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838B1 -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838B1
KR101079838B1 KR1020110020266A KR20110020266A KR101079838B1 KR 101079838 B1 KR101079838 B1 KR 101079838B1 KR 1020110020266 A KR1020110020266 A KR 1020110020266A KR 20110020266 A KR20110020266 A KR 20110020266A KR 101079838 B1 KR101079838 B1 KR 101079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film
adhesive film
antenna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에이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0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 H01Q17/001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for modifying the directional characteristic of an a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형 안테나에 도전성 물질을 적층한 흡수체를 내장하여 와전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공정을 간단하게 하며, 핫프레스 처리하여 두께를 얇게 개선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보호필름을 구비하는 단계와, 제 1 보호필름의 일면에 제 1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제 1 접착제 필름을 통하여 제 1 보호필름의 일면에 안테나 패턴이 구성된 기판부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 기판부의 다른 면에 제 2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제 2 접착제 필름을 통하여 기판부의 다른 면에 전자파를 흡수하는 흡수체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 및 적층된 순서를 일체로 핫프레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필름형 안테나의 송수신 특성을 개선하고, 제조공정을 간단하게 하여 제조비용을 줄이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film antenna within absorber}
본 발명은 이동단말에 구비되는 필름형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형 안테나에 도전성 물질을 적층한 흡수체를 내장하여 와전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공정을 간단하게 하며, 핫프레스 처리하여 두께를 얇게 개선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은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접속하여 통신하는 장치이고, 이동하면서 통신하려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과 수신하여야 하며,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과 수신하기 위해서는 안테나(antenna: ANT) 구조를 필요로 하고, 안테나는 사용되는 주파수에 따라 그 전기적 직선 길이를 다르게 갖는 특성이 있다. 즉, 안테나는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공진 주파수가 있다.
안테나는 사용되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전기적 길이를 필요로 하므로 일정한 길이를 점유하여야 하고, 안테나가 점유하는 면적을 줄이면서 안테나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 및 구조의 안테나가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이동단말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무선 접속하여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장비이고 휴대하면서 이동하므로 무게를 가볍게 하고 돌출되거나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구성하며 가볍고 크기를 소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이동단말은 안테나를 필수적으로 구성하여야 하며, 소형의 이동단말에 일정한 전기적 길이를 필요로 하는 안테나를 구성하는 경우 최소의 면적을 차지하는 루프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테나의 전기적 직선 길이를 계산(연산)하는 이론적인 공식은 아래의 수학식 1 과 같다.
Figure 112011016580242-pat00001
단, C : 광속(미터)
F : 주파수(Hz)
여기서 광속(C)은 3*10^8 미터(meter)이고, 주파수는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bandwidth)의 중간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사용목적 또는 용도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론적인 안테나의 전기적 길이와 실제 주어진 주변환경에서 사용하는 안테나의 전기적 길이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누적된 경험 및 반복된 실험에 의하여 구하여진 상수(constant)를 곱하므로 최적 조건의 전기적 길이를 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안테나는 송신할 신호가 인가되면 전자파를 방사하므로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전자파의 영역 안에 전기를 통하는 도체가 위치하는 경우 와전류손을 발생하여 전자파의 전기저항을 높이므로 신호의 전송손실로 작용한다.
이동단말은 소형이므로 안테나의 인근에 도체가 위치할 수 있고, 안테나의 인근에 도체가 위치하는 경우 와전류손에 의하여 안테나로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신호에 큰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의 인근에 위치하는 도체에서 발생하는 와전류손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흡수체(absorber)를 사용할 수 있고, 흡수체로 자기투과성과 전기저항이 큰 페라이트(ferrite)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필름형 안테나는 별도의 흡수체를 적층하여 불필요한 전자파를 차단하거나 와전류 손실의 발생을 줄이고 있다.
그러나 두께가 얇은 필름형 안테나에 흡수체를 추가 구성하는 경우 필름 안테나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름형 안테나에 흡수체를 별도로 더 구성하여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불량 발생이 높으며 제조원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필름형 안테나에 흡수체를 내장 구성하여 두께를 얇게 하면서 와전류손실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안테나의 신뢰성을 높이고 미관을 개선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필름형 안테나의 제조공정을 간단하게 하여 불량발생을 줄이고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하며 제조원가를 낮추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필름형 안테나에 도전성 물질을 적층한 흡수체를 구비하면서 핫프레스 처리하여 전체의 두께를 얇게 구성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안테나로부터 방사되거나 유입되는 전자파를 차단하며 와전류 손실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뢰성을 개선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발명은 도전성 물질이 적층된 흡수체를 내장하므로 필름 안테나의 제조공정을 간단하게 하고 불량발생을 줄이여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줄이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 보호필름을 구비하는 단계와, 제 1 보호필름의 일면에 제 1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와, 제 1 접착제 필름을 통하여 제 1 보호필름의 일면에 안테나 패턴이 구성된 기판부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와, 기판부의 다른 면에 제 2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와, 제 2 접착제 필름을 통하여 기판부의 다른 면에 전자파를 흡수하는 흡수체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 및 적층된 순서를 일체로 핫프레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흡수체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와 핫프레스하는 단계의 사이에는 흡수체의 다른 면에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물질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흡수체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와 핫프레스하는 단계의 사이에는 흡수체의 다른 면에 도전성 물질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핫프레스된 흡수체의 다른면에 양면 테이프를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전성 물질에 양면 테이프를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 보호필름을 구비하는 단계와, 제 1 보호필름의 일면에 제 1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와, 제 1 접착제 필름을 통하여 제 1 보호필름의 일면에 안테나 패턴이 구성된 기판부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와, 기판부의 다른 면에 안테나 패턴의 단자 위치와 제 2 접착제 필름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제 2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와, 제 2 접착제 필름을 통하여 기판부의 다른 면에 전자파를 흡수하는 흡수체의 일면을 기판부의 단자 위치와 흡수체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적층하는 단계와, 흡수체의 다른 면에 관통공의 위치와 제 3 접착제 필름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제 3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와, 제 3 접착제 필름을 통하여 흡수체의 다른 면에 제 2 보호필름을 흡수체의 관통공과 제 2 보호필름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적층하는 단계 및 적층된 순서를 일체로 핫프레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바람직하게, 흡수체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와 제 3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의 사이에는 흡수체의 다른 면에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물질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흡수체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와 제 3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의 사이에는 흡수체의 다른 면에 도전성 물질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제 1 보호필름의 다른 면에 바인더를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 1 보호필름의 다른 면에 양면테이프를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안테나 패턴이 구성된 기판부을 구비하는 단계와, 기판부의 일 면에 안테나 패턴의 단자 위치와 제 1 접착제 필름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제 1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와, 제 1 접착제 필름을 통하여 기판부의 일 면에 전자파를 흡수하는 흡수체의 일면을 기판부의 단자 위치와 흡수체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적층하는 단계와, 흡수체의 다른 면에 관통공의 위치와 제 2 접착제 필름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제 2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와, 제 2 접착제 필름을 통하여 흡수체의 다른 면에 제 1 보호필름을 흡수체의 관통공과 제 1 보호필름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적층하는 단계 및 적층된 순서를 일체로 핫프레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바람직하게, 흡수체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와 제 2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의 사이에는 흡수체의 다른 면에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물질을 흡수체의 관통공과 도전성 물질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흡수체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와 제 2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의 사이에는 흡수체의 다른 면에 도전성 물질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기판부의 다른 면에 바인더를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기판부의 다른 면에 양면테이프를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들은 도전성 물질이 증착된 흡수체에 의하여 필름형 안테나에 유입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고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교류신호가 인근의 도체로 유출되어 와전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므로 안테나의 송수신 특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필름형 안테나에 흡수체를 부착하면서 핫프레스 처리로 두께를 얇게하여 미관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들은 필름형 안테나에 흡수체를 내장하므로 제조공정을 간단하게 하고 생산비용을 줄이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에 의하여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제 1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구성 도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를 배터리에 부착한 상태 설명을 위한 절단면 도시도,
도 4 는 본 발명이 제 2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구성 도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를 케이스에 부착한 상태 설명을 위한 절단면 도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하여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7 은 본 발명이 제 3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구성 도시도,
그리고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를 배터리에 부착한 상태 설명을 위한 절단면 도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양면접착 테이프, 핫멜트 테이프는 양쪽 면에 각각 접착재료를 형성한 것으로 분리된 2 개의 물체를 서로 부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테이프이며, 접착제는 액체 또는 반액체 또는 가루 상태로 제공되고 분리된 2 개의 물체를 부착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양면접착 테이프, 핫멜트 테이프, 접착제는 이하에서 혼용하거나 대체 사용할 수 있다.
몰드(mold)는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상판과 하판에 각각 선택된 물체의 외형을 분리한 상태로 음각하며, 결합한 상태에서 열가소성 재료를 주입하고 식혀 선택된 물체의 외형을 성형하는 것으로 금형 또는 사출금형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서 전자파와 전파는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하고, 금속성분, 금속체, 금속성 재료, 도전성 물체의 경우에도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하며 문맥에 따라 혼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접착제의 도포와 적층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필요에 의하여 혼용하기로 하며, 제시된 수치는 반복된 실험에 의하여 얻어진 최적의 값을 수치로 표현한다.
단면 인쇄회로기판은 단면 기판으로, 양면 인쇄회로기판은 양면 기판으로 설명하고, 구분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면기판과 양면기판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에 의하여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고, 도 2 는 본 발명이 제 1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구성 도시도 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를 배터리에 부착한 상태 설명을 위한 절단면 도시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이 제 2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구성 도시도 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를 케이스에 부착한 상태 설명을 위한 절단면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2 를 참조하면 제 1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10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 1 보호필름(1100), 제 1 접착제 필름(1200), 기판부(1300), 제 2 접착제 필름(1400), 흡수체(1500), 도전성 물질(1600), 양면테이프(1700)가 순차로 적층된 상태를 보여준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 1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10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제 1 보호필름(1100)을 구비한다(S1010).
제 1 보호필름(1100)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기판부(1300)를 보호하는 것으로, 폴리이미드(PI)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제 1 보호필름(1100)을 폴리이미드(PI)로 구비하는 경우에는 0.012 내지 0.013 밀리미터(mm) 범위의 두께로 구비하되 0.0125 밀리미터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제 1 보호필름(1100)을 폴리카보네이트(PC)로 구비하는 경우에는 0.06 밀리미터 이하의 두께로 구비하되 0.05 밀리미터의 두께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와 폴리카보네이트의 두께 범위는 예상되는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기판의 패턴이 파손되지 않고 보호되는 값으로 반복된 실험에 의하여 최적의 값을 얻을 수 있다.
제 1 보호필름(1100)의 일면에 제 1 접착제 필름(1200)을 대응하도록 밀착상태로 적층 또는 도포(이하, ‘적층’이라 한다.)하고, 다시 기판부(1300)의 일면이 부착되도록 적층한다(S1020).
제 1 접착제 필름(1200)은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접착제 필름을 사용하며 최소한의 접착성이 유지되는 두께인 0.013 밀리미터 이하의 범위로 적층하고 0.0125 밀리미터의 두께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부(1300)는 연성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안테나 패턴이 양면에 구성된 양면기판과 단면에 구성된 단면기판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기판부(1300)는 안테나 패턴에 신호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접점부(1302)를 구비하며, 제 1 실시 예에서는 기판부(1300)의 측면에 접점부(1302)를 구비한다.
연성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는 기판부(1300)는 단면기판인 경우에 0.05 내지 0.08 밀리미터 범위의 두께 중에서 선택하여 구성하고, 0.06 내지 0.07 밀리미터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양면기판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0.06 내지 0.09 밀리미터 범위의 두께로 구성하고 0.07 내지 0.08 밀리미터의 두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부(1300)는 폴리이미드를 베이스 메터리얼로 하고, 선택된 면에 안테나 패턴을 위한 동박(CUPPER CLAD)을 부착한다.
동박으로 안테나 패턴을 구성하는 방식은 사진 기법과 화학적 부식을 이용하는 식각(etching), 인쇄(printing), 접착층이 불필요한 증착, 와이어 임베딩(wire embedding) 등이 포함되는 것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한다.
기판부(1300)의 다른 면에 제 2 접착제 필름(1400)과 흡수체(1500)를 순차 적층한다(S1030).
제 2 접착제 필름(1400)는 제 1 접착제 필름(1200)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흡수체(absorber)(1500)는 인근 주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또는 전파를 흡수하는 것으로 페라이트로 이루어진다.
제 1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1500)의 두께는 0.07 내지 0.21 밀리미터 범위의 두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두께로 하고, 0.08 내지 0.2 밀리미터 범위의 두께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라이트는 자기장에 대한 투과성이 크므로 코일의 Q 값 조정에 사용할 수 있어 동조회로 및 안테나 등에 사용하고, 전기저항이 크므로 와전류를 감소시키는 변압기의 자심(磁心)으로 응용한다.
페라이트는 제 3 산화철을 주성분으로 하고 마그네슘, 알루미늄, 바륨, 망간, 구리, 니켈, 코발트, 철 등의 여러 가지 다른 금속과 반응하여 형성되고 자성체로 알려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투자율이 높은 자성체에 고주파 자계를 인가하면 자벽의 이동 또는 회전 자화 기구에 의해 자성체로 자화될 수 있고, 도전율이 작고 저항률이 큰 자성 분말을 사용하여 자성체의 와전류 손실을 낮출 수 있다.
페라이트를 필름형태로 구성하는 경우는 샌더스트(Sandust: Fe-Si-Al) 또는 카보닐 철(Fe-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연자성 금속 분말을 실리콘 고무에 혼합하여 핫프레스(Hot Press) 설비로 처리하므로 구성될 수 있다.
흡수체(1500)의 다른 면에는 도전성 물질(1600)을 선택(option)에 의하여 적층한다(S1040).
도전성 물질(1600)은 테이프 부착 방식, 도포 방식, 증착 방식 등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적층하고, 선택에 의하여 적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전성 물질(1600)은 흡수체(1500)에 미리 적층된 상태에서 흡수체(1500)가 제 2 접착제 필름(1400)에 적층되거나 또는 제 2 접착제 필름(1400)에 적층된 흡수체(1500) 위에 적층할 수 있다.
즉, 도전성 물질(1600)은 선택(option)에 의하여 적층하고, 흡수체(1500)에 미리 적층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이 완료된 경우(S1050), 적층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1000)가 일체로 부착되도록 핫프레스(hot-press) 한다(S1060).
적층된 상태가 일체로 핫프레스 처리되면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1000)가 완성되고, 완성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1000)의 도전성 물질(1600)에 양면 테이프(1700)의 일면을 적층한다.
양면 테이프(1700)의 다른 면은 배터리(5000)에 부착된다. 이때, 접점부(1302)가 배터리 단자(5002)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3 에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1000)가 양면테이프에 의하여 접점부(1302)와 배터리 단자(5002)의 위치가 일치하는 상태로 배터리(5000)에 적층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실시 예에 의하여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10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바람직한 두께는 아래의 표와 같다.
구성요소 두께범위(mm) 바람직한 두께(mm)
제 1 보호필름 0.012-0.013 0.0125
제 1 접착제 필름 0.013 이하 0.0125
기판부(양면) 0.06-0.09 0.07-0.08
제 2 접착제 필름 0.013 이하 0.0125
흡수체 0.07-0.21 0.08-0.2
도전성 물질 - -
양면테이프 0.015-0.025 0.02
제 1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1000)는 배터리에 부착하므로 흡수체의 두께를 두껍게 구성하였으나 핫프레스에 의하여 전체의 두께를 0.34 밀리미터 이하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1 보호필름(1100), 제 1 접착제 필름(1200), 양면테이프(1700)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두께를 더욱 얇게 하면서 제조비용을 낮추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판부의 신호를 입력과 출력하는 접점부(1302)를 일 측단 테두리에 구성하므로 배터리 단자의 방향과 일치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4 를 참조하면 제 2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20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 1 보호필름(2100), 제 1 접착제 필름(2200), 기판부(2300), 제 2 접착제 필름(2400), 흡수체(2500), 도전성 물질(2600), 제 3 접착제 필름(2700), 제 2 보호필름(2800)이 순차로 적층되고, 제 1 보호필름(2100)의 다른 면에 바인더(2900) 또는 양면 테이프(2902)가 선택적으로 적층된다.
제 2 실시 예에 의한 제 1 보호필름(2100), 제 1 접착제 필름(2200), 기판부(2300), 제 2 접착제 필름(2400), 흡수체(2500), 도전성 물질(2600)의 구성은 제 1 실시 예에 의한 제 1 보호필름(1100), 제 1 접착제 필름(1200), 기판부(1300), 제 2 접착제 필름(1400), 흡수체(1500), 도전성 물질(1600)의 구성과 동일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 나는 부분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실시 예에 의한 기판부(2300)는 안테나 패턴에 신호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접점부(2302)를 선택된 일면에 구성하는 차이가 있다.
제 2 접착제 필름(2400)과 흡수체(2500)와 도전성 물질(2600)은 접점부(2302)에 대응하는 관통공을 각각 구성하는 차이가 있다.
흡수체(2500)는 두께를 0.07 내지 0.11 밀리미터 범위로 하고, 바람직하게 0.08 내지 0.1 밀리미터 범위 선택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한편, 도전성 물질(2600)에 제 3 접착제 필름(2700)과 제 2 보호필름(2800)을 관통공이 일치하는 상태로 적층하고, 제 1 보호필름(2100)의 다른 면에 바인더(2900) 또는 양면테이프(2902)를 적층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제 2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2000)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 보호필름(2100)과 제 1 접착제 필름(2200)과 기판부(2300)와 제 2 접착제 필름(2400)과 흡수체(2500)와 도전성 물질(2600)을 순차 적층하는 S1010 내지 S1050 까지의 단계는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순차 적층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2000)의 도전성 물질(2600)에 제 3 접착제 필름과 제 2 보호필름을 순차 적층한다.
그리고 선택(option)에 의하여 제 1 보호필름(2100)의 다른 면에 바인더(2902)를 적층한다(S1070).
이와 같이 순차 적층된 상태에서 일체가 되도록 핫프레스 처리하므로 제 2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2000)를 제조한다(S1060).
핫프레스가 완료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2000)의 제 1 보호필름(2100)에는 선택에 의하여 양면테이프(2902)를 적층할 수 있다.
양면테이프(2902)는 이동단말의 케이스(6000)에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2000)를 부착할 수 있다.
즉, 핫프레스가 완료된 상태의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2000)는 양면테이프(2902)를 적층하여 이동단말의 케이스(6000)에 부착하거나 바인더(2900)를 적층하여 AIM 방식으로 이동단말의 케이스에 포함하여 사출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 에는 제 2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2000)가 바인더(2900)에 의하여 케이스(6000)에 AIM 방식으로 사출된 상태의 절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접점부(2302)는 케이스의 내부로 노출된다.
제 2 실시 예에 의하여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20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바람직한 두께는 아래의 표와 같다.
구성요소 두께범위(mm) 바람직한 두께(mm)
바인더 - -
제1 보호필름 0.012-0.013 0.0125
제 1 접착제 필름 0.013 이하 0.0125
기판부 0.06-0.09 0.07-0.08
제 2 접착제 필름 0.012-0.013 0.0125
흡수체 0.07-0.11 0.08-0.1
도전성 물질 - -
제 3 접착제 필름 0.012-0.013 0.0125
제 2 보호필름 0.012-0.013 0.0125
제 2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2000)는 기판부(2300)를 양면기판으로 구비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보호필름(2100, 2800)으로 폴리이미드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고, 핫프레스에 의하여 전체 약 0.23 밀리미터의 두께를 유지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PC)를 사용하는 경우,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 질 수 있으나 핫프레스에 의하여 약 0.3 밀리미터의 두께를 유지할 수 있고, AIM(antenna in mold) 방식으로 사출하는 경우 이동단말 케이스의 전체 두께를 1.2 밀리미터로 유지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PC)를 사용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용(NFC) 안테나의 성능은 더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보호필름(2100, 2800)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비하지 않을 경우, 제 1 또는 제 3 접착제 필름(2200, 2700)을 함께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하여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며, 도 7 은 본 발명이 제 3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구성 도시도 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를 배터리에 부착한 상태 설명을 위한 절단면 도시도 이다.
제 3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3000)의 구성은 첨부된 도 7 을 참조하면 기판부(3100), 제 1 접착제 필름(3200), 흡수체(3300), 도전성 물질(3400), 제 2 접착제 필름(3500), 제 1 보호필름(3600)을 포함하여 순차 적층되는 구성이고, 선택에 의하여 기판부(3100)의 다른 면에 바인더(3700) 또는 양면 테이프(3702)를 적층할 수 있다.
제 3 실시 예에 의한 기판부(3100)는 단면 인쇄회로기판이므로 제 2 실시 예에 의한 기판부(2300)의 양면 인쇄회로기판 구성과 차이가 있다.
제 3 실시 예에 의한 제 1 접착제 필름(3200), 흡수체(3300), 도전성 물질(3400), 제 2 접착제 필름(3500), 제 1 보호필름(3600)은 제 2 실시 예에 의한 제 2 접착제 필름(2400), 흡수체(2500), 도전성 물질(2600), 제 3 접착제(2700), 제 2 보호필름(2800)과 동일한 순서로 적층되는 구성이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 3 실시 예에 의한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판부(3100)를 구비한다(S2010).
기판부(3100)는 단면 기판이므로 일면에 안테나 패턴을 구성하고, 안테나 패턴에 신호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접점부(3102)를 구성한다.
기판부(3100)의 일면에 제 1 접착제 필름(3200)과 흡수체(3300)를 순차 적층한다(S2020).
제 1 접착제 필름(3200)과 흡수체(3300)는 관통공을 구성하고, 관통공은 기판부(3100)의 접점부(3102)와 일치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적층한다.
흡수체(3300)의 다른 면에는 선택(option)에 의하여 도전성 물질(3400)이 적층될 수 있다(S2030).
이하의 설명에서 도전성 물질(3400)이 적층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전성 물질(3400)에 제 2 접착제 필름(3500)과 제 1 보호필름(3600)을 순차 적층한다(S2040).
제 2 접착제 필름(3500)과 제 1 보호필름(3600)에는 기판부(3100)의 접점부(3102)에 상응하는 관통공이 구성되어 있으며, 접점부와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적층한다.
기판부(3100), 제 1 접착제 필름(3200), 흡수체(3300), 도전성 물질(3400), 제 2 접착제 필름(3500), 제 1 보호필름(3600)의 순차 적층이 완료된 상태가 일체로 부착되도록 핫프레스 처리한다(S2050).
핫프레스 처리가 완료된 상태에서 선택(option)에 의하여 기판부(3100)의 다른 면에 바인더(3700)를 적층한다(S2060).
여기서 바인더(3700) 대신에 양면테이프(3702)를 적층할 수 있다.
바인더(3700)를 적층하는 경우에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3000)를 케이스(6000)와 함께 사출하기에 적합하고, 양면테이프(3702)를 적층하는 경우에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3000)를 케이스에 부착하기에 적합하다.
첨부된 도 8 은 이동단말용 케이스(6000)의 홈부(6002)에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3000)를 양면테이프(3702)로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절단면 도시도 이다.
케이스(6000)에 홈부(6002)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양면테이프(3702)를 이용하여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3000)를 임의로 지정된 장소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0, 2000, 3000 :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1100, 2100, 3600 : 제 1 보호필름
1200, 2200, 3200 : 제 1 접착제 필름
1300, 2300, 3100 : 기판부 1302, 2302, 3102 : 접점부
1400, 2400, 3500 : 제 2 접착제 필름
1500, 2500, 3300 : 흡수체 1600, 2600, 3400 : 도전성 물질
1700, 2902, 3702 : 양면 테이프 2700 : 제 3 접착제 필름
2800 : 제 2 보호필름 2900, 3700 : 바인더
5000 : 배터리 5002 : 배터리 단자
6000 : 케이스

Claims (15)

  1.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 보호필름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보호필름의 일면에 제 1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 1 접착제 필름을 통하여 상기 제 1 보호필름의 일면에 안테나 패턴이 구성된 기판부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기판부의 다른 면에 제 2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 2 접착제 필름을 통하여 상기 기판부의 다른 면에 전자파를 흡수하는 흡수체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된 순서를 일체로 핫프레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핫프레스하는 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흡수체의 다른 면에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물질을 적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핫프레스하는 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흡수체의 다른 면에 도전성 물질을 증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핫프레스된 흡수체의 다른면에 양면 테이프를 적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물질에 양면 테이프를 적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
  6.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 보호필름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보호필름의 일면에 제 1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 1 접착제 필름을 통하여 상기 제 1 보호필름의 일면에 안테나 패턴이 구성된 기판부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기판부의 다른 면에 상기 안테나 패턴의 단자 위치와 제 2 접착제 필름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 2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 2 접착제 필름을 통하여 상기 기판부의 다른 면에 전자파를 흡수하는 흡수체의 일면을 상기 기판부의 단자 위치와 상기 흡수체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적층하는 단계;
    상기 흡수체의 다른 면에 상기 관통공의 위치와 제 3 접착제 필름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 3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 3 접착제 필름을 통하여 상기 흡수체의 다른 면에 제 2 보호필름을 상기 흡수체의 관통공과 상기 제 2 보호필름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된 순서를 일체로 핫프레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흡수체의 다른 면에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물질을 적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흡수체의 다른 면에 도전성 물질을 증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호필름의 다른 면에 바인더를 적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호필름의 다른 면에 양면테이프를 적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
  11.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안테나 패턴이 구성된 기판부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부의 일 면에 상기 안테나 패턴의 단자 위치와 제 1 접착제 필름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 1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 1 접착제 필름을 통하여 상기 기판부의 일 면에 전자파를 흡수하는 흡수체의 일면을 상기 기판부의 단자 위치와 상기 흡수체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적층하는 단계;
    상기 흡수체의 다른 면에 상기 관통공의 위치와 제 2 접착제 필름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 2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 2 접착제 필름을 통하여 상기 흡수체의 다른 면에 제 1 보호필름을 상기 흡수체의 관통공과 상기 제 1 보호필름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된 순서를 일체로 핫프레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흡수체의 다른 면에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물질을 상기 흡수체의 관통공과 상기 도전성 물질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적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일면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접착제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흡수체의 다른 면에 도전성 물질을 증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의 다른 면에 바인더를 적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
  15.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의 다른 면에 양면테이프를 적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 제조방법.
KR1020110020266A 2011-03-08 2011-03-08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 KR101079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266A KR101079838B1 (ko) 2011-03-08 2011-03-08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266A KR101079838B1 (ko) 2011-03-08 2011-03-08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9838B1 true KR101079838B1 (ko) 2011-11-03

Family

ID=4539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266A KR101079838B1 (ko) 2011-03-08 2011-03-08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8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819B1 (ko) 2012-01-20 2012-08-09 에이큐 주식회사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
KR101308594B1 (ko) 2012-04-12 2013-09-17 민송기 이동통신단말기용 박형 엔에프씨 태그 안테나의 제조방법
WO2014104816A1 (ko) * 2012-12-27 2014-07-03 주식회사 아모센스 전자파 흡수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1424040B1 (ko) 2013-02-19 2014-07-28 국방과학연구소 스마트 스킨의 제조방법
KR20160125638A (ko) 2015-04-22 2016-11-01 주식회사 엠플렉스 엔에프시용 안테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819B1 (ko) 2012-01-20 2012-08-09 에이큐 주식회사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
KR101308594B1 (ko) 2012-04-12 2013-09-17 민송기 이동통신단말기용 박형 엔에프씨 태그 안테나의 제조방법
WO2014104816A1 (ko) * 2012-12-27 2014-07-03 주식회사 아모센스 전자파 흡수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US9832917B2 (en) 2012-12-27 2017-11-28 Amosense Co., Ltd. Electromagnetic wave absorbing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424040B1 (ko) 2013-02-19 2014-07-28 국방과학연구소 스마트 스킨의 제조방법
KR20160125638A (ko) 2015-04-22 2016-11-01 주식회사 엠플렉스 엔에프시용 안테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3358B2 (en) Receiving antenna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566824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for vehicles
KR101707883B1 (ko) 하이브리드형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US10332672B2 (en) Heat radiation unit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having same
US10923807B2 (en) Combo type antenna module
KR101177302B1 (ko) 전자파흡수시트를 포함하는 무선인식 및 무선충전 겸용 무선안테나, 그것의 제조방법
JP2019091901A (ja) 無線電力受信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3641144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US9460847B2 (en) Soft magnetic layer, receiving antenna,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827721B1 (ko) 차량용 안테나 모듈
KR102017669B1 (ko)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형 유닛, 무선 전력 전송장치, 전자기기 및 무선전력 전송용 코일형 유닛의 제조방법
KR20130050633A (ko) 하이브리드형 자기장 차폐시트,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기
KR101498570B1 (ko) 다층 구조의 고기능 자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079838B1 (ko)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
KR101795546B1 (ko) 무선충전용 차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KR101394508B1 (ko) 연자성 시트,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의 무선 충전 방법
KR20140103063A (ko) 전자파 흡수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KR102154197B1 (ko)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US1122808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structure for both heat dissipation and radiation
KR101758133B1 (ko) 적층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KR20160043293A (ko)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형 유닛 및 무선전력 전송용 코일형 유닛의 제조방법
KR101704801B1 (ko) 자성체 시트를 이용한 적층형 안테나
KR101172819B1 (ko) 흡수체 내장형 필름 안테나의 제조방법
KR102081365B1 (ko)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형 유닛, 무선 전력 전송장치, 전자기기 및 무선전력 전송용 코일형 유닛의 제조방법
KR101758137B1 (ko) 접착 부재와 이를 구비하는 적층 구조물 및 모바일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