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617B1 - 이동 가능한 조립식 자동차 세차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조립식 자동차 세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617B1
KR101075617B1 KR1020080108363A KR20080108363A KR101075617B1 KR 101075617 B1 KR101075617 B1 KR 101075617B1 KR 1020080108363 A KR1020080108363 A KR 1020080108363A KR 20080108363 A KR20080108363 A KR 20080108363A KR 101075617 B1 KR101075617 B1 KR 101075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water
main body
panel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9265A (ko
Inventor
변병배
Original Assignee
변병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병배 filed Critical 변병배
Priority to KR1020080108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6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7/00Methods preventing fouling
    • B08B17/02Preventing deposition of fouling or of dust
    • B08B17/025Prevention of fouling with liquids by means of devices for containing or collecting sai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판넬을 테두리 및 내부에 세워 조립한 공간에 분리 수용 가능한 각 수조가 물길이 이어지도록 수로를 이루는 통로연결홈(33)을 내부판넬에 가지도록 이루어진 본체(30); 본체(30) 내에 폭 방향 보강을 위하여 일정 길이 간격으로 부가 구획되고 수로가 이어지도록 수로연결홈(42) 및 수로지지홈(44)을 가지고 각각의 제1 배수관(50)을 순차 수용하는 각각의 중앙연결판넬(40); 각 제 1 배수관(50)을 통하는 세차한 물을 폐수처리공간(70)으로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제 2 배수관(60); 중앙 연결판넬(40)의 수로 지지홈(44) 에 지지되어 세차한 물을 1차로 수집하고 이어 제 1 배수관(50)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수집로드(80); 상기 수집로드(80)로 세차한 물이 1차로 수집되도록 상기 수집로드(80)를 제외한 본체 상면을 덮는 커버(130); 본체(30)의 안쪽에 설정한 폐수처리공간(70)에 해당하는 커버(130) 위에 설치하여 폐수를 처리하는 폐수처리조(76); 및 처리한 물을 세차용으로 저장하는 물통(75)을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조립식 세차장치이다.
세차,이동가능,조립식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조립식 자동차 세차장치{Car cleaning apparatus capable of movable means}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조립식 자동차 세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판넬을 세워 일정 공간을 만들고 그 공간에 수로가 형성되어 여과기능과 세차한 물의 이동을 지연시키는 수단을 겸하도록 하여 이물질의 수거를 가능토록 하고, 세차한 물을 폐수처리탱크에서 처리하여 다시 사용토록 함으로써 오염물 배출 없이 건물 내부 공간에서도 세차 가능토록 하는 이동 가능한 조립식 자동차 세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세차는 가정이나 주차장, 도로 등에서 물과 세제를 이용 세차를 행하였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세제와 기름 등의 오염물질을 여과 없이 하수구로 흘려 버리게 되어 환경 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가지며, 특히 아파트 지역과 같은 인구밀집 지역에서는 개인의 세차 행위를 금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 세차장에서 인력에 의존하여 세차를 하는 경우에는 고용된 작업자의 고 임금화에 따라 세차비용이 상승 및 차량 내의 물품 분실에 따른 책임 배상 등의 문제로, 차량 소유자들이 일반 세차장의 이용을 기피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 자동화된 세차 설비를 외국으로부터 수입하여 사용하는 자동 세차 장치의 경우에는, 이는 빠른 시간 내에 세차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설비 가격이 고가인 관계로 영세 세차장에는 설치가 불가능하고, 자동 세차 장치의 구조적인 문제로 차량의 표면은 어느 정도 세차가 이루어지나 저면 및 표면의 일부 깊숙한 부위는 세차가 이루어지지 않는 또 다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고안된 종래의 셀프식 세차장치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벽체(10)에 설치된 지지대(11)의 하단에 축(12)을 형성시키고, 상기 축(12)에 베어링(13, 14)을 연결해 상기 베어링(13, 14)에 거품호스 지지관(20)과 물공급 호스 지지관(21)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관(20, 21)에 연결되는 물공급 호스(20a)와 거품 공급 호스(21a)의 끝단부에 분사 건(23)과 거품 솔(22)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종래의 세차 장치는 물공급호스에는 수도관이나 별도의 물탱크를 통하여 공급받고, 세차한 물은 하수도로 배출하여 오염의 요인이 된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별도의 정화시설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저장탱크 등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지상에 설치하여야하고, 건물 지하실 등에서 하는 세차는 수작업에 의한 간이 세차만 가능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해하여 조립 설치할 수 있는 조립 가능한 이동 가능한 조립식 자동차 세차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차한 물을 이동통로를 늘리고 이동속도를 줄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폐수처리를 하여 세차한 물을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오수의 배출 이 없는 이동 가능한 조립식 자동차 세차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차한 물의 순환 과정 중에 세차한 물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킴으로 이물질을 흡착 가능한 흡착포를 두어 이를 교체하여 깨끗한 원수로 재생 가능토록 하여 폐수 배출이 어려운 건물 지하차고 등에서도 세차를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차한 물의 이동을 가능토록 하는 각 지점마다 배수관을 분리 가능토록 구획 처리하여 분해 조립과 이동을 가능토록 하는 이동 가능한 조립식 자동차 세차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세차할 바닥에는 커버를 씌워 세차한 물이 수집 로드로만 이동하도록 하여 항상 깨끗한 바닥면을 유지토록 하는 이동 가능한 조립식 자동차 세차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커버에 일정 간격마다 도어를 설치하고 문에는 투명창을 두어 내부에 이물질이 쌓였는지를 보면서 세차하여 수집로드가 막히는지를 바로 알 수 있어 고장을 미연에 막을 수 있도록 하는 이동 가능한 조립식 자동차 세차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각 판넬을 테두리 및 내부에 세워 조립한 공간에 분리 수용 가능한 각 수조가 물길이 이어지도록 수로를 이루는 통로연결 홈을 내부판넬에 가지도록 이루어진 본체;
본체 내에 폭 방향 보강을 위하여 일정 길이 간격으로 부가 구획되고 상기 통로연결홈과 수로가 이어지도록 수로연결홈 및 수로지지홈을 가지고 각각의 제1 배수관을 순차 수용하는 각각의 중앙연결판넬;
각 제 1 배수관을 통과하여 통로연결홈을 거친 세차한 물을 폐수처리공간에 설치한 제 3 배수관으로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제 2 배수관;
중앙 연결판넬의 수로 지지홈에 지지되어 세차한 물을 1차로 수집하고 이어 제 1 배수관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수집로드;
상기 수집로드로 세차한 물이 1차로 수집되도록 상기 수집로드를 제외한 본체 상면을 덮는 커버;
본체의 안쪽에 설정한 폐수처리공간 부위의 커버 위에 설치하여 폐수를 정화처리하는 폐수처리조; 및
정화처리한 물을 세차용으로 저장하는 물통을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조립식 세차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세차장치를 분해하여 조립 설치할 수 있어 장소를 옮기거나 할 경우에도 편리하게 분해하여 원하는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차한 물을 이동통로를 늘리고 이동속도를 줄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폐수처리를 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폐수의 배출 이 없고, 깨끗한 환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세차한 물의 순환 과정 중에 세차한 물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키고 동시에 이물질을 흡착 가능한 흡착포를 두어 배출물을 깨끗하게 하며, 동시에 일정 주기로 이를 교체하면 항상 깨끗한 원수로 재생 가능토록 하여 폐수의 배출이 어려운 건물 지하차고 등에서도 세차를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은 세차한 물의 이동을 가능토록 하는 각 지점마다 배수관을 분리 가능토록 구획 처리하여 세차한 물의 이동을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필요시 분해 조립을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세차할 바닥에는 커버를 씌워 세차한 물이 수집로드로만 빠지게 하여 주변의 오염이 없이 항상 깨끗한 바닥면을 유지토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커버에 일정 간격마다 도어를 설치하고 문에는 투명창을 두어 내부에 이물질이 쌓였는지를 보면서 세차하여 수집로드가 막히는지를 바로 알 수 있어 고장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이는 부분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본체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본체에 가대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6 의 점선 원형 부분 확대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배수관을 안치시킨 구조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배수관을 안치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9 는 도 8 에 가대를 대고 수집로드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 은 도 9 의 원형부분 확대 분해사시도, 도 11 은 도 8 의 원형부분 확대 도면, 도 12 는 도 9 에 슬러지 흡착망을 부가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 은 도 12 에 격자형 보강대를 설치하는 것을 보이는 도면, 도 14 는 도 13 의 원형 부분 확대도, 도 15 는 도 13 에 격자형보강대와 맨홀덮개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6 은 도 15 에 커버를 씌운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7 은 도 16의 원형 부분 확대도, 도 18은 중간연결판넬과 수집로드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단면 사시도로,
각 판넬을 테두리 및 내부에 세워 조립한 공간에 분리 수용 가능한 각 수조가 물길이 이어지도록 수로를 이루는 통로연결홈(33)을 내부판넬에 가지도록 이루어진 본체(30);
본체(30) 내에 폭 방향 보강을 위하여 일정 길이 간격으로 부가 구획되고 상기 통로연결홈(33)과 수로가 이어지도록 수로연결홈(43)(42) 및 수로지지홈(44)을 가지고 각각의 제1 배수관(50)을 순차 수용하는 각각의 중앙연결판넬(40);
각 제 1 배수관(50)을 통과하여 통로연결홈(33)을 거친 세차한 물을 폐수처리공간(70)에 설치한 제 3 배수관(73)으로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제 2 배수관(60);
중앙 연결판넬(40)의 수로 지지홈(44) 에 지지되어 세차한 물을 1차로 수집하고 이어 제 1 배수관(50)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수집로드(80);
상기 수집로드(80)로 세차한 물이 1차로 수집되도록 상기 수집로드(80)를 제의한 본체 상면을 덮는 커버(130);
본체(30)의 안쪽에 설정한 폐수처리공간(70)부위의 커버(130) 위에 설치하여 폐수를 정화처리하는 폐수처리조(76); 및
정화처리한 물을 세차용으로 저장하는 물통(75)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본체(30)는 세차한 물이 흐르는 공간을 제공하는 높이를 가지며 테두리를 이루는 본체 연결판넬(36); 및
본체연결패널(36)에 지지 결합하고 본체연결판넬(36) 내에서 물이 이동하는 통로연결홈(33)을 가지는 내부패널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내부 패널은 도 4 내지도 9 와 같이 본체연결판넬(36)의 내부에 일정 공간을 두고 폭 방향으로 세워 결합하고 바닥에 통로 연결 홈(33)을 가지는 폭 방향 내부본체 연결판넬(34); 및
상기 폭 방향 내부본체 연결판넬(34)과 본체연결판넬(36)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고 배수관을 수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길이방향 내부본체 연결판넬(33)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각 중간 연결판넬(40)에는 세척수를 수집하는 수집로드(80)를 받치도록 상면 중앙에 형성한 수로지지홈(44)과,
수집로드(80)를 거쳐 이동한 물이 방향을 바꾸어 순차 흐르도록 첫 번째 중앙 연결판넬(40) 상면에 형성한 수로연결홈(43)과, 수로연결홈(43)을 통한 세차한 물이 수압을 받아서 연이어 이동하도록 각 중앙연결판넬(40) 하면에 형성한 수로연결홈(4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각 중간연결판넬(40)에 형성한 수로지지홈(44)은 세차한 물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폭 방향 내부본체 연결판넬(34)에 근접할수록 깊어지게 구성한 것이 좋다.
상기 각 수로 지지홈(44)에는 수로를 이루는 수집로드(80)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각 수로지지홈(44)의 상단 모서리를 길이방향으로 이어주며 수집로드(80)를 안치시키는 지지대(82)와,
수집로드(80) 위에 안치되는 배수용 맨홀덮개(110)를 더 설치한다.
상기, 각 수로 지지 홈(44)의 상단 모서리에는 도 18에 보인바와 같이 지지대(82)를 2층 계단식으로 받치는 제 1 턱(45) 및 제 2 턱(47)을 형성하고, 제 1 턱(45)은 맨홀덮개(110)를 받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이 좋다. 무론 제 1 턱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배수관(50,60,73)에는 수집로드(80)가 설치될 부분을 제외하고 격자형 보강대(120)를 바닥에서 이격되게 본체(30) 및 중간연결판넬(40) 중의 적어도 한 곳에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격자형 보강대(120) 상면에는 세차한 물이 수집로드(80)로만 이동하도록 하는 커버(130)를 부가한다.
상기, 커버(130)에는 도 16 및 도 17과 같이 해당 제 1 내지 제 3 배수관(50,60,73)이 각각 노출되도록 여닫는 도어(32)를 수 개 형성하며, 위치나 개수는 조절 가능하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배수관(50,60,73)이 안치되는 본체 연결판넬(36), 길이방향 내부본체 연결판넬(32), 폭 방향 내부본체 연결판넬(34)의 내면에는 제 1 내지 제 3 배수관(50,60,73)을 수용하며 지지하는 엘(L) 형 가대(38)를 설치한다.
상기, 가대(38)가 설치되는 본체(30) 및 중간연결판넬(40)의 통로연결홈(33) 및 수로연결홈(42) 에는 세차한 물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통로를 이루게 수직부를 절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격자형 보강대(120) 밑의 제 1 내지 제 3 배수관(50,60,73) 바닥에는 찌꺼기 걸름 및 물의 흐름을 지연시키는 슬러지 흡착망(140)을 설치한다.
상기, 통로연결홈(33) 및 수로연결홈(43)(42)에는 물의 이동을 실링 상태로 이동토록 패킹(37)을 전후 테두리에 고정시킨 이동관(35)을 안치시키고,
대응하는 제 1 내지 제 3배수관(50,60,73)에는 배수공(D)을 형성하며,
각 배수공(D)을 이루는 제 1 내지 제 3배수관(50,60,73) 내면측에는 다른 패킹(37')을 매개로 바깥통로(33-1)를 안치시키고,
주입되는 측의 바깥 통로(33-1)에는 찌꺼기 거름용 거름망(33-2)을 설치한 것이 좋다.
상기, 본체(30)의 차량 진입부에는 경사받침판(150)을 부가하고, 본체(30) 상면에는 외부로 세척수 이탈을 방지하는 하우징(160)을 부가한다.
상기, 제 1 배수관(50)은 수로가 되는 수집로드(80)를 안치시키는 수로연결 배수관홈(52)을 이루도록 이격된 중앙 격벽(53)과, 수집로드(80)를 통과한 물이 돌아와 이동하도록 수로연결홈(42)과 물길이 이어지도록 통하는 배수공(D)을 가지며 중앙 격벽(53)으로 수로연결 배수관홈(52)과 구획되는 배수조(54)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2 및 제 3 배수관(60,73)에는 일정 길이마다 폭 방향을 지지하는 보강대(61,71)를 설치하고, 보강대(61,71)의 하면에는 물의 이동을 지연시키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망체(62,72)를 설치한다. 본원발명은 도 3 에 보인바와 같이 하우징(160)의 입구에 개폐 가능한 셔터를 설치하면 좋고, 지붕을 씌우면 위생성을 증진시킨다.
도면에서 미설명한 (B)는 볼트, (N)은 너트, (C)는 조인트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도 3 과 같이 분해 상태를 이루고, 도 2 와 같은 조립상태를 예시할 수 있는바, 이는 결국 임의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잇고, 분리하여 이동 설치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일정 사이즈를 이루도록 구성한 본체(30)를 도 4 및 도 5 와 같이 길이방향 내부본체 연결판넬(32)과, 폭 방향 내부본체 연결판넬(34)을 배열하여 볼트(B)와 너트(N) 등으로 조립하고, 각 길이방향 내부본체 연결패널(32) 사이의 폭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배열시킨 중간연결판넬(40)을 역시 볼트(B) 및 너트(N)로 도 4 와 같이 조립한다. 이 경우 첫 번째 폭 방향 내부본체 연결판넬(34)은 수로연결홈(43)이 상면에 있고, 나머지 폭 방향 내부본체 연결판넬(34)은 수로연결홈(42)의 바닥에 있는 것으로 사용한다.
이어 제 1 내지 제 3 배수관(50,60,73)을 수용하도록 엘(L) 형 가대(38)를 도 5 및 도 6 과 같이 설치한다. 설치 수단의 일 예로는 볼트(B)와 너트(N)로 조립하되 필요시 분해 가능토록 조립한다.
그리고 도 7 과 같이 미리 형성한 제1 배수관(50)을 각 길이방향 내부본체 연결패널(32) 사이의 공간에 채우고, 이를 반복하여 도 8 및 도 9 와 같이 각각 가대(38)에 지지된 상태로 조립식으로 채워지도록 조립한다.
그리고 중간연결판넬(40)의 수로지지홈(44)의 제 1 턱 및 제 2 턱(45,47)에 역시 지지대(82)를 턱을 따라 고정시키고, 도 9 에 보인 티 형의 수집로드(80)를 지지대(82)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여 도 19과 같이 조립한다.
이 경우 각 배수관(50,60,73) 및 판넬은 예를 들어 도 10 의 경우 폭 방향 내부본체 연결판넬(34)에 형성한 통로연결홈(33)에 관체인 이동관(35)을 안치시키고, 대응하는 제2 배수관(60) 및 제 3 배수관(73)에는 역시 배수공(D)을 형성하고, 패킹(37,37')과 바깥통로(33-1)을 당접시킨 상태에서 거름망(33-2)을 대고 볼트(B)로 상호 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각 배수관(50,60,73)에는 도 12 와 같이 슬러지 흡착망(140)을 두어 슬러지의 흡착을 가능토록 한다.
그리고 흡착포 위의 공간에서 각 판넬(36,32,34,40)의 측벽에 나사(90) 결합으로 분해 가능토록 조립되는 격자형 보강대(120)를 도 14 와 같이 너트(N)를 이용하여 상호 조립되도록 순차 설치하고, 이를 도 15와 같이 완료한다.
그리고 도 16 및 도 17과 같이 배수관(117)을 설치하여 제 3 배수관(73)에 모인 물을 펌프(78)를 돌려 폐수처리조(76)로 이동하도록 설치한다.
이 경우 각 커버(130)에는 일정 거리마다 일정 크기의 도어(132)를 설치하고, 도어(132)에는 투명창(134)을 두어 내부의 이물질 쌓임 정도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도어(132)를 힌지(135)를 사용하여 열고 내부를 청소하면 관리에 유리하고 쉽다.
이와 같이 조립 설치한 본원발명은 도 3 에 보인 경사받침판(150)을 따라 차가 이동하여 커버(130) 위로 차의 바퀴가 오도록 한 상태에서 고압 세차기(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세척을 하면 세척한 물이 맨홀뚜껑(110)의 통로를 따라 하강하여 수집로드(80)로 일차 이동하고, 수집로드(80)는 폭 방향 내부본체 연결판넬(34) 측으로 기울어져 있어 이동이 용이하고 티자형 단부에서 제1 배수관(50)의 배수조(54)를 따라 순차 이동한다. 이 경우 첫 번째 수로연결홈(43)은 상면에 있고, 이어지는 수로연결홈(42)은 바닥에 있어, 상하의 위치에 따른 수압의 발생으로 세차한 물의 순환 이동을 가능토록 작용한다. 아울러 각 제 1 배수관(50)은 거름망(33-2)을 거쳐 순차 이동하므로 이동속도가 지연되고, 이물질은 순차 걸러져서 도 12 에 보인 통로 연결홈(33)을 거쳐 제 2 배수관(60)을 거치면서 다시 걸름 작용을 한다. 이 경우는 보강대(61) 밑에 설치한 망체(62)를 거치면서 다시 걸러지고 물의 이동 속도도 지연되면서 이물질 찌꺼기는 이동하다가 바닥으로 가라앉아 나중에 퍼내면 청소에 유리하게 되고 깨끗한 물로 변하게 되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순차 이동하다가 폐수처리공간(70)에 설치한 제 3 배수관(73)으로 이동하고, 여기서도 보강대(71) 및 망체(72)를 이용하여 물의 이동을 줄이고, 이물질을 역시 걸러내고 퇴적시켜 나중에 청소하여 반복 사용을 가능토록 한다. 그리고 제 3 배수관(73)에 쌓인 물은 펌프(78)를 사용하여 배수관(77)을 통하여 도 3 에 보인 폐수처리조(76)에서 폐수를 처리한 다음(폐수처리조에서 폐수를 처리하는 기 술은 약품을 첨가하거나, 자연정화 등 다양한 알려진 기술을 이용가능하므로 본원발명에서는 단순히 폐수처리조로만 나타낸다), 정화된 물을 물통(75)으로 이동시켜, 그 물을 다시 세척수로 사용하면 된다. 본원발명의 경우 필요시 별도로 직수를 받는 보조물통(75')을 사용하면 언제나 많은 대수의 세차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세차기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이는 부분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본체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본체에 가대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6 의 점선 원형 부분 확대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배수관을 안치시킨 구조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배수관을 안치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9 는 도 8 에 가대를 대고 수집로드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 은 도 9 의 원형부분 확대 분해사시도,
도 11 은 도 9 의 원형부분 확대 도면,
도 12 는 도 9 에 슬러지 흡착망을 부가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 은 도 12 에 격자형 보강대를 설치하는 것을 보이는 도면,
도 14 는 도 13 의 원형 부분 확대도,
도 15 는 도 13 에 격자형보강대와 맨홀덮개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6 은 도 15 에 커버를 씌운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7 은 도 16의 원형 부분 확대도,
도 18은 중간연결판넬과 수집로드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단면 사시 도이다.
도 19는 도 2 내지 도3에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세차장치의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삭제
B;볼트 N;너트 C;조인트 30;본체 32;길이방향 내부본체 연결판넬 33; 통로연결홈 33-1;바깥통로 33-2;거름망 34;폭방향 내부본체 연결판넬 35;이동관 36;본체연결판넬 37;패킹 38;가대 40;중간연결판넬 42;수로연결홈 44;수로지지홈 45;제1턱 47;제2턱 50;제1배수관 52;수로연결배수관홈 D;배수공 54;배수조 60;제2배수관 61;보강대 62;망체 70;폐수처리공간 71;보강대 72;망체 73;제3배수관 75,75';물통 76;폐수처리조 77;배수관 78;펌프 80;수집로드 82;지지대 90;나사 110;맨홀덮개 120;격자형보강대 130;커버 132;도어 134;투명창 135;힌지 140;슬러지 흡착망 150;경사받침판 160;하우징

Claims (25)

  1. 각 판넬을 테두리 및 내부에 세워 조립한 공간에 분리 수용 가능한 각 수조가 물길이 이어지도록 수로를 이루는 통로 연결홈(33)을 내부판넬에 가지도록 이루어진 본체(30);
    본체(30) 내에 폭 방향 보강을 위하여 일정 길이 간격으로 부가 구획되고 상기 통로 연결홈(33)과 수로가 이어지도록 수로 연결홈(43)(42) 및 수로 지지홈(44)을 가지고 각각의 제1 배수관(50)을 순차 수용하는 각각의 중앙 연결판넬(40);
    각 제 1 배수관(50)을 통과하여 통로 연결홈(33)을 거친 세차한 물을 폐수처리공간(70)에 설치한 제 3 배수관(73)으로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제 2 배수관(60);
    중앙 연결판넬(40)의 수로 지지홈(44) 에 지지되어 세차한 물을 1차로 수집하고 이어 제 1 배수관(50)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수집로드(80);
    상기 수집로드(80)로 세차한 물이 1차로 수집되도록 상기 수집로드(80)를 제외한 본체 상면을 덮는 커버(130);
    본체(30)의 안쪽에 설정한 폐수처리공간(70)부위의 커버(130) 위에 설치하여 폐수를 정화처리하는 폐수 처리조(76); 및
    정화처리한 물을 세차용으로 저장하는 물통(75)을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조립식 세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30)는 세차한 물이 흐르는 공간을 제공하는 높이를 가지며 테두리를 이루는 본체 연결판넬(36); 및
    본체 연결판넬(36)에 지지 결합되고 본체 연결판넬(36) 내에서 물이 이동하는 통로 연결홈(33)을 가지는 내부 판넬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조립식 세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내부 판넬은 본체 연결판넬(36)의 내부에 일정 공간을 두고 폭 방향으로 세워 결합되고 바닥에 통로 연결홈(33)을 가지는 폭 방향 내부본체 연결판넬(34); 및
    상기 폭 방향 내부본체 연결판넬(34)과 본체 연결판넬(36)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고 배수관을 수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길이방향 내부본체 연결판넬(33)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조립식 세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중간 연결판넬(40)에는 세척수를 수집하는 수집로드(80)를 받치도록 상면 중앙에 형성한 수로 지지홈(44)과,
    수집 로드(80)를 거쳐 이동한 물이 방향을 바꾸어 순차 흐르도록 첫 번째 중앙 연결판넬(40) 상면에 형성한 수로연결홈(43)과, 수로연결홈(43)을 통한 세차한 물이 수압을 받아서 연이어 이동하도록 각 중앙연결판넬(40) 하면에 형성한 수로연결홈(42)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조립식 세차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080108363A 2008-11-03 2008-11-03 이동 가능한 조립식 자동차 세차장치 KR101075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363A KR101075617B1 (ko) 2008-11-03 2008-11-03 이동 가능한 조립식 자동차 세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363A KR101075617B1 (ko) 2008-11-03 2008-11-03 이동 가능한 조립식 자동차 세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265A KR20100049265A (ko) 2010-05-12
KR101075617B1 true KR101075617B1 (ko) 2011-10-21

Family

ID=4227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363A KR101075617B1 (ko) 2008-11-03 2008-11-03 이동 가능한 조립식 자동차 세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086B1 (ko) * 2015-01-09 2016-07-20 강병현 차량 세차 장치 및 그 조립방법
WO2016114414A1 (ko) *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클린월드 차량 세차 장치, 그 조립방법 및 그의 정수 방법
KR101666008B1 (ko) * 2016-02-17 2016-10-13 주식회사 로뎀코리아 세차 장치
CN107956303B (zh) * 2017-11-30 2020-04-17 安徽乐库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一种三车位立体车库结构
CN111995197B (zh) * 2020-09-19 2024-01-02 河南啤匠科技发展有限公司 洗车污水循环利用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3489A (en) 1988-07-28 1991-07-23 Autoglym America Corporation Manual, self-contained, free-standing, vehicle washing/cleaning center
KR200283724Y1 (ko) 2002-05-14 2002-07-27 주식회사 베스트파워 세차장치의 세척배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3489A (en) 1988-07-28 1991-07-23 Autoglym America Corporation Manual, self-contained, free-standing, vehicle washing/cleaning center
KR200283724Y1 (ko) 2002-05-14 2002-07-27 주식회사 베스트파워 세차장치의 세척배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265A (ko) 201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8692B2 (en) In-line storm water drain filter system
US7083721B2 (en) Stormdrain curb-inlet multi-stage filtration-unit
CN104289029B (zh) 水处理设施
KR101075617B1 (ko) 이동 가능한 조립식 자동차 세차장치
KR101703337B1 (ko) 초기 빗물 배제 및 여과장치
KR101464045B1 (ko) 무동력 수질관리시설과 청소시설이 내장된 빗물저류탱크
KR100896015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101666864B1 (ko)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675915B1 (ko) 수질 정화 장치
CN202380513U (zh) 一种雨水弃流池
KR101907012B1 (ko) 착탈식 맨홀 멀티 스크린 시스템
KR101038806B1 (ko) 오수용 맨홀
KR200409958Y1 (ko) 수질 정화 장치
KR101560158B1 (ko) 역세척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CN108395010B (zh) 一种节能减排型污水处理系统
KR101783315B1 (ko) 초기빗물을 배제한 빗물 집수 시스템
US20130043171A1 (en) Storm water pollution full capturing system
CN106966543A (zh) 一种车载粪便污水处理设备
KR101411476B1 (ko)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
KR101788788B1 (ko) 취수로의 이물질제거장치
KR101080256B1 (ko)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
CN205557644U (zh) 活动式节水环保循环洗车装置
RU215376U1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льтрации
EP2154038A1 (en) Modular system for cleaning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