno Co Ltd 電力使用量計測表示システム及び電力使用量計測表示方法
JP2009027917A (ja) 2004-03-26 2009-02-05 Cosmo Life Kk 使用電力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0034A (ja) * 2003-08-01 2005-03-17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計量システム、電力量計、使用電力量表示端末および電力量計量制御プログラム
JP2009027917A (ja) 2004-03-26 2009-02-05 Cosmo Life Kk 使用電力監視システム
JP2008216243A (ja) 2007-02-08 2008-09-18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消費電力表示システム及び消費電力表示方法
JP2008298751A (ja) 2007-06-04 2008-12-11 Nihon Techno Co Ltd 電力使用量計測表示システム及び電力使用量計測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750A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26007A1 (en) Utility Meter and Method of Operation
WO2008142425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resource consumption
KR101092507B1 (ko) 실시간 에너지 정보 표시 시스템
KR101589329B1 (ko)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정보 저장 방법
KR101079964B1 (ko)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한 요금 표시 시스템
JP6106904B2 (ja) 電力計測システム
KR101092501B1 (ko) 실시간 에너지정보 포탈 시스템
JP6573246B1 (ja) ライフライン使用管理システム、ライフライン使用管理方法、プログラム
KR101516892B1 (ko) 센서기반 이기종 계측타입의 전기계량기 및 전기계량 관리 시스템
KR20210010760A (ko) 스마트 전력량 표시 시스템 및 방법
RU251966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считывания
KR20090030737A (ko) 디지털 요금표시장치
JP2012118667A (ja) 電力量計管理運用装置
CN206364879U (zh) 一种无线电子吊秤
KR200430812Y1 (ko) 전력선 통신에 의한 원격검침 가능한 일체형 전자식 전력량계
JP2004020228A (ja) 流量計測システムおよび流量計測装置
KR101044530B1 (ko) 전력량 표시 시스템, 전력량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량 표시 방법
TW201104997A (en) Electric power monitoring and controlling device
KR20140124292A (ko) 온압 보정에 의한 가스 요금 부과 시스템 및 방법
KR100637627B1 (ko) 변압기 부하관리와 검침을 통합 수행하는 원격관리시스템
JP2008122158A (ja) 電力量測定システムおよび電力量計
KR20100012141A (ko) 사용요금 예측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의 정보표시장치
KR200449499Y1 (ko) 공공요금 통합 표시장치
KR100516790B1 (ko) 심야 전력용 복합기능 일체형 저압 전자식 원격검침 전력량계
KR20030072531A (ko) 사용요금 확인이 가능한 전자식 전력량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