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574B1 -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for cutt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for cutt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5574B1 KR101075574B1 KR1020110059696A KR20110059696A KR101075574B1 KR 101075574 B1 KR101075574 B1 KR 101075574B1 KR 1020110059696 A KR1020110059696 A KR 1020110059696A KR 20110059696 A KR20110059696 A KR 20110059696A KR 101075574 B1 KR101075574 B1 KR 1010755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ement
- retaining wall
- primary
- pressure plate
- instal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78 shot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절취지반에 있어서 구축되는 보강토옹벽의 횡방향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응력 분산이 가능하도록 한 보강토옹벽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보강토옹벽이 설치되는 지형의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1차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1차천공홀에 1차그라우팅재를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주입된 1차그라우팅재의 전방측 지형을 절취하는 단계와, 상기 절취된 지형의 전방 외측으로 상하 및 좌우 각각 다수 열을 이룸과 동시에 소정 길이 노출된 상태로 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노출된 보강재 중 좌우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보강재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1차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1차지압판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보강재에 2차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토용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for improving the lateral durability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s constructed in various cutting grounds and enabling stress distributio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primary boring hole from the top of the top of the terrain on which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s installed, injecting the primary grouting material into the formed primary boring hole, and the injected primary grouting Cutting the front side of the ash, installing a reinforcement in a state of being expos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same time as forming a plurality of rows each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outward of the cut terrain, and in the left and right transverse direction of the externally exposed reinforcement Installing a primary pressure plate to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at the same time and the step of installing a secondary pressure plate on the reinforcement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primary pressure plat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construction method to prov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강토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의 성질에 따라서 구축 형태를 달리 할 수 있으며 보강재에 걸리는 응력을 분산시켜 전체적인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 절토용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which can vary the construction form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ground and greatly improves the overall safety by dispersing the stress applied to the reinforcement.
일반적으로 보강토옹벽은 표고 차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벽의 한쪽 면 상에서 물질을 억누르는 벽체로서 정의되며, 이러한 보강토옹벽은 형태별로 중력식, 보강콘크리트식, 보강토식 보강토옹벽 등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reinforcement soil wall is defined as a wall that suppresses the material on one side of the wall in order to maintain the difference in elevation, and such reinforcement soil wall is divided into gravity type, reinforced concrete type and reinforced soil reinforcement soil wall.
이하, 종래의 일반적인 보강토옹벽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general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 일반적인 보강토옹벽이 구축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측면도이다.1A to 1F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conventional general reinforcement soil wall in order.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의 일부 구간을 상측으로부터 하향으로 절토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1A, a portion of the ground is cut down from the upper side.
그리고, 도 1b에서와 같이, 굴착된 지반의 내측으로 천공홀(10)을 형성하고, 도 1c에서와 같이 네일(11) 설치 및 그라우팅재(12) 타설을 행하여 지반보강을 수행한다.Then, as shown in Figure 1b, the
다음으로는, 도 1d에서와 같이, 임시벽체로서 경사면에 숏크리트(20) 작업을 수행하고 상황에 따라서는 전방 노출된 네일(11)에 지압판(미도시)을 체결한다.Next, as shown in FIG. 1D, the
이와 같은 과정을 하향으로 계획절토고에 이르기까지 다단에 걸쳐 반복 수행하면 도 1e와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도 1f에서와 같이 배수공(미도시) 등 및 최종 옹벽(30) 시공을 통하여 전체 보강토옹벽의 구축이 완료된다.Repeating this process in multiple stages until the planned cut-off to the bottom is achieved as shown in Figure 1e, and finally through the construction of drainage holes (not shown) and the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 보강토 옹벽의 구축 과정에 있어서 지압판 또는 쇼크리트 등의 공법은 생략하여 옹벽이 시공되기도 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such a conventional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 method such as a pressure plate or shockcrete may be omitted and a retaining wall may be constructed.
상술한 절토용 보강토옹벽의 경우는 종래 다양한 보강토옹벽 중 일 형태를 도시 및 설명한 것이며, 이 외에도 별도로 콘크리트 블록을 적층하는 방식 등의 보강토옹벽 등도 많이 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for cutting, one form of various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s is conventionally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addition,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s, such as a method of stacking concrete blocks, are tended to be constructed.
도 2a 내지 도 2e는 종래 보강토옹벽이 파괴되는 몇 가지 형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2a to 2e are views showing some forms of conventional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is broken.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보강토옹벽의 경우는 옹벽 전면의 벽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 2a, 도 2b에서와 같이, 보강토옹벽의 후방측 지형 앞쪽의 주동영역에 걸쳐 하중이 걸리어 슬라이딩 이동이 발생하여 앞쪽 부분의 옹벽 전체가 붕괴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As show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as the wall of the retaining wall front over time, as shown in Figures 2a, 2b, the load is applied over the driving area in front of the terrain on the rear side of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the sliding movement occurs As a result, the entire retaining wall of the front part collapsed.
또는, 도 2c 및 도 2d에서와 같이 각각의 쏘일 네일(11)에 연결된 각각의 지압판(17)에 집중적인 하중이 걸리어 지압판과 함께 옹벽의 일부 영역이 탈락하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하였으며, 이때 일부 영역의 탈락으로 인하여 다른 옹벽 영역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구성이 약화되어 마찬가지로 탈락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S. 2C and 2D, intensive loads are applied to the
나아가, 도 2e와 같은 1차 보강안정 후 전방측에 지오블록(22) 등을 설치하여 축조되는 옹벽의 경우에는 지오블록(22)과 1차지반안정을 위한 옹벽(21) 사이에서 채워지는 잡석(28)에 배수구(24)를 통하여 배수되는 지표수가 저장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지표수가 일정 위치에 집중되어 저장되는 경우 그에 따른 하중이 전방의 지오블록에 응력으로 작용하여 전방 지오블록이 탈락 또는 붕괴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installing th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drawback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절토 후 성토 및 절성토 경계면에서의 평면파괴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토옹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irs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that can prevent the plane destruction at the interface of the fill and cut soil after cutting.
둘째, 본 발명은 지표수 유입에 따른 우수 등의 집중에 의하여 판넬 또는 블록이 탈락하거나 활동파괴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토옹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econd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that can prevent the panel or block from falling off or destroying activity due to concentration of rainwater due to the inflow of surface water.
셋째, 지반의 성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법을 적용하여 전체적으로 안정된 보강토옹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전체 시공기간 및 시공작업을 효율성 있도록 하는 보강토옹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ir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ement soil wall that can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method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ground, and to make the overall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work efficient at the same time.
넷째, 보강토 전체 구조에 있어서 하중이 분산되어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보강토옹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our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in which the load is distributed i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reinforced soil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강토옹벽이 설치되는 지형의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1차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1차천공홀에 1차그라우팅재를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주입된 1차그라우팅재의 전방측 지형을 절취하는 단계와, 상기 절취된 지형의 전방 외측으로 상하 및 좌우 각각 다수 열을 이룸과 동시에 소정 길이 노출된 상태로 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노출된 보강재 중 좌우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보강재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1차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1차지압판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보강재에 2차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토용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1차천공홀에 보강빔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빔은 절토 지형의 상부로 일부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노출된 보강빔에 보강콘크리트캡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차지압판은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보강재에 동시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형성된 1차천공홀에 1차그라우팅재를 주입하여 형성되는 보강칼럼모듈과, 상기 보강칼럼모듈의 전방측 절토되는 지형에 상하 및 좌우 다수 열을 이루도록 일단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보강재와, 상기 외부 노출된 보강재 중 좌우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보강재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1차지압판과, 상기 1차지압판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보강재의 노출된 부위에 설치되는 2차지압판 및 상기 1차지압판 및 2차지압판이 내설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노출된 보강재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옹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토용 보강토옹벽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primary punching hole from the top of the top of the terrain on which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s installed, and injecting the primary grouting material into the formed primary drilling hole, and Cutting the front topography of the injected primary grouting material, and installing a reinforcement in a state of exposing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same time as forming a plurality of rows respectively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toward the front and outside of the cut topography; Reinforcement soil for cutting comprising the steps of installing the primary pressure plate to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at the same time in the left and right of the reinforcement and the secondary pressure plate on the reinforcement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primary pressure plat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Provid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He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nstalling a reinforcing beam in the primary drilling hole.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beam is installed to be partially exposed to the top of the cut terrai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installing a reinforcement concrete cap on the exposed reinforcement beam.
In addition, the secondary pressure plate may be simultaneously fastened to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inforcement column module is formed by injecting the primary grouting material into the primary drilling hole form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ne end portion to form a plurality of rows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on the front cut of the reinforcement column module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which are installed in a state exposed to the first reinforcement member, and a primary pressure plate which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simultaneously in the left and right transverse direction of the externally exposed reinforcing members; Provides a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for the cut including a secondary retaining plate installed on the exposed site and the concrete retaining wall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exposed reinforcement while at the same time to achieve the state of the primary pressure plate and the secondary pressure plate. do.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절토용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지반의 견고한 정도에 따라서 보강칼럼 설치단계 등을 선택 적용하여 전체 보강토옹벽이 시공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reinforcing column installation step, etc. according to the solidity of the ground so that the entire reinforcement soil wall is constructed, the overall safety is improv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s are reduced.
둘째, 본 발명은 지압판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응력의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된 보강토옹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with improved safety and durability by providing a double pressure plate to distribute the stress.
셋째, 본 발명은 1차지압판을 횡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하되 복수 개의 보강재에 동시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힘의 분산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며 지압판의 설치작업 또한 간편해지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tend the length of the primary pressure pl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ut to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at the same time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force distribution and brings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installation of the pressure plate.
넷째, 보강콘크리트캡을 별도 설치하여 보강칼럼을 지면에 일체화시킴으로써 굴착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전도와 활동파괴에 대한 저항성을 커지게 함으로써 전반적인 안전성이 향상되고 굴착 중 시공이 용이하여 지는 효과를 가져온다.Fourth, by installing a reinforced concrete cap to integrate the reinforcement column on the ground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conduction and active destruction that may occur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the overall safety is improved and the construction is easy during the excavation.
다섯째, 본 발명은 안정된 보강토옹벽에 별도의 식생용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Fif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ppearance by applying a separate vegetation configuration to the stabl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 일반적인 보강토옹벽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a 내지 도 2e는 종래 보강토옹벽이 파괴되는 다 수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옹벽에 있어서 보강칼럼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옹벽에 있어서 보강칼럼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옹벽에 있어서 보강칼럼에 보강콘크리트캡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옹벽에 있어서 보강재 및 지압판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옹벽에 있어서 계획고까지 굴착된 사면에 보강재 및 지압판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옹벽에 있어서 계획고까지 굴착된 사면에 보강재 및 지압판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옹벽에 설치되는 1차지압판을 나타낸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옹벽에 설치되는 2차지압판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옹벽에 있어서 철근배근 및 거푸집 등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옹벽이 구축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방에 구축되는 입체 조형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다양한 암반 및 지형에 따른 본 발명 보강토옹벽이 다양한 형태로 구축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용 보강토옹벽을 시공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1a to 1f is a side view sequentially showing a conventional general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Figures 2a to 2e is a view showing a number of forms of conventional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s broke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ement column is installed in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ement column is installed in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ement concrete cap is installed on the reinforcement column in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ement and the pressure plate is installed in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ement and the pressure plate is installed on the slope excavated in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inforcement and the pressure plate is installed on the slope excavated to the plan in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primary pressure plate is installed on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2 is a view showing a secondary pressure plate is installed on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reinforcement and formwork is installed in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hree-dimensional sculpture that is built in front of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 variety of rock and terrain; And
Figure 17 is a flow chart showing the steps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for cu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절토용 보강토옹벽 및 이를 위한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용 보강토옹벽에 있어서 지반의 1차적 안정성을 가져오기 위한 보강칼럼모듈(85)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토용 보강토옹벽에 있어서 보강칼럼모듈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의 견고한 정도를 분석하여 연약한 지반으로 파악된 지형에 보강토옹벽을 축조 시에는 지반의 기초 안정을 위하여 보강칼럼모듈(85)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S11).As shown in Figure 3 and 4, when constructing the reinforcement soil wall on the terrain identified as soft ground by analyzing the degree of solidity of the terrain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를 위해, 보강토옹벽이 시공될 지형에 횡방향을 따라서 상하로 다수의 1차천공홀(80)을 굴착하도록 한다(S1).To this end,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s to be excavated a plurality of primary drilling holes 80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S1).
이때, 상기 1차천공홀(80)은 절토계획고보다 소정 깊이 더 깊게 형성되며, 상기 1차천공홀(80)은,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양측 가장자리 부위가 일부 중첩된 형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차후 그라우팅재가 굳어진 후에 보강칼럼모듈(85)이 전체가 일체화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상기 1차천공홀(80)은 축조되는 보강토옹벽과 수평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도 3에서는 거의 수직하게 형성되는 보강토옹벽이 축조 시에 1차천공홀(800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The primary
그리고, 상기 1차천공홀(80)에는 보강용 1차그라우팅재(82)를 주입한다(S3).Then, the
이때, 상기 보강용 1차그라우팅재(82)로는 시멘트교반토 등을 주입하여 굳히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천공홀(80)에는 별도로 보강빔(84)을 설치하여 이중의 보강구조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보강빔(84)은 지형의 상부로 끝단부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S2).On the other hand, as shown, it is preferable to form a double reinforcement structure by separately installing a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보강빔(84)으로서 H빔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3 and 4 show that the H beam is applied as the
이때, 상기 보강빔(84)은 모든 1차천공홀(80)에 설치되지는 않고,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1차천공홀(80)에만 설치되어 구조적 보강은 가져오면서도 재료비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후술하는 보강재(108) 설치를 위한 2차천공홀의 굴착작업이 유리해진다.In this case, the reinforcing
다음으로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보강빔(84)에 보강콘크리트캡(88)을 설치하여 보강빔(84)이 지형에 일체화되도록 한다.Next, as shown in FIG. 5, a reinforcement
이때, 상기 보강콘크리트캡(88)은 복수 개의 보강빔(84)을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적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지형에 걸리게 되는 응력을 수평방향으로 분산하는 효과를 가져온다.In this case, the reinforcement
다음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칼럼모듈(85)의 전방측 지형을 상부로부터 하부로 일정 구간 절토한 후(S12), 절토된 지형의 전방 외측으로 소정 길이 노출된 상태로 보강재(108)를 설치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ure 6, after cutting the front side terrain of the
이를 위해 미리 시멘트교반토로 이루어지는 상기 보강칼럼모듈(85)과 지형을 동시에 관통하는 2차천공홀(102)을 굴착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S13). To this end, the step of excavating the
그리고, 상기 2차천공홀(102)에 상기 보강재(108)를 설치하며 또한 2차그라우팅재(103)를 주입한다(S14,S15).In addition, the reinforcing
여기서, 상기 보강재(108)로는 쏘일 네일링 또는 앵커 등이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reinforcing
이와 같은 쏘일 네일링 또는 앵커는 이미 다수의 공지된 기술이 나와 있으며 이 중 적절한 부재가 적용 가능하고 이미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uch a nail nailing or anchor has already been disclosed a number of known techniques, of which appropriate members are applicable and already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지형의 절토 및 보강재(108)의 설치와 2차그라우팅재(103)의 주입은 절토되는 지형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절토계획고에 이르기까지 다단의 구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수행된다.In addition, installation of the cut and
절토계획고까지 굴착이 완료된 지형은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Excavation is completed until the cut plan is as shown in Figure 7 attached.
한편, 상기 각각의 절토 구간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08)가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는 판상의 지압판(111,122)을 설치한다(S16).On the other hand, in the cut section of each of the reinforcing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시공에 있어서의 상기 보강재(108)에 연결되는 지압판은 1차지압판(111)과 2차지압판(122)으로 나누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pressure plat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이를 위해, 상기 1차지압판(111)과 2차지압판(122)은 중앙 부위로 보강재(108)가 관통되는 관통홀(115,125)이 구비된다.To this end, the
즉, 상기 보강재(108)의 외부 노출된 부위에 상기 보강재(108)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1차지압판(111)과 2차지압판(122)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각각의 지압판(111,122)은,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결합부재(133)를 이용 상기 보강재(108)에 각각의 지압판(111,122)을 고정시키게 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pressure plate (111, 122),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 8, to secure the respective pressure plate (111, 122) to the reinforcing
상기 결합부재(133)는 소정의 결합너트 등의 형태가 적용 가능하다.The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지압판(111)은 횡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1차지압판(111)은 인접하는 복수 개의 보강재(108)를 동시에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 가능하도록, 즉 상기 보강재(108)가 동시에 관통하는 두 개 이상의 관통홀(115)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the
이와 같이, 상기 1차지압판(111)이 양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하거나 또는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보강재(108)가 동시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경우에는 보강토옹벽이 구축된 후 후방 측 지형으로부터 걸리는 응력을 1차지압판(111)을 따라서 횡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As such, when the
결국, 연약지반으로 판단되어 보강칼럼모듈(85)이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보강칼럼모듈(85)을 통하여 1차적으로 지형에 걸리는 응력의 분산을 가져옴과 동시에 보조적으로 상기 1차지압판(111)이 횡방향으로 응력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보강토옹벽의 내구성 강화를 이중으로 도모할 수 있게 된다.After all, when the
다음으로는 상기 보강칼럼모듈(85)이 설치된 후방측 지형으로부터 전방측에 이르기까지 소정의 관통홀 또는 파이프관 등을 이용하여 배수공(150)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치도록 한다. 상기 배수공(150)은 지형 후방측에 저장되는 저장수를 구축되는 보강토옹벽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적절한 길이를 지니도록 형성된다.Next, a step of forming the
상기 과정을 계획절토고에 이르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보강토옹벽 전체에 걸친 보강작업을 하게 되고(S17), 다음으로는 상기 1차지압판(111)과 2차지압판(122)이 콘크리트옹벽에 내설되어 설치되도록 보강철근(180) 및 거푸집(170)을 설치하는 단계를 거친다(S18).The process is repeatedly carried out until the planned cutting height, and the reinforcement work is carried out throughout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S17). Next, the
다음으로는 상기 거푸집(170)과 보강칼럼모듈(85) 사이로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수행한 후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에 상기 거푸집(170)을 제거한다(S19,S20).Next,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between the
이때,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생성되는 보강토옹벽 하부 전방측으로는 소정 깊이로 식생존(195)을 형성하여 식물의 생식이 가능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2차지압판(122) 또한 1차지압판(111)과 마찬가지로 소정 길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응력의 횡방향 분산을 유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Although not shown, the
그리고, 양생되는 보강토옹벽의 전방측으로는, 첨부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형상의 구조물(198)을 형성하여 외관상 심미관을 불러일으키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 15, the front side of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to be cured may form a three-
이때, 도 15와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입체형상 구조물을 구축하여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얇은 철근(미도시) 등을 콘크리트옹벽 전방에 설치하여 상기 식생존(195)을 통하여 자라는 덩쿨 등의 식물이 옹벽 전반을 감싼 형태로 성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plant such as a vine growing through the
도 16은 다양한 암반이 혼합된 지형에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옹벽 시공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보강토옹벽이 구축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FIG. 16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various types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s are constructed by apply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a terrain mixed with various rocks.
도시된 바와 같이, 견고한 암반이 위치된 부근에 보강토옹벽을 설치 시에는 암반 일부를 탑다운 방식으로 굴착하고 보강재(108) 및 상기 1차/2차지압판(111,122)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 타설 또는 콘크리트블록의 적층 등을 이용 보강토옹벽을 구축한다.As shown, when installing th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in the vicinity of the solid rock is excavated a portion of the rock in the top-down manner, after installing the reinforcing
이와 같은 견고한 암반에 보강토옹벽(301)을 축조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지반의 1차 보강을 위한 보강칼럼모듈을 설치하지 않아도 지형의 붕괴 위험 등이 작으므로 보강토옹벽의 내구성 보장이 가능해진다.When constructing the reinforced
한편, 암반 정도의 견고한 수준에 이르지는 않더라도 상대적으로 일정 수준의 견고한 지반에 보강토옹벽(288)의 축조 시에는 지반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구간을 나누어 절토된 지형에 각 구간별로 쇼크리트(201)공법을 수행하여 지반을 가보강하는 작업을 한 후, 보강재(108) 및 1차/2차지압판(111,122)을 설치하는 작업을 거친다.On the other hand, when constructing the
계획절토고에 해당되는 높이에 이르기까지 상술한 과정을 모두 완료한 후에는 전방 측을 덮어 감싸는 형태로 콘크리트 등을 이용 보강토옹벽(288)을 구축한다.After completing all of the above processes up to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lanned cutting height, the reinforcing
다음으로, 연약지반의 경우에는 상기 도시 및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보강칼럼모듈(85)을 설치 후 보강재(108) 및 1차/2차지압판(111,122)을 설치는 과정을 거치고, 최종적으로 보강토옹벽을 구축하게 된다.Next, in the case of soft ground,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절토용 보강토옹벽 시공방법에 의하면 지반의 견고한 정도에 따라서 보강칼럼모듈의 설치를 선택 적용하여 전체 보강토옹벽이 시공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selecting the installation of the reinforcement column module according to the solidity of the ground so that the entir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to improve the overall safety and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The effect is to reduce costs.
또한, 지압판을 이중으로 설치함으로써 보강재에 걸리는 응력의 분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1차지압판을 횡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하되 복수 개의 보강재에 동시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응력의 분산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며 설치작업 또한 간편해지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double pressure plate to prevent the dispersion of stress applied to the reinforcement, while extending the length of the primary pressure pl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ut to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at the same time to maximize the stress distribution effect Work also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나아가, 상기 보강콘크리트캡(88)을 별도로 설치하여 보강칼럼모듈(85)을 지면과 일체화되도록 함으로써 굴착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전도와 활동파괴에 대한 저항성을 커지게 하고 전반적인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함은 물론 굴착시공이 용이해지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Furthermore, by separately installing the reinforcement
이와 같이,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80: 천공홀 82: 그라우팅재
84: 보강빔 85: 보강칼럼모듈
102: 천공홀 103: 그라우팅재
108: 보강재 111: 1차지압판
115,125: 관통홀 122: 2차지압판
133: 결합부재 150: 배수공
170: 거푸집 180: 보강철근80: drilling hole 82: grouting material
84: reinforcement beam 85: reinforcement column module
102: punched hole 103: grouting material
108: reinforcing material 111: primary pressure plate
115, 125: through hole 122: secondary pressure plate
133: coupling member 150: drain hole
170: formwork 180: rebar
Claims (8)
상기 형성된 1차천공홀에 1차그라우팅재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주입된 1차그라우팅재의 전방측 지형을 절취하는 단계;
상기 절취된 지형의 전방 외측으로 상하 및 좌우 각각 다수 열을 이룸과 동시에 소정 길이 노출된 상태로 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 노출된 보강재 중 좌우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보강재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1차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1차지압판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보강재에 2차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토용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Forming a primary perforation hole from an upper side of a terrain on which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s installed;
Injecting a primary grouting material into the formed primary boring hole;
Cutting the front side terrain of the injected primary grouting material;
Installing a reinforcing material in a state of exposing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same time as a plurality of rows respectively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toward the front outside of the cut terrain;
Installing a primary pressure plate to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at the same time in the left and right transverse direction of the externally exposed reinforcement; And
Installing a secondary pressure plate on the reinforcement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primary pressure plat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for cutting comprising a.
상기 1차천공홀에 보강빔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용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for cutting,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a reinforcing beam in the primary drilling hole.
상기 보강빔은 절토 지형의 상부로 일부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노출된 보강빔에 보강콘크리트캡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용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inforcement beam is installed to be partially exposed to the top of the cut topography,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for cut,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a reinforcement concrete cap on the exposed reinforcement beam.
상기 2차지압판은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보강재에 동시에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용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ary acupressure plate is a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o be fastened to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at the same tim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보강칼럼모듈의 전방측 절토되는 지형에 상하 및 좌우 다수 열을 이루도록 일단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보강재;
상기 외부 노출된 보강재 중 좌우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보강재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1차지압판;
상기 1차지압판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보강재의 노출된 부위에 설치되는 2차지압판; 및
상기 1차지압판 및 2차지압판이 내설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노출된 보강재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옹벽;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토용 보강토옹벽.A reinforcement column module formed by injecting a primary grouting material into a primary drilling hole formed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reinforcing column module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form a plurality of rows in 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p cut surface;
A primary pressure plate installed to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in left and right transverse directions among the externally exposed reinforcing members;
A secondary pressure plate installed at an exposed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primary pressure plat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concrete retaining wall installed at the front side of the exposed reinforcement while simultaneously forming the primary pressure plate and the secondary pressure plate in an insulated stat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configured to inclu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9696A KR101075574B1 (en) | 2011-06-20 | 2011-06-20 |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for cutt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9696A KR101075574B1 (en) | 2011-06-20 | 2011-06-20 |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for cutt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75574B1 true KR101075574B1 (en) | 2011-10-20 |
Family
ID=4503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9696A KR101075574B1 (en) | 2011-06-20 | 2011-06-20 |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for cutt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5574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3515B1 (en) * | 2001-03-29 | 2003-08-14 | 김상수 | Afforestation Retaining-Wall laying Concrete-block |
KR100793743B1 (en) * | 2007-08-13 | 2008-01-10 | (주)엠케이 | Permanent anchor assembly method and device |
-
2011
- 2011-06-20 KR KR1020110059696A patent/KR10107557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3515B1 (en) * | 2001-03-29 | 2003-08-14 | 김상수 | Afforestation Retaining-Wall laying Concrete-block |
KR100793743B1 (en) * | 2007-08-13 | 2008-01-10 | (주)엠케이 | Permanent anchor assembly method and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5504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Eearth self-retaining wall using reinforcing member and CIP construction method | |
JP2007154413A (en) | Soldier pile type earth retaining anchor type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160144111A (en) | Foundation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reinforcing method of base ground using it | |
KR101147459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cutting the ground retaining wall using the pole | |
KR101324231B1 (en) | Soil cement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 |
KR101843023B1 (en) | Shear connector for temporary retaining wall file and building outer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reof | |
KR101182704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d structure using PHC pile | |
KR102402815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support member and method constructing the same | |
KR102195510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earth self-retaining wall using reinforcing member and PHC pile | |
KR100660379B1 (en) | Plantable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wall | |
KR101334749B1 (en) | Vegetation block in tiers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101075574B1 (en) |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for cutt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984040B1 (en) | Method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cutting face through double reinforcing execution | |
KR101234270B1 (en) | Method for non excavated excavating construction using steel pipe and steel pipe with hole | |
KR20060129146A (en) | Retaining Wall PC Structure | |
KR20060023600A (en) | Prefabricated slope reinforcement device using a soil nail and fitting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300071B1 (en) | Concrete reinforced block for satabilization face of slope | |
KR101399275B1 (en) | Method of construction for RWC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consisting of sidewall for architectural structure | |
KR101147460B1 (en) | Cutting the ground retaining wall using the po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20090078684A (en) | Support pile with thumb pile made of H beam, composite wall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524302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without temporary structure | |
KR100479500B1 (en) | The slope tree-planting structure using socket type steel pipe, and his construction method | |
JPS6018769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 |
KR10094849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inverted vertical cutout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 |
JP4423390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slope protection retaining wa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6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4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5061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