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186B1 - 상근용 철근받침대 - Google Patents

상근용 철근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186B1
KR101078186B1 KR1020110051834A KR20110051834A KR101078186B1 KR 101078186 B1 KR101078186 B1 KR 101078186B1 KR 1020110051834 A KR1020110051834 A KR 1020110051834A KR 20110051834 A KR20110051834 A KR 20110051834A KR 101078186 B1 KR101078186 B1 KR 101078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elastic plate
reinforcement
upper horizontal
eccen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051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1Spacer blocks with embedded separate holding wire or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RC, Reinforced Concrete)의 슬래브에 적용되는 상부수평철근(상근)을 지지하기 위한 철근받침대가 상부수평철근으로부터 회전되면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철근의 피복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상근용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철근삽입부(32)로 삽입되는 탄성플레이트(40)의 좌우측 단부에 홈(34)(35)에 걸리는 걸림부(41)(42)를 형성하고, 탄성플레이트(4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43)의 좌우측에 샤프트지지판(44)(45)을 설치하며, 외주면에 나사산(51)이 형성된 편심클램프(50)를 편심축(52)에 의해 상부수평철근(31)과 직교하도록 샤프트지지판(44)(45)에 설치하고, 편심클램프(50)의 잠금/해제를 위한 레버(60)를 편심클램프(50)에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며, 본 발명은 철근받침대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탄성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하향절곡부에 의해 철근받침대가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근용 철근받침대{Upper rebar supporter}
본 발명은 상근용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 콘크리트(RC, Reinforced Concrete)의 슬래브에 적용되는 상부수평철근(상근)을 지지하기 위한 철근받침대가 상부수평철근으로부터 회전되면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철근의 피복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상근용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건출물에 사용되는 철근은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를 확보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철근과 거푸집사이로 골재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콘크리트에 의해 적절한 두께로 피복되어야 하며, 대기중 수분에 의한 부식에 취약한 철근이 대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철근의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건물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철근은 고온(약 600도)에서 급격한 강도저하(항복점의 약 1/2로 떨어짐)가 발생되기 때문에 화재시 철근이 화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철근의 콘크리트 피복두께는 건축물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위와 같이 철근의 피복두께확보를 위해 슬래브, 벽체, 기둥, 보에 사용되는 각종 철근과 거푸집 사이에 위치되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철근받침대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철근받침대는 플라스틱, 고강도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강봉, 강판 등으로 제조된다.
특히 건축물의 슬래브에 사용되는 상부수평철근의 피복두께 확보를 위해 사용되는 종래 철근받침대는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0)의 상면에 세워지는 다리부(21)의 상측에 상부수평철근(12)이 끼워지는 “U”자 모양의 철근삽입부(22)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상부수평철근(1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걸림부(23)(24)가 철근삽입부(22)의 좌우측 상단부에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었고, 철근삽입부(22)의 내측벽면에는 상부수평철근(12)의 측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평리브(25)(26)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철근받침대(20)는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배근 작업 중 또는 콘크리트 타설작업 중에 상부수평철근(12)의 길이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면, 탄성에 의해 약간의 움직임은 있으나 탄성걸림부(23)(24)에 의해 완전하게 전도되지 않고 버티는 힘은 있으나 첨부도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수평철근(12)의 중심에서 회전되는 방향인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면, 쉽게 회전되면서 전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철근받침대(20)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걸림부(23)(24)가 상부수평철근(12)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되는 단면을 갖도록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철근받침대(20)가 전후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에는 탄성걸림부(23)(24)에 의해 버티는 힘이 있지만 상부수평철근(12)의 중심에서 회전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에 대해서는 특히 다리부(21) 좌우폭에 비해 키가 높기 때문에 약간의 힘으로도 쉽게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상부수평철근(12)을 지지하고 있던 철근받침대(20)가 전도되면, 상부수평철근(12)의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확보하지 못해 화재시 상부수평철근(12)이 화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구조물의 급격한 강도저하가 염려되며, 대기중에 노출된 철근은 부식이 빠르게 진행되어 콘크리트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되고, 철근의 일부에만 콘크리트가 부착되어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가 크게 떨어지게 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골재의 이동에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더욱이 콘크리트 타설작업 중에는 철근받침대(20)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철근받침대(20)의 전도를 발견할 수 없으므로, 타설작업전에 철근받침대(2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은 더욱 중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에 사용되는 상부수평철근을 지지하기 위한 철근받침대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상근용 철근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철근삽입부로 삽입되는 탄성플레이트의 좌우측 단부에 상기 홈에 걸리는 걸림부를 형성하고, 탄성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의 좌우측에 샤프트지지판을 설치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편심클램프를 편심축에 의해 상부수평철근과 직교하도록 샤프트지지판에 설치하고, 편심클램프의 잠금/해제를 위한 레버를 편심클램프에 설치하여 상근용 철근받침대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철근받침대의 철근삽입부에 지지된 상부수평철근을 편심클램프와 탄성플레이트에 의해 압박하면서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수평철근을 중심으로 철근받침대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상부수평철근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편심클램프에 의해 철근받침대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철근받침대가 회전되면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철근받침대의 다리부가 전후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탄성플레이트의 전후방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하향절곡부가 상부수평철근에 접촉되면서 철근받침대의 회전각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철근받침대가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상근용 철근받침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상근용 철근받침대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종래 상근용 철근받침대를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근용 철근받침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근용 철근받침대가 해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근용 철근받침대가 잠금상태로 전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근용 철근받침대가 잠금상태로 전환된 것을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근용 철근받침대를 보인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부 구조의 다른 예를 보인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4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수평철근(31) 삽입을 위한 철근삽입부(32)가 다리부(33)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철근삽입부(32) 상단 내측에 홈(34)(35)이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철근받침대(30)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철근삽입부(32)로 삽입되는 탄성플레이트(40)의 좌우측 단부에 상기 홈(34)(35)에 걸리는 걸림부(41)(42)를 형성하고, 탄성플레이트(4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43)의 좌우측에 샤프트지지판(44)(45)을 설치하며, 외주면에 나사산(51)이 형성된 편심클램프(50)를 편심축(52)에 의해 상부수평철근(31)과 직교하도록 샤프트지지판(44)(45)에 설치하고, 편심클램프(50)의 잠금/해제를 위한 레버(60)를 편심클램프(50)에 설치한다.
또한, 탄성플레이트(40)는 좌우측에 형성된 둔각절곡부(46)(47)에 의해 역(逆) 사다리꼴 형태로 절곡하여 철근삽입부(32)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할 때 양단이 오므라들면서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편심클램프(50)에 의해 탄성플레이트(40)가 상측으로 힘을 받을 때 양단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 탄성플레이트(40)를 철근삽입부(32)에 결합할 때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할 수도 있지만 철근삽입부(32)의 정면 또는 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삽입할 수 도 있다.
그리고 탄성플레이트(40)의 전후방 가장자리에 하향절곡부(48)(49)를 형성하여 철근받침대(30)가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회전모멘트를 받을 때 상부수평철근(31)의 상측에 접촉되면서 철근받침대(30)의 회전각도를 제한함으로써 철근받침대(30)의 전도를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41)(42)는 첨부도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플레이트(40)의 가장자리를 둥글게 말은 컬링(curling) 형태로 구성하거나 첨부도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플레이트(40)의 가장자리를 “V”형으로 절곡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레버(60)는 편심축(52) 삽입을 위한 구멍(61)이 형성되고, 그 구멍(61)의 편측에는 고정핀(62) 삽입을 위한 핀구멍(63)을 형성한다. 즉, 레버(60)는 편심클램프(50)의 일측 단면에 결합되며, 편심축(52)과 고정핀(62)에 의해 편심클램프(50)와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또, 편심클램프(5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1)은 바람직하게는 삼각형의 나사산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나사산의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편심클램프(50)에는 편심축(52)의 삽입을 위한 편심구멍(53)이 형성되고, 일측단부에는 고정핀(62)을 삽입하기 위한 압입구멍(54)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4 내지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위한 상부수평철근(31)을 배근하는 과정에서 거푸집 위에 세워진 철근받침대(30)의 상단에 형성된 철근삽입부(32)에 상부수평철근(31)을 삽입하게 되면, 상부수평철근(31)이 철근받침대(30)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지지된다.
이후 철근받침대(30)의 상측에 형성된 철근삽입부(32)로 탄성플레이트(4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하게 되면, 탄성플레이트(40)의 좌우측 단부가 안쪽으로 오므라들면서 철근삽입부(32)로 진입된다.
이때 탄성플레이트(40)의 좌우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41)(42)가 철근삽입부(32)에 형성된 홈(34)(35)에 일치되는 순간 탄성플레이트(4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탄성플레이트(40)의 좌우측에 형성된 걸림부(41)(42)가 철근삽입부(32)의 홈(34)(35)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플레이트(40)를 철근삽입부(32)의 상측에서 삽입할 수도 있지만 철근삽입부(32)의 정면 또는 후면에서 걸림부(41)(42)와 홈(34)(35)을 일직선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삽입해도 된다.
한편, 탄성플레이트(40)가 철근삽입부(32)에 결합된 상태에서 편심클램프(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60)를 아래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편심클램프(50)가 편심축(5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편심클램프(5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51)이 상부수평철근(31)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걸리게 된다.
즉, 편심클램프(50)가 편심축(52)에 의해 편심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레버(60)에 의해 회전될 때 하향돌출거리가 점점 증가되면서 편심클램프(5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51)이 상부수평철근(31)을 더욱 강하게 누르면서 편심클램프(5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1)이 상부수평철근(31)의 표면을 미세하게 파고들게 된다.
그리고, 탄성플레이트(40)의 좌우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41)(42)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말린 커얼링 형태로 형성된 경우 걸림부(41)(42)가 반원형으로 형성된 홈(34)(35)에 면접촉되면서 편심클램프(50)의 클램프시 탄성플레이트(40)를 통해 철근삽입부(32)의 홈(34)(35)에 작용되는 반력이 좀 더 넓은 면적에 분포될 수 있게 되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41)(42)가 “V”형으로 절곡된 경우 탄성플레이트(40)을 철근받침대(30)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할 때 진입이 보다 부드럽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수평철근(31)이 철근받침대(30)의 철근삽입부(32)에 삽입되고, 탄성플레이트(40)와 편심클램프(50)에 의해 상부수평철근(31)이 철근삽입부(32)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철근받침대(30)가 상부수평철근(31)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편심클램프(5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1)이 상부수평철근(31)의 표면에 밀착되어 있고 편심클램프(50)가 상부수평철근(3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편심클램프(50)와 상부수평철근(31)의 마찰력에 의해 철근받침대(30)의 회전이 저지된다.
또, 철근받침대(30)의 다리부(33)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서 외력이 작용되어 다리부(33)가 철근삽입부(32)를 기점으로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회전모멘트를 받는 경우 탄성플레이트(40)의 전후방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하향절곡부(48)(49)에 상부수평철근(31)이 접촉되면서 철근받침대(30)의 회전각도가 제한되어 철근받침대(30)가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30 : 철근받침대 31 : 상부수평철근
32 : 철근삽입부 33 : 다리부
34,35 : 홈 40 : 탄성플레이트
41,42 : 걸림부 43 : 관통홀
44,45 : 샤프트지지판 46,47 : 둔각절곡부
48,49 : 하향절곡부 50 : 편심클램프
51 : 나사산 52 : 편심축
53 : 편심구멍 54 : 압입구멍
60 : 레버 61 : 구멍
62 : 고정핀 63 : 핀구멍

Claims (6)

  1. 상부수평철근(31) 삽입을 위한 철근삽입부(32)가 다리부(33)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철근삽입부(32) 상단 내측에 홈(34)(35)이 형성되어 있는 상근용 철근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철근삽입부(32)로 삽입되는 탄성플레이트(40)의 좌우측 단부에 상기 홈(34)(35)에 걸리는 걸림부(41)(42)를 형성하고, 탄성플레이트(4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43)의 좌우측에 샤프트지지판(44)(45)을 설치하며, 외주면에 나사산(51)이 형성된 편심클램프(50)를 편심축(52)에 의해 상부수평철근(31)과 직교하도록 샤프트지지판(44)(45)에 설치하고, 편심클램프(50)의 잠금/해제를 위한 레버(60)를 편심클램프(50)에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근용 철근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플레이트(40)는 좌우측에 형성된 둔각절곡부(46)(47)에 의해 역(逆) 사다리꼴 형태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근용 철근받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41)(42)는 탄성플레이트(40)의 가장자리를 둥글게 말은 컬링(curling)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근용 철근받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41)(42)는 탄성플레이트(40)의 가장자리를 “V”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근용 철근받침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60)는 편심축(52) 삽입을 위한 구멍(61)이 형성되고, 그 구멍(61)의 편측에 고정핀(62) 삽입을 위한 핀구멍(6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근용 철근받침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플레이트(40)의 전후방 가장자리에 하향절곡부(48)(49)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근용 철근받침대.
KR1020110051834A 2011-05-31 2011-05-31 상근용 철근받침대 KR101078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834A KR101078186B1 (ko) 2011-05-31 2011-05-31 상근용 철근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834A KR101078186B1 (ko) 2011-05-31 2011-05-31 상근용 철근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186B1 true KR101078186B1 (ko) 2011-11-01

Family

ID=4539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834A KR101078186B1 (ko) 2011-05-31 2011-05-31 상근용 철근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1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9895A (ja) 2005-02-10 2006-08-24 Fukoku Sekiyu Kk 鉄筋コンクリート用スペーサ
JP2007308984A (ja) 2006-05-19 2007-11-29 Art Space Kk 鉄筋コンクリート施工用スペーサ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9895A (ja) 2005-02-10 2006-08-24 Fukoku Sekiyu Kk 鉄筋コンクリート用スペーサ
JP2007308984A (ja) 2006-05-19 2007-11-29 Art Space Kk 鉄筋コンクリート施工用スペーサ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6895B2 (en) Insert bolt having anti-turn function
KR102118401B1 (ko) 체결형 데크플레이트
KR101078186B1 (ko) 상근용 철근받침대
KR200420004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0989771B1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KR101950678B1 (ko) 건축용 조적벽 보강장치
KR100917308B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JP2012509426A (ja) 足場板固定装置
KR101120430B1 (ko) 고정클립을 갖는 철근스페이서
KR101687542B1 (ko) 상부수평철근용 철근스페이서의 고정구조
KR20230039804A (ko) 기구물 부착을 위한 건식 벽체용 보강대
KR101096604B1 (ko) 상부수평철근을 위한 전도방지 철근스페이서
JP6815248B2 (ja) アンカーボルト支保装置
KR20110108902A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200411023Y1 (ko) 알루미늄폼용 수평지지대 고정구
KR20160096780A (ko) 거푸집용 밴드 체결구
KR100724616B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101743207B1 (ko) 건축외장재 설치 기구
KR200346435Y1 (ko)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KR101691580B1 (ko) 외장패널의 사선방향 설치가 가능한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122529B1 (ko) 상근용 철근받침대
KR200394623Y1 (ko) 유로폼 보강재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
KR20090004113U (ko) 코너 벽면용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KR200280024Y1 (ko) 건설용 철근 지지구
KR200408544Y1 (ko) 거푸집판 체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